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만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르만지어는 북부 쿠르드어를 지칭하는 말로, 쿠르드어 방언 중 하나이다.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쿠르드 왕조에서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4세기부터 문학적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16세기에 문학 전통이 생겨났다. 쿠르만지어는 유기음과 무기음, 파열음의 구분이 특징이며, 북서, 남서, 북부, 남부, 남동부, 아나톨리아 등 6개의 방언 지역으로 나뉜다. 터키, 이라크, 시리아, 이란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터키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예지디들은 쿠르만지어를 에즈디키로 지칭하며, 아르메니아에서는 쿠르만지어를 국가 보호 언어로 지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르드어 - 소라니어
소라니어는 이라크와 이란 지역에서 사용되는 쿠르드어 방언으로, 쿠르드 자치 지역의 공식 언어이며, 아랍 문자를 변형하여 사용하고, 미디어와 교육에서 널리 사용된다. - 쿠르드어 - 고라니어
고라니어는 인도이란어족에 속하며, 아르달란 독립 통치 시기에 문학 발달의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특히 하우라미어는 이란과 이라크 산악 지역에서 사용된다. - 아르메니아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아르메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시리아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 시리아의 언어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쿠르만지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쿠르만지어 |
다른 이름 | 북부 쿠르드어 |
고유 이름 | , |
사용 지역 | 쿠르디스탄 토착민, 쿠르드 디아스포라 |
사용 국가 |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라크, 이란, 시리아, 터키 |
민족 | 쿠르드족 |
사용자 수 | 16,485,750명 (2021-2023년) |
국가 | 쿠르디스탄 지역 로자바 |
소수 언어 국가 | 아르메니아 |
방언 | 보타니 (보티) 마라시 아시티 바예지디 헤카리 셤디나니 바디니 시카키 실리비 미헤메디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파 서이란어파 북서이란어파 쿠르드어파 |
문자 체계 | |
문자 | 하와르 문자 (라틴 문자) (터키, 시리아, 이라크, 이란) 소라니 문자 (아랍 문자) (이라크, 이란) 키릴 문자 (러시아, 아르메니아) |
언어 코드 | |
ISO 639-1 | ku |
ISO 639-3 | kmr |
Linguasphere | 58-AAA-a |
Glottolog | nort2641 |
음성 정보 | |
이미지 | |
![]() |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Kurmancî |
일본어 표기 | クルマンジー |
한국어 표기 | 쿠르만지어 |
2. 명칭
Kermancîkmr
Kirmancîkmr
Kurdikmr
Kurdîkmr
Kurmancîkmr
Kurmanjikmr
- 북부 쿠르드어
- 쿠르만지어
3. 역사
14세기부터 쿠르디스탄 지역이 상대적으로 안정되고 경제적으로 번영하면서 쿠르만지어 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쿠르만지 문학 전통은 16세기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비틀리스 공국(Principality of Bitlis)의 샤라프칸 비들리시(Sharafkhan Bidlisi)는 데르진 성의 지도자가 시와 신학적 주석 대부분을 쿠르만지어로 썼다고 기록했다. 에브리야 첼레비(Evliya Çelebi)는 쿠르디스탄을 여행하며 아메디(Amedi)와 아크레(Akre) 지역의 교육 기관을 칭찬하고, 지역 시인의 쿠르만지어 시를 자신의 저서에 인용했다.
이 시대의 저명한 학자로는 멜라예 치지리(Melayê Cizîrî), 페키예 테이란(Feqiyê Teyran), 엘리 테레막시(Elî Teremaxî), 아흐메드 칸(Ehmedê Xanî) 등이 있으며, 이들의 작품은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특히 아흐메드 칸은 다른 학자들과 달리 쿠르만지어를 문어로 체계화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였다.[4] 근대 이전 쿠르만지어는 19세기 쿠르드 공국이 쇠퇴하면서 함께 쇠퇴하기 시작했다.[5]
3. 1. 중세 이전 쿠르만지어
쿠르드족은 이슬람 이전 시대에도 언급되지만, 이슬람 시대 이전 쿠르드어에 대한 정보는 없다. 쿠르만지어에 대한 최초 언급은 중세 이븐 와히샤(Ibn Wahshiyya)가 알파벳에 관한 논문에서 한 것이다. 동양학자 요제프 하머 또한 이 언어의 알파벳 존재를 주장했다.[1]쿠르만지는 쿠르드 왕조들, 예를 들어 하산와히드(Hasanwayhids), 라와디드, 아이유브 왕조, 특히 상당한 경제적, 문화적 번영을 누렸던 마르와니드 왕조 아래에서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문학 언어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마르와니드 왕조의 행정 및 문화 생활의 언어는 아랍어였다고 전해진다. 아이유브 왕조 시대에 많은 학자들은 쿠르만지어가 특권적인 지위를 얻었다고 언급하지만, 아이유브 왕조 궁정에서 쿠르만지어 문서가 부족하여 증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인정한다.[2]
쿠르만지어로 알려진 최초의 기록은 야쿠트 알 하마위(Yaqut al-Hamawi)의 지리학 저서인 ''무잠 알 불단(Mu'jam ul-Buldān)''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해독 불가능한 텍스트에서 몇몇 단어만 확인되었다. 쿠르만지어로 된 최초의 적절한 텍스트는 14세기 전반의 아르메니아 문자로 쓰인 기독교 선교사의 기도이다.[3]
4. 음운론
쿠르만지어의 음운론적 특징에는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구분되는 무성 파열음과 선택적 음소의 존재가 포함된다.[14][15] 예를 들어, 쿠르만지 쿠르드어는 유기 및 무기 무성 파열음을 구분하며, 모든 위치에서 유기될 수 있다. 따라서 는 와, 는 와, 는 와, 그리고 파찰음 는 와 대조된다.[15]
5. 방언
쿠르만지어는 다양한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16] 주요 방언 지역은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
- 아시티(Ashiti)
- 바예지디(Bayezidi)
- 보티(보타니)(Boti (Botani))
- 헤카리(Hekari)
- 마라시(Marashi)
- 미헤메디(Mihemedî)
- 솅디나니(Shemdinani)
- 시카키(Shikakî)
- 실리비(Silivî)
5. 1. 방언 (일본어 위키백과)
쿠르만지어는 매우 다양한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16] 대략 여섯 개의 방언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방언 지역 | 사용 지역 |
---|---|
북서 쿠르만지 방언 | 터키 쿠르디스탄 북서부의 카흐라만마라슈 주(쿠르만지어: Meraş), 말라티야 주(쿠르만지어: Meletî) 및 시바스 주(쿠르만지어: Sêwaz) |
남서 쿠르만지 방언 | 터키의 아디야만 주(쿠르만지어: Semsûr), 가지안테프 주(쿠르만지어: Entab) 및 샨르우르파 주(쿠르만지어: Riha)와 시리아 쿠르디스탄 서부의 알레포 주 |
북부 쿠르만지 방언 (세르헤드 쿠르드어) | 주로 터키 쿠르디스탄 북동부의 아르으 주(쿠르만지어: Agirî), 에르주룸 주(쿠르만지어: Erzerom) 및 무슈 주(쿠르만지어: Mûş)와 인접 지역 |
남부 쿠르만지 방언 | 시리아 쿠르디스탄 동부의 알 하사카 주, 이라크 쿠르디스탄 서부의 신자르 지구(쿠르만지어: Şingal) 및 터키 쿠르디스탄 남부의 여러 인접 지역 (마르딘 주(쿠르만지어: Mêrdîn)와 바트만 주(쿠르만지어: Êlih)를 중심으로) |
남동부 쿠르만지 방언 (바디니 방언) | 터키 쿠르디스탄 남동부의 하카리 주(쿠르만지어: Parêzgeha Colêmêrgê)와 이라크 쿠르디스탄 북부의 두호크 주(쿠르만지어: Parêzgeha Dihokê) 및 에르빌 주(쿠르만지어: Parêzgeha Hewlêr) 일부 지역[17] |
아나톨리아 쿠르만지 방언 | 특히 코니아, 앙카라, 악사라이에서 아나톨리아 쿠르드인들에 의해 중앙 아나톨리아(쿠르만지어: Anatolya Navîn)에서 사용 |
- 아시티(Ashiti)
- 바예지디(Bayezidi)
- 보티(보타니)(Boti (Botani))
- 헤카리(Hekari)
- 마라시(Marashi)
- 미헤메디(Mihemedî)
- 솅디나니(Shemdinani)
- 시카키(Shikakî)
- 실리비(Silivî)
6. 사용자
일부 예지디들 사이에서는 쿠르드족과의 차별화를 위해 쿠르만지어를 가리켜 에즈디키(Ezdîkî)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에즈디키는 쿠르만지어와 다를 바 없지만,[11][18][19][20][21] 에즈디키가 셈어족이라는 주장을 포함하여 독립적인 언어라는 주장을 펴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과학적 증거에 근거하지 않았고 과학적 합의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22]
2002년 1월 25일, 아르메니아는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을 비준하고 쿠르드어를 국가 보호 언어로 지정했다.[23] 그러나 아르메니아의 예지디 공동체가 분열되어 있었고 일부 공동체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은 후, 당국은 "쿠르드어"와 "예지디어"를 두 개의 별개 언어로 언급하여 헌장을 비준하기로 결정했다.[24] 이로 인해 아르메니아의 소수 언어 문제를 연구하는 일부 연구자들은 아르메니아의 쿠르드어 사용자 대부분이 예지디인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에즈디키(Êzdîkî)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25] 이러한 조치의 결과로 아르메니아 대학에서는 쿠르만지어와 에즈디키(Êzdîkî)를 서로 다른 방언으로 구분하여 언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26]
《에스노로그》(Ethnologue) 제17판에 따르면, 쿠르만지어 사용자 수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사용자 수 | 연도 |
---|---|---|
터키 | 1,500만 명 | 2009년 |
이라크 | 280만 명 | 2004년 |
시리아 | 93만 8천 명 | 1993년 |
이란 | 35만 명 | 1988년 |
레바논 | 7만 5천 명 | 2002년 |
아르메니아 | 4만 5천 명 | 2002년 |
조지아 | 4만 명 | 1991년 |
아제르바이잔 | 2만 명 | 1989년 |
투르크메니스탄 | 2만 명 | 1962년 |
7. 기타 사용자
오스만 제국 말기 투르압딘(Tur Abdin)의 아시리아인들은 전통적인 투로요어 대신 쿠르만지어 또는 아랍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7] 쿠르만지어를 사용하는 아르메니아인들도 있었으며,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이전에는 베시리(Beşiri)와 실반(Silvan, Diyarbakır)에 약 110개의 쿠르만지어 사용 아르메니아인 마을이 있었다.[28][29]
터키 쿠르디스탄에 거주하는 불가리아인, 체첸인, 체르케스인 이민자들도 쿠르만지어를 사용한다.[30][31]
8. 정치적 상황
일부 예지디들 사이에서는 쿠르드족과의 차별화를 위해 쿠르만지어를 가리켜 에즈디키(Ezdîkî)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에즈디키는 쿠르만지어와 다를 바 없지만,[11][18][19][20][21] 에즈디키가 셈어족이라는 주장을 포함하여 독립적인 언어라는 주장을 펴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과학적 증거에 근거하지 않았고 과학적 합의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22]
2002년 1월 25일, 아르메니아는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을 비준하고 쿠르드어를 국가 보호 언어로 지정했다.[23] 그러나 아르메니아의 예지디 공동체가 분열되어 있었고 일부 공동체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은 후, 당국은 "쿠르드어"와 "예지디어"를 두 개의 별개 언어로 언급하여 헌장을 비준하기로 결정했다.[24] 이로 인해 아르메니아의 소수 언어 문제를 연구하는 일부 연구자들은 아르메니아의 쿠르드어 사용자 대부분이 예지디인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에즈디키(Êzdîkî)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25] 이러한 조치의 결과로 아르메니아 대학에서는 쿠르만지어와 에즈디키(Êzdîkî)를 서로 다른 방언으로 구분하여 언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26]
참조
[1]
웹사이트
Ethnologue - Kurmanji Kurdish
https://www.ethnolog[...]
2018-02-03
[2]
웹사이트
Social Contract - Sa-Nes
http://rojavabenelux[...]
Self-Administration of North & East Syria Representation in Benelux
2019-03-22
[3]
뉴스
Rojava could be a model for all Syria
https://www.national[...]
2019-03-22
[4]
서적
Bahdinan Kurmanji - A grammar of the Kurmanji of the Kurds of Mosul division and surrounding districts of Kurdistan
Government Press
1922
[5]
웹사이트
Language and Literacy Practices of Kurdish Children Across Their Home and School Spaces in Turkey
https://repository.a[...]
Arizona State University
2019-03-19
[6]
백과사전
Kurdish language I. History of the Kurdish language
http://www.iranicaon[...]
Routledge
2013-08-28
[7]
서적
Humanism, Culture, and Language in the Near East
1997
[8]
웹사이트
Ethnologue - Kurdish
https://www.ethnolog[...]
2019-03-19
[9]
서적
Notes on Kurdish Dialect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9-03-22
[10]
서적
The Kurds : a Contemporary Overview
Routledge
2005
[11]
웹사이트
Yazidis i. General
http://www.iranicaon[...]
2019-03-19
[12]
학술지
Healing Practices among the Yezidi Sheikhs of Armenia
2001
[13]
웹사이트
Northern Kurdish (Kurmanji)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26
[14]
서적
Grammaire Kurde (Dialecte kurmandji)
http://tirsik.net/da[...]
La librairie d'Amérique et d'Orient Adrien Maisonneuve
2017-10-28
[15]
학술지
Kurdish linguistics: a brief overview
https://www.uni-bamb[...]
2013-04-27
[16]
학술지
Regional variation in Kurmanji: A preliminary classification of dialects
[17]
웹사이트
The Kurdish language
http://previous.cabi[...]
2019-08-13
[18]
웹사이트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the Yezidi Minority in the Transcaucasus
https://www.refworld[...]
Refworld
2019-03-23
[19]
서적
Yezidis in Syria: Identity Building among a Double Minority
Lexington Books
2017
[20]
서적
The Caucasus -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10-16
[21]
학술지
Construction of Kurdish and Yezidi Identities among the Kurmanji-speaking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Armenia, in: Changing Identities: Armenia, Azerbaijan, Georgia – 2011
https://www.academia[...]
2019-03-23
[22]
학술지
The identity controversy of religious minorities in Iraq: the crystallization of the Yazidi identity after 2003
Routledge
2019-02-15
[23]
서적
Handbuch des Russischen in Deutschland: Migration – Mehrsprachigkeit – Spracherwerb
https://books.google[...]
Frank & Timme GmbH
2017-08-08
[24]
웹사이트
Kurds (Kurdmanzh)
https://minorityrigh[...]
2019-03-22
[25]
웹사이트
Methodologische Überlegungen zur soziokulturellen Dokumentation von Minderheiten in Armenien. Iran and the Caucasus Vol. 18, 2, pp. 169-193
https://www.academia[...]
[26]
웹사이트
The Yezidis of Armenia Face Identity Crisis over Kurdish Ethnicity
http://www.rudaw.net[...]
2014-05-28
[27]
서적
Massacres, Resistance, Protectors: Muslim-Christian Relations in Eastern Anatolia During World War I
Gorgias Press
2006
[28]
서적
New Social Movements and the Armenian Question in Turkey: Civil Society vs
Springer
[29]
서적
The Armenian Genocide: A Complete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30]
뉴스
Türkçe için getirilen Bulgarlar Kürtçe konuşuyor
http://www.rudaw.net[...]
Rûdaw
2019-05-21
[31]
서적
Aşiretler raporu
Kaynak Yayınları
2000
[32]
서적
Multilingualism in post-Soviet countries
Multilingual Matters
[3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