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200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공화국은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붕괴 이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을 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계 주민을 지원했다. 코소보 전쟁과 경제난을 겪은 후, 밀로셰비치는 실각하고 조란 진지치가 민주화 개혁을 추진했으나 암살당했다. 2003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명을 변경한 후 2006년 몬테네그로의 독립 국민투표를 통해 몬테네그로와 분리되며 종식되었다. 세르비아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세르비아인, 세르비아 정교회가 주요 구성 요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는 세르비아 디나르에서 기원하여 1918년부터 2006년까지 유고슬라비아 및 그 후신 국가들에서 사용되었으나, 화폐 개혁, 인플레이션, 유고슬라비아 해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재편을 거치며 각 독립국 통화로 대체되고 몬테네그로에서 유로가 통용되면서 사라졌다.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ISO 3166-2:CS
ISO 3166-2:CS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하위 구획 코드였으나, 2006년 해체 후 삭제되었으며, 코드 변경 사항은 ISO 3166/MA 뉴스레터를 통해 발표되었다. - 세르비아의 역사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 세르비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그리스 왕국
그리스 왕국은 1832년부터 1924년, 그리고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존속했던 입헌 군주국으로, 바이에른 왕가와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거치며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군주제 폐지와 군사 정권 수립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2006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명 | 세르비아 공화국 |
현지 국명 | / }} |
지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구성국 |
존속 기간 | 1992년–2006년 |
정치 체제 | 우세 정당 의회 공화국 의회 공화국 |
수도 | 베오그라드 |
![]() | |
![]() | |
![]() | |
![]() | |
정치 | |
대통령 | 스lobodan Milošević (1990–1997), 밀란 Milutinović (1997–2002), 보리스 타디치 (2004–2006) |
총리 | Radoman Božović (1992–1993, 최초), 보이슬라프 코슈투니차 (2004–2006, 마지막) |
의회 | 세르비아 국민 의회 |
역사 | |
주요 사건 시작 | 헌법 채택 (1990년 9월 28일)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건국 | 1992년 4월 27일 |
종료 사건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 해체 (2006년 6월 5일) |
인구 | |
면적 | 88,361 km2 (2006년 기준) |
상징 | |
국가 | '"Хеј, Словени" (1992–2004)" " [[File:United States Navy Band - Hey, Slavs.ogg]] Боже правде (2005–2006) Bože pravde () ' |
기타 | |
공용어 |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
현재 상태 | 세르비아, 코소보 |
2. 역사
몬테네그로는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아 왔으며, 이후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거쳐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을 구성하였다.[1] 1989년부터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세르비아의 이익을 옹호하고 증진하겠다고 약속한 전 공산주의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끌었다. 1992년, 그는 몬테네그로 대통령 모미르 불라토비치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을 결성했다. 국제 사회는 세르비아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밀로셰비치가 연방 대통령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우려했다.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밀로셰비치는 이들 국가로부터 탈퇴하려는 세르비아 분리주의자들을 지원했다. 1995년, 밀로셰비치는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을 대표하여 데이턴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6]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코소보 자치주에서 심각한 정치적 불안이 발생했고, 1998년부터 코소보 전쟁이 일어났다.[7][8] 1999년 NATO의 공습으로 베오그라드를 포함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여러 도시가 폭격을 받았다.[9][10] 이후 베오그라드는 코소보 자치주에 대한 통제권을 국제 연합의 위임 통치에 넘기기로 동의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은 제재와 과도한 인플레이션,[12] 그리고 밀로셰비치의 연방 대통령직에 대한 분노로 인해 세르비아 경제를 붕괴시켰다. 2000년, 밀로셰비치가 선거에서 물러나기를 거부하자 세르비아 시민들은 유권자 사기 혐의를 제기하며 선거에 항의했다.[13] 밀로셰비치는 2000년 10월 5일에 축출되었고, 다음날 공식적으로 사임했다. 2001년 부패 혐의로 체포된 그는 헤이그로 이송되어 전쟁 범죄 혐의에 직면했다.[14]
밀로셰비치 축출 이후,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이 되었다. 2002년, 밀로셰비치의 동맹인 세르비아 대통령 밀란 밀루티노비치가 사임하면서, 세르비아 사회당의 12년간의 정치적 리더십이 종식되었다. 민주당의 보리스 타디치가 밀루티노비치를 대신했다.
2. 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붕괴되면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을 결성했다.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1990년에 '''세르비아 공화국'''으로 명칭을 변경했지만,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에서 파생된 세르비아 사회당이 집권하면서 구 공산주의 정치인들의 영향력은 계속되었다. 세르비아는 공화국 간의 크기와 인구 차이로 인해 FRY에서 지배적인 공화국으로 여겨졌지만, 내부적으로는 독립적으로 기능했다. 외교 문제와 관련하여 연방 정부는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으로 구성되었다.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세르비아 정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들의 이익을 지키는 데 힘을 쏟았다. 그들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독립을 바라지 않고,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남기를 원했다. 1989년 이후, 세르비아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지도자가 되었다. 밀로셰비치는 전 공산주의자 동맹 당원이었으며, 유고슬라비아 내 세르비아인의 권익을 지키는 것을 호소한 인물이다. 1992년, 밀로셰비치와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대통령 모미르 불라토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결성에 합의했다. 국제 사회에서는 이 연방에서 세르비아가 지배적인 입장이 되어, 세르비아 대통령인 밀로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보다 사실상 더 강력한 권한을 갖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된 도브리차 초시치는 밀로셰비치에 반대하여 그 지위를 잃었다. 밀로셰비치 정부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대해서는 영토적 요구를 하지 않았다. 밀로셰비치의 지지자들은 크로아티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에서 일방적으로 분리된 세르비아인의 자치 국가(스릅스카 공화국이나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공화국 등)에 대해, 이들 지역의 세르비아인의 민족 자결의 원칙을 지지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일련의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밀로셰비치는 이들 국가로부터의 분리를 원하는 세르비아인의 자치 국가를 지원했다. 이 지원으로 인해 나중에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분리주의자들의 전쟁 범죄 행위를 지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고, 국제 사회에서 많은 정치인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1995년, 밀로셰비치는 보스니아 전쟁을 종결시킨 평화 합의인 데이턴 협정에서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의 이익을 대표하여 참가, 서명했다.[6] 밀로셰비치는 그 후에도 1997년까지 세르비아 대통령직에 머물렀고, 그 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이를 대신하여 1997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대통령이었던 밀란 밀루티노비치가 세르비아 대통령이 되었다.
1996년부터 1999년에 걸쳐, 세르비아 내에서 알바니아인이 많이 거주하는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의 정세는 불안정해졌다. 코소보 메토히야에서는 코소보 전쟁이 발발했고,[7][8] 1999년에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NATO의 공습을 받았다.[9][10] 공습에서는 베오그라드를 포함한 여러 도시들에 대한 전략 폭격도 이루어졌다. 그 후, 베오그라드 정부는 코소보의 통치권 중지에 동의했고, 코소보는 국제 연합의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 (UNMIK)의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으며, 세르비아의 통치가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여파는 세르비아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또한, 국민들의 밀로셰비치에 대한 분노도 증대되었다. 전쟁과 그 영향으로 인해, 세르비아에서는 보이슬라프 셰셸리가 이끄는 세르비아 급진당 등 극우 정당이 부상했다. 셰셸리는 모든 세르비아인은 통일된 하나의 국가에서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인물이다. 셰셸리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직접 사병을 이끌고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분쟁에 참여했다. 셰셸리는 1994년과 1995년에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해 체포되었지만, 그 후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세르비아 부통령이 되었다. 2000년, 세르비아 시민들은 선거 조작으로 인해, 선거 후에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을 사임하는 것을 거부한 것에 대해 항의 시위를 벌였다.[13] 밀로셰비치는 2000년10월 5일 정부에서 축출되었고, 그 다음 날 공식적으로 사임했다. 밀로셰비치는 2001년, 정권 시대의 부정 혐의로 연방 정부에 의해 체포되었고, 그 후 전쟁 범죄 혐의로 헤이그에 있는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로 인도되었다.[14]
밀로셰비치의 실각 후, 세르비아의 정치인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이 되었다. 2002년, 밀로셰비치의 측근이었던 밀란 밀루티노비치는 세르비아 대통령에서 물러났고, 12년에 걸친 세르비아 사회당의 지배 체제는 완전히 붕괴되었다. 민주당의 보리스 타디치가 밀루티노비치를 대신하여 세르비아 대통령이 되었다.

200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헌법 개정으로 인해 해당 국가는 국가 연합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되었다.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 공화국과 함께 이 국가 연합을 구성하는 두 공화국 중 하나가 되었다. 국가 연합 안에서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로서의 민족 의식을 더욱 높였다. 몬테네그로에서는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대신하여 독일 마르크를 통화로 도입했으며, 2002년부터는 유로로 대체되었다. 세르비아는 이를 받아들여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세르비아 디나르로 바꾸고, 중앙 은행은 유고슬라비아 국립 은행에서 세르비아 국립 은행으로 개칭되었다. 세르비아는 2006년 몬테네그로의 독립 선언을 받아 세르비아도 독립을 선언하기까지 이 국가 연합의 하위에 머물렀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세르비아는 국가의 방향성을 둘러싸고 중대한 내정 문제를 안고 있었다. 세르비아의 정치인들은 유고슬라비아를 완화된 국가 연합으로 이행하는 결정에 대해 의견이 분열되었다. 조란 진지치는 완화된 국가 연합으로의 이행을 추진한 중심 인물로 여겨졌으며,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대통령이었던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진지치의 정치에 대한 민족주의자들의 분노는 2003년 3월 진지치 암살로 이어졌다.[15] 총리였던 진지치의 암살에 대해 국가 비상 사태가 선포되었다. 2004년부터는 유럽 연합에 친화적인 정치 세력이 연대하여, 세르비아의 EU 가입에 반대하는 세력과 대립하는 구도가 되었다.[16]
2006년,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의 국가 연합으로부터의 독립을 묻는 주민 투표 실시라는 사태에 직면했다.[17]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몬테네그로가 국가 연합에 남기를 바랐다. 지금까지의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양호한 관계, 그리고 몬테네그로인은 민족적·문화적·종교적으로 세르비아인이라는 생각이 세르비아인들 사이에는 있었다. 연합 유지를 요구하는 정치인들의 강력한 정치 캠페인도 전개되었지만,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세력은 유럽 연합에 의해 요구된 55% 이상의 독립 찬성표를 달성하여 독립을 선언하게 되었다. 몬테네그로의 독립 선언에 따라 세르비아에서도 독립이 선언되어 1918년 이래 처음으로 세르비아는 독립국이 되었다.
2. 2. 세르비아 공화국
2006년 6월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통해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분리 독립하면서 세르비아로 이어지고 있다.[1]3. 정치
세르비아 공화국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여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실질적인 권한은 총리가 이끄는 내각에 있었다. 세르비아의 정치는 다당제로 운영되어 여러 정당들이 경쟁하였다. 주요 정당으로는 세르비아 진보당(SNS), 세르비아 사회당(SPS), 세르비아 급진당(SRS) 등이 있었다.
코소보 문제는 세르비아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였으며, 세르비아 정부는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자치주로 간주하였다.
다음은 세르비아 공화국의 대통령과 총리 목록이다.
직함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정당 |
---|---|---|---|---|
대통령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 1991년 1월 11일 | 1997년 7월 23일 | 세르비아 사회당 |
드라간 토미치 (임시) | 1997년 7월 23일 | 1997년 12월 29일 | 세르비아 사회당 | |
밀란 밀루티노비치 | 1997년 12월 29일 | 2002년 12월 29일 | 세르비아 사회당 | |
나타샤 미치치 (임시) | 2002년 12월 29일 | 2004년 1월 27일 | 세르비아 시민 동맹 | |
드라간 마르시차닌 (임시) | 2004년 2월 4일 | 2004년 3월 3일 | 세르비아 민주당 | |
보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임시) | 2004년 3월 3일 | 2004년 3월 4일 | 세르비아 민주 운동 | |
프레드라그 마르코비치 (임시) | 2004년 3월 4일 | 2004년 7월 11일 | G17+ | |
대통령 | 보리스 타디치 | 2004년 7월 11일 | 2006년 6월 5일 | 민주당 |
총리 | 라도만 보조비치 | 1992년 4월 27일 | 1993년 2월 10일 | 세르비아 사회당 |
니콜라 샤이노비치 | 1993년 2월 10일 | 1994년 3월 18일 | 세르비아 사회당 | |
미르코 마르야노비치 | 1994년 3월 18일 | 2000년 10월 24일 | 세르비아 사회당 | |
밀로미르 미니치 | 2000년 10월 25일 | 2001년 1월 25일 | 세르비아 사회당 | |
조란 진지치 | 2001년 1월 25일 | 2003년 3월 12일 | 민주당 | |
네보이샤 초비치 (대행) | 2003년 3월 12일 | 2003년 3월 18일 | 민주 대안 | |
총리 | 자르코 코라치 (대행) | 2003년 3월 17일 | 2003년 3월 18일 | 사회민주연합 |
조란 지브코비치 | 2003년 3월 18일 | 2004년 3월 4일 | 민주당 | |
총리 |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 | 2004년 3월 4일 | 2006년 6월 5일 | 세르비아 민주당 |
3. 1.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는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세르비아 대통령을,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에서 세르비아의 정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들의 이익을 대변하고자 했다. 이들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부터 독립을 원치 않고,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남기를 희망했다.[6]1989년 이후, 세르비아는 전 공산주의자이자 유고슬라비아 내 세르비아인의 권익 보호를 주장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끌었다. 1992년, 밀로셰비치는 몬테네그로 대통령 모미르 불라토비치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결성에 합의했다. 국제 사회는 이 연방에서 세르비아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여, 세르비아 대통령인 밀로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보다 더 큰 권력을 가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초대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 도브리차 초시치는 밀로셰비치에 반대하여 사임했다. 밀로셰비치 정부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대한 영토적 요구는 하지 않았다. 밀로셰비치 지지자들은 그가 크로아티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에서 일방적으로 분리된 세르비아인 자치 국가(스릅스카 공화국,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공화국)에 대해, 해당 지역 세르비아인의 민족 자결 원칙을 지지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밀로셰비치는 이들 국가로부터 분리 독립하려는 세르비아계 분리주의자들을 지원했다. 이로 인해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분리주의자들의 전쟁 범죄 행위를 지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1995년, 밀로셰비치는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킨 데이턴 협정에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을 대표하여 서명했다.[6] 그는 1997년까지 세르비아 대통령직을 유지했고,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대통령이 되었다. 1997년 밀란 밀루티노비치가 세르비아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코소보 자치주의 정치적 불안이 심화되었고, 1998년부터 코소보 전쟁이 발발했다.[7][8] 1999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NATO의 폭격을 받았으며,[10] 베오그라드를 포함한 여러 도시가 폭격당했다. 이후 베오그라드는 코소보에 대한 통제권을 국제 연합의 자율 위임 통치에 넘기기로 합의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은 제재, 과도한 인플레이션,[12] 밀로셰비치에 대한 분노로 이어져 세르비아 경제를 붕괴시켰다. 전쟁과 그 여파로 세르비아 급진당의 보이슬라브 셰셸리와 같은 세르비아 초민족주의자 정당이 부상했다. 셰셸리는 모든 세르비아인이 단일 국가에서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장려했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에 대한 세르비아계 민족 학살 캠페인에 참여했다. 셰셸리는 1994년과 1995년에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해 체포되었지만,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세르비아 부통령을 역임했다. 2000년, 밀로셰비치가 선거에서 물러나기를 거부하자 세르비아 시민들은 선거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고, 유권자 사기 혐의가 제기되었다.[13] 밀로셰비치는 2000년 10월 5일에 축출되었고, 다음날 공식적으로 사임했다. 그는 2001년에 권력 남용과 부패 혐의로 체포되었고, 헤이그로 이송되어 전쟁 범죄 혐의에 직면했다.[14]
밀로셰비치의 축출 이후,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이 되었다. 2002년, 밀로셰비치의 동맹이었던 세르비아 대통령 밀루티노비치가 사임하면서, 세르비아 사회당의 12년간의 정치적 리더십은 종식되었다. 민주당의 보리스 타디치가 밀루티노비치를 대신했다.
4. 행정 구역
베오그라드가 수도였다. 이외에도 보이보디나 자치주와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가 있었다.
5. 주민
6. 종교
7. 외교 관계
세르비아는 유럽 연합(EU) 가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러시아와 전통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코소보 문제는 세르비아 외교의 가장 중요한 현안 중 하나이며, 세르비아는 코소보를 독립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stav Republike Srbije
http://www.parlament[...]
2023-01-22
[2]
뉴스
Serbia ends union with Montenegro
https://www.irishtim[...]
[3]
문서
Prosecutor v. Milan Martić Judgemen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9-13
[4]
웹사이트
Prosecutor v. Milan Martić Judgemen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9-13
[5]
간행물
Daily Report: East Europe, Issues 191-210
United States. Foreig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6]
뉴스
In Reversal, Serbs of Bosnia Accept Peace Agreement
https://www.nytimes.[...]
1995-11-24
[7]
서적
The Kosovo Report
http://reliefweb.int[...]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International Conflict: Logic and Evidence
https://books.google[...]
Sage
[9]
서적
Violence After War: Explaining Instability in Post-Conflict Stat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
뉴스
NATO hits Montenegro, says Milosevic faces dissent
http://www.cnn.com/W[...]
CNN
1999-04-29
[11]
뉴스
Одлука о приступању Савез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Савезу Русије и Белорусије: 25/1999-1
https://www.pravno-i[...]
Pravno informacioni sistem RS
2023-01-22
[12]
웹사이트
The World's Greatest Unreported Hyperinflation
https://www.cato.org[...]
2019-05-07
[13]
웹사이트
Hronologija: Od kraja bombardovanja do 5. oktobra
http://www.b92.net/i[...]
B92
2014-01-29
[14]
웹사이트
Arrest and Transfer
https://www.icty.org[...]
[15]
뉴스
Danas – Zoran Đinđić murdered, state of emergency in Serbia
http://www.danas.rs/[...]
2003-03-13
[16]
뉴스
Kosovo: Adjusting to a "New Reality"
https://www.marshall[...]
2008-07-02
[17]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18]
뉴스
Montenegro declares independen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6-04
[19]
웹사이트
Serbia inherits state and legal continuity of Serbia-Montenegro
https://www.srbija.g[...]
2022-03-04
[20]
웹사이트
New constitution to be adopted with consensus of all parliamentary parties
https://www.srbija.g[...]
2022-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