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어는 기원전 3000년경부터 발칸 반도에서 사용된 언어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 남아있는 살아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시대별로 원시 그리스어, 미케네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로 구분되며, 각 시대별로 특징적인 문법과 음운 변화를 겪었다. 현대 그리스어는 1976년 민중 그리스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면서 디모티키가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며, 알파벳은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되었다. 그리스어는 문법적으로 종합적 언어이며, 명사, 동사의 다양한 활용 형태를 가진다.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 주로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그리스 디아스포라를 통해 널리 사용된다. 또한, 영어 등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쳐 다양한 어휘의 기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프로스의 언어 -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는 7세기 초 마론파 교인들이 키프로스에 전파한 아랍어 방언으로, 키프로스 그리스어의 영향으로 고립되었고 유네스코에 의해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되었으나, 최근 북 메소포타미아 아랍어와 유사성이 발견되어 언어 부흥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키프로스의 언어 - 튀르키예어
    튀르키예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튀르키예의 공용어이자 키프로스에서도 사용되며, 모음 조화, 교착 현상 등의 특징을 보이고 라틴 문자로 개혁되어 현대 튀르키예어가 확립되었다.
  • 알바니아의 언어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 알바니아의 언어 -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북마케도니아의 공용어이며 불가리아어와 가장 가까운 친족 관계를 가지고 발칸어 연합의 특징을 공유한다.
  • 아르메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아르메니아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그리스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그리스어
고유 이름Ελληνικά (Elliniká)
발음IPA: [eˌliniˈka]
사용 민족그리스인
사용 국가그리스
키프로스
알바니아 (지로카스터르 주 및 블로러 주)
이탈리아 (칼라브리아 주, 살렌토, 메시나)
발칸 반도, 코카서스, 흑해 연안, 소아시아, 동지중해 기타 지역
공용 국가그리스
키프로스
유럽 연합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소수 언어 국가알바니아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오스트레일리아
헝가리
이탈리아 (풀리아 주 및 칼라브리아 주)
루마니아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미국
러시아
사용자 수1350만 명
순위74위
언어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그리스-프리지아어파(?)
어군헬렌어파
조상 언어원시 그리스어
방언
고대 방언고대 그리스어 방언
코이네코이네 그리스어
중세중세 그리스어
현대 방언현대 그리스어 방언
표준
표준어(없음)
문자 체계
문자그리스 문자
언어 코드
ISO 639-1el
ISO 639-2bgre
ISO 639-2tell
ISO 639-3ell: 현대 그리스어
grc: 고대 그리스어
cpg: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gmy: 미케네 그리스어
pnt: 폰토스 그리스어
tsd: 차코니아어
yej: 예반어
글롯로그gree1276
링구아56-AAA-a
56-AAA-aa
56-AAA-am (변종)
기타 정보
현대 그리스어로 "그리스 문자"라고 쓰여진 현대 그리스어 그리스 문자
언어 기관Κέντρο Ελληνικής Γλώσσας

2. 역사

그리스어는 기원전 3000년경 또는 그 이전부터 발칸 반도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13] [14]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450년에서 1350년 사이에 메세니아에서 발견된 선형문자 B 점토판이다.[15] 이로써 그리스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남아있는 살아있는 언어가 되었다.[16]

그리스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9세기, 키프로스에서는 기원전 4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 이전에는 기원전 2천년기 중반에는 선형 문자 B가, 기원전 1천년기 전반에는 키프로스 문자가 각각 사용되었다.

알렉산드로스 사본의 한 부분. 누가복음 12:54-13:4 부분을 담고 있다.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의 여러 폴리스 뿐 아니라 헬레니즘 시기 셀레우코스 왕조의 시리아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이집트 등에서도 쓰였다. 로마 제국이 지중해를 지배하던 시기에는 사실상 로마 제국의 제2 공용어로서 쓰였으며, 7세기 이후에는 동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 이후에는 유럽으로 전파되어 오늘날 유럽 여러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리스어는 터키 지배하에서도 줄곧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쓰였으며 그리스 독립 이후 그리스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그 어휘는 학술 용어로서 영어를 비롯한 서구 여러 언어에 다수 차용되었으며, 영어 어휘의 12%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62] ''천문학'', ''민주주의'', ''철학'', ''연극배우'' 등이 그 예이다. 그리스어는 또한 『신약 성서』 원전을 기록하는 데 사용된 언어이기도 하다.

2. 1. 시대별 구분

그리스어는 역사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미케네어''' (기원전 1600~1100년경): 미케네 문명의 언어로, 선형문자 B로 기록되었다.
  • '''고대 그리스어''' (기원전 800~300년경): 그리스 문명의 고전 시기 언어로, 로마 제국 시대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 서유럽에서는 잊혔으나, 비잔티움 제국에서는 계속 사용되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로 이주하면서 다시 유럽에 알려졌다.
  • '''코이네 그리스어''' (기원전 300년경~): 아티케 방언 등 여러 고대 그리스어 방언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최초의 공통 그리스어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세계의 국제어가 되었으며, 로마 제국에서는 교역 및 학술 언어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기독교의 신약 성경이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신약성서 그리스어'''라고도 불린다.
  • '''중세 그리스어''' (기원전 330년경~1453년): 비잔티움 제국의 공용어 또는 구어(비공식)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비잔티움 그리스어'''라고도 불린다.
  • '''현대 그리스어''' (1453년~):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발전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후기(11세기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디모티키(Δημοτική)와 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 두 가지 형태가 있었으며, 1976년 민중 그리스어가 현대 그리스의 공식 언어로 채택되었다.


현대 그리스인들은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유사성 덕분에 고대 그리스어 문헌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2. 1. 1. 원시 그리스어

'''원시 그리스어'''는 모든 그리스어 변종의 조상 언어로 추정되며,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원시 그리스어의 통일성은 헬레니즘 이주민들이 그리스 반도에 들어오면서 끝났을 것으로 추정된다.[17] 이 시기는 신석기 시대 또는 청동기 시대로 추정된다.

언어학자 블라디미르 I. 게오르기예프에 따른 원그리스어 사용 지역

2. 1. 2. 미케네 그리스어

미케네 문명의 언어이다. 선형문자 B로 서판에 기록되었는데, 이것은 기원전 16세기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5] 선형 B 문자는 기원전 15세기 후반부터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며, 그리스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 최초의 문자 체계이다.[51] 기본적으로 음절 문자이며, 1950년대에 마이클 벤트리스존 채드윅에 의해 해독되었다. 그 전신인 선형 A 문자는 아직 해독되지 않았으며, 그리스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51] 미케네 그리스어는 선형 B 문자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형태의 그리스어이다.[51]

2. 1. 3. 고대 그리스어

기원전 2000년경부터 발칸반도에서 쓰인 고대 그리스 문명의 언어이다. 로마 제국 전역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중세 시대 서유럽에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비잔티움 세계에서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콘스탄티노플 함락과 서유럽으로의 그리스인 이주와 함께 유럽의 다른 지역에 다시 소개되었다. 고대 그리스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는데,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방언설명
아티케아테나이를 비롯한 아티케 지역의 방언
이오니아아티케 방언과 함께 최초의 공통 그리스어 방언 형성에 기여
아이올리아고대 그리스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
도리아고대 그리스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

[69]

2. 1. 4. 코이네 그리스어 (헬레니즘 그리스어)

아티케 방언과 다른 방언들이 혼합되어 만들어졌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인해 동지중해와 근동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지와 그가 통치하던 군대에서 처음으로 코이네 그리스어가 나타났으며,[70] 이후 헬레니즘화가 진행되면서 이집트에서 인도 인근까지 널리 쓰이게 되었다. 고대 로마가 그리스를 정복한 후에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양층 언어 체계가 확립되었고, 코이네 그리스어는 로마 제국에서 교역과 학술 언어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로마를 포함한 주요 지역에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언어로 사용되었다.

예수의 제자들인 사도들이 그리스어로 신약 성경을 기록하고, 그리스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했기 때문에 코이네 그리스어는 기독교의 기원과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신약성서 그리스어'''라고도 불리며, 신약성서는 코이네 그리스어로 된 가장 유명한 문학 작품으로 꼽힌다. 대한민국에서는 헬레니즘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헬라어''' 또는 한자 음차인 "희랍어" 등으로 불린다.

2. 1. 5. 중세 그리스어 (비잔티움 그리스어)

헬레니즘기 그리스어는 로마 제국의 동방 천도 후 세워진 동방의 로마 제국인 비잔티움 제국에서 발전하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콘스탄티노플)로 수도를 옮긴 로마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는 중세 그리스어로 연결되었는데, 비잔티움 제국의 공식 또는 비공식(구어) 언어로서 15세기 비잔티움 제국이 멸망하고 그 이후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이것은 '''비잔티움 그리스어'''라고도 한다.[20]

중세 그리스어는 구어 코이네의 속어적 계승으로, 이미 현대 그리스어에 접근하고 있는 것부터 고전 아티카를 모방한 매우 학문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말하기 및 쓰기 스타일의 연속체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비잔티움 제국의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던 많은 서면 그리스어는 서면 코이네의 전통을 기반으로 한 절충적인 중간 지대 변종이었다.

2. 1. 6. 현대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에서 발전한 현대 그리스어는 표준 현대 그리스어 외에도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1976년 민중 그리스어(디모티키)가 그리스의 공식 언어로 채택되었다. 19세기 초, 고대 그리스어를 모방하여 만들어진 문어체 그리스어인 카타레부사는 현대 그리스어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22]

현대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 후기 (11세기 초반)부터 나타났다. 중세 그리스어 시기가 끝난 후, 일상 구어체인 디모티키(Δημοτική)와 고전 그리스어를 모방한 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 두 가지 형태가 주로 쓰였다. 카타레부사는 19세기20세기 초에 걸쳐 문학, 법학, 과학 용도로 사용되었다.

한국이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 강점기 초기에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 방안을 두고 진통을 겪었던 것처럼, 그리스어도 디모티키와 카타레부사 표기 방안을 두고 난항을 겪었다. 이 문제는 1976년 민중 그리스어(디모티키)가 그리스 공식 언어로 채택되면서 마무리되었으며, 오늘날 그리스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이다.

현대 그리스인들은 고대 그리스어 지식이 조금만 있어도 고대 그리스 문헌을 읽을 수 있다고 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신약 성서와 70인역 성서에 쓰인 코이네 그리스어는 2000여 년 전에 쓰였음에도 불구, 어법과 발음 차이만 이해하면 현대 그리스인들이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67]

2. 2. 디글로시아 (Diglossia)

현대 그리스어는 구어체인 디모티키와 고풍스러운 문어체인 카타레부사(Katharevousa)가 공존하는 이중언어 사용(Diglossia) 상태를 보였습니다. 이는 그리스어 문제로 알려져 있는데, 19세기 초 디모티키와 고대 그리스어의 절충안으로 만들어져 문학과 공식 목적으로 사용된 카타레부사와 디모티키 간의 대립이었습니다. 1976년, 카타레부사의 특징을 통합한 표준 현대 그리스어(Standard Modern Greek)가 탄생하고 디모티키가 그리스의 공식 언어로 선포되면서 이러한 대립은 완화되었습니다. 표준 현대 그리스어는 오늘날 모든 공식 목적과 교육에 사용됩니다.[22]

3. 문자

그리스 문자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기원전 9세기경부터 사용되었다. 그리스 알파벳은 이전의 문자와는 달리 자음과 모음을 모두 표기하여, 좁은 의미에서 최초의 알파벳으로 여겨진다.[52] 가장 오래된 비문은 기원전 8세기 또는 9세기로 추정된다. 기원전 403년 아테나이에서 완전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헬레니즘 기간 동안 코이네 방언이 널리 쓰이면서 다른 지역 변형들을 대체하고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리스 알파벳은 24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각각 대문자와 소문자가 있다.

Α α, Β β, Γ γ, Δ δ, Ε ε, Ζ ζ, Η η, Θ θ, Ι ι, Κ κ, Λ λ, Μ μ, Ν ν, Ξ ξ, Ο ο, Π π, Ρ ρ, Σ σ ς, Τ τ, Υ υ, Φ φ, Χ χ, Ψ ψ, Ω ω.

그리스어는 알파벳 외에도 여러 악센트 부호를 사용한다. 세 가지 악센트 표시(예각, 저각, 곡선 악센트)는 원래 강세받는 모음의 높낮이 악센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냈다. 호흡 부호(거친 호흡과 부드러운 호흡)는 단어 처음의 /h/ 유무를, 분음 부호는 이중 모음의 일부로 읽히는 모음의 완전한 음절 값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부호들은 헬레니즘 시대에 도입되었다. 1982년 철자 개혁 이후, 대부분의 악센트 부호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단순화된 단성 정자법이 사용된다. 전통적인 체계는 고대 그리스어를 쓰는 데 사용된다.

그리스어에서 물음표는 영어의 세미콜론과 같은 모양으로 쓰이며, 콜론과 세미콜론의 기능은 '아노 텔레아'(άνω τελεία)라고 하는 위로 올라간 점(•)이 수행한다. 콤마는 소수의 그리스어 단어에서 묵음 문자의 역할도 한다.[53]

고대 그리스어 텍스트는 종종 단어 사이에 공백이나 구두점 없이 단어를 연달아 쓰는 '스크립시오 콘티누아'(scriptio continua)를 사용했다.[54]

3. 1. 그리스 문자 목록

대문자
ΑΒΓΔΕΖΗΘΙΚΛΜΝΞΟΠΡΣΤΥΦΧΨΩ
소문자
αβγδεζηθικλμνξοπρσ/ςτυφχψω



그리스 문자는 24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각 문자는 대문자와 소문자 형태를 가진다. Σ 문자는 단어의 끝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소문자 형태(ς)를 가지고 있다.

4. 음운

그리스어의 음절 구조는 역사를 통틀어 거의 변하지 않았다. 그리스어는 복잡한 음절 초기 자음군을 허용하지만, 음절 말 자음은 매우 제한적인 혼합 음절 구조를 보인다. 그리스어는 구개 모음만을 가지고 있으며, 자음의 대조 체계는 상당히 안정적이다. 주요 음운 변화는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일어났는데, 다음과 같다:[13][14][15][16]


  • 높낮이 악센트가 강세 악센트로 대체되었다.
  • 모음이중모음 체계의 단순화: 모음 길이 구분의 상실, 대부분의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그리고 방향으로 모음의 연쇄 이동에 대한 여러 단계(요타시즘).
  • 무성 유기 파열음 와 가 각각 무성 마찰음 와 로의 변화; 가 로의 유사한 변화는 나중에 일어났을 수도 있다(음운 변화는 정자법에 반영되지 않으며, 이전과 이후의 음소 모두 φ, θ, χ로 표기됨).
  • 유성 파열음 , , 가 유성 마찰음 (후기 ), , 로의 변화.


현대 그리스어에서 단강세 기호(΄)는 강세가 있는 음절에 표시된다. 호흡 기호는 폐기되었고, 의문부호에는 세미콜론(;)이 사용된다.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발음은 같은 단어라도 다르다. 아래 표는 그 예시를 보여준다.

그리스어 표기고전식 발음현대식 발음
βάρβαροι|바르바로이|바르바리grc
Βάκχος|바코스|바코스grc
βασιλεία|바실레이아|바실리아grc
Δήλος|데로스|질로스grc
Ευρώπη|에우로페|에브로피grc
Ηρακλής|헤라클레스|이라클리스grc
Θεσσαλονίκη|테살로니케|테살로니키grc
Κρήτη|크레테|크리티grc
Μουσική|무시케|무시키grc
Οδύσσεια|오디세이아|오디시아grc
πολλοί|폴로이|폴리grc
φιλοσοφία|필로소피아|필로소피아grc
φύσις|퓌시스|피시스grc


4. 1. 모음

현대 그리스어는 5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고모음은 강세가 없는 마지막 음절에서 무성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무성음 사이에 있을 때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φάσης → (→ ) = "현상의" (소유격)와 같다.[68]

고대 그리스어에는 장단 구별이 있었으나,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이러한 구별이 사라졌다. 이중모음도 존재한다.[68]

4. 2. 자음

그리스어는 29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 음소의 수는 분석에 따라 다르지만 15개 정도이다.

양순음순치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mɱnɲŋ
파열음p, bt, dc, ɟk, ɡ
파찰음ʦ, ʣ
마찰음f, vθ, ðs, zç, ʝx, ɣ
전동음r
설측음lʎ



그리스어에서 , , 는 기식음이 아니다. 이 소리들은 크레타 방언이나 키프로스 방언에서 , , 로 유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철자 <ρ>는 주로 로 발음되지만, 모음 사이에서는 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키프로스 방언을 제외하고 표준 현대 그리스어는 단어에 이중 자음(자음 반복)이 일어나지 않는다.

양순음연구개음 앞에서 은 각각 과 이 되며 <μ>[71]과 <γ>[72]으로 쓰인다. 순치음 마찰음 <φ>와 <β> 앞에서도 <μ>으로 쓰이지만 소리는 [73]으로 발음한다.

<μπ>와 같은 조합은 모음 뒤에선 (또는 )으로 발음하고, 그 외 다른 곳에서는 으로 발음한다. 몇몇 단어나 북부 방언에서는 로 발음하기도 한다.

보통 평상시 회화에선 모음 뒤의 <γγ>와 <γκ> 같은 조합은 로 발음된다. (전설 모음 와 뒤에서는 로 발음된다) <γκ>는 단어 첫부분(어두)에서 늘 (또는 )로 발음된다. (<γγ>는 어두에 올 수 없다.)

<ντ>의 조합은 모음 뒤에선 (또는 )으로 발음한다. 그 외의 장소에서는 로 발음한다. 몇몇 단어나 북부 방언에서는 로 발음하기도 한다.

음과 음은 전설모음 와 앞에서 구개음화해서 와 음이 된다. 주로 크레타마니반도와 같은 곳에서 이나 으로 변한다.

"이다"를 의미하는 단어 ἐστὶ|estí|grc (είναι|ell)는 '''음성변화'''하여 n이 덧붙여졌다. 그리고 부정 부사 δεν과 목적격 관사 τον과 την은 다음 단어의 시작하는 철자에 따라서 마지막 을 잃었다. (만일 다음 단어의 첫철자가 자음이면 이 탈락한다) δεν πειράζει란 구절에서는 탈락하는 대신에 n이 두 번째 단어에 동화해서 위의 예들과 같이 np를 북부방언에서는 로, 남부 그리스에서는 로 발음한다. 그래서 나 로 발음한다.

철자 <β>와 <δ>는 각각 와 로 발음한다. 철자 <γ>는 주로 로 발음하지만 전설 중모음이나 고모음 앞에서는 로 발음한다. (크레타마니반도 지역의 몇몇 방언에서는 으로 발음한다.)

철자 <φ>와 <θ>는 각각 와 로 발음한다. 철자 <χ>는 주로 로 발음하지만 전설 중모음이나 고모음 앞에서는 로 발음한다. (크레타마니반도 지역의 몇몇 방언에서는 으로 발음한다.)

철자 <ξ>는 를 표시하고, 철자 <ψ>는 를 표시한다. 이중음자 <γγ>와 <γκ>는 평상시 대화에서 로 발음하지만 전설 모음 , 앞에서는 로 발음된다. 하지만 이 이중음자가 정중하게 말할 때는 모음앞에서 로 발음한다. (전설 모음 , 앞에서는 로 발음한다) 이중음자 <γγ>는 몇몇 단어에선 로 발음할 수 있다. (전설 모음 , 앞에서는 로 발음한다)

4. 3. 강세

높낮이 악센트가 강세 악센트로 대체되었다.[68]

같은 단어라도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발음은 다르다. 아래에 그 예를 든다. 여기서 말하는 “고전식 발음”은 고대 그리스어의 여러 방언 중 고전기 아티카 방언(재구음)을 가리킨다. 그리스어 표기에 사용하는 기호는 현대어의 것이다.

그리스어 표기고전식 발음현대식 발음
βάρβαροι|바르바로이|바르바리grc
Βάκχος|바코스|바코스grc
βασιλεία|바실레이아|바실리아grc
Δήλος|데로스|질로스grc
Ευρώπη|에우로페|에브로피grc
Ηρακλής|헤라클레스|이라클리스grc
Θεσσαλονίκη|테살로니케|테살로니키grc
Κρήτη|크레테|크리티grc
Μουσική|무시케|무시키grc
Οδύσσεια|오디세이아|오디시아grc
πολλοί|폴로이|폴리grc
φιλοσοφία|필로소피아|필로소피아grc
φύσις|퓌시스|피시스grc


5. 문법

현대 그리스어는 주로 종합적 언어이다. 수동태를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인도 유럽어 중 하나이다. 고대 그리스어와 비교했을 때, 여격, 기원법, 부정법, 쌍수, 분사 등이 사라지고 동명사가 도입되었다. 명사 변화의 수가 감소하고, 각 명사 변화 내의 차이점도 줄었다. 미래와 조건 시제를 나타내는 서법 불변화사 ''θα|타el''가 도입되었고, 특정 시제를 나타내는 조동사 형태가 등장했다. 현재/미완료와 아오리스트 시제를 구분하는 차이가 미래 시제까지 확대되었다. 3인칭 명령법이 사라지고, 접두 모음이나 반복과 같은 문법적 전치사 체계가 간소화되었다. 이러한 특징 중 일부는 발칸 언어적 통일체에 속하는 다른 언어들과 공유한다.

현대 그리스어는 카타레부사의 영향으로 고전 그리스어의 경향도 일부 반영하고 있다. 특히 작문이나 공식 연설에서 두드러지며, 일상 표현에서도 여격 표현이나 3인칭 명령형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스어는 기원전 3천년경 또는 그 이전부터 발칸 반도에서 사용되어 왔다.[13][14]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450년에서 1350년 사이의 Linear B 점토판이다.[15] 그리스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남아있는 살아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16]

선형 B 문자는 기원전 15세기 후반부터 그리스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 최초의 문자 체계이다.[51] 음절 문자이며, 1950년대에 해독되었다.[51] 미케네 그리스어는 선형 B 문자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형태의 그리스어이다.[51]

고대 그리스어와 비교했을 때 현대 그리스어의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 명사: 여격 소멸.
  • 동사: 부정사 소멸, 합성적 미래 시제 및 완료 시제 소멸, 소망법 소멸. 많은 부분이 분석적 형태로 대체됨.
  • 어순: 주술도치 발달, VSO 또는 SVO 어순 일반화.[1]

5. 1. 명사

현대 그리스어에서 명사는 세 가지 (남성, 여성, 중성)과 두 가지 (단수, 복수), 그리고 네 가지 (주격, 호격, 소유격, 목적격)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34] 고대 그리스어에는 여격이 있었으나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소멸하였다.

정관사
단수복수
남성여성중성남성여성중성
주격οeloηeliτοeltoοιeloiοιeloiταelta
소유격τουeltouτηςeltisτουeltouτωνeltonτωνeltonτωνelton
목적격τονeltonτηνeltinτοeltoτουςeltousτιςeltisταelta



부정관사
남성여성중성
주격έναςelenasμίαelmiaέναelena
소유격ενόςelenosμίαςelmiasενόςelenos
목적격ένανelenanμία(ν)elmia(n)έναelena


  • 복수형은 없음


남성 명사 어미 변화 예시
-ος/-οιel-ης/-εςel-ας/-εςel-εας/-ειςel-ας/-αδεςel-ων/-οντεςel-ωρ/-όρεςel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οςel-os-οιel-oi-ηςel-is-εςel-es-αςel-as-εςel-es-έαςel-eas-είςel-is-άςel-as-άδεςel-ades-ωνel-on-οντεςel-ontes-ωρel-or-ορεςel-ores
소유격-ουel-ou-ωνel-onel-i-ώνel-onel-a-ωνel-on-έαel-ea-έωνel-eonel-a-άδωνel-adon-όντωνel-onton-όντωνel-ontes-οροςel-oros-όρωνel-oron
목적격-οel-o-ουςel-ousel-i-εςel-esel-a-εςel-es-έαel-ea-είςel-isel-a-άδεςel-ades-ονταel-onta-οντεςel-ontes-οραel-ora-ορεςel-ores
호격el-eel-iel-a-έαel-eael-a-ωνel-on-ωρel-or



여성 명사 어미 변화 예시
-α/-ες-η/-ες-ος/-οι-η/-εις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el-a-εςel-esel-i-εςel-es-οςel-os-οιel-oiel-i-ειςel-is
소유격-αςel-as-ώνel-on-ηςel-is-ώνel-on-ουel-ou-ωνel-on-ηςel-is-εωνel-eon
목적격el-a-εςel-esel-i-εςel-es-οel-o-ουςel-ousel-i-ειςel-is
호격el-ael-iel-eel-i



중성 명사 어미 변화 예시
-ο/-α-ί/-ιά-α/-ατα-ος/-η-ο/-ατ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οel-oel-ael-i-ιάel-iael-a-αταel-ata-οςel-osel-i-οel-o-αταel-ata
소유격-ουel-ou-ωνel-on-ιούel-iou-ίωνel-ion-ατοςel-atos-άτωνel-aton-ουςel-ous-ώνel-on-ατοςel-atos-άτωνel-aton
목적격-οel-oel-ael-i-ιάel-iael-a-αταel-ata-οςel-osel-i-οel-o-αταel-ata


5. 2. 동사

현대 그리스어 동사는 다음과 같은 굴절 형태를 가진다.

현대 그리스어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복수
시제과거, 비과거 (미래는 구문 전환으로 표현됨)
미완료, 완료/미완료 (완료는 구문 전환으로 표현됨)
직설법, 가정법, 명령법 (다른 법 기능은 구문 전환으로 표현됨)
능동, 중간 수동



동사는 단수·복수의 두 가지 수, 1인칭·2인칭·3인칭의 세 가지 인칭, 완료상·미완료상의 두 가지 상, 과거·현재·미래의 세 가지 시제, 능동태·수동태의 두 가지 , 그리고 직설법·접속법·명령법의 세 가지 법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발칸 언어 연합과 마찬가지로 부정사가 사라졌다. 사전의 표제어는 고대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직설법 능동태 1인칭 단수 현재이다.[34]

미래 시제는 θα|타el를 동사 앞에 붙여 표현하며, 붙는 동사의 어간에 따라 완료상과 미완료상을 구분한다. 미래 시제의 어미는 어느 상에도 본 시제 어미가 사용된다.

과거 시제에는 현재 어간에 부시제 어미를 접미사로 붙인 미완료 과거와, 아오리스트 어간에 부시제 어미를 접미사로 붙인 아오리스트가 존재한다. 이 용법 체계는 로망스어족의 '반과거와 점과거의 대립'과 유사하다.

완료상인 미래완료, 현재완료, 과거완료는 έχω|에호el + 아오리스트 어간에 -ει|-이el를 접미사로 붙인 우회 표현으로 나타낸다.

접속법은 να|나el를 앞에 붙인 우회 표현으로 나타내며, 어간은 현재 어간 + 본 시제 어미의 미완료상과 아오리스트 어간 + 본 시제 어미의 완료상이 존재한다.

조건법은 θα|타el를 붙인 우회 표현으로, 어간은 현재 어간 + 2인칭 어미형(계속상): 아오리스트 어간 + 2인칭 어미형(순간상)이다.

단수복수
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어미-ω|-오el-εις|-이스el-ει|-이el-ουμε|-우메el-ετε|-에테el-ουν|-운el
제1변화βλέπω|블레포elβλέπεις|블레피스elβλέπει|블레피elβλέπουμε|블레푸메elβλέπετε|블레페테elβλέπουν|블레푼el보다
제2변화(α)αγαπώ|아가포elαγαπάς|아가파스elαγαπάει|아가파이elαγαπάμε|아가파메elαγαπάτε|아가파테elαγαπάνε|아가파네el사랑하다
제2변화(ε)οδηγώ|오디고elοδηγείς|오디기스elοδηγεί|오디기elοδηγούμε|오디구메elοδηγείτε|오디기테elοδηγούνε|오디구네el운전하다



단수복수
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어미-α|-아el-ες|-에스el-ε|-에el-αμε|-아메el-ατε|-아테el-αν|-안el
제1변화έγραφα|에그라파elέγραφες|에그라페스elέγραφε|에그라페elγράαφαμε|그라파메elγράφατε|그라파테elέγραφαν|에그라판el쓰다
제2변화 ααγαπούσα|아가푸사elαγαπούσες|아가푸세스elαγαπούσε|아가푸세elαγαπούσαμε|아가푸사메elαγαπούσατε|아가푸사테elαγαπούσανε|아가푸사네el사랑하다
제2변화 εοδηγούσα|오디구사elοδηγούσες|오디구세스elοδηγούσε|오디구세elοδηγούσαμε|오디구사메elοδηγούσατε|오디구사테elοδηγούσαν|오디구산el운전하다



굴절어간 과거현재명령법
미완료상γραφ-|그라프-el (쓰다)미완료 과거현재형현재 명령형
완료상γραψ-|그랍스-el아오리스트형접속법 아오리스트 (종속문 중 주관 표명)아오리스트 명령 (일회성 행동의 명령)
완료상 과거 완료현재 완료
    현재 분사 (부사적/형용사적인 것으로 동문 중의 다른 인칭을 갖는 동사의 "상황"을 표현) 



 조건법 (과거에 놓인 미래)직설법 (현재에 놓인 미래)
미완료상 미래θα έγραφα|타 에그라파el
영: I would write
'불: jécrirais''
θα γράφω|타 그라포el
영: I will write (continually)
'불: jécrirai''
완료상 미래θα έγραψα|타 에그랍사el
영: I have probably written
'불: jécrirais''
θα γράψω|타 그랍소el
영: I will write (once)
'불: jécrirai''
완료상 미래θα είχα γράψει|타 이하 그랍시el
영: I would have written
'불: jaurais écrit''
θα έχω γράψει|타 에호 그랍시el
영: I will have written
'불: jaurai écrit''



2인칭 단수2인칭 복수
현재 시제 어미-ε|-에el-ετε|-에테el
γράφε|그라페elγράφετε|그라페테el
미래 시제 어미-ε|-에el-τε|-테el
γράψε|그랍세elγράψτε|그랍스테el



 colspan="γράφομαι|그라포메el(쓰이다/서로 쓰다[중·수동태])"
 과거현재명령법
현재 상(비완결상)(미완료 과거)(현재형)γραφόμουν|그라포문el (쓰이고 있었다)
γραφόσουν|그라포순el
γραφόταν|그라포탄el
γραφόμαστε|그라포마스테el
γραφόσαστε|그라포사스테el
γράφονταν(ε)|그라폰탄(에)el
γράφομαι|그라포메el (쓰이다/서로 쓰다)
γράφεσαι|그라페세el
γράφεται|그라페테el
γραφόμαστε|그라포마스테el
γράφεστε|그라페스테el
γράφονται|그라폰테el
 

 
 

 
완료상(완결상)(완료형)(완료 접속법)γράφτηκα|그라프트카el (쓰여졌다[과거 사건의 순간형])
γράφτηκες|그라프트케스el
γράφτηκε|그라프트케el
γραφτήκαμε|그라프트카메el
γραφτήκατε|그라프트카테el
γράφτηκαν|그라프트칸el
να γραφτώ|나 그라프토el (종속절에서 "쓰여진 것[순간형]..." [종속절에서의 주관적 표현])
να γραφτείς|나 그라프티스el
να γραφτεί|나 그라프티el
να γραφτούμε|나 그라프투메el
να γραφτείτε|나 그라프티테el
να γραφτούν|나 그라프툰el
 
γράψου|그랍수el (쓰여라!)
 
 
γραφτείτε|그라프티테el
 
  έχω γραφτεί|에호 그랍티el (나는 쓰여져 있다[결과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단수복수
현재 시제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어미-ομαι|-오메el-εσαι|-에세el-εται|-에테el-ομαστε|-오마스테el-εστε|-에스테el-ονται|-온데el
제1변화γράφομαι|그라포메elγράφεσαι|그라페세elγράφεται|그라페테elγραφόμαστε|그라포마스테elγράφεστε|그라페스테elγράφονται|그라폰데el
제2변화(α)αγαπιέμαι|아가피에메elαγαπιέσαι|아가피에세elαγαπιέται|아가피에테elαγαπιόμαστε|아가피오마스테elαγαπιέστε|아가피에스테elαγαπιούνται|아가피운데el
제2변화(ε)οδηγούμαι|오디구메elοδηγείσαι|오디기세elοδηγείται|오디기테elοδηγούμαστε|오디구마스테elοδηγείστε|오디기스테elοδηγούνται|오디군데el
미래 시제어미-ομουν|-오문el-οσουν|-오순el-οταν|-오탄el-ομαστε|-오마스테el-οσαστε|-오사스테el-ονταν|-온단el
제1변화γραφόμουν|그라포문elγραφόσουν|그라포순elγραφόταν|그라포탄elγραφόμαστε|그라포마스테elγραφόσαστε|그라포사스테elγράφονταν|그라폰단el
제2변화(α)αγαπιόμουν|아가피오문elαγαπιόσουν|아가피오순elαγαπιόταν|아가피오탄elαγαπιόμασταν|아가피오마스탄elαγαπιόσασταν|아가피오사스탄elαγαπιούνταν|아가피운단el
제2변화(ε)οδηγούμουν|오디구문elοδηγούσουν|오디구순elοδηγούνταν|오디군단elοδηγούμασταν|오디구마스탄elοδηγούσασταν|오디구사스탄elοδηγούνταν|오디군단el


  • 주: 중간태·수동태의 명령문 사용은 매우 드뭅니다.

5. 3. 어순

고대 그리스어는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가졌지만, 현대 그리스어는 주술도치가 발달하여 VSO 또는 SVO 어순이 일반적이다.[1] 고대 그리스어는 동사가 문장 끝에 오는 경향이 있었지만,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그렇지 않다.[1]

6. 방언

현대 그리스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풀리아 주 오트란토와 남부 칼라브리아 주 보바(Bova) 방언은 마찰음 /t∫/, 이탈리아어와 같은 겹자음, 자음군의 경구개화, 연속하는 자음의 동화, 후음의 발달, 동사의 수동태 미완료 과거 3인칭 단수 어미 -ενο|에노el, 아오리스트 명령형 -σο|소el, 아오리스트 분사의 존속: -γραφοντας|그라폰타스el, φονασοντας|포나손타스el,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의 유지(예: το κλαφει σου|토 클라피 수el = το κλαμα σου|토 클라마 수el, το απεσαει|토 아페사이el = το αποθανειν|토 아포타닌el) 등의 특징을 보인다.

다른 방언에서도 파열음에서 마찰음으로의 이행 과정(통시 언어학적 현상), 전설화, 상승·폐쇄화, 중앙화(centralisation) 현상, /∫/ 음화, /t∬/ 음화, 폭발음화, 무성 연구개 파열음의 경구개 파열음화 등 다양한 음운 변화가 나타난다.

모음교체, 자음교체, 어중음(γ|감마el) 첨가, 어미음(ν|니el) 첨가, 떨림소리화 등 다양한 음운 변화 또는 교체 현상, 고전어로부터의 전통인 음편 ν|니el의 유지는 현대의 여러 방언이 고전에서 코이네를 거쳐 분산된 각 방언의 통시·공시 언어학상 귀중한 음운 변화를 현재에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7. 사용 지역

현대 그리스어는 그리스키프로스를 비롯하여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조지아, 우크라이나, 이집트, 터키,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남부 이탈리아, 러시아 등에서도 그리스어 사용자를 찾을 수 있다.[1] 또한 아르메니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브라질, 캐나다, 스웨덴, 영국, 미국 등 그리스인이 정착한 여러 나라에서도 그리스어가 사용된다.[1]

7. 1. 공용어

그리스어는 그리스공용어이며 그리스 인구의 약 99.5%가 사용한다. 키프로스에서는 튀르키예어와 함께 공용어이다. 그리스와 키프로스는 유럽 연합의 회원국이므로 그리스어는 유럽 연합의 20여 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7. 2. 기타 사용 지역

현대 그리스어는 주로 그리스키프로스에서 약 1,500만여 명의 사람들이 사용한다.[1] 조지아, 우크라이나, 이집트, 터키,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남부 이탈리아, 러시아에서도 그리스어를 말하는 사람들을 찾아볼 수 있다.[1] 또한 아르메니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브라질, 캐나다, 스웨덴, 영국, 미국 등 그리스인이 정착한 다른 많은 나라에서도 그리스어가 사용된다.[1]

국가지역
터키이스탄불의 그리스계 거주 지역
알바니아남부
이탈리아남부 이탈리아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일부 특정 마을
북마케도니아남부
불가리아중부·남부


8. 다른 언어에 대한 영향

그리스어는 영어를 포함한 다른 언어로 널리 차용되었으며, 영어 어휘의 12%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62] 그리스어와 형태소는 신조어의 기초로 계속해서 생산적이며, 라틴어와 함께 국제 과학 및 기술 어휘의 기초를 형성한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동지중해 세계의 공용어로 널리 퍼졌고, 중세에는 동로마 제국 영토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광대한 지역(중동, 북아프리카, 동남유럽, 소아시아)에까지 미쳤다.

대부분 코이네에서 계승된 것이다. 그리스 각지의 방언에 그 잔재가 보이며, 터키어 어휘소도 상당히 자주 사용되는 것이 현대 그리스어의 특징이다.

8. 1. 서구 언어

그리스어는 영어를 포함한 다른 언어에 많은 어휘를 제공했다. 예를 들어 ''수학(mathematics)'', ''물리학'', ''천문학'', ''민주주의(democracy)'', ''철학(philosophy)'', ''육상'', ''극장(theatre)'', ''수사학'', ''세례'', ''복음 전파자'' 등이 있다.[36][37] 또한, 그리스어와 형태소는 ''인류학'', ''사진술(photography)'', ''전화'', ''이성질체'', ''생체역학'', ''영화 촬영술'' 등과 같은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데에도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다. 라틴어와 함께 그리스어는 국제 과학 및 기술 어휘의 기초를 형성하는데, '-logy'('담론')로 끝나는 모든 단어가 그 예이다.[36][37]

8. 2. 한국어

한국어에도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존재한다. 드라마, 아카데미, 테마, 시스템 등이 그 예이다.[35]

참조

[1] 웹사이트 2006 Census Table: Language Spoken at Home by Sex – Time Series Statistics (1996, 2001, 2006 Census Years) http://www.abs.gov.a[...]
[2] 웹사이트 Αυστραλία: Τηλεδιάσκεψη «Μιλάμε Ελληνικά τον Μάρτιο» http://www.zougla.gr[...]
[3] 웹사이트 Language Use in the United States: 2011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2015-10-17
[4] 웹사이트 gree1276 http://glottolog.org[...] Council of Europe 2008-12-08
[5] 백과사전 Greek languag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04-29
[6] 서적 Anthropology: The Human Challeng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3
[7]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87
[8] 서적 A history of the Greek language : from its origins to the present Brill 2005
[9]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critical 1995
[10] 서적 Introducing the New Testament 1972
[11] 서적 A small Greek world : networks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2] 서적 A study of the preservation of the classical tradition in the educatio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Byzantine Empire
[13] 참고자료
[14] 참고자료
[15] 웹사이트 Ancient Tablet Found: Oldest Readable Writing in Europe https://web.archive.[...] 2011-04-01
[16] 서적 Understanding English Homonyms: Their Origins and Usage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7
[17] 참고자료
[18] 참고자료
[19] 서적 Hellenisms: culture, identity, and ethnicity from antiquity to modernity https://www.worldcat[...] Ashgate 2008
[20] 참고자료
[21] 웹사이트 Greek https://www.ethnolog[...] 2020-04-12
[22] 서적 The modern Greek language : a descriptive analysis of standard modern Greek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23] 참고자료
[24] 참고자료
[25] 웹사이트 When Greek was an African Language https://chs.harvard.[...] 2020-11-02
[26] 웹사이트 Greec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0-01-23
[2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Cyprus, App. D., Part 1, Art. 3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The EU at a Glance – Languages in the EU https://web.archive.[...] European Union 2010-07-30
[29] 서적 In the Shadows of Albania-China Relations (1960–1978)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2
[30] 웹사이트 List of Declarations Made with Respect to Treaty No. 148 http://conventions.c[...] Council of Europe 2008-12-08
[31] 학술지 EU enlargement conditions and minority protection : a reflection on Turkey's non-Muslim minorities https://cadmus.eui.e[...] 2006
[32] 서적 Minorities and nationalism in Turkish law https://www.academia[...] Ashgate Publishing 2013
[33]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Freedom of Expression and Language Rights in Turkey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2-04-19
[34] 참고자료
[35] 참고자료
[36] harvnb
[37] 웹사이트 Πόσο "ελληνικές" είναι οι ξένες γλώσσες https://www.newsit.g[...] 2019-11-18
[38] harvnb
[39]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Walter de Gruyter 2018
[40]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Walter de Gruyter 2018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harvnb
[45] harvnb
[46] Glottolog
[47] harvnb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서적 Linear B : an introduction Bristol Classical Press 1980
[52] 웹사이트 Cypriot syllabary http://academic.eb.c[...] 2017-08-01
[53] 웹사이트 Greek Unicode Issues: Punctuation http://www.tlg.uci.e[...] 2014-10-07
[54]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3
[55] harvnb
[56] 웹사이트 Yevanic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s://www.omniglot[...] 2020-04-18
[57] Facebook This month, "Greek Aljamiado" (i.e., Greek written in Arabic script) became one of the more than 90 languages identified in HMML's online Reading Room https://www.facebook[...] HMML Hill Museum & Manuscript Library 2024-07-27
[58] 서적 The Prophet's Ascension: Cross-cultural Encounters with the Islamic Mi'rāj Tal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
[5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60]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61] 웹사이트 Modern Greek http://www.lmp.ucla.[...] 2009-01-30
[62] 웹사이트 Greek language, Columbia Encyclopedia(オンライン版) http://www.bartleby.[...] 2009-01-30
[63] 일반
[64] 웹사이트 Greek language http://www.britannic[...] 2009-01-30
[65] 일반
[66] 일반
[67] 서적 Medieval and Modern Gree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https://unicode.org/[...]
[69] 일반
[70] 일반
[71] 언어
[72] 언어
[73] 언어
[74]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