맨위로가기

콜로서스 (컴퓨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로서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로렌츠 암호 기계를 해독하기 위해 개발된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자 디지털 컴퓨터이다. 블레츨리 파크의 맥스 뉴먼이 이끄는 팀에서 설계되었으며, 토미 플라워스가 히스 로빈슨 기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부품을 사용하여 제작했다. 콜로서스는 1,600개 이상의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종이 테이프에 입력된 암호문을 처리하여 로렌츠 기계의 휠 설정을 찾는 데 사용되었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연합군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전쟁 종전까지 총 10대가 제작되었다. 전쟁 후 기밀로 분류되어 오랫동안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1970년대 중반 기밀이 해제되면서 그 중요성이 드러났다. 현재는 국립 컴퓨터 박물관에 복원되어 전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0년대 컴퓨터 - 모니악
    모니악은 빌 필립스가 개발한 아날로그 컴퓨터로,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경제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경제 변수 간의 관계 및 정책 효과를 보여주며, 경제학 교육과 연구에 활용되었다.
  • 1940년대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초기의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초기의 컴퓨터 - 유니박 I
    유니박 I은 1950년대 초에 개발된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 중 하나로, 비즈니스 및 행정용으로 설계되었으며, 5,000개의 진공관을 사용하고 7.5톤의 무게에 125kW의 전력을 소비했으며,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예측에 사용되기도 했다.
  • 진공관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진공관 컴퓨터 - IAS 머신
    IAS 머신은 1940년대 후반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개발된 40비트 이진수 컴퓨터 아키텍처로, 1,024 워드의 메모리와 1,700개의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여러 파생 기종에 영향을 미쳤다.
콜로서스 (컴퓨터)
개요
콜로서스 마크 2 컴퓨터
콜로서스 마크 2 컴퓨터가 Wrens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왼쪽의 비스듬한 제어판은 로렌츠의 "핀"(또는 "캠") 패턴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오른쪽에는 "침대 틀" 종이 테이프 전송 장치가 있다.
일반 정보
종류특수 목적 전자 디지털 프로그래밍 가능 컴퓨터
개발자토미 플라워스, 시드니 브로드허스트, 윌리엄 챈들러, 마크 2 기계의 경우 앨런 쿰스의 지원을 받음
제조업체영국 우체국 연구소
세대1세대 컴퓨터
출시일마크 1: 1943년 12월
마크 2: 1944년 6월 1일
단종1960년
생산 대수12대
입력연속 루프에서 최대 20,000 × 5비트 문자의 종이 테이프
출력전기 타자기 출력
스위치 및 플러그 패널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됨
전력 소비8.5 kW
중앙 처리 장치 (CPU)진공관 및 사이러트론을 사용하는 맞춤 회로. 마크 1에서는 총 1,600개, 마크 2에서는 2,400개. 또한 계전기 및 스텝 스위치
기억 장치 (메모리)없음 (임의 접근 기억 장치(RAM) 없음)
디스플레이표시등 패널
역사
목적로렌츠 SZ40/42 암호 해독
암호피시
다른 이름튜니

2. 목적과 기원

콜로서스는 독일군의 로렌츠 SZ40/42 암호 기계를 해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독일군은 무선 텔레타이프 전송 시스템을 ''"Sägefisch"''(톱 상어)라고 불렀으며, 영국군은 암호화된 독일 텔레타이프 트래픽을 "피시", 암호 기계를 "튜니"(참치)라고 불렀다.[8]

1941년 8월, 독일 통신병의 실수로 동일한 기계 설정으로 동일한 메시지의 두 가지 버전이 전송되었고, 이를 통해 영국 암호학자들은 로렌츠 암호의 원리를 파악할 수 있었다.

블레츨리 파크의 암호 해독가들은 이 기계가 12개의 휠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 5비트 ITA2 전신 코드로 메시지 문자에 대한 베르남 암호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추론했다. 또한 평문 문자를 XOR 불 대수 함수를 사용하여 일련의 키 문자와 결합하여 암호문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암호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독일이 항복한 후 연합군은 튜니 기계를 포획했고, 그것이 전기 기계 로렌츠 SZ(''Schlüsselzusatzgerät'', 암호 첨부) 인라인 암호 기계임을 발견했다.

2. 1. 로렌츠 암호의 작동 방식

로렌츠 SZ 기계는 각각 서로 다른 수의 캠(또는 "핀")을 가진 12개의 휠을 가지고 있었다.


휠 번호123456789101112
BP 휠 이름ψ1ψ2ψ3ψ4ψ5μ37μ61χ1χ2χ3χ4χ5
캠(핀) 수434751535937614131292623



9번과 10번 휠의 캠은 돌출(활성) 및 낮음(비활성) 위치를 보여준다. 활성 캠은 비트의 값을 반전시킨다(0→1 및 1→0).


콜로서스는 로렌츠 SZ40/42 암호기로 암호화된 독일 통신 메시지를 해독하는 데 사용되었다. 로렌츠 암호기의 메시지 암호화 절차는 평문과 일련의 키 비트를 결합하는 방식이었다. 키 비트는 12개의 핀 톱니바퀴로 생성되었는데, 5개는 Χ(키) 휠, 5개는 Ψ(프시) 휠, 나머지 2개는 구동용 톱니바퀴였다. Χ 휠은 암호화된 문자마다 규칙적으로 회전했고, Ψ 휠은 구동용 톱니바퀴에 의해 제어되어 불규칙하게 회전했다.

로렌츠 기계는 표준 5비트 ITA2 전신 코드를 사용하여 메시지 문자에 베르남 암호 기술을 적용했다. 평문 문자를 XOR 불 대수 함수를 통해 키 문자와 결합하여 암호문을 생성하는 방식이었다.

충분히 무작위적인 키스트림을 사용하면 베르남 암호는 평문 메시지에 나타나는 서로 다른 문자의 불균등한 빈도 분포를 제거하여 암호문에서 균일한 분포를 생성한다. 튜니 기계는 이 역할을 잘 수행했지만, 암호 분석가들은 암호문의 문자 간 변화 빈도 분포를 조사하여 시스템에 침투할 수 있는 불균일성을 발견했다. 이는 각 비트 또는 문자를 후속 비트 또는 문자와 XOR하는 차분을 통해 이루어졌다.

2. 2. 로렌츠 암호 해독



블레츨리 파크의 암호학자 존 틸트먼과 빌 터트는 독일 통신병의 실수로 동일한 기계 설정으로 동일한 메시지의 두 가지 버전이 전송된 암호문들을 분석하여, 거의 4000개 문자로 구성된 키스트림을 도출하고, 로렌츠 기계의 논리적 구조를 파악했다.[8] 그들은 로렌츠 기계가 12개의 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휠들이 χ(''키'') 휠 5개, ψ(''프시'') 휠 5개, 그리고 μ(''뮤'') 또는 "모터" 휠 2개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키'' 휠은 암호화된 각 문자에 따라 정기적으로 이동하는 반면, ''프시'' 휠은 모터 휠의 제어 하에 불규칙하게 이동했다.

휠 번호123456789101112
BP 휠 이름ψ1ψ2ψ3ψ4ψ5μ37μ61χ1χ2χ3χ4χ5
캠(핀) 수434751535937614131292623



앨런 튜링은 튜링게리라고 알려진 휠 깨기 방법을 발명했다. 튜링의 기술은 콜로서스가 수동 분석을 위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는 "직사각형화"로 더욱 발전했다. 콜로서스 2, 4, 6, 7, 9에는 이 과정을 돕는 "가제트"가 있었다.

"휠 깨기"는 모든 휠의 캠 패턴을 발견하는 작업이고, "휠 설정"은 특정 메시지에 대한 휠의 시작 위치를 파악하는 작업이며, 캠 패턴이 알려진 후에만 시도할 수 있었다. 콜로서스는 처음에 "휠 설정" 작업을 위해 설계되었다. 메시지에 대한 ''키'' 휠의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콜로서스는 두 개의 문자 스트림을 비교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부울 함수의 평가에서 통계를 계산했다. 두 스트림은 종이 테이프에서 고속으로 읽은 암호문과 알 수 없는 독일 기계를 시뮬레이션하여 내부적으로 생성된 키스트림이었다. 가능성이 높은 ''키'' 휠 설정을 찾기 위한 일련의 다른 콜로서스 실행 후, 처리된 암호문의 문자의 빈도 분포를 검사하여 이를 확인했다. 콜로서스는 이러한 빈도 수를 생성했다.

메시지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휠 깨기"와 "휠 설정",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3. 설계 및 제작

콜로서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블레츨리 파크에서 독일군의 로렌츠 SZ40/42 암호 기계를 해독하기 위해 개발된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전자 컴퓨터이다. 맥스 뉴먼이 이끄는 '뉴먼리' 부서에서 개발되었으며, 토미 플라워스가 설계를 주도했다.

플라워스는 이전의 히스 로빈슨 기계의 문제점(느린 속도, 종이 테이프 동기화의 어려움, 테이프 손상)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식 콜로서스를 고안했다. 그는 1943년 2월에 이 설계를 뉴먼에게 제시했는데, 1,000~2,000개의 진공관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플라워스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밀고 나갔다. 그는 전전(pre-war) 작업에서 대부분의 진공관 고장이 전원 켜짐 시의 열 응력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기계를 끄지 않고 낮은 전압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최대 전압까지 올리는 방식으로 고장률을 낮췄다. 또한, 밸브는 플러그인 베이스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납땜하여 고정했다.

플라워스와 그의 팀은 1943년 2월 초부터 11개월 동안 콜로서스 Mark I을 개발 및 제작했다. 이 프로토타입은 1,600개의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1943년 12월 돌리스 힐에서 작동, 1944년 1월 블레츨리 파크로 이송되어 해리 펜솜과 돈 호우드가 재조립했다. 1944년 2월 5일에 첫 번째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해독했다.[13]

콜로서스는 광전 센서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메시지가 적힌 종이 테이프를 읽었다. 스프로킷 구멍을 읽어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와 메시지 테이프의 속도를 동기화했다. 작동 속도는 초당 5,000자였다.

3. 1. 콜로서스 Mark II

콜로서스 Mark II는 Mark I보다 5배 더 빠르고 작동이 더 간단했다. 2,400개의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1944년 6월 1일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맞춰 첫 번째 Mark II가 작동되었다.[16] 이후 한 달에 한 대씩 추가 제작되어, V-E Day 시점에는 10대의 콜로서스가 작동하고 있었고, 11번째 기기 조립이 시작되고 있었다.[16]

Mark II 설계의 주요 장치는 다음과 같다.[16][12]

  • 8개의 광전관 읽기 메커니즘이 있는 테이프 수송 장치.
  • 6자 FIFO 시프트 레지스터.
  • 휠마다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로렌츠 기계를 시뮬레이션하는 12개의 사이 라트론 링 저장소.
  • 프로그램을 지정하고 "총합 설정"을 위한 스위치 패널.
  • 부울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 유닛 세트.
  • 테이프의 일부에 대해 계산을 일시 중지할 수 있는 "스팬 카운터".
  • 클로킹, 시작 및 정지 신호, 카운터 판독 및 인쇄를 처리하는 마스터 제어.
  • 5개의 전자 카운터.
  • 전기 타자기.


전자 장치의 설계 대부분은 토미 플라워스가 담당했으며, 윌리엄 챈들러, 시드니 브로드허스트, 앨런 콤스가 지원했고, 에리 스파이트와 아놀드 린치가 광전 읽기 메커니즘을 개발했다.[16] 앨런 콤스는 플라워스가 설계 초안을 작성한 후, 동료들에게 세부 설계를 하고 팀이 제조하도록 하기 위해 조각으로 찢어 건네주었다고 회상했다.

데이터 입력은 가로채인 암호화된 메시지의 종이 테이프 필사를 광전 센서로 읽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내부 데이터 저장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여러 번 읽고 다시 읽을 수 있도록 연속 루프로 배열되었다. 이 설계는 스프로킷 구멍을 읽어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와 메시지 테이프의 속도를 동기화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따라서 작동 속도는 테이프를 읽는 기계적 방식으로 제한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테이프 리더는 테이프가 부서지기 전까지 초당 9700자(53 mph)까지 테스트되었다. 따라서 초당 5000자(40ft/s)를 일반적인 사용 속도로 정했다. 플라워스는 6자 시프트 레지스터를 설계했는데, 이 레지스터는 델타 함수(ΔZ)를 계산하고 5개의 프로세서에서 튜니의 휠의 5가지 가능한 시작점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5방향 병렬 처리를 통해 5개의 동시 테스트와 계산을 수행할 수 있어 초당 25,000자의 효과적인 처리 속도를 얻었다. 계산은 W. T. 터트와 동료들이 개발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튜니 메시지를 해독했다.

3. 2. 주요 구성 요소

마크 2 설계의 주요 장치는 다음과 같다.[16]

  • 8개의 광전관 읽기 메커니즘이 있는 테이프 수송 장치
  • 6자 FIFO 시프트 레지스터
  • 휠마다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로렌츠 기계를 시뮬레이션하는 12개의 사이 라트론 링 저장소
  • 프로그램을 지정하고 "총합 설정"을 위한 스위치 패널
  • 부울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 유닛 세트
  • 테이프의 일부에 대해 계산을 일시 중지할 수 있는 "스팬 카운터"
  • 클로킹, 시작 및 정지 신호, 카운터 판독 및 인쇄를 처리하는 마스터 제어
  • 5개의 전자 카운터
  • 전기 타자기


전자 장치의 설계 대부분은 토미 플라워스가 담당했으며, 윌리엄 챈들러, 시드니 브로드허스트, 앨런 콤스가 지원했고, 에리 스파이트와 아놀드 린치가 광전 읽기 메커니즘을 개발했다.[16] 콤스는 플라워스가 설계 초안을 작성한 후, 동료들에게 세부 설계를 하고 팀이 제조하도록 하기 위해 조각으로 찢어 건네주었다고 회상했다.[16]

4. 작동 방식

콜로서스 선택 패널. 먼 쪽에 테이프가 보이며, 알고리즘 입력을 위한 Δ'''Z''', Δ\chi 및 Δ\psi 선택을 보여준다.


콜로서스는 암호 분석가, 여자 왕립 해군 서비스(WRNS) 소속 운영자("렌"이라고 불림), 엔지니어 팀으로 운영되었다. 전쟁 말기에는 렌 272명과 남자 27명이 근무했다.[35]

렌은 새로운 메시지를 위한 종이 테이프 루프를 준비했다. 보스틱 접착제로 양 끝을 붙여 150자 길이의 빈 테이프를 확보하고, 수동 펀치로 시작/정지 구멍을 뚫어 광전지로 메시지 시작과 끝을 알렸다.[36][37][38]

종이 테이프는 게이트와 침대 틀 풀리를 통과하며, 장력이 조절되었다. 두 개의 침대 틀은 이전 테이프 실행 중 다른 테이프를 로드할 수 있게 했고, 선택 패널 스위치로 "근접" 또는 "원거리" 테이프를 지정했다.[39]

렌 운영자는 암호 분석가 지시에 따라 "총 설정" 십진 스위치와 K2 패널 스위치로 알고리즘을 설정한 후, 테이프 모터와 램프를 켜고 테이프 속도가 빨라지면 마스터 시작 스위치를 조작했다.[39]

4. 1. 프로그래밍

콜로서스는 저장 프로그램 방식 컴퓨터가 아니었다. 5개의 병렬 프로세서에 대한 프로그램은 스위치 및 잭 패널 연결로 설정되었다.[37] 각 프로세서는 부울 함수를 평가하고 메시지 테이프의 각 패스에 대해 "거짓"(0) 또는 "참"(1)의 지정된 값을 산출한 횟수를 계산하고 표시할 수 있었다.

프로세서에 대한 입력은 테이프 판독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튜링게리 기계의 휠을 에뮬레이션하는 사이라트론 링, 이 두 가지 소스에서 나왔다.[38] 종이 테이프의 문자는 '''Z'''라고 불렀고, 투니 에뮬레이터의 문자는 빌 터트가 기계의 논리 구조를 파악할 때 부여한 그리스 문자로 참조되었다. 선택 패널에서 스위치는 잭 필드와 'K2 스위치 패널'로 전달할 데이터에 대해 '''Z''' 또는 '''ΔZ''', \chi 또는 '''Δ'''\chi 그리고 \psi 또는 '''Δ'''\psi를 지정했다. 휠 시뮬레이터의 이러한 신호는 메시지 테이프의 각 새로운 패스마다 단계별로 진행되도록 지정할 수 있었다.

K2 스위치 패널에는 알고리즘을 지정하는 스위치 그룹이 왼쪽에 있었다. 오른쪽에 있는 스위치는 결과가 공급될 카운터를 선택했다. 플러그 보드를 사용하면 덜 전문화된 조건을 부과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K2 스위치 패널 스위치와 플러그 보드를 통해 약 50억 개의 서로 다른 조합이 가능했다.[39]

메시지 테이프에 대한 일련의 실행은 처음에는 튜링게리에서 발전된 터트의 1+2 알고리즘에서와 같이 두 개의 ''카이'' 휠을 포함할 수 있었다. 이러한 두 휠 실행을 롱 런이라고 불렀고, 병렬 처리를 사용하여 시간을 5배 단축하지 않으면 평균 8분이 걸렸다. 후속 실행은 하나의 ''카이'' 휠만 설정할 수 있었고, 약 2분이 걸리는 쇼트 런을 제공했다. 초기 롱 런 후, 시도할 다음 알고리즘의 선택은 암호 분석가가 지정했다. 그러나 경험에 따르면 이러한 반복 프로세스에 대한 의사 결정 트리를 렌(Wren) 운영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일부 사례에서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0]

5. 영향 및 운명

콜로서스는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자 디지털 기계였지만, 현대적인 기준으로는 제한적이었다.[19] 튜링 완전 기계는 아니었지만, 샌프란시스코 대학교의 벤자민 웰스 교수는 10대의 콜로서스 기계를 특정 컴퓨터 클러스터로 재배치하면 범용 튜링 기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0]

콜로서스와 그 제작 이유는 매우 기밀이었으며, 전쟁 후 30년 동안 유지되었다. 이 때문에 컴퓨터 하드웨어의 역사에서 오랫동안 누락되었고, 개발자인 토미 플라워스와 그의 동료들은 인정을 받지 못했다. 전쟁 후 대부분의 콜로서스는 해체되었고, 일부 부품은 맨체스터 대학교의 왕립 학회 컴퓨팅 기계 연구소로 옮겨졌다.[21] 2대의 콜로서스는 1946년 4월 GCHQ의 새로운 본부로 이전되었고, 1952년에서 1954년 사이에 첼트넘으로 옮겨졌다. 이 중 '콜로서스 블루'는 1959년에, 다른 하나는 1960년대에 해체되었다. 플라워스는 모든 문서를 파기하라는 명령을 받고, 보일러에 태웠다.[22]

콜로서스는 다른 목적으로 개조되기도 했으며, 잭 굿은 국가 안보국에서 콜로서스를 특수 목적 기계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설득했다. 또한 일회용 패드 테이프의 문자 수를 계산하여 무작위성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22]

콜로서스는 진공관, 사이클로트론, 광전자 증배관을 사용했으며, 프로그램된 논리 함수를 각 문자에 적용하여 결과를 계산했다. 진공관은 고장이 잦았지만, 대부분 전원을 켜고 끌 때 발생했기 때문에 콜로서스는 일단 전원을 켜면 계속 켜둔 채로 사용했다.[37] 프로그램 기능은 내장식이 아니었고, 새로운 작업을 설정하려면 플러그판과 스위치 그룹을 조작하여 배선을 변경해야 하는 등 제한적이었다.[38]

1970년대에 브라이언 란델 교수가 콜로서스에 대한 정보를 발굴하면서 그 중요성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1974년 윈터보텀의 저서 ''The Ultra Secret'' 출판을 통해 블레츨리 파크의 기밀이 깨졌고,[24] 1975년에는 영국 정부가 공공 기록 보관소에서 관련 사진들을 공개했다. 2000년 10월, GCHQ는 ''General Report on Tunny''를 공개했는데, 여기에는 콜로서스에 대한 암호 해독가들의 칭찬이 포함되어 있다.[45]

5. 1. 전후 기밀 유지와 관련된 논란

콜로서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암호 해독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그 존재는 전쟁 후에도 오랫동안 기밀로 유지되었다.[41] 이러한 기밀 유지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는데, 그중 하나는 영국 정보기관의 이익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영국 정보기관은 전쟁 후에도 여러 국가에 에니그마와 같은 암호기를 판매하고 있었는데, 만약 콜로서스와 같은 암호 해독기의 존재가 알려지면 이러한 암호기를 구매하려는 국가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42]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통신 기술이 디지털화되고 디지털 암호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면서 이러한 암호기의 필요성은 점차 감소했다.

1974년, 윈터보텀이 ''The Ultra Secret''이라는 책을 통해 블레츨리 파크의 기밀을 폭로하면서 콜로서스에 대한 정보도 점차 공개되기 시작했다.[24] 2000년 10월에는 GCHQ가 Tunny 암호(로렌츠 암호기가 생성하는 암호)와 그 해독에 관한 500페이지 분량의 기술 보고서인 ''General Report on Tunny''를 국립 문서 보관소에 공개하면서 콜로서스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44]

6. 복원

토니 세일이 이끄는 팀은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콜로서스 마크 2를 완전히 작동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했다.[26][27] 설계도와 하드웨어는 파괴되었지만, 놀랍게도 많은 자료가 살아남았는데, 주로 기술자들의 노트에 있었지만 상당수는 미국에 있었다. 광학 테이프 판독기가 가장 큰 문제였을 수 있지만, 원래 설계자인 아놀드 린치 박사는 자신의 원래 사양대로 이를 재설계할 수 있었다. 재구성된 콜로서스는 밀턴 케인스 블레츨리 파크에 있는 국립 컴퓨터 박물관 H 블록에 전시되어 있는데, 이곳은 역사적으로 콜로서스 No. 9가 있던 자리이다.

토니 세일(오른쪽)이 이끄는 팀이 블레츨리 파크에서 콜로서스 마크 II를 재구성했다. 사진은 2006년, 세일이 완성된 기계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독하는 것을 감독하고 있는 모습이다.


2007년 11월, 프로젝트 완료를 기념하고 국립 컴퓨터 박물관의 기금 모금 행사를 시작하기 위해 사이퍼 챌린지(Cipher Challenge영어)[28]가 개최되었다. 이 챌린지는 재구성된 콜로서스와 전 세계의 아마추어 무선 통신사들이 로렌츠 SZ42로 암호화된 세 개의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고 해독하는 경쟁이었다. 메시지는 ''하인츠 닉스도르프 박물관 포럼'' 컴퓨터 박물관의 라디오 방송국 DL0HNF에서 전송되었다. 이 챌린지는 아마추어 무선 통신사 요아힘 슈트가 이겼는데, 그는 이 행사를 위해 신중하게 준비[29]했으며 에이다를 사용하여 자체적인 신호 처리 및 암호 해독 코드를 개발했다.[30] 콜로서스 팀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라디오 장비를 사용하려는 바람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고, 수신 상태가 좋지 않아 하루가 지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리자인 요아힘 슈트는 1.4 GHz 노트북으로 자체 코드를 실행하여 모든 12개의 휠에 대한 설정을 찾는 데 1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 그는 "내 노트북은 초당 120만 자의 암호문을 처리했는데, 이는 콜로서스보다 240배나 빠른 속도입니다. CPU 주파수를 그만큼 높이면 콜로서스의 5.8 MHz와 같은 클럭이 됩니다. 1944년에 만들어진 컴퓨터로서는 놀라운 속도입니다."라고 말했다.[32]

사이퍼 챌린지는 재건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료를 확인했다. 토니 세일은 "오늘의 성능으로 볼 때 콜로서스는 60년 전만큼 훌륭하다."라며, "우리는 블레츨리 파크에서 일했고, 이 환상적인 기계를 고안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전쟁을 여러 달 단축시킨 사람들에게 적합한 찬사를 바치게 되어 기쁩니다."라고 말했다.[33]


참조

[1] 웹사이트 Colossus https://www.tnmoc.or[...] 2021-01-25
[2] 간행물 Who Built The First Computer? http://www.time.com/[...] 1999-03-29
[3] 웹사이트 Colossus: The first large scale electronic computer http://www.colossus-[...] 2012-10-21
[4] 서적 Who Broke the Wartime Codes? https://books.google[...] Capstone 2015-12-21
[5] 웹사이트 coltalk_2 https://www.codesand[...] 2017-10-26
[6] 웹사이트 Tony Sale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1-08-31
[7] 웹사이트 Colossus – The Rebuild Story http://www.tnmoc.org[...] The National Museum of Computing 2017-05-13
[8] 서적 Codebreakers: The Inside Story of Bletchley Pa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 AV media Capt. Jerry Roberts: My Top Secret Codebreaking at Bletchley Park 1941 to 45: Lecture on 11 March 2009 https://www.youtube.[...] University College London
[10] 문서 Exhibit in the National Cryptologic Museum, Fort Meade, Maryland, USA
[11] 문서 Mind as Machine: A History of Cognitive Scie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2] 문서 Computer (Objekt) https://archive.org/[...] Reaktion Books
[13] 문서 Harry Fensom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2-10-17
[14] 문서 Military Communications: From Ancient Times to the 21st Century ABC-CLIO
[15] 문서 Advances in Cryptology - EUROCRYPT 200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Cryptographic Techniques Bruges, Belgium May 14-18, 2000, Proceedings Springer
[16] 문서 Obituary: Allen Coombs https://www.independ[...] 2012-10-18
[17] 문서 The Manchester Mark 1 and Atlas: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cs.ucf.ed[...] 2009-02-08
[18] 웹사이트 Biography of Professor Tutte - Combinatorics and Optimization https://uwaterloo.ca[...] 2017-10-26
[19]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Jack Copeland, June 2000 http://www.alanturin[...] 2017-10-26
[20] 문서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conventional Computation 2009 (UC09), Ponta Delgada, Portugal Springer-Verlag 2009
[2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http://www.alanturin[...] alanturing.net 2010-01-26
[22] AV media A technical description of Colossus I: PRO HW 25/24 https://www.youtube.[...] 2014-03-16
[23] 문서 August 1946: The Moore School Lectures https://www.aps.org/[...] 2022-01-25
[24] 문서 The Ultra secret: the inside story of Operation Ultra, Bletchley Park and Enigma Orion Books Ltd
[25] 문서 'COLOSSUS and the History of Computing: Dollis Hill''s Important Contribution'
[26] 웹사이트 Colossus Rebuild - Tony Sale http://www.codesandc[...] 2017-10-26
[27] 웹사이트 Video of Tony Sale talking about rebuilt Colossus 2008-6-19 https://www.codesand[...] 2017-05-13
[28] 웹사이트 Cipher Challenge http://www.tnmoc.org[...] 2012-02-01
[29] 웹사이트 SZ42 codebreaking software http://www.schlaupel[...] 2017-10-26
[30] 웹사이트 Cracking the Lorenz Code http://www.adacore.c[...] AdaCore 2017-10-26
[31] 뉴스 Colossus loses code-cracking race http://news.bbc.co.u[...] 2010-01-02
[32] 웹사이트 German Codebreaker receives Bletchley Park Honours http://www.bletchley[...] Bletchley Park National Codes Centre 2012-04-07
[33] 웹사이트 Latest Cipher Challenge News 16.11.2007 http://www.tnmoc.org[...]
[34] 웹사이트 The Colossus its purpose and operation http://www.codesandc[...] 2017-10-26
[35] 뉴스 Bletchley's code-cracking Colossus http://news.bbc.co.u[...]
[36] 웹사이트 The Colossus Rebuild http://www.tnmoc.org[...]
[37] 논문
[3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http://www.alanturin[...] 2000-06
[39] 서적 The Computer from Pascal to von Neumann http://pup.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0-10-01
[40] 논문
[4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http://www.alanturin[...] alanturing.net 2010-01-26
[42] 논문
[43] 논문
[44] 웹사이트 General Report on Tunny http://www.ellsbury.[...] 1945
[45] 웹사이트 General Report on Tunny http://www.alanturin[...] AlanTuring.net 2012-04-07
[46] 웹사이트 The Colossus Rebuild Project - by Tony Sale http://www.codesandc[...] 2011-10-30
[47] 웹사이트 Cipher Challenge http://www.tnmoc.org[...] 2012-02-01
[48] 웹사이트 SZ42 Codebreaking Software http://www.schlaupel[...] 2012-04-07
[49] 웹사이트 Cracking the Lorenz Code (interview with Schüth) http://www.adacore.c[...] 2012-04-07
[50] 뉴스 Colossus loses code-cracking ra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1-16
[51] 웹사이트 German Codebreaker receives Bletchley Park Honours http://www.bletchley[...] 2012-04-07
[52] 웹사이트 Colossus cracks German code 60 years on - but it's not the first! http://www.tnmoc.org[...] 2012-04-07
[53] 간행물 Who Built The First Computer? http://www.time.com/[...] 2020-03-20
[54] 인용 Colossus: The first large scale electronic computer http://www.colossus-[...]
[55] 서적 Who Broke the Wartime Codes? https://books.google[...] Capstone 2017-10-26
[56] 인용 Advances in Cryptology - EUROCRYPT 200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Cryptographic Techniques Bruges, Belgium May 14-18, 2000, Proceedings Springer
[57] 웹인용 coltalk_2 https://www.codesand[...] 2017-10-26
[58] 웹인용 Tony Sale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7-10-26
[59] 인용 Colossus – The Rebuild Story http://www.tnmoc.org[...] The National Museum of Computing 2017-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