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셰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루셰보는 북마케도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배"를 의미하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비잔틴 제국, 세르비아 제국,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거쳤으며, 18세기부터 아로마니아인과 알바니아인들이 정착하면서 상업 중심지로 성장했다. 1903년에는 일린덴 봉기를 통해 크루셰보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오스만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다. 현재는 마케도니아인, 아로마니아인 등이 거주하며, 아로마니아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는 유일한 지역이다. 해발 1350m에 위치하여 북마케도니아에서 가장 높은 도시이며, 19세기 오스만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과 마케도니움 기념비, 메킨 카멘 등 역사적인 랜드마크가 있다. 또한, 겨울 스포츠 명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수 토셰 프로에스키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스키장 - 고스티바르
고스티바르는 북마케도니아 북서부 샤르 산맥 기슭에 위치한 도시로, 바르다르강이 관통하며 알바니아인, 마케도니아인, 튀르크인, 로마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오스만 제국 시대 카자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상업과 관광업이 발달한 KF 고스티바르 축구 클럽의 연고지이다. - 북마케도니아의 도시 - 비톨라
비톨라는 북마케도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드라고르 강을 끼고 있으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문화 도시로 번영했고 현재는 북마케도니아의 경제 및 산업 중심지이다. - 북마케도니아의 도시 - 오흐리드
북마케도니아 남서부 오흐리드 호숫가에 위치한 오흐리드는 고대 도시 리크니도스의 역사를 잇는 도시이자 기독교 문화 중심지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키릴 문자가 고안된 곳으로 알려져 있고, 1991년 이후 북마케도니아의 일부로서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크루셰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마케도니아어) | Крушево |
| 이름 (아로마니아어) | Crushuva |
| 다른 이름 | |
| 별칭 | 없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 국가 | 북마케도니아 |
| 지역 | 펠라고니아 |
| 자치체 | 크루셰보 |
| 좌석 종류 | 해당 없음 |
| 좌석 위치 | 해당 없음 |
| 정치 | |
| 정부 관련 각주 | 해당 없음 |
| 정부 형태 | 해당 없음 |
| 시장 | 토메 흐리스토스키 (SDSM) |
| 지리 | |
| 면적 관련 각주 | 해당 없음 |
| 총 면적 (km²) | 해당 없음 |
| 육지 면적 (km²) | 해당 없음 |
| 수면 면적 (km²) | 해당 없음 |
| 총 면적 (mi²) | 해당 없음 |
| 육지 면적 (mi²) | 해당 없음 |
| 수면 면적 (mi²) | 해당 없음 |
| 수면 비율 | 해당 없음 |
| 해발고도 관련 각주 | 해당 없음 |
| 해발고도 (m) | 1350 |
| 해발고도 (ft) | 해당 없음 |
| 최대 해발고도 (m) | 해당 없음 |
| 최대 해발고도 (ft) | 해당 없음 |
| 최소 해발고도 (m) | 해당 없음 |
| 최소 해발고도 (ft) | 해당 없음 |
| 인구 | |
| 인구 조사 기준 | 2021년 |
| 인구 관련 각주 | Statistical Office |
| 인구 관련 참고 | 해당 없음 |
| 총 인구 | 4104 |
| 인구 밀도 (km²) | 해당 없음 |
| 인구 밀도 (mi²) | 해당 없음 |
| 시간대 | |
| 시간대 | CET |
| UTC 오프셋 | +1 |
| 하계 시간대 | CEST |
| UTC 오프셋 (DST) | +2 |
| 기타 정보 | |
| 좌표 종류 | 해당 없음 |
| 우편 번호 종류 | 우편 번호 |
| 우편 번호 | 7550 |
| 지역 번호 | +389/48/47X-XXX |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 차량 번호판 | KS, BT |
| 기후 | Cfb |
| 각주 | 해당 없음 |
2. 명칭
크루셰보(Kruševo)라는 이름은 슬라브어의 "gruša", "kruša" (배, 배나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grušiti'', *''krušiti''(부서지다, 깨지다)에서 파생되었다. 또한 인도유럽어의 *''peisom''(배) < *''peis-'' 와도 관련이 있다.[3]
다른 발칸 반도 언어에서 이 마을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 Krushevë|크루셰버sq
- Crushuva|크루슈바rup
- Κρούσοβo|크루소보el 또는 Κρουσοβός|크루소보스el
- Crușova|크루쇼바ro
- Kruşova|크루쇼바tr 또는 Kuruşova|쿠루쇼바tr
3. 역사
크루셰보는 초기 비잔틴 제국의 일부였다가 9세기에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11세기에는 다시 비잔틴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이후 세르비아 제국(1346–1371)의 후계 국가인 프린스 마르코(재위: 1371 - 1395)의 ''프릴레프 공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는데, 이곳에서 주판(Župan) 우카신 므르냐브체비치(왕 스테판 우로쉬 5세의 공동 통치자)의 아버지가 지역을 지배했다. 이 공국과 지역은 1395년에 오스만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다.[4]
18세기 중반 라자로폴레에서 이주해 온 마케도니아인(미약)과 아로마니아인들이 정착하면서 크루셰보가 형성되었다.[16][9] 당시 남부 알바니아 지역의 사회·정치적, 경제적 위기로 인해 정교회 알바니아 난민들도 가족 단위로 크루셰보에 함께 정착했다.[16][9] 19세기에는 발칸 반도와 유럽을 잇는 상업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니치오타스 형제를 비롯한 현지 상인들은 비엔나에서 활동했다.[10]
19세기 초 정교회 알바니아인들은 'Ohtul di Arbinesh'(알바니아인의 언덕) 구역을 세웠으나, 곧 크루셰보의 아로마니아인에 동화되었다.[11] 1860년대에는 불가리아 시와 학교가 설립되었고,[12] 이후 불가리아 여자 학교가 그리스 학교와 함께 운영되었다.[13] 1876년에는 루마니아 학교도 문을 열었다.[14] 크루셰보에는 오스만 제국이 인정한 불가리아, 그리스, 아로마니아 세 민족 공동체의 학교가 있었다.[5][6][7][8]

1903년 일린덴 봉기 당시 반군은 크루셰보 공화국을 잠시 선포했다. 봉기 진압 후 도시는 오스만 군대에 의해 거의 파괴되었다. 크루셰보 선언은 마케도니아의 모든 민족이 종교와 국적에 관계없이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
크루셰보는 1920년대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9년부터 194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바르다르 주의 일부였다.
3. 1. 중세
초기에는 비잔틴 제국의 일부였던 이 지역은 9세기에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11세기에 비잔틴 제국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다. 이 지역은 이내 세르비아 제국 (1346–1371)의 후계 국가인 프린스 마르코 (재위: 1371 - 1395)의 단명한 ''프릴레프 공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는데, 이곳에서 주판(Župan) 우카신 므르냐브체비치 (왕 스테판 우로쉬 5세의 공동 통치자)의 아버지가 지역을 지배했다. 이 공국과 지역은 1395년에 오스만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다.[4]3. 2. 오스만 제국 시기
크루셰보는 18세기 중반 라자로폴레에서 이주해 온 마케도니아인(미약)과 아로마니아인들이 정착하면서 형성되었다.[16][9] 당시 남부 알바니아 지역의 사회·정치적, 경제적 위기로 인해 정교회 알바니아 난민들도 가족 단위로 크루셰보에 함께 정착했다.[16][9] 이들은 비트쿠크, 오파르, 코르처, 폴레네, 다르데, 엠보르예 등지에서 왔다.[16]19세기 크루셰보는 발칸 반도와 유럽을 잇는 상업 중심지로 성장했다. 니치오타스 형제를 비롯한 현지 상인들은 비엔나에서 활동했다.[10] 19세기 초 정교회 알바니아인들은 'Ohtul di Arbinesh'(알바니아인의 언덕) 구역을 세웠으나, 곧 크루셰보의 아로마니아인에 동화되었다.[11] 1860년대에는 불가리아 시와 학교가 설립되었고,[12] 이후 불가리아 여자 학교가 그리스 학교와 함께 운영되었다.[13] 1876년에는 루마니아 학교도 문을 열었다.[14] 20세기 초, 바실 칸초프의 통계에 따르면 크루셰보에는 불가리아인 4,950명, 블라흐인(아로마니아인) 4,000명, 기독교 알바니아인 400명이 거주했다.[15] 20세기 초에는 현지인과의 혼인으로 소규모 정교 알바니아 공동체에서 알바니아어 사용자가 거의 없었다.[16] 아로마니아인 거주 지역은 아로마니아어로 알바니아인을 뜻하는 아르비네쉬로 불렸다.[17] 불가리아 교사 니콜라 키로프는 대부분의 아로마니아인과 정교 알바니아인이 사실상 ''그레코만''이었다고 기록했다.[18]
크루셰보에는 오스만 제국이 인정한 불가리아, 그리스, 아로마니아 세 민족 공동체의 학교가 있었다.[5][6][7][8]
1903년 일린덴 봉기 당시 반군은 크루셰보 공화국을 잠시 선포했다. 지도자 니콜라 카레프는 슬라브인, 블라흐인, 정교 알바니아인 각 20명씩, 총 60명으로 구성된 의회를 소집했다.[19][20] 봉기 진압 후 도시는 오스만 군대에 의해 거의 파괴되었다. 크루셰보 선언은 마케도니아의 모든 민족이 종교와 국적에 관계없이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 피투 굴리 부대가 비톨라에서 온 튀르키예 군대로부터 크루셰보를 지키려 했던 메츠킨 카멘(곰의 돌)에는 기념비가 있다.
3. 3.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기
크루셰보는 1920년대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9년부터 194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바르다르 주의 일부였다.4. 인구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루셰보의 주민은 4,104명이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21]
| 민족 | 인구 | 비율 (%) |
|---|---|---|
| 마케도니아인(마케도니아 민족) | 3,053명 | 74.4% |
| 아로마니아인 | 866명 | 21.1% |
|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 | 146명 | 3.6% |
| 세르비아인 | 10명 | 0.2% |
| 알바니아인 | 9명 | 0.2% |
| 보스니아인 | 1명 | 0.0% |
| 기타 | 19명 | 0.5% |
| 연도 | 마케도니아인 | 알바니아인 | 아로마니아인 | 세르비아인 | 보스니아인 | 기타 |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 | 총계 |
|---|---|---|---|---|---|---|---|---|
| 2002 | 4,273 | - | 1,023 | - | - | 37 | - | 5,330 |
| 2021 | 3,053 | 9 | 866 | 10 | 1 | 165 | 146 | 4,104 |
크루셰보의 공식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와 아로마니아어이다. 크루셰보는 아로마니아어가 공식적인 지위를 갖는 유일한 지역이다.
마을의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정교회 기독교인: 5,275명 (99.0%)
- 기타: 55명 (1.0%)
5. 종교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루셰보 주민의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21]
- 정교회 신자: 5,275명 (99.0%)
- 기타: 55명 (1.0%)
6. 문화
크루셰보는 아로마니아인의 주요 정착지 중 하나로, 요리, 문화 단체, 민속춤, 문학, 음악, 전통 의상 등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다.[22]
이 도시에는 19세기 아이콘 전시와 이 도시 출신의 마케도니아 화가 니콜라 마르티노브스키 기념관이 있다.
6. 1. 건축
크루셰보는 독특한 전통 가옥 건축 양식으로 유명하다.
6. 2. 민족 마을 프로젝트
"크루셰보 민족 마을" 프로젝트는 북마케도니아 문화부의 지원을 받아 소수의 열정적인 사람들이 개발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 따르면, 크루셰보는 1903년 일린덴 봉기의 중심지 중 하나였던 20세기 초의 마을처럼 보이게 된다. 이 봉기는 크루셰보 공화국의 창설로 이어졌다. 사람들은 오스만 군인과 IMARO 혁명가처럼 옷을 입을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5년 안에 크루셰보를 주요 관광지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23]6. 3. 기념물
크루셰보는 산악 도시이다. 해발 1350m에 위치한 크루셰보는 북마케도니아에서 가장 높은 도시이다. 19세기 오스만 건축으로 유명하며, 오래된 건물과 최근에 지어진 건물들이 옛 마케도니아 건축 양식으로 지어져 있다.
이곳에는 1903년 봉기의 장소를 기념하는 역사적인 랜드마크인 메킨 카멘이 있다. 매년 8월 2일, 이곳은 마케도니아 지도자들이 참석하는 전통적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날 기념 행사가 열리는 두 장소 중 하나이다.

크루셰보에는 일린덴 봉기와 크루셰보 공화국을 기념하는 ''마케도니움'' 기념비와 일린덴 봉기에 관한 많은 박물관이 있다.
이 도시의 갤러리에는 19세기 아이콘 전시와 이 도시에서 태어난 마케도니아 화가 니콜라 마르티노스키 기념관이 있다.
고도가 높기 때문에 크루셰보는 북마케도니아의 겨울 스포츠 명소 중 하나이다. 지역 축구 클럽인 FK 피투 굴리는 지역 혁명 지도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마케도니아 세컨드 리그 (동부 지구)에서 활약하고 있다.

7. 저명한 출신 인물
- 토셰 프로에스키: 발칸 반도 전역에서 유명한 가수이다.
- 니콜라 카레프: 정치인이자 혁명 지도자이다.
- 피투 굴리: 혁명 지도자이다.
- 바실 일요스키: 작가이다.
- 니콜라 마르티노스키: 화가이다.
- 타키 흐리시크: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이다.
- 이오르기 무치타노: 혁명가이다.
- 일리아 나이도스키: 축구 선수이며, 유러피언 컵 우승자이다.
- 타키 피티: 학자, 전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회장, 정치인, 재무부 장관, 작가이다.
- 니콜라에 바차리아: 작가이며, 오스만 제국 공공사업 및 상무부 장관이었다.
- 알렉산드로스 스볼로스: 저명한 그리스 법률 전문가이며, 추축국 점령기 그리스에서 저항을 기반으로 한 정부인 민족 해방 정치 위원회 회장이었다.
- 멘차 카르니체바: 혁명가이다.
- 니콜라 가브로브스키: 군인이다.
- 야니스 부타리스: 사업가, 정치인이며, 전 테살로니키 시장이었다.
참조
[1]
서적
Ethnizität und räumliche Verbreitung der Aromunen in Südosteuropa
Universität Münster: Institut für Geographie der Westfälischen Wilhelms
[2]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Krusevo
http://travel2macedo[...]
[3]
문서
Bulgarian etymological dictionary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4]
웹사이트
Marko J.VA Fine, The late mediaeval Balkans, p.380
https://books.google[...]
[5]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https://books.google[...]
Peter Lang
[6]
서적
Fieldwork Dilemmas: Anthropologists in Postsocialist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7]
서적
The Forgotten Minorities of Eastern Europe: The history and today of selected ethnic groups in five countries.
East-West Books
[8]
서적
The past in question: modern Macedonia and the uncertainties of n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서적
Odbrani dela vo šest knigi: Makedonskoto nacionalno dviženje
https://books.google[...]
Naša kniga
[10]
문서
Modern history of Macedonia
Thessaloniki
[11]
간행물
Shqipa Dhe Maqedoarumanishtja Nga Aspekti I Kontakteve Midis Tyre
ITSH
2011
[12]
문서
Българите в Македония
София
[13]
문서
Българската просвета в Македония и Одринска Тракия 1878–1913
София
[14]
문서
Македонските ромъни
[15]
웹사이트
Васил Кънчов. „Македония. Етнография и статистика“
http://www.promacedo[...]
София
[16]
서적
The Vlachs: Metropolis and Diaspora
https://books.google[...]
Zitros Publications
[17]
간행물
Vendbanimet dhe popullsia albane gjatë mesjetës në hapësirën e Maqedonisë së sotme: Sipas burimeve sllave dhe osmane
https://www.ceeol.co[...]
[18]
서적
The Past in Question: Modern Macedonia and the Uncertainties of N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서적
State and Nation Building in East Central Europe: Contemporary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n East Central Europe, Columbia University
[20]
서적
The Forgotten Minorities of Eastern Europe: The History and Today of Selected Ethnic Groups in Five Countries
East-West Books
[21]
웹사이트
Macedonian census, language and religion
http://makstat.stat.[...]
[22]
문서
"Ньъ пляк е ньъ плякя"
[23]
뉴스
Macedonian newspaper 'Vreme'
http://www.vreme.com[...]
2011-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