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이나 세르브인 자치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이나 세르브인 자치주는 1990년 크로아티아 내 민족 갈등 심화로 인해 세르비아계 주민들이 자치 지역을 형성하면서 시작되었다. 1990년 9월 SAO 크닌스카 크라이나로 시작하여, 1990년 12월 SAO 크라이나로 확대되었고, 1991년 2월 자치주로 선포되었다. 크로아티아의 독립 선언 이후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발발과 함께 세르브계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지원을 받아 점령 지역을 확대했다. 1991년 12월 SAO 크라이나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으로 통합되었으나, 1995년 크로아티아군의 공격으로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SAO 크라이나 또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분리주의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은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발생한 민족 갈등으로 인해 크로아티아에서 벌어진 전쟁이며, 세르비아계 자치구 설립, 대규모 민간인 학살, 유엔 보호군 파병 등을 거쳐 크로아티아군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 크로아티아의 분리주의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에 반발하여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계 주민들이 세운 자치 공화국으로, 1995년 크로아티아군의 군사 작전으로 멸망했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는 1991년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발생한 국제 인도법 위반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설립된 국제 재판소로, 특정 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고 종신형까지 선고할 수 있었으며, 모든 절차를 완료하고 종료 후 잔여 기능은 국제 잔여 형사 재판 기구로 이관되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워싱턴 협정
워싱턴 협정은 1994년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수립하기 위해 체결한 협정으로, 미국의 주도적인 외교적 노력으로 성사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발족의 계기가 되었다. - 옛 미승인 국가 - 뉴질랜드 부족연합
뉴질랜드 부족연합 깃발은 1834년 마오리 추장들의 투표로 채택되어 1835년부터 1840년까지 뉴질랜드의 사실상 국기 역할을 했으나, 뉴질랜드 회사 사건 이후 철거되었고, 와이탕이 조약 관련 논쟁과 함께 현재까지 뉴질랜드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남아있다. - 옛 미승인 국가 - 멕시코 제2제국
멕시코 제2제국은 1864년부터 1867년까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1세가 황제로 즉위하여 세워졌으나, 3년 만에 붕괴된 제국이다.
크라이나 세르브인 자치주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Srpska autonomna oblast Krajina |
현지 명칭 (라틴 문자) | Srpska autonomna oblast Krajina |
현지 명칭 (키릴 문자) | Српска аутономна област Крајина |
약칭 (키릴 문자) | САО Крајина |
일반 명칭 | 크라이나 |
지위 | 미승인 국가 |
지위 설명 | 미승인 국가 (세르비아와 통일을 주장) |
수도 | 크닌 |
정부 형태 | 임시 정부 |
역사 | |
이전 국가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이후 국가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주요 사건 | 로그 혁명 |
발생일 | 1990년 8월 17일 |
자치 선언 | 크로아티아 정부로부터 자치 선언 |
선언일 | 1990년 12월 21일 |
소멸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으로 전환 |
소멸일 | 1991년 12월 19일 |
정치 | |
대통령 | 밀란 마르티치 |
기타 |
2. 역사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 사회주의 정권이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압승하면서 크로아티아 내 민족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2] 세르비아계 주민이 상당수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반란이 시작되었으며[3], 크로아티아의 독립 선언을 예상한 세르비아계 지도자들은 크닌 시 주변에 자치 지역을 만들기 시작했다.[5]
1990년 9월, 크닌을 중심으로 SAO 크닌스카 크라이나가 선포되었고[7], 이후 북부 달마티아와 리카 지역이 자치주에 가입하면서 1990년 12월 SAO 크라이나로 개명되었다.[5] 1990년 12월 21일, 크닌, 벤코바츠, 보이니치, 오브로바츠, 그라차츠, 드보르 및 코스타이니차의 지방 자치 단체들은 모두 "크라이나 세르비아 자치 지역의 법령"을 채택했다.[8]
SAO 크라이나는 1991년 2월 28일 자치주로 공식 선포되었으며,[7]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할 경우 크로아티아에서 SAO 크라이나가 독립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1991년 3월 16일, 세르비아 국가의회는 크로아티아로부터 독립을 선포했고, 1991년 5월 12일 국민 투표에서 세르비아와의 병합에 99%가 찬성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12] 이후 크라이나 의회는 "SAO 크라이나의 영토는 세르비아 공화국의 통일 영토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선포했다.[11]
이후 크라이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트인 간의 분쟁이 시작되었고,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포하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도움을 받아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SAO 서슬라보니아 등으로 세르브계 점령 지역을 확대하면서 충돌이 폭발적으로 확대되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초기 세르브계 장악 지역은 크로아티아 영토의 1/3에 달했다.[10]
1991년 12월 19일, SAO 크라이나의 대통령인 밀란 바비치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의 대통령인 고란 하지치간 회담을 거쳐 두 개의 SAO가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이라는 이름의 하나의 세르브계 국가로 합병되었다. 1992년 2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독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1995년 8월 5일, 크로아티아군의 군사 작전으로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멸망했고, SAO 크라이나 또한 해체되었다.
2. 1.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의 집권과 민족 갈등 심화
1990년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압승하고 프라뇨 투지만이 대통령으로 집권하면서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사이의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2]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추진하려던 투지만 대통령의 계획에 반발한 세르비아계 정치 지도자들은 크닌을 중심으로 자치주를 결성하였다.[5][6] 이 지역은 처음에는 SAO 크닌스카 크라이나로 명명되었으나, 1990년 12월 북부 달마티아와 리카 지역이 포함되면서 SAO 크라이나로 개칭되었다.[5]SAO 크라이나는 세르비아 국가의회를 비롯한 독립적인 정부 기관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프라뇨 투지만은 당초 크로아티아를 유고슬라비아 내 국민 국가로 만들려 했으나, 이것이 불가능해지자 독립을 추진하는 한편 베오그라드 제안에 따른 '미니 유고슬라비아'에는 잔류하고자 했다. 1991년 2월 28일, SAO 크라이나는 자치주임을 공식 선포하고,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할 경우 이에 반대하며 분리 독립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7]
1991년 3월 16일, 세르비아 국가의회는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했다.[1] 1991년 5월 12일 실시된 국민투표에서는 99% 이상이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왔다.[1][12] 이후 크라이나 의회는 "SAO 크라이나의 영토는 세르비아 공화국의 통일된 영토의 구성 부분"이라고 선포했다.[1][11]
이후 크라이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 정부 간의 분쟁이 시작되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하자, 세르비아계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지원을 받아 점령 지역을 확대하였고, 이는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SAO 서슬라보니아 등으로 확대되었다.[10]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초기, 세르비아계는 크로아티아 영토의 1/3을 장악했다.
1991년 12월 19일, SAO 크라이나의 대통령 밀란 바비치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의 대통령 고란 하지치는 두 지역을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으로 통합하였다. 1992년 2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독립을 선포했다.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1995년 8월 5일 크로아티아군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2. 2. 로그 혁명과 세르비아계 자치 지역 형성
1990년 크로아티아 다당제 선거에서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HDZ)이 승리한 후,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사이의 민족적 긴장이 악화되었다.[2] 프라뇨 투지만 대통령은 유고슬라비아에서 탈퇴할 계획을 구상하고 있었으므로 이에 반대하는 세르브계 정치 지도자들이 모여 크닌 도시 주변에 자치주를 세웠다.[5]1990년 8월 17일, 크로아티아 공화국에서 반란이 시작되었으며, 이곳은 세르비아계 주민이 상당수 거주하는 지역이었다.[3] 조직자들은 밀란 마르티치가 제공한 불법 무기로 무장했다.[3] 세르비아인들은 이 반란을 "크로아티아 정부에 의한 테러"의 결과이며, "더 많은 문화적, 언어적, 교육적 권리를 위해 싸우고 싶다"고 설명했다. 세르비아 신문 "Večernje Novosti"는 "200만 명의 세르비아인이 싸우기 위해 크로아티아로 갈 준비가 되었다"고 썼다. 서방 외교관들은 세르비아 언론이 "열정을 부추겼다"고 비판했으며,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은 "우리는 크로아티아에 혼란을 야기하려는 시나리오를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4]
크로아티아의 독립 선언을 예상하여,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지도자들은 크닌 시 주변에 자치 지역을 만들었다. 세르비아 민족 위원회 (SNV)가 결성되어, 이 지역의 의회이자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에 대한 최종 권한을 행사했다. 이 위원회는 8월에 자치를 위한 성공적인 국민투표를 조직했다.[5][6]
처음에는 이 지역을 1990년 9월에 SAO Kninska Krajina라고 불렀지만,[7] 북부 달마티아 및 리카의 지방 자치 단체 연합과 합병한 후 1990년 12월에 이름을 바꾸어 SAO 크라이나로 선포했다.[5] 1990년 12월 21일, 크닌, 벤코바츠, 보이니치, 오브로바츠, 그라차츠, 드보르 및 코스타이니차의 지방 자치 단체들은 모두 "크라이나 세르비아 자치 지역의 법령"을 채택했다.[8]
1991년 2월 28일 SAO 크라이나가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7] 이 지역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할 경우 크로아티아로부터 분리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1991년 3월 16일 세르비아 민족 위원회는 크라이나를 크로아티아로부터 독립한다고 선언했다. 1991년 5월 12일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으며, 투표의 99% 이상이 세르비아와의 통일을 지지했다.[1] 1991년 4월 1일, 크로아티아에서 탈퇴할 것이라고 선언했다.[9] 이후 크라이나 의회는 "SAO 크라이나의 영토는 세르비아 공화국의 통일된 영토의 구성 부분"이라고 선언했다.[1]
곧 크라이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 당국 사이에 분쟁이 시작되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한 후, 세르비아인들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JNA)의 도움을 받아 점령 지역을 확대하면서 폭력이 심화되었으며, 결국 SAO 동 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 시르미아 및 SAO 서 슬라보니아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당시 세르비아 통제 지역은 크로아티아의 3분의 1을 포함했다.[10]
1991년 12월 19일, 밀란 바비치 (SAO 크라이나 대통령)와 고란 하지치 (SAO 동 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 시르미아 대통령)의 주도로 두 SAO가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하나의 세르비아 국가로 선언되었다. 1992년 2월, 당국은 독립을 선언했다.
이 자칭 SAO 크라이나는 1995년 8월 5일 이후 크로아티아군이 그 영토를 크로아티아로 재통합하면서 해체되었다.
2. 3. SAO 크닌스카 크라이나 선포와 SAO 크라이나로의 확대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 사회주의 정권이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압승하면서 크로아티아 내 민족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2] 세르비아계 주민이 상당수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반란이 시작되었으며[3], 크로아티아의 독립 선언을 예상한 세르비아계 지도자들은 크닌 시 주변에 자치 지역을 만들기 시작했다.[5]1990년 9월, 크닌을 중심으로 SAO 크닌스카 크라이나가 선포되었고[7], 이후 북부 달마티아와 리카 지역이 자치주에 가입하면서 1990년 12월 SAO 크라이나로 개명되었다.[5] 1990년 12월 21일, 크닌, 벤코바츠, 보이니치, 오브로바츠, 그라차츠, 드보르 및 코스타이니차의 지방 자치 단체들은 모두 "크라이나 세르비아 자치 지역의 법령"을 채택했다.[8]
SAO 크라이나는 1991년 2월 28일 자치주로 공식 선포되었으며,[7]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할 경우 크로아티아에서 SAO 크라이나가 독립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1991년 3월 16일, 세르비아 국가의회는 크로아티아로부터 독립을 선포했고, 1991년 5월 12일 국민 투표에서 세르비아와의 병합에 99%가 찬성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12] 이후 크라이나 의회는 "SAO 크라이나의 영토는 세르비아 공화국의 통일 영토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선포했다.[11]
이후 크라이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트인 간의 분쟁이 시작되었고,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포하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도움을 받아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SAO 서슬라보니아 등으로 세르브계 점령 지역을 확대하면서 충돌이 폭발적으로 확대되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초기 세르브계 장악 지역은 크로아티아 영토의 1/3에 달했다.[10]
1991년 12월 19일, SAO 크라이나의 대통령인 밀란 바비치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의 대통령인 고란 하지치간 회담을 거쳐 두 개의 SAO가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이라는 이름의 하나의 세르브계 국가로 합병되었다. 1992년 2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독립을 선포했다.
2. 4.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독립 선언과 세르비아와의 통합 시도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 사회주의 정권이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압승하면서 크로아티아 내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2] 프라뇨 투지만 대통령은 유고슬라비아 탈퇴를 계획했고, 이에 반대하는 세르브계 지도자들은 크닌 주변에 자치주를 세웠다. 1990년 12월 SAO 크라이나는 북달마티아와 리카 지역을 포괄하며, 자치단체들은 세르비아 국가의회 등 독립 기관을 세우기 시작하였다.[5][7][8]1991년 2월 28일, SAO 크라이나는 자치주로 공식 선포되었고,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할 경우 SAO 크라이나도 독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 1991년 3월 16일, 세르비아 국가의회는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했다.[1] 1991년 5월 12일,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99%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되었다.[12][1] 이후 크라이나 의회는 "SAO 크라이나의 영토는 세르비아 공화국의 통일 영토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선포했다.[11][1]
이후 크라이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간의 분쟁이 시작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지원을 받은 세르브계는 점령 지역을 확대하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초기 크로아티아 영토의 1/3을 장악했다.[10]
2. 5.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발발과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수립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 사회주의 정권이 패배하고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압승하면서 크로아티아 내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2] 프라뇨 투지만 대통령은 유고슬라비아 탈퇴를 계획했고, 이에 반대하는 세르브계 정치 지도자들은 크닌을 중심으로 자치주를 세웠다. 초기에는 SAO 크닌스카 크라이나로 명명되었으나, 이후 북부 달마티아와 리카 지역이 포함되면서 1990년 12월 SAO 크라이나로 개명되었다.[5]1990년 8월 17일, 크로아티아 공화국에서 반란이 시작되었으며, 이곳은 세르비아계 주민이 상당수 거주하는 지역이었다.[3] 조직자들은 밀란 마르티치가 제공한 불법 무기로 무장했다.[3]
SAO 크라이나는 세르비아 국가의회 등 독립 정부 기관을 세우기 시작했다. 1991년 2월 28일, SAO 크라이나는 자치주로 공식 선포되었으며,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할 경우 크로아티아에서 분리 독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 1991년 3월 16일에는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고,[9] 5월 12일 국민투표에서 99%가 세르비아와의 병합에 찬성했다.[12][1] 이후 크라이나 의회는 "SAO 크라이나의 영토는 세르비아 공화국의 통일 영토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선포했다.[11][1]
이후 크라이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간의 분쟁이 격화되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포하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지원을 받은 세르브계는 점령 지역을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SAO 서슬라보니아 등으로 확대하며 충돌이 확대되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초기 세르브계 점령 지역은 크로아티아 영토의 1/3에 달했다.[10]
1991년 12월 19일, SAO 크라이나 대통령 밀란 바비치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대통령 고란 하지치는 두 자치주를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으로 통합하는 데 합의했다. 1992년 2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독립을 선포했다.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1995년 8월 5일 크로아티아군의 영토 점령으로 멸망했다.
2. 6.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멸망과 SAO 크라이나의 해체
1990년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 사회주의 정권이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압승하자 크로아티아 내 민족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2]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은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꾀하고 있었고, 이에 반대하는 세르비아계 정치 지도자들은 크닌을 중심으로 자치주를 설립했다. 이 지역은 처음에 SAO 크닌스카 크라이나로 명명되었으나, 이후 북부 달마티아와 리카 지역을 포함하며 1990년 12월 SAO 크라이나로 개칭되었다.[5]SAO 크라이나는 세르비아 국가의회를 비롯한 독립적인 정부 기관을 수립하며 자치권을 강화했다. 1991년 2월 28일, SAO 크라이나는 자치주임을 공식 선포하고,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할 경우 크로아티아로부터 분리 독립할 것임을 선언했다.[7] 1991년 3월 16일, 세르비아 국가의회는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으며, 5월 12일 실시된 국민 투표에서는 99% 이상이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지지했다.[1] 이후 크라이나 의회는 "SAO 크라이나의 영토는 세르비아 공화국의 통일 영토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선포했다.[1]
이후 크라이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 정부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하자, 세르비아계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지원을 받아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SAO 서슬라보니아 등으로 점령 지역을 확대하며 충돌이 격화되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초기, 세르비아계는 크로아티아 영토의 3분의 1을 장악했다.[10]
1991년 12월 19일, SAO 크라이나의 대통령 밀란 바비치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의 대통령 고란 하지치는 두 지역을 통합하여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을 수립했다. 1992년 2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독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1995년 8월 5일, 크로아티아군의 군사 작전으로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멸망했고, SAO 크라이나 또한 해체되었다.
참조
[1]
간행물
Prosecutor v. Milan Martić Judgemen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9-13
[2]
서적
Ethnic Conflict and International Politics: Explaining Diffusion and Escal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
[3]
웹사이트
Case No. IT-03-72-I: The Prosecutor v. Milan Babić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10-08-13
[4]
뉴스
Roads Sealed as Yugoslav Unrest Mounts
https://www.nytimes.[...]
1990-08-19
[5]
서적
Multiethnic Regionalisms in Southeastern Europe: Statehood Alternativ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6]
서적
Ethnic Mobilization, Violence, and the Politics of Affect: The Serb Democratic Party and the Bosnian Wa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7]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3
[8]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f Experts established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olution 780 (1992), Annex IV - The policy of ethnic cleansing; Prepared by: M. Cherif Bassiouni.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1994-12-28
[9]
뉴스
Rebel Serbs Complicate Rift on Yugoslav Unity
https://www.nytimes.[...]
2010-12-11
[10]
서적
Civil Wars of the World: Major Conflicts since World War II [2 volum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7
[11]
간행물
Prosecutor v. Milan Martić Judgemen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9-13
[12]
간행물
Prosecutor v. Milan Martić Judgemen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