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바니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니아인은 발칸 반도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알바니아를 비롯하여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등지에 분포하며, 자칭 민족명은 '슈치프타르'이다.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알바니아어라는 고유 언어를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를 믿어왔으며, 현재는 이슬람교, 기독교, 무종교 등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보인다. 알바니아 문화는 부족 중심의 사회 구조, 관습법인 카눈, 독특한 요리, 예술, 문학, 전통 의상, 음악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하플로그룹 E1b1b가 주요 Y-DNA 하플로그룹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 사람 - 스트라디오트
    스트라디오트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남부 및 중부 유럽에서 용병으로 활동한 발칸 출신 병사들을 지칭하는 이탈리아어 용어로, 알바니아인, 그리스인, 슬라브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뛰어난 기병술과 독특한 전술로 명성을 떨쳤다.
  • 코소보 사람 - 코소보인
    코소보인은 알바니아계가 다수를 차지하며 무슬림이고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코소보 거주민을 지칭하며, 서유럽을 중심으로 정치·경제적 이유로 발생한 디아스포라가 존재하며 코소보 경제에 기여하고 문화유산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코소보의 민족 - 유고슬라브인
    유고슬라브인(Yugoslavs)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건국 이념에 따라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족 범주이다.
  • 코소보의 민족 - 알바니아계 코소보인
    알바니아계 코소보인은 코소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코소보의 역사, 문화,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게그 알바니아어 방언을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경향이 있는 알바니아인들을 지칭한다.
알바니아인
지도
기본 정보
민족 이름알바니아인
로마자 표기Shqiptarët
현지어Shqiptar
IPA (알바니아어)ʃcipˈtaɾ/-e/-ət
영어 이름Albanians
IPA (영어)ælˈbɛɪniənz
총 인구약 700만 ~ 1000만 명
거주 지역
알바니아2,182,917 명 (2023년)
코소보1,797,856 명 (2021년)
기타 지역
이탈리아970,000 명
그리스500,000–600,000 명
북마케도니아446,245 명
터키500,000–6,000,000 명
몬테네그로30,439 명
세르비아61,687 명
크로아티아17,513 명
슬로베니아6,186 명
스페인3,998 명
포르투갈99 명
스웨덴54,000 명
노르웨이19,891 명
영국13,000 명
핀란드10,391 명
덴마크8,223 명
아일랜드953–2,133 명
루마니아10,000 명
우크라이나5,000 명
체코1,512 명
라트비아17 - 31 명
독일200,000–300,000 명
스위스200,000 명
오스트리아28,212 명
프랑스27,200 명 (2019년)
네덜란드12,969 명
벨기에5,600–30,000 명
룩셈부르크2,155 명
미국194,028 명
아르헨티나50,000 명
캐나다39,055 명
콜롬비아348 명
쿠바101 명
파나마9 명
오스트레일리아11,315 명
뉴질랜드243 명
이집트18,000 명
카타르1,200 명
키프로스275 명
남아프리카 공화국268 명
아랍에미리트200–300 명
언어
언어알바니아어
종교
주요 종교이슬람교
수니파
벡타시교
비종파 무슬림
소수 종교기독교
가톨릭교
라틴 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알바니아 그리스 가톨릭 교회
이탈리아-알바니아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알바니아 정교회
미국 알바니아 정교회
개신교
알바니아 개신교 교회
코소보 개신교 교회
기타무종교
관련 집단
관련 집단아슈칼리
추가 정보
이탈리아 내 알바니아인502,546명의 알바니아 시민, 43,751명의 코소보 알바니아인, 260,000명의 아르베레슈인, 이탈리아 시민권을 획득한 169,644명의 알바니아인
터키 내 알바니아인알바니아인은 터키에서 소수 민족으로 인정되지 않음. 약 500,000명이 알바니아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알바니아 혈통 및 터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포함 시 1,300,000-5,000,000명으로 추정됨.
기타 지역 인구추정치에는 코소보 알바니아인 포함.

2. 역사

알바니아인은 스스로를 슬라브족이나 그리스인보다 먼저 발칸 반도에 정착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라고 주장한다.[97]

알바니아코소보1479년부터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9세기 말부터 알바니아인들은 독립운동을 활발히 전개했다. 발칸 전쟁 (1912-1913) 결과, 알바니아는 1912년 11월 독립국이 되었고, 코소보는 1913년 8월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세르비아 왕국 영토가 되었다.[97] 이후 코소보는 계속 유고슬라비아에 속했기 때문에 세르비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구 유고슬라비아의 민족 분포(2008년). 코소보 등의 연한 파란색은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인도유럽어족계 고대 민족 일리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과거 몬테네그로인도 일리리아인이었다고 여겨진다. 남슬라브인의 남하로 몬테네그로는 슬라브화되었지만, 알바니아인은 고대부터의 계보를 유지하고 있다. 부족은 남부 토스크 지방에 거주하는 토스크족 (Tosksq)과 북부와 코소보 지역에 거주하는 게그족 (Gegsq)으로 나뉘며, 토스크족은 고대부터 무역을 중심으로 생활한 반면, 게그족은 산악 지대에서 농업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등 양자 간에 성격이 크게 다르다.

오스만 제국은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알바니아와 코소보 지역을 지배했다.[97] 이 시기 알바니아인들은 점차 이슬람교로 개종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 내에서 동등한 기회와 발전을 제공했다.[148] 알바니아인들은 오스만 군대와 관료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예니체리에 복무하거나 고위 관직에 올랐으며, 30명이 넘는 알바니아인들이 대베지르(총리)를 역임했다.[160][161]

1991년 알바니아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졌고, 시장 경제 체제로 전환되었다.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자치권을 유지하다가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세르비아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99년 코소보 분쟁 이후에는 유엔의 잠정 통치 기구의 관리하에 놓였으며, 세르비아 공화국 정부의 실효 지배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코소보는 2008년에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는 그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코소보를 자국의 영토(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로 간주하고 있다.[338]

2. 1. 고대

11세기 이전에 알바니아인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지만, 11세기 초에 편찬된 불가리아어 문서에 알바니아인으로 추정되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97] 이 문서는 17세기에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쓰인 사본에 보존되어 있으며, 20세기에 라도슬라브 그루이치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 문서는 민족과 언어의 기원을 설명하려는 시도의 일부였다.[97]

이 사본은 세계를 72개의 언어와 세 가지 종교적 범주로 구분했다. 그루이치는 이를 11세기 초로 추정했으며, 'Arbanasi'를 알바니아인으로 식별하는 것이 정확하다면, 이는 발칸 알바니아인들을 민족 또는 언어 집단으로 언급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 될 것이다.[97]

지구상에는 다양한 언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반신자의 언어는 열두 가지가 있다. 알레마니아인, 프랑크인, 마자르인(헝가리인), 인도인, 자코바이트, 아르메니아인, 색슨인, 레흐인(폴란드인), '''Arbanasi'''(알바니아인), 크로아티아인, 히지, 독일인이다.


미카엘 아탈레이아테스(1022~1080)는 'Albanoi'라는 용어를 두 번, 'Arbanitai'라는 용어를 한 번 언급한다. 'Albanoi'는 1038~1040년에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서 비잔티움 제국에 반기를 든 집단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Albanoi'의 두 번째 사용은 1042년 조지 마니아케스의 반란을 지지한 집단과 관련이 있다. 'Arbanitai'라는 용어는 1078~1079년 드리라키움 테마에서 불가리아인(Boulgaroi)과 'Arbanitai'의 반란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Arbanitai'는 중세 알바니아인들의 민족명을 가리키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이는 비잔틴 역사서에서 알바니아인들을 민족 집단으로 처음 언급한 것으로 간주된다.[98]

1038~1049년과 1042년에 'Albanoi'라는 용어가 알바니아인과 관련된 민족명으로 사용된 것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브라누시-듀셀리에 논쟁"에서 알랭 듀셀리에는 이 용어의 두 가지 사용 모두 중세 알바니아인들을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에라 브라누시는 첫 번째 사용은 노르만인을 가리키는 반면, 두 번째 사용은 반드시 민족적 의미를 지닌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98] 이 논쟁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펠룸브 주피는 'Albanoi'라는 용어가 특정 지역인 알바논의 알바니아인들을 가리키는 반면, 'Arbanitai'는 일반적인 알바니아인들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알바니아인들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알바노이드어파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언어이자, 팔레오 발칸어군에 속하는 알바니아어를 사용한다. 알바니아어는 기원전 3000년에서 2500년 사이에 일어난 인도유럽인들의 이동 이후 서발칸반도에서 형성되었다.[99][100]

코마니-크루야 문화는 고대 후기부터 중세까지 알바니아 중부와 북부 등지에서 확인되는 고고학 문화이다. 이 문화는 아드리아 해안선과 발칸 중부 로마 속주를 연결하는 레자-다르다니아 및 비아 에그나티아 도로망을 따라 언덕 요새 아래에 주로 건설된 정착지로 구성된다. 크루야와 레자는 이 문화의 중요한 유적지이다. 코마니-크루야 문화의 주민은 로마 유스티니아누스 시대 요새의 군사 시스템과 관련된 발칸 서부의 지역 주민이었다. 코마니-크루야 문화의 발전은 11세기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중세 알바니아인으로의 전환 연구에 중요하다.

2. 2. 중세

알바니아인들은 11세기 초에 편찬된 불가리아어 문서에 처음으로 언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97] 이 문서는 17세기에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쓰인 사본에 보존되어 있으며, 20세기에 라도슬라브 그루이치(Radoslav Grujic)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 문서는 민족과 언어의 기원을 설명하려는 교리문답과 유사한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작성되었다.

이 파편화된 사본은 세계를 72개의 언어와 세 가지 종교적 범주로 구분했다. 그루이치는 이를 11세기 초로 추정했으며, 'Arbanasi'를 알바니아인으로 식별하는 것이 정확하다면, 이는 발칸 알바니아인들을 민족 또는 언어 집단으로 언급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 될 것이다.[97]

>지구상에는 다양한 언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중 정교회 언어는 다섯 가지가 있다. 불가리아어, 그리스어, 시리아어, 이베리아어(조지아어) 그리고 러시아어이다. 이 중 세 가지는 정교회 알파벳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어, 불가리아어 그리고 이베리아어(조지아 문자)이다. 반신자의 언어는 열두 가지가 있다. 알레마니아인, 프랑크인, 마자르인(헝가리인), 인도인, 자코바이트, 아르메니아인, 색슨인, 레흐인(폴란드인), '''Arbanasi'''(알바니아인), 크로아티아인, 히지, 독일인이다.

미카엘 아탈레이아테스(1022~1080)는 'Albanoi'라는 용어를 두 번, 'Arbanitai'라는 용어를 한 번 언급한다. 'Albanoi'는 1038~1040년에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서 비잔티움 제국에 반기를 든 집단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Albanoi'라는 용어의 두 번째 사용은 1042년 조지 마니아케스의 반란을 지지하고 그와 함께 발칸 반도 전역을 돌아다니며 비잔티움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한 집단과 관련이 있다. 'Arbanitai'라는 용어는 1078~1079년 드리라키움 테마에서 불가리아인(Boulgaroi)과 'Arbanitai'의 반란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Arbanitai'는 중세 알바니아인들의 민족명을 가리키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98]

7세기-8세기 유리 목걸이, 슈르다, 티라나 고고학 박물관


코마니-크루야 문화는 고대 후기부터 중세까지 알바니아 중부와 북부, 몬테네그로 남부, 그리고 북마케도니아 서부 유사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고학 문화이다. 이 문화는 레자-다르다니아 및 비아 에그나티아 도로망을 따라 언덕 요새 아래에 주로 건설된 정착지로 구성된다. 크루야와 레자는 이 문화의 중요한 유적지이다. 코마니-크루야 문화의 주민은 로마 유스티니아누스 시대 요새의 군사 시스템과 관련된 발칸 서부의 지역 주민이었다. 코마니-크루야 문화의 발전은 11세기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중세 알바니아인으로의 전환 연구에 중요하다.

크루야(Krujë) 도시는 아르바논 공국(Principality of Arbanon)의 왕궁이었으며, 이후 카스트리오티(Kastrioti) 가문의 귀족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11세기부터 'Arbër' 또는 'Arbën'으로 알려진 알바니아인들은 1190년 아르바논 공국을 세우며 최초의 독립체를 건설했다.[124][125] 1216년 프로곤 왕조가 쇠퇴한 직후, 이 공국은 그레고리오스 카모나스와 그의 사위인 고렘의 지배를 받았다. 마침내 이 공국은 1255년경 니케아 제국에 의해 해체되었다.

1272년 알바니아 왕국이 건설되었다. 13세기 말까지 알바니아 대부분은 비잔티움 황제 안드로니코스 2세 팔라이올로고스의 지배하에 있었다. 1296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밀루틴은 두르러스를 점령했다.

14세기에는 카스트리오티 공국, 두카지니 공국, 알바니아 공국, 지로카스트라 공국 등 여러 알바니아 공국이 건설되었다. 15세기 초 이 공국들은 세르비아 제국의 몰락으로 더욱 강해졌다. 이 공국들 중 일부는 1444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군사 동맹인 레자 동맹으로 통합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알바니아 정복 이전, 알바니아 사람들의 정치적 상황은 알바니아 공국, 카스트리오티 공국 등 여러 왕국공국들의 집합체로 특징지어졌다.

오스만 디브라 산자크의 전 총독이었던 스칸데르베그의 지도 아래, 1444년 레주에 조약의 결성부터 1479년 슈코드라 공방전이 끝날 때까지 혁명이 일어났고, 술탄 무라드 2세와 메흐메트 2세가 이끄는 세력을 여러 차례 물리쳤다. 스칸데르베그는 여러 알바니아 지도자들을 모아 중앙 집권적인 권위를 확립하고 자신을 알바니아의 영주(라틴어로 ''Dominus Albaniae'')로 선포했다.[138]

2.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은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알바니아코소보 지역을 지배했다.[97] 이 시기 알바니아인들은 점차 이슬람교로 개종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 내에서 동등한 기회와 발전을 제공했다.[148]

알바니아인들은 오스만 군대와 관료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예니체리에 복무하거나 고위 관직에 올랐으며, 30명이 넘는 알바니아인들이 대베지르(총리)를 역임했다.[160][161] 대표적인 인물로는 자간 파샤, 바예지드 파샤, 쾨프륄뤼 가문 등이 있다.

18세기 후반, 알리 파샤 테펠레나(Ali Pasha Tepelena)는 야니나 파샤령이라는 자치 지역을 만들어 알바니아 남부, 에피루스, 테살리아 등을 통치했다.[144] 그는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관계를 맺으며 독립적인 통치를 추구했다.[145]

19세기에는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Muhammad Ali of Egypt)가 왕조를 세워 이집트수단을 통치했다.[146] 그는 알바니아계 군인들을 이끌고 이집트의 오스만 총독이 되었으며,[147]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이집트로 이주하여 알바니아인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었다.

19세기 말, 알바니아인들은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며 독립을 추구했다. 발칸 전쟁 (1912-1913) 결과, 알바니아는 1912년 독립국이 되었지만, 코소보세르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97]

2. 4. 근대

발칸 전쟁(1912년 10월 - 1913년 7월) 결과, 알바니아1912년 11월 독립국이 되었고, 코소보부쿠레슈티 조약(1913년 8월)에 따라 세르비아 왕국 영토가 되었다.[97] 이후 코소보는 계속 유고슬라비아에 속했기 때문에 세르비아 문화 등이 섞여 있다.

2. 5. 현대

알바니아의 알바니아인과 코소보의 알바니아인은 같은 혈통의 동족(同族)이다. 1991년 알바니아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졌고, 시장 경제 체제로 전환되었다.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에 속했기 때문에 세르비아 문화 등이 섞여 있다.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자치권을 유지하다가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세르비아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99년 코소보 분쟁 이후에는 유엔의 잠정 통치 기구의 관리하에 놓였으며, 세르비아 공화국 정부의 실효 지배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코소보는 2008년에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는 그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코소보를 자국의 영토(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로 간주하고 있다.[338] 코소보 국적자로 해외에 체류하는 알바니아인은 3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며, 그 목적은 임금 벌이 등 경제 활동이다.[338]

3. 민족명

알바니아인의 자칭 민족명은 "슈치프타르(Shqiptar)"이며, 복수형은 "슈치프타레(Shqiptarë)"이다.[91] 이 명칭은 "독수리의 자손"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이는 알바니아 민간어원에서 알바니아 깃발에 표시된 스칸데르베그 시대의 새 토템과 관련이 있다.[94][93] 학문적으로는 라틴어 "''excipere''"에서 "말하다"( ''me shqiptue'')라는 동사와 연결하여 "슬라브" 등 다른 알바니아어 자칭 민족명은 원래 "[알아들을 수 있게, 같은 언어로] 말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용어였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94]

"알바니아인"이라는 명칭은 (비잔티움 그리스어: ''Albanoi/Arbanitai/Arbanites''; 라틴어: ''Albanenses/Arbanenses'') 중세 문서에서 사용되었고 점차 유럽 언어로 들어왔다.[91] 예를 들어 영어로는 "Albanians", 이탈리아어로는 "Albanesi", 독일어로는 "Albaner" 등으로 불린다.[96][75][94]

"Shqipëri"와 "Shqiptar"라는 단어는 14세기부터 나타나지만,[95]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Shqipëria"라는 지명과 "Shqiptarë"라는 민족명이 알바니아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Arbëria"와 "Arbëreshë"를 점차 대체했다.[96][95] 이는 종교적 및 다른 사회 정치적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알바니아인들이 주변의 오스만 세계에 대해 민족적, 언어적 의식에 기반한 새로운 반응을 보이면서 민족명이 변화한 것이다.[96]

4. 하위 집단

알바니아인은 크게 북부의 게그족Gegësq과 남부의 토스크족Toskësq으로 나뉜다. 토스크족은 고대부터 무역을 중심으로 생활한 반면, 게그족은 산악 지대에서 생활하며 농업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등 양자 간에 성격이 크게 다르다.

5. 분포

알바니아인은 인도유럽어족계의 고대 민족 일리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과거 몬테네그로인도 일리리아인이었다고 여겨진다. 남슬라브인의 남하로 몬테네그로는 슬라브화되었지만, 알바니아인은 고대부터의 계보를 유지하고 있다. 알바니아인 부족은 남부 토스크 지방에 거주하는 토스크족 (Tosk)sq과 북부와 코소보 지역에 거주하는 게그족 (Geg)sq으로 나뉘는데, 토스크족은 고대부터 무역을 중심으로 생활한 반면, 게그족은 산악 지대에서 농업을 중심으로 생활하여 양자 간에 성격이 크게 다르다.

코소보의 알바니아인은 전체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지만, 1세기 가까이 세르비아 또는 유고슬라비아의 통치를 받았다. 세르비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 사이에 격렬한 갈등이 있었고, 1999년 코소보 분쟁 이후 유엔의 잠정 통치 기구 관리하에 놓이면서 세르비아 공화국 정부의 실효 지배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코소보는 2008년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코소보를 자국 영토(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로 간주한다. 코소보 국적자로 해외에 체류하는 알바니아인은 3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며, 주로 임금 벌이 등 경제 활동이 목적이다.[338] 코소보로 이민을 희망하는 알바니아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연간 255명(2007년) 미만이다.[338]

종교적으로는 대부분 이슬람교이며, 정교회(알바니아 정교)가 그 다음이다. 알바니아 본국에 사는 알바니아인은 거의 무교라고도 한다.[339][340]

크로아티아의 알바니아인은 약 17,500명으로, 대부분 중 이스트리아 주,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와 수도 자그레브에 집중되어 있다.[185][186] 알바나시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로 이주하여 이들 국가 전역에 산재한 공동체에 거주한다.[69]

루마니아의 알바니아인은 비공식적으로 500명에서 10,000명으로 추산되며, 주로 부쿠레슈티에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루마니아 의회에 대표를 파견하고 있다.[188][189]

5. 1. 발칸 반도

알바니아인은 주로 알바니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서부 지역(북마케도니아 인구의 약 25%)에 거주하고 있으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등에도 소수의 알바니아인이 거주한다.[20] 그리스에도 상당한 규모의 알바니아인 인구가 있다.

약 180만 명의 알바니아인이 코소보 공화국에 집중되어 있다. 그들은 북미트로비차 남쪽에 분포하며, 이 지역의 전체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최대 민족 집단이다.

몬테네그로의 알바니아인 인구는 현재 약 30,000명으로 추산되며, 국가의 구성 민족 중 하나를 형성한다.[20][181] 그들은 주로 울치니와 바르 주변의 해안 지역, 플라브 주변의 북부 지역, 그리고 수도 포드고리차에 거주한다.[20]

북마케도니아에는 50만 명이 넘는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며, 이들은 이 나라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 집단을 구성한다.[183][184] 대부분의 알바니아인은 주로 테토보와 고스티바르 주변의 북서부 지역, 스트루가와 데바르 주변의 남서부 지역, 그리고 수도 스코페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

세르비아에서 알바니아인은 공식적으로 인정된 소수 민족이며, 인구는 약 70,000명이다.[187] 그들은 주로 부야노바츠프레셰보에 집중되어 있다.

인구국가
340만알바니아
150만코소보
50만 9083북마케도니아
4만세르비아 (코소보 제외)
3만 2000몬테네그로


5. 2. 그 외 지역

튀르키예, 이탈리아, 미국,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도 알바니아인 집단이 형성되어 있다.

인구국가·지역
50-130만 튀르키예
37만 5947 이탈리아
15만 7540 미국
2만 2395 캐나다
3만 5000 스웨덴
9만 5000 스위스
1만 1815 오스트레일리아


6. 언어

알바니아어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알바니아인들이 사용한다. 알바니아어는 발칸반도의 다른 민족과 알바니아인을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다.[165] 슈쿰빈 강을 경계로 북쪽에서는 게그 방언이, 남쪽에서는 토스크 방언이 사용된다.

7. 종교

알바니아인은 다수가 이슬람교를 믿으며(알바니아인의 약 58.79%, 코소보인의 약 95.6%), 가톨릭 신자(알바니아인의 약 10.3%, 코소보인의 약 2.2%)와 정교회 신자(알바니아인의 약 6.75%(알바니아 정교회), 코소보인의 1.4%)도 있다.[305] 근대 시기 알바니아의 군주제와 공산주의, 그리고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던 코소보의 사회주의는 국민들을 체계적으로 세속화했다. 이 정책은 주로 두 지역의 국경 내에서 적용되어, 인구 대다수가 세속화되었다.

티라나 대모스크, 알바니아


성 테레사 가톨릭 대성당, 프리스티나, 코소보


농촌 지역의 오래된 비제도적 이교 관행을 제외하고는 모든 형태의 기독교, 이슬람 및 기타 종교적 관행이 금지되었다. 현재 알바니아 국가는 3월 14일 매년 엘바산 시에서 열리는 봄 축제(Dita e Verës|디타 에 베러스sq)와 같은 일부 이교 축제를 부활시켰으며, 이는 국경일이다.[302]

2차 세계 대전 이후 알바니아를 지배한 공산 정권은 종교적 관행과 제도를 박해하고 억압했으며, 알바니아가 공식적으로 세계 최초의 무신론 국가로 선언될 정도로 종교를 완전히 금지했다. 1992년 정권 교체 이후 알바니아에 종교의 자유가 돌아왔다. 알바니아 수니파 무슬림들은 전국에 걸쳐 분포하며, 알바니아 정교회 기독교인과 베크타시파는 남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로마 가톨릭 신자들은 주로 북부에 있다.[303]

유럽 평의회에서 신뢰할 수 없다고 인정한 2011년 인구 조사[304]에 따르면, 알바니아 인구의 58.79%가 이슬람교를 신봉하여 이 나라에서 가장 큰 종교가 되었다. 기독교는 인구의 16.99%가 실천하여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나머지 인구는 무종교이거나 다른 종교 집단에 속한다.[305] 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무슬림 70%, 동방 정교회 20%, 로마 가톨릭 10%로 분포되어 있었다.[306] 오늘날 갤럽 글로벌 보고서 2010은 종교가 알바니아인의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9%에 불과하며, 알바니아를 세계에서 13번째로 종교적이지 않은 국가로 평가하고 있다.[307]

역사의 일부 기간 동안 알바니아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들은 나치 점령 중에 알바니아인들에 의해 구출되었다.[308] 공산 정권 붕괴 후 국경이 개방된 1990년경~1992년에 많은 사람들이 이스라엘로 떠났지만, 약 200명의 유대인이 여전히 알바니아에 살고 있다.

종교 알바니아의 알바니아인 코소보의 알바니아인 북마케도니아의 알바니아인 몬테네그로의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의 알바니아인[309] 크로아티아의 알바니아인 이탈리아의 알바니아인[310]
이슬람교21%[311] ~ 82%[312]88.8 ~ 95.60[313]98.62[313]73.1571.0654.7841.49
수니파56.70
베크타시파2.09 ~ 7.5[314]--
기독교9[311] ~ 28.64[314]3.69 ~ 6.20[313]1.3726.3719.5440.6938.85
가톨릭3%[311] ~ 13.82[314]2.20 ~ 5.80[313]1.3726.1316.8440.5927.67
정교회6[311] ~ 13.08[314]1.480.122.600.0111.02
개신교0.14 ~ 1.74[314]0.16-0.03
기타 기독교0.070.120.070.09
무종교 또는 비종교인24.21% ~ 62.7%[315]
무신론자2.50% ~ 9%[316]0.07 ~ 2.9[313]0.112.951.8017.81
답변을 원하지 않음1%[314] ~ 13.79%0.550.192.361.58
불가지론자5.58[315]0.02
교파 없이 신앙을 가진 사람5.49
무관함/진술되지 않음2.430.060.160.364.82
기타 종교1.19[314]0.031.85



종교적으로는 대부분이 이슬람교이며, 정교회(알바니아 정교회)가 그 다음이다. 알바니아 본국에 사는 알바니아인은 거의 무교라고도 한다.[339][340]

8. 문화

알바니아인의 문화는 수 세기 동안 발칸 반도의 다양한 환경과 역사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275] 알바니아 디아스포라에 기반을 둔 사람들은 자신을 알바니아인으로 부르거나, 혼합된 정체성을 사용하거나, 국적과 동일시하여 전체 인구 수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218]

알바니아인의 전통 요리는 지중해 요리와 발칸 요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알바니아계 이탈리아인과 차모인들은 이탈리아 요리그리스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음식은 알바니아인들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며, 특히 라마단, 이드, 크리스마스, 부활절, 하누카, 노브루즈와 같은 종교 축제 때 더욱 그렇다.[275] 주요 재료로는 레몬, 올리브 등의 과일과 바질, 민트, 오레가노 등의 허브, 피망, 감자, 토마토와 같은 채소가 있다. 지중해, 프레스파 호, 오흐리드 호 근처에 사는 알바니아인들은 해산물을 섭취하기도 한다. 양고기는 여러 종교 축제에서 전통적인 고기로 여겨지며, 가금류, 쇠고기, 돼지고기도 많이 소비된다.[275] 타베 코시는 마늘 양고기와 쌀을 요구르트로 덮어 구운 알바니아의 대표적인 요리이다.[275]

알바니아인의 초기 시각 예술은 주로 프레스코화, 벽화, 이콘 등 종교적인 성격을 띤다.[276] 비잔티움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기독교 미술이슬람 미술의 성장을 가져왔다.[277] 19세기 말 알바니아 르네상스 시기에는 예술가들이 인상주의와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278][279] 오누프리(Onufri), 콜레 이드로메노(Kolë Idromeno), 다비드 셀레니카(David Selenica), 조그라피 형제(Zografi Brothers)는 알바니아 미술의 대표적인 예술가들이다.[276] 이탈리아와 크로아티아에서도 마르코 바사이티(Marco Basaiti), 안드레아 니콜레 알렉시(Andrea Nikollë Aleksi) 등 알바니아계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그리스에서는 엘레니 부쿠라스(Eleni Boukouras)가 그리스 독립 이후 최초의 위대한 여성 화가로 알려져 있다.[276] 1856년, 프예테르 마루비(Pjetër Marubi)는 슈코더(Shkodër)에 마루비 박물관을 설립했다.[276]

코소보 남서부와 알바니아 북부에 널리 퍼져 있는 전통적인 알바니아 주택인 쿨라(Kulla)는 중세 시대의 문화 유적이다.

알바니아인의 문학은 중세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역사, 신학, 철학에 관한 작품들이 남아있다.[280] 알바니아어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자료는 1462년 두르러스 대주교 Paulus Angelus가 쓴 세례식 공식이다.[281] 1555년에는 Gjon Buzuku가 알바니아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책인 ''Meshari''(미사전)를 출판했다.[282] 17세기 이후 남부 이탈리아의 아르베레시족은 알바니아 르네상스를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84] 18세기에는 Bejtexhinj가 이슬람, 특히 베크타시 수피즘의 영향으로 오리엔탈리즘으로 향했다.[285] 19세기 알바니아 르네상스는 낭만주의와 계몽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감정과 개인주의, 자연과 인류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강조했다. Dora d'Istria, Girolamo de Rada, Naim Frashëri, Sami Frashëri는 이 운동을 이끌었다.[284] 20세기는 모더니즘과 사실주의를 중심으로 하며, 더욱 독특하고 표현적인 알바니아 문학이 발전했다.[286] Asdreni, Faik Konica, Migjeni가 이 시기의 개척자들이다.[28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고,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문학계의 일부가 되었다.[287] Sejfulla Malëshova, Dritero Agolli, Ismail Kadare 등의 작가와 시인들이 등장했다.[287] 21세기 문학계는 새로운 소설가, 작가, 시인 및 기타 작가들을 배출하며 활기를 띠고 있다.[289]

알바니아인들은 지역 농업과 축산에서 얻은 다양한 천연 소재를 의복과 직물의 원료로 사용해 왔다.[290] 알바니아인의 전통 의상은 자연, 생활 방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대부터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290] 지역에 따라 독특한 의상 전통과 특징이 있으며, 색상, 소재, 모양이 때때로 다르다. 알바니아 남성의 전통 의상에는 후스타넬라(Fustanella)라고 불리는 흰색 치마, 넓은 소매가 달린 흰색 셔츠, 그리고 자마단(Xhamadan)이나 슈르디아(Xhurdia)와 같은 얇은 검은색 재킷이나 조끼가 포함된다. 겨울에는 플로카타(Flokata) 또는 돌라마(Dollama)라고 알려진 양가죽이나 염소털로 만든 따뜻한 양모 또는 모피 코트를 더 입는다. 또 다른 전통 의상으로는 티르크(Tirq)가 있는데, 이는 주로 흰색이고 때로는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의 펠트 바지이다. 알바니아 여성의 의상은 훨씬 더 정교하고 화려하며 장식이 풍부하다. 독특하고 오래된 의상으로는 슈블레타(Xhubleta)가 있는데, 종 모양의 치마가 종아리까지 내려오며 어깨에서 두 개의 어깨 끈으로 고정된다.[291][292] 알바니아인들은 다양한 전통 수제 신발과 양말을 신었다. 거친 동물 가죽으로 만든 가죽 신발인 오핑가(Opinga)는 초라페(Çorape)라고 하는 뜨개질한 양모 또는 면 양말과 함께 신었다. 알바니아 남성은 켈레셰(Qeleshe)와 플리스(Plis), 퀴야프(Qylafë)를 착용했으며, 알바니아 여성은 카피차(Kapica)와 레베레(Lëvere) 또는 크리퀘(Kryqe)를 착용했다.

알바니아인들에게 음악은 그들의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역사, 언어, 그리고 삶의 방식을 반영한다.[295] 지역에 따라 다르며, 게그족과 토스크족 음악 사이에는 두 가지 중요한 스타일 차이가 있다. 이소폴리포니는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문화유산 걸작으로 선포되었다.[297] 아바 맥스, 베베 렉사, 두아 리파, 리타 오라와 같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알바니아계 가수들이 있다. 국제 대회에서 알바니아는 2004년에 처음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했다. 알바니아인들은 다른 국가를 대표해서 이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코소보는 참가한 적이 없지만, 현재 EBU 회원이 되기 위해 신청 중이다.

8. 1. 전통 사회 구조

알바니아 부족(fiset shqiptaresq)은 알바니아와 발칸반도 남서부에 존재했던 역사적인 사회 조직 방식(''farefisní'')으로, 공통된 문화, 종종 하나의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공통적인 부계 혈족 관계, 그리고 공유된 사회적 유대감을 특징으로 한다. '''fis''' (; 일반적으로 "부족"으로 번역되며, "씨족" 또는 "혈족" 공동체로도 번역됨)은 혈족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알바니아 사회 조직의 중심에 있으며, 이 개념은 남부 알바니아인들에게도 '''farë''' ()라는 용어로 나타난다.[265] 고대 일리리아 사회 구조에서 계승된 알바니아 부족 사회는 중세 초기에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사회 조직 형태로 등장했으며, 남부 알바니아에서는 덜 발달된 체계로 남아 있었다.[265] 알바니아 부족 구조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 중 하나는 알바니아 구전 관습법의 법전인 ''카눈''에 대한 의존성이다. 대부분의 부족들은 오스만 제국과 같은 외부 세력과 전쟁을 벌였으며, 일부 부족들은 자원을 장악하기 위해 제한적인 부족 간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1890년대 알바니아 슈크렐리 부족 구성원 사진


20세기 초까지 알바니아 부족 사회는 1944년 공산 정권의 집권까지 대체로 온전하게 유지되었으며, 부족장과 의회, 피의 복수, 구전 관습법으로 구성된 부족 사회 시스템은 20세기 중반까지 유럽에 남아 있었다.[265] 북부 알바니아 부족 구성원들은 그들의 역사가 저항과 고립주의라는 개념에 기반한다고 믿는다.[265]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믿음을 "협상된 주변성" 개념과 연결한다. 역사를 통틀어 북부 알바니아 부족이 차지한 영토는 분쟁의 대상이었고 주변부였기 때문에 북부 알바니아 부족들은 종종 그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주변성을 유리한 방식으로 협상했다. 이러한 주변부 위치는 그들의 국가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요성과 과제는 남부 알바니아와는 달랐다.[266]

중세 알바니아 영주 레케 두카지니의 카눈, 슈테프엔 예초비가 필사함


카눈은 알바니아 전통 관습법의 집합으로, 알바니아 부족 사회의 모든 측면을 지배해 왔다.[267] 적어도 지난 5세기 동안, 그리고 오늘날까지 알바니아 관습법은 부족 장로들에 의해 구전으로만 유지되어 왔다. 구전 시스템을 통해서만 이를 보존하는 데 성공한 것은 그 보편적인 회복력을 강조하고 그 기원이 아주 오래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기독교 이전의 강한 모티프와 기독교 시대의 모티프가 혼합되어 알바니아 관습법이 여러 역사 시대에 걸쳐 계층화되었음을 반영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알바니아 관습법은 역사적 발전을 거듭했으며, 사회경제적 발전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새로운 규범으로 변경되고 보완되었다.[268] 베사와 ''nderi''(명예)는 개인적, 사회적 행동의 초석으로 알바니아 관습법에서 매우 중요하다. 카눈은 명예(), 환대(), 올바른 행동(), 친족 충성()이라는 네 가지 기둥을 기반으로 한다.

베사(pledge of honor)는 알바니아 문화의 규범으로, 일반적으로 "신의" 또는 "맹세"로 번역되며, "약속을 지키다"와 "명예의 말"을 의미한다.[271] 이 개념은 충성심 또는 충성 보장의 형태로 자신의 말에 대한 성실성에 기반한다.[272] 베사에는 가족과 친구에 대한 의무, 타인과 행동할 때 내적 헌신, 충성심 및 연대를 가져야 한다는 요구, 그리고 외부인과 관련된 비밀 유지에 대한 관습이 포함되어 있다.[272] 베사는 또한 조상의 유언이나 서약(''amanet'') 개념의 주요 요소로, 개인과 세대를 초월하는 통일, 국가 해방 및 독립과 관련된 상황에서 대의에 대한 충실성을 요구한다.[272] 베사 개념은 알바니아인의 관습법인 카눈에 포함되어 있다.[272] 베사는 알바니아 부족의 부족 사회 내에서 중요한 제도였으며, 부족민들은 침략자에 맞서 공동으로 싸울 것을 맹세했고, 이러한 측면에서 베사는 부족 자치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272]

8. 2. 요리

알바니아인의 전통 요리는 다양하며, 이는 수세기 동안 발칸 반도의 다양한 환경과 격변하는 역사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다.[275] 서발칸 국가의 알바니아인들은 지중해 요리와 발칸 요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알바니아계 이탈리아인과 차모인들은 이탈리아 요리그리스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음식은 알바니아인들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라마단, 이드, 크리스마스, 부활절, 하누카, 노브루즈와 같은 종교 축제를 기념할 때 더욱 그렇다.

주요 재료로는 레몬, 오렌지, 무화과, 올리브와 같은 과일과 바질, 라벤더, 민트, 오레가노, 로즈마리, 타임과 같은 허브, 마늘, 양파, 피망, 감자, 토마토와 같은 채소가 있다. 지중해, 프레스파 호, 오흐리드 호 근처에 사는 알바니아인들은 생선, 조개류 등 해산물을 섭취하기도 한다. 양고기는 여러 종교 축제에서 전통적인 고기로 여겨지며, 가금류, 쇠고기, 돼지고기도 많이 소비된다.

타베 코시는 알바니아의 대표적인 요리로, 마늘 양고기와 쌀을 요구르트로 덮어 구운 요리이다. 페르게세는 피망, 토마토, 코티지 치즈로 만든 또 다른 대표적인 요리이다. 피테는 시금치gjizë 또는 mish를 섞어 만든 속을 넣은 페이스트리이다. 디저트로는 크림을 바른 여러 겹의 크레페 모양의 플리아, 전통적으로 튀긴 반죽인 페툴라, 베를리너와 비슷한 크로프네 등이 있다.

8. 3. 예술

알바니아인의 시각 예술 중 초기 유물은 주로 프레스코화, 벽화, 이콘 등 종교적인 성격을 띤다. 이 작품들은 뛰어난 색채와 금박 사용이 특징이며, 수 세기 동안 알바니아 지역에 영향을 준 다양한 전통과 문화를 반영한다.[276]

비잔티움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알바니아 건축물과 모자이크에 나타나는 기독교 미술이슬람 미술의 성장을 가져왔다.[277] 19세기 말 알바니아 르네상스 시기에는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 큰 발전이 있었으며, 예술가들은 인상주의와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278][279]

코스탄딘과 아타나스 조그라피가 아르데니차 수도원에 그린 중세 이콘. 클레멘트, 나움, 사바, 안젤라, 고라즈드, 키릴, 메토디우스 그리고 알바니아인 얀 쿠쿠젤리(Jan Kukuzeli) 등 일곱 성인을 묘사하고 있다.


오누프리(Onufri), 베라트 화파의 창시자, 콜레 이드로메노(Kolë Idromeno), 다비드 셀레니카(David Selenica), 코스탄딘 슈파타라쿠(Kostandin Shpataraku), 조그라피 형제(Zografi Brothers)는 알바니아 미술의 대표적인 예술가들이다.
콜레 이드로메노(Kolë Idromeno)는 알바니아 르네상스의 가장 저명한 화가로 여겨진다.
이탈리아와 크로아티아에서도 마르코 바사이티(Marco Basaiti), 빅토르 카르파치(Viktor Karpaçi), 안드레아 니콜레 알렉시(Andrea Nikollë Aleksi) 등 알바니아계 예술가들이 르네상스 미술에 영향을 주며 활동했다. 그리스에서는 엘레니 부쿠라스(Eleni Boukouras)가 그리스 독립 이후 최초의 위대한 여성 화가로 알려져 있다.

1856년, 프예테르 마루비(Pjetër Marubi)는 슈코더(Shkodër)에 알바니아 최초이자 발칸 반도 전체에서도 최초로 여겨지는 사진 박물관인 마루비 박물관을 설립했다. 알바니아계 이탈리아인 마루비 가문이 촬영한 15만 장의 사진은 사회 의례, 전통 의상, 알바니아 역사 인물들의 초상화 등을 담고 있다.

코소보 남서부와 알바니아 북부에 널리 퍼져 있는 전통적인 알바니아 주택인 쿨라(Kulla)는 중세 시대의 문화 유적이다. 쿨라는 불규칙한 돌 자갈, 강 자갈, 밤나무 목재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모양의 주택이며, 층수와 크기는 가족의 규모와 재정에 따라 다르다.

8. 4. 문학

알바니아인의 문학은 중세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역사, 신학, 철학에 관한 작품들이 남아있다.[280]

알바니아어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자료는 1462년 두르러스 대주교 Paulus Angelus가 쓴 세례식 공식이다.[281] 1555년에는 셰스탄 출신의 가톨릭 성직자 Gjon Buzuku가 알바니아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책인 ''Meshari''(미사전)를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가톨릭 기도와 의식에 관한 내용이 고대 중세 언어와 현대 알바니아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표현들로 담겨 있다.[282] 아르베레시 디아스포라의 Luca Matranga와 같은 다른 기독교 성직자들은 토스크 방언으로 (1592년) 출판했으며, Pjetër Budi, Frang Bardhi, Pjetër Bogdani와 같은 북부 알바니아 출신 작가들도 주목할 만하다.[283]

17세기 이후 남부 이탈리아의 아르베레시족은 알바니아 르네상스를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Demetrio Camarda, Gabriele Dara, Girolamo de Rada, Giulio Variboba, Giuseppe Serembe와 같은 인물들은 민족주의 문학을 만들고 알바니아어를 체계화하기 위해 노력했다.[284]

18세기에는 Bejtexhinj가 이슬람, 특히 베크타시 수피즘의 영향으로 오리엔탈리즘으로 향하는 경향을 보였다.[285] Nezim Frakulla, Hasan Zyko Kamberi, Shahin, Dalip Frashëri와 같은 인물들은 당시 상황, 미래의 불안감, 봉건 제도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문학을 펴냈다.[285]

19세기 알바니아 르네상스는 시적 업적과 알바니아 문학 내 다양성 면에서 중요하다. 낭만주의와 계몽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감정과 개인주의, 자연과 인류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강조했다. Dora d'Istria, Girolamo de Rada, Naim Frashëri, Naum Veqilharxhi, Sami Frashëri, Pashko Vasa는 이 운동을 이끌었으며, 오늘날에도 여러 저명한 작품들을 남긴 것으로 기억된다.

20세기는 모더니즘과 사실주의를 중심으로 하며, 더욱 독특하고 표현적인 알바니아 문학이 발전했다.[286] Asdreni, Faik Konica, Fan Noli, Lasgush Poradeci, Migjeni가 이 시기의 개척자들로, 현대 생활의 주제를 묘사했으며, 특히 Gjergj Fishta는 서사시 걸작 Lahuta e Malcís|말치스의 류트sq를 창작했다.[28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고,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문학계의 일부가 되었다.[287] Sejfulla Malëshova, Dritero Agolli,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소설가인 Ismail Kadare 등의 작가와 시인들이 등장했고, 다른 작가들은 작품 속 다양한 사회 정치적 및 역사적 주제를 통해 정권에 도전했다.[287] Martin Camaj는 디아스포라에서 글을 썼고, 이웃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알바니아 문화 표현의 등장으로 Adem Demaçi, Rexhep Qosja, Jusuf Buxhovi와 같은 주목할 만한 작가들의 사회 정치적이고 시적인 문학이 탄생했다.[288] 21세기 문학계는 새로운 소설가, 작가, 시인 및 기타 작가들을 배출하며 활기를 띠고 있다.[289]

8. 5. 의복

알바니아인들은 지역 농업과 축산에서 얻은 다양한 천연 소재를 의복과 직물의 원료로 사용해 왔다. 알바니아인의 전통 의상은 주로 자연, 생활 방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대부터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290] 지역에 따라 독특한 의상 전통과 특징이 있으며, 색상, 소재, 모양이 때때로 다르다.

바이런이 전통 알바니아 의상을 입고 있는 모습. 후스타넬라와 필리그리 장식이 된 돌라마를 착용하고 있다. 토마스 필립스(Thomas Phillips)의 ''알바니아 의상을 입은 바이런'', 1813년.


알바니아 남성의 전통 의상에는 후스타넬라(Fustanella)라고 불리는 흰색 치마, 넓은 소매가 달린 흰색 셔츠, 그리고 자마단(Xhamadan)이나 슈르디아(Xhurdia)와 같은 얇은 검은색 재킷이나 조끼가 포함된다. 겨울에는 플로카타(Flokata) 또는 돌라마(Dollama)라고 알려진 양가죽이나 염소털로 만든 따뜻한 양모 또는 모피 코트를 더 입는다. 또 다른 전통 의상으로는 티르크(Tirq)가 있는데, 이는 주로 흰색이고 때로는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의 펠트 바지이다.

알바니아 여성의 의상은 훨씬 더 정교하고 화려하며 장식이 풍부하다. 모든 알바니아 지역에서 여성 의복은 종종 필리그리 철공예, 화려한 자수, 다양한 상징과 생생한 액세서리로 장식되었다. 독특하고 오래된 의상으로는 슈블레타(Xhubleta)가 있는데, 종 모양의 치마가 종아리까지 내려오며 어깨에서 두 개의 어깨 끈으로 고정된다.[291][292]

알바니아인들은 다양한 전통 수제 신발과 양말을 신었다. 거친 동물 가죽으로 만든 가죽 신발인 오핑가(Opinga)는 초라페(Çorape)라고 하는 뜨개질한 양모 또는 면 양말과 함께 신었다. 머리 장식은 알바니아 전통 의상의 대조적이고 인식 가능한 특징이다. 알바니아 남성은 다양한 디자인, 모양, 크기의 모자를 썼다. 일반적인 머리 장식으로는 켈레셰(Qeleshe)와 플리스(Plis), 퀴야프(Qylafë)가 있으며, 반대로 알바니아 여성은 이마에 보석이나 자수로 장식된 카피차(Kapica)와 머리, 어깨, 목을 가리는 레베레(Lëvere) 또는 크리퀘(Kryqe)를 착용했다. 부유한 알바니아 여성들은 보석, 금 또는 은으로 장식된 머리 장식을 착용했다.

8. 6. 음악

알바니아인들에게 음악은 그들의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역사, 언어, 그리고 삶의 방식을 반영하는 독특한 특징과 다양한 선율 패턴으로 특징지어진다.[295] 지역에 따라 다르며, 게그족과 토스크족 음악 사이에는 두 가지 중요한 스타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남유럽에 위치한 그들의 지리적 위치와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문제는 음악과 함께 수반되는 악기와 춤을 통해 자주 표현된다.

남부 알바니아 다성 음악 가수들


알바니아 바시바주크가 노래하고 우드를 연주하는 모습. 장-레옹 제롬이 1868년에 그린 그림.


알바니아 민속 음악은 게그족의 영웅적인 음색과 토스크족의 편안한 음색으로 대조된다.[296] 전통적인 이소폴리포니는 아마도 토스크족의 가장 고귀하고 본질적인 장르일 것이며,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문화유산 걸작으로 선포되었다.[297] 반면에 게그족은 알바니아인들의 격동적인 역사에 관한 노래로 이루어진 독특한 종류의 서사시로 유명하다.

아바 맥스, 베베 렉사, 두아 리파, 에라 이스트레피, 리타 오라와 같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알바니아계 가수들과 액션 브론슨, 다르단, 가시, 로레다나 제피와 같은 래퍼들이 있다. 전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알바니아계 저명한 가수로는 셀마 바이람과 자나 니마니가 있다.

국제 대회에서 알바니아는 2004년에 처음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했다. 알바니아인들은 다른 국가를 대표해서 이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1989년 이탈리아의 안나 옥사, 2008년 북마케도니아의 어드리안 삭사, 2018년 이탈리아의 에르말 메타, 2018년 키프로스의 엘레니 푸레이라, 그리고 2020년과 2021년 스위스의 그존 무하레마이. 코소보는 참가한 적이 없지만, 현재 EBU 회원이 되기 위해 신청 중이며 따라서 대회에 데뷔할 예정이다.

9. 유전자

알바니아인의 Y-DNA는 한 조사에 따르면, 하플로그룹 E1b1b가 35.43%(79/223), 하플로그룹 J가 23.77%(53/223), 하플로그룹 R1b가 18.39%(41/223), 하플로그룹 I가 13.00%(29/223) 등으로 나타났다.[341] 아프리카를 제외하면 하플로그룹 E의 비율이 가장 높은 민족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2]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Routledge
[3] 서적 Worldmark Yearbook, Band 1 Gale Group
[4] 서적 National Geographic, Band 197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20-09-27
[5] 서적 Over 20 Peace Corps Language Training Publications–Country Pre-departure Materials https://books.google[...] Jeffrey Frank Jones 2020-09-27
[6]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3 https://shqiptarja.c[...] Instituti i Statistikës (INSTAT)
[7] 웹사이트 2020-09-27
[8] 웹사이트 Arbëreshiski language of Italy – Ethnic population: 260,000 (Stephens 1976) https://www.ethnolog[...]
[9] 웹사이트 Cittadini non-comunitari regolarmente presenti https://web.archive.[...] istat.it 2014-08-04
[10] 학술지 Albanian Migration in Greece: Understanding Irregularity in a Time of Crisis https://www.research[...] 2017-02
[11] 서적 ALBANIA AND GREECE: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https://library.fes.[...] Friedrich-Ebert-Stiftung 2018-01
[12] 학술지 Albanian Immigrants in Greece From Unwanted to Tolerated? https://www.ssoar.in[...] 2016-06-15
[13] 서적 Migrating and settling in a mobile world: Albanian migrants and their children in Europe Springer Nature
[14] 서적 Managing Migration: The Promise of Cooperation
[15]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 Population of Greece according to the 2011 Population – Housing Census. https://web.archive.[...] Greek National Statistics Agency 2013-08-23
[16] 서적 Albania on the Move: Links Between Internal and International Migration https://library.oa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2021 https://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18] 뉴스 Albanians in Turkey celebrate their cultural heritage https://web.archive.[...] 2011-08-21
[19] 학술지 GCC Model: Conflict Management for the "Greater Albania"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Official Results of Monenegrin Census 2011 http://www.monstat.o[...] Statistical Office of Montenegro 2013-12-24
[21] 웹사이트 Final results - Ethnicity https://popis2022.st[...] 2023-07-14
[22]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23] 웹사이트 7. Prebivalstvo po narodni pripadnosti, Slovenija, popisi 1953, 1961, 1971, 1981, 1991 in 2002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Población y edad media por nacionalidad y sexo http://www.ine.es/ja[...]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INE)
[25] 웹사이트 POPULAÇÃO ESTRANGEIRA RESIDENTE EM TERRITÓRIO NACIONAL – 2022 https://www.sef.pt/p[...]
[26]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of Albanians in the Sweden https://www.ethnolog[...]
[27] 웹사이트 05183: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by sex and country background https://www.ssb.no/e[...] Statistisk Sentralbyrå (SSB)
[28] 간행물 2011 Census England and Wales
[29] 웹사이트 Albanians in the UK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Population by language on 31 December https://web.archive.[...] Statistics Finland 2018-12-29
[31] 웹사이트 Demographics of Finland
[32]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of Denmark http://www.dst.dk Dst.dk
[33]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6 – Profile 7 Migration and Diversity All non-Irish nationals in Ireland https://www.cso.ie/e[...] Central Statistics Office
[34] 웹사이트 Population Usually Resident and Present in the State who Speak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or Irish at Home 2011 to 2016 by Birthplace, Language Spoken, Age Group and Census Year http://www.cso.ie/px[...] Central Statistics Office
[35] 웹사이트 Date demografice https://web.archive.[...]
[36]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Greenwood Press
[37] 웹사이트 T14 Cizinci podle kategorií pobytu, pohlaví a občanství k 31 December 2016 https://web.archive.[...] Český statistický úřad 2018-12-22
[38]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ity at the beginning of year – Time period and Ethnicity | National Statistical System of Latvia https://data.stat.go[...]
[39] 웹사이트 Latvijas iedzīvotāju sadalījums pēc nacionālā sastāva un valstiskās piederības, 01.01.2023. - PMLP https://www.pmlp.gov[...]
[40] 웹사이트 BT-Plenarprotokoll_05.06.2008_-_Ausschnitt_Bartels_-_Kosovo Deutscher Bundestag – 16. Wahlperiode – 166. Sitzung. Berlin, Donnerstag, den 5. Juni 2008 http://www.hans-pete[...]
[41] 웹사이트 Die Albaner in der Schweiz: Geschichtliches – Albaner in der Schweiz seit 1431 https://web.archive.[...] 2010-09-22
[42] 웹사이트 Im Namen aller Albaner eine Moschee? https://web.archive.[...] Infowilplus.ch 2007-05-25
[43] 웹사이트 Statistik Austria https://wayback.arch[...] Statistik.at 2013-12-24
[44] 웹사이트 Étrangers – Immigrés: Publications et statistiques pour la France ou les régions https://www.insee.fr[...] Insee.fr 2019-11-04
[45] 웹사이트 Bevolking; generatie, geslacht, leeftijd en migratieachtergrond, 1 januari http://statline.cbs.[...] Centraal Bureau voor de Statistiek (CBS)
[46] 웹사이트 Population par nationalité, sexe, groupe et classe d'âges au 1er janvier 2010 https://web.archive.[...] 2012-01-12
[47] 뉴스 Anderlecht, Molenbeek, Schaarbeek: repères du crime à Bruxelles https://web.archive.[...] 2012-01-12
[48] 웹사이트 Population by nationalities in detail 2011–2018 https://web.archive.[...] Statistiques du Luxembourg 2019-01-13
[49] 웹사이트 TOTAL ANCESTRY REPORTED Universe: Total ancestry categories tallied for people with one or more ancestry categories reported 2013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archive.toda[...] United States Census Bureau (USCB) 2018-11-09
[50] 웹사이트 Ethnic Origin (279),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Generation Status (4), Age (12)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17-10-25
[51] 웹사이트 Colombia – Inmigración 1990, 1995, 2005, 2010, 2015, 2017 https://datosmacro.e[...]
[52] 웹사이트 Cuba – International immigration https://countryecono[...]
[53] 웹사이트 Población nacida en el extranjero en la República, por grupos de edad, según sexo y país de nacimiento http://www.contralor[...]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and Census of Panama
[54] 웹사이트 20680-Ancestry (full classification list) by Sex – Australia https://web.archive.[...]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8-06-02
[55] 웹사이트 2013 Census ethnic group profiles: Albanian http://m.stats.govt.[...] Statistics New Zealand
[56] 웹사이트 Qatar: Some estimates of foreign residents in Qatar by country of citizenship (selected countries, c. 2015–2016) https://web.archive.[...] 2019-01-06
[57] 웹사이트 Population – Country of Birth, Citizenship Category, Country of Citizenship, Language, Religion, Ethnic/Religious Group, 2011 https://web.archive.[...] Statistical Service of Cyprus 2019-01-02
[58] 웹사이트 Sube el número de inmigrantes que viven en Sudáfrica https://datosmacro.e[...]
[59] 웹사이트 UAE's population – by nationality http://www.bqdoha.co[...] 2019-01-06
[60] 웹사이트 Kosovari in Italia – statistiche e distribuzione per regione https://www.tuttital[...]
[61] 서적 Ethnobotany in the New Europe: People, Health and Wild Plant Resource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62] 웹사이트 Stranieri diventati italiani: prima i marocchini https://www.truenumb[...] 2022-04-11
[63] 웹사이트 Citizenship in an emigrant nation-state: the case of Albania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Edinburgh 2012-08-07
[64] 서적 Out Of Albania: From Crisis Migration to Social Inclusion in Ital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64] 서적 Albania in transition: the rocky road to democracy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64] 서적 Political Parties of Eastern Europe: A Guide to Politics in the Post-communist Era https://books.google[...] Routledge
[64] 서적 Patriarchy After Patriarchy: Gender Relations in Turkey and in the Balkans, 1500-2000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6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Administrative Subdivisions of Countries McFarland
[66] 논문
[67] 논문
[67]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69] 논문
[69] 논문
[69] 논문
[69] 논문
[70] 논문
[70] 논문
[70] 논문
[70] 논문
[70] 논문
[70] 논문
[71] 서적 Rebels, Believers, Survivors: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Albani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서적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03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웹사이트 The terms Albanoi and Arvanitai and the first mention of the homonym people of the Balkans in the 11th century sources http://epublishing.e[...] 2018-10-12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웹사이트 The earliest reference to the existence of the Albanian Language 2007-05-28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백과사전 ALBANCI JLZ
[94] 논문
[95] 서적 A Grammatical Sketch of Albanian for Students of Indo European http://mudrac.ffzg.u[...] Ranko Matasović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Language Contact: Volume 1: Population Movement and Language Chan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학술지 The genetic history of the Southern Arc: A bridge between West Asia and Europe 2022-08-26
[10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s://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10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sovo http://www.kryeminis[...] Kryeministria e Kosovës 2018-12-23
[10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www.wipo.int[...]
[104] 웹사이트 Albanian becomes the second official language in Macedonia https://europeanwest[...] 2019-01-15
[105]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s://www.wipo.int[...]
[106] 웹사이트 Linguistic diversity among foreign citizens in Italy http://www.istat.it/[...] Statistics of Italy 2014-07-25
[107] 서적 The Tribes of Albania,: History, Societ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5
[108] 웹사이트 Geographical location http://www.albanianl[...]
[109] 웹사이트 UNESCO Interactive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110] 서적 Handbook of ethnotherapies BoD – Books on Demand
[111] 서적 Endangered Languages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4-23
[112] 간행물 Southern Albania, Northern Epirus: Survey of a Disputed Ethnological Boundary Society Farsharotu 1995-10-28
[113] 서적 The Cham Issue – Where to Now? Conflict Studies Research Centre 2007
[114] 서적 The Cham Albanians of Greece: A Documentary History I.B. Tauris 2013
[115] 뉴스 Press release of the Adult Education Survey http://www.instat.go[...] 2018-05-10
[116] 논문
[117] 서적 Out Of Albania: From Crisis Migration to Social Inclusion in Ital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3-01-15
[118] 서적 Albania in transition: the rocky road to democracy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119] 서적 Political Parties of Eastern Europe: A Guide to Politics in the Post-communist Er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9-10
[120] 서적 Patriarchy After Patriarchy: Gender Relations in Turkey and in the Balkans, 1500-2000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21]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학술지 Nastanak "Mletačke Albanije" i uspomena na vizantijsku vlast u srpskom Pomorju https://www.academia[...]
[126]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7] 서적 Albania https://books.google[...] Alhena Media 2010-06-01
[128]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9] 서적 Lala, Etleva (2008), Regnum Albaniae, the Papal Curia, and the Western Visions of a Borderline Nobility (PDF), Central European University, Department of Medieval Studies http://www.etd.ceu.h[...] Central European University, Department of Medieval Studies
[130] 서적 Regnum Albaiae, the Papal Curia and the Western Visions of a Borderline Nobility http://www.etd.ceu.h[...] Central European Department for Medieval Studies
[131] 논문
[132] 논문
[133] 서적 East European Quarterly, Band 15 University of Colorado
[134] 서적 Institutions Always 'Mattered': Explaining Prosperity in Mediaeval Ragusa (Dubrovnik)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4-12-10
[135] 학술지 Tregtia e Durrësit Dhe e Raguzës me Venedikun pas Shpërthimit të Luftës së Parë të Moresë (1684–1699) https://www.ceeol.co[...] 2015
[136] 서적 Out of Albania: From Crisis Migration to Social Inclusion in Ital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3-01-15
[137] 논문
[138] 서적 Analysis and Reform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in South-East Europe Council of Europe 2008
[139] 백과사전 Albania :: The decline of Byzantium https://www.britanni[...]
[140] 서적 De obsidione Scodrensi Bernardino de Vitabilus
[141] 서적 Empire of Nations: The Consolidation of Albanian and Turkish National Identities in theLate Ottoman Empire, 1878–1913 Columbia University
[142] 웹사이트 Albania: A Country Study ("Albanians under Ottoman Rule") http://countrystudie[...] 2008-04-09
[143] harvnb
[144] harvnb
[145] 서적 Modern Türkiye Tarihi İslam, Milliyetçilik ve Modernlik 1789–2007 Timaş Yayınları
[146]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Brill 1954
[147]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Albanian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is
[148] 웹사이트 Albania http://referencework[...]
[149] 서적 Albania Touring Club Italiano
[150] 웹사이트 Arbanasi-Albanisch https://web.archive.[...] 2018-11-03
[151] 학술지 Observations on the existing Ottoman mosques in Albania https://www.journala[...]
[152] harvnb
[153] harvnb
[154] harvnb
[155] harvnb
[156] harvnb
[157] harvnb
[158] harvnb
[159] harvnb
[160]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1] 서적 The Imperial Harem: Women and Sovereignty in the Ott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62] harvnb
[163] harvnb
[164] harvnb
[16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Scarecrow Press 2010-03-19
[166] 서적 Theorising Social Change in Post-Soviet Countries: Critical Approaches https://books.google[...] Peter Lang
[167] harvnb
[168] 웹사이트 History of Albania, National Awakening and the Birth of Albania, 1876–1918 http://motherearthtr[...] 2022-04-11
[169] 웹사이트 Albania – A country in transition Aspects of changing identities in a south-east European country http://www.philhist.[...] Nomos-Verlag Extracts
[170] 웹사이트 Manufacturing Homogeneity in the Modern Albanian Nation-Building Project http://www.etd.ceu.h[...] University of Budapest
[171] 백과사전 Albanian Nationalism https://www.britanni[...] 2016-11-22
[172] 웹사이트 Albania – Hoxha's Antireligious Campaign http://www.country-d[...] 2019-03-13
[173] 웹사이트 Bunkers of Albania https://web.archive.[...] 2019-09-21
[174] 웹사이트 Policy Brief: Minority Communities in the 2011 Kosovo Census Results: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https://web.archive.[...] European Center for Minority Issues Kosovo 2012-12-18
[175] harvnb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서적 Civil Resistance in Kosovo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180] 웹사이트 Operation Allied Force http://www.nato.int/[...] NATO
[18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s://www.wipo.int[...]
[182] 서적 Povijest Arbanasa kod Zadra E. Vitaliani
[183]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2 final data http://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184]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2 final data http://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185] 웹사이트 4. Population by ethnicity and religion http://web.dzs.hr/En[...]
[18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CROATIA (consolidated text) http://www.sabor.hr/[...] 2019-01-12
[187] 웹사이트 FINAL RESULTS OF THE CENSUS 2002 http://webrzs.stat.g[...]
[188] 웹사이트 Reservations and Declarations for Treaty No.148 –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www.coe.int/e[...]
[18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Romania https://www.wipo.int[...]
[190] 서적 Giornale enciclopedico di Napoli https://books.google[...] Orsiniana 1807
[191] 웹사이트 Gli arbëreshë e la Basilicata http://distoriadisto[...] 2013-03-18
[192] 서적 Developing Cultural Identity in the Balkans: Convergence vs Divergenc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193] 웹사이트 LE MIGRAZIONI DEGLI ARBERESHE http://www.arbitalia[...] 2016-01-17
[194] 서적 Shkodra, arbëreshët dhe lidhjet italo-shqiptare https://books.google[...] Universiteti i Shkodrës "Luigj Gurakuqi" 2013-01-01
[195] 웹사이트 Legge 15 Dicembre 1999, n. 482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pubblicata nella Gazzetta Ufficiale n. 297 del 20 dicembre 1999 http://www.camera.it[...] Italian Parliament 2014-12-02
[196] 웹사이트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https://www.senato.i[...] 2009-12-15
[197] 논문
[198] 웹사이트 The Albanian Community http://www.integrazi[...] 2018-11-30
[199] 웹사이트 CITTADINI NON COMUNITARI: PRESENZA, NUOVI INGRESSI E ACQUISIZIONI DI CITTADINANZA Anni 2014–2015 https://www.istat.it[...] Istituto Nazionale di Statistica
[200] 웹사이트 Italy: 2022 IDOS statistical dossier on immigration https://ec.europa.eu[...] European Website on Integration 2024-01-25
[201] 뉴스 Cittadini italo-albanesi: la carica dei 200 mila https://www.balcanic[...] Osservatorio balcani e caucaso transeuropa 2018
[202] 웹사이트 Appartenenza e pratica religiosa tra i cittadini stranieri http://www.istat.it/[...] Istituto Nazionale di Statistica 2014-10-30
[203] 논문
[204] 논문
[205] 논문
[206] 논문
[207] 서적 After The War Was Over: Reconstructing the Family, Nation and State in Greece, 1943–196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8]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209] 서적 The Origins of the Greek Civil War https://books.google[...] Longman 2008-03-29
[210] 서적 Conflict areas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20
[211] 논문 The Cham Issue – Albanian National & Property Claims in Greece British MoD, Defence Academy 2002
[212] 서적 Migrating and Settling in a Mobile World: Albanian Migrants and Their Children in Europe https://archive.org/[...] Springer 2015-05-18
[213] 웹사이트 Albanian Residents Leaving Greece for Wealthier Countries https://greekreporte[...]
[214] 웹사이트 Ulet numri i emigrantëve shqiptarë në punët sezonale të Greqisë, pronarët rrisin pagat https://politiko.al/[...] 2023-04-25
[215] 논문 Language shift in second generation Albanian immigrants in Greece 2009
[216] 서적 Migrant flows from Albania to Greece: economic, social and spatial exclusion Palgrave Macmillan 2000
[217] 논문 Back and forth and in between: returning Albanian migrants from Greece and Italy 2004
[218] 논문 Albanian migration and new transnationalisms 2003
[219] 서적 Migration Waves in Eastern Europe [1990–2015]: A Selection from 16 Years of SEER https://books.google[...] Nomos Verlag 2017-04-05
[220] 서적 Albania: Portrait of a Country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5-06-24
[221] 웹사이트 Albanian Refugees in Italy https://refuge.journ[...]
[222] 웹사이트 The Integration of Albanian Immigrants in Greece. A comparative approach in three specific regions: Thessaloniki, Chalkidiki and Crete http://digitalarchiv[...] 2018-11-10
[223] 웹사이트 Die kosovarische Bevölkerung in der Schweiz https://www.sem.admi[...]
[224] 웹사이트 Ausländische Bevölkerung Ergebnisse des Ausländerzentralregisters https://www.destatis[...]
[225] 웹사이트 Bevölkerung, Familien, Lebensformen https://www.destatis[...]
[226] 웹사이트 Albanische Community in Österreich http://medienservice[...] 2018-11-08
[227] 웹사이트 Bevölkerung am 1 January 2018 nach detailliertem Geburtsland und Bundesland http://www.statistik[...]
[228] 웹사이트 Stemplicht vreemdelingen 187 nationaliteiten in België http://www.npdata.be[...]
[229] 웹사이트 July 2017 to June 2018 https://www.ons.gov.[...]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30] 참고문헌
[231] 뉴스 Türkiyedeki Kürtlerin Sayısı Milliyet 2008-06-06
[232] 웹사이트 Albanians in Turkey celebrate their cultural heritage http://www.todayszam[...] 2011-08-21
[233] 참고문헌
[234] 웹사이트 Albanian awakening: The worm has turned! http://www.todayszam[...] 2013-03-03
[235] 참고문헌
[236] 참고문헌
[237] 참고문헌
[238] 웹사이트 Towns of Our Italian Ancestors Our ancestors Italo-Albanian history http://www.vatrarber[...]
[239] 웹사이트 Ethnicity and Evolution of the Biodemographic Structure of Arbëreshe and Italian Populations of the Pollino Area, southern Italy (1820–1984) https://www.research[...] 2007-12
[240] 웹사이트 Albanians http://www.thecanadi[...] Vladislav A. Tomovic
[241] 서적 Harvard encyclopedia of American ethnic groups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242] 웹사이트 Yearbook of Immigration Statistics: 2011 Supplemental Table 2 https://www.dhs.gov/[...]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43] 웹사이트 Table S0201 – SELECTED POPULATION PROFILE IN THE UNITED STATES 2017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www.census.g[...]
[244] 웹사이트 Name Statistics https://www.name-sta[...] Name Statistics Italia
[245] 웹사이트 Ethnic Origin (279),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Generation Status (4), Age (12)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46] harvnb
[247] 서적 'We're serving the community, in whichever form it may be': Muslim Community Building in Austral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48] harvnb
[249] 웹사이트 After World War II http://museumsvictor[...] Immigration Museum 2020-07-16
[250] harvnb
[251] 서적 The Australian People: An Encyclopedia of the Nation, its People and their Origi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2] harvnb
[253] Ph.D. Albanian Muslims in Secular, Multicultural Australia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Aberdeen 2017-01-01
[254] 서적 Muslims making Australia home: Immigration and Community Building https://books.google[...]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255] 웹사이트 20680-Ancestry (full classification list) by Sex – Australia https://web.archive.[...]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8-06-02
[256] 학술지 Antipodean Ummah: Islam and Muslim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257] 서적 New Zealand's Muslims and multiculturalism https://books.google[...] Brill
[258] harvnb
[259] harvnb
[260] 서적 New Zealand Government &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1] 학술지 Islam in New Zealand – A Mixed Reception: Historical Overview and Contemporary Challenges https://journals.qu.[...]
[262] harvnb
[263] 학술지 Mazharbeg: An Albanian in Exile https://www.waikato.[...]
[264] 뉴스 Si u vendosën shqiptarët në Zelandën e Re https://web.archive.[...] 2021-07-20
[265] harvnb
[266] harvnb
[267] harvnb https://books.google[...]
[268] 웹사이트 Zhvillimi historik i Kanunit të Labërisë, in ''Mbledhja e Normave të Kanunit të Labërisë'' https://kanunilaberi[...]
[269] harvnb
[270] harvnb
[271] 웹사이트 Besa http://www.opendemoc[...] Open Democracy 2004-07-21
[272] 학술지 The Legendary Commander: The construction of an Albanian master-narrative in post-war Kosovo http://www.annadilel[...]
[273] 웹사이트 Rapsodë dhe rapsodi të alpeve shqiptare http://bukinist.al/k[...] bukinist.al
[274] 웹사이트 Page 1 A Tradition of Honor, Hospitality and Blood Feuds: Exploring the Kanun Customary Law inContemporary Albania. http://js.ugd.edu.mk[...]
[275] 학술지 Page 1 A Tradition of Honor, Hospitality and Blood Feuds:Exploring the Kanun Customary Law in Contemporary Albania http://js.ugd.edu.mk[...] 2014-07-10
[276] 웹사이트 Page 1 95 VISUAL ARTS 2.10. FINE /VISUAL ARTS https://web.archive.[...]
[277] 웹사이트 Robert Elsie: Arti Shqiptar http://www.albaniana[...]
[278] 서적 Albania – Band 23 von Cultur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79] 웹사이트 Page 1 95 VISUAL ARTS 2.10. FINE /VISUAL ARTS https://web.archive.[...]
[280] 서적 Albanian Literature: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5-07-29
[281] 서적
[282] 서적
[283] 서적
[284] 서적
[285] 서적
[286] 서적
[287] 서적
[288] 서적
[289] 서적
[290]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 Dress: Traditional Clothing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91] 웹사이트 Database of Cultural Heritage of Kosovo https://web.archive.[...] 2019-09-21
[292] 서적 Shqiptarët dhe trojet e tyre https://books.google[...] 8 Nëntori
[293] 웹사이트 Shqiptarja nga Kosova Dua Lipa, fiton për herë të parë në "Grammy Awards" https://www.rtsh.al/[...] Radio Televizioni Shqiptar (RTSH) 2019-02-11
[294] 웹사이트 Dua Lipa shkruan historinë, bëhet shqiptarja e parë që fiton dy çmime 'Grammy' https://telegrafi.co[...] Telegrafi 2019-02-10
[295] 웹사이트 Albanian Traditional Music – An Introduction, with Sheet Music and Lyrics for 48 Songs https://web.archive.[...]
[296] 웹사이트 Muzika tradicionale shqiptare https://web.archive.[...] Gazeta Dita 2018-01-21
[297] 웹사이트 Albanian folk iso-polyphony https://ich.unesco.o[...] UNESCO
[298] 서적 Albania and the European Union: The Tumultuous Journey Towards Integration and Access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299] 서적 Religion and Nationalism in Soviet and East European Politics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300] 서적 Monasticism in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Republ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301] 논문 Regnum Albaniae, the Papal Curia, and the Western Visions of a Borderline Nobility https://ghostarchiv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Department of Medieval Studies
[302] 웹사이트 How to Celebrate Dita e Verës in Albania Like a Local https://theculturetr[...] 2018-03-09
[303] 웹사이트 Albania: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https://2001-2009.st[...] State.gov 2007-09-14
[304] 웹사이트 CM(2012)36, 16 February 2012: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Third opinion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Albania, adopted on 23 November 2011, For initial consideration by the Rapporteur Group on Human Rights (GR-H) https://rm.coe.int/0[...]
[305] 웹사이트 2011 Albanian Census https://web.archive.[...]
[306]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307] 웹사이트 Gallup Global Reports https://web.archive.[...] Gallup.com
[308] 서적
[309] 웹사이트 Population by national affiliation and religion, Census 2011 https://web.archive.[...]
[310] 웹사이트 Appartenenza e pratica religiosa tra i cittadini stranieri http://www.istat.it/[...] 2014-10-30
[311] 웹사이트 Instantanés d'Albaníe, un autre regard sur les Balkans https://web.archive.[...]
[312] 뉴스 Table: Muslim Population by Country http://www.pewforum.[...] 2011-01-27
[313] 웹사이트 SMRE https://www.smre-dat[...]
[314] 뉴스 TOLERANCA FETARE NË SHQIPËRI https://web.archive.[...] UNDP
[315] 뉴스 TOLERANCA FETARE NË SHQIPËRI https://web.archive.[...] UNDP
[316] 웹사이트 Araştırma: Türkiye'nin yüzde 95'i tanrıya inanıyor, yüzde 74'ü 'dindar' http://www.diken.com[...] 2017-04-19
[317] 웹사이트 Albania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official web site [アルバニア国立統計局公式ページ] http://www.instat.go[...] 2012-05-20
[318] 웹사이트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アメリカ合衆国政府中央情報局 2023-11-21
[319] 웹사이트 国連による概算 http://enrin.grida.n[...] 2023-11
[320] 논문 Indicatori demografici, Anno 2008 2009
[321] 논문 Ethnologue data from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14th Edition Ethnologue
[322] 서적 final data: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2 http://www.stat.gov.[...] Republic of Macedonia State Statistical Office [マケドニア共和国統計局] 2005-05
[323] 웹사이트 ArticleID:873452 http://www.milliyet.[...] 2023-11
[324] 보고서 Critical Review and Policy Recommendations ギリシャ欧州外交政策財団(ELIAMEP)
[325] 웹사이트 BT-Plenarprotokoll_05.06.2008_-_Ausschnitt_Bartels_-_Kosovo Deutscher Bundestag - 16. Wahlperiode - 166. Sitzung. Berlin, Donnerstag, den 5. Juni 2008 http://www.hans-pete[...]
[326] 웹사이트 Die Albaner in der Schweiz: Geschichtliches – Albaner in der Schweiz seit 1431 http://www.schweiz-a[...]
[327] 웹사이트 Im Namen aller Albaner eine Moschee? http://www.infowilpl[...]
[328]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http://factfinder.ce[...]
[329] 웹사이트 Official Results of Serbian Census 2003–Population http://webrzs.stat.g[...]
[330] 웹사이트 CIA Monenegro https://www.cia.gov/[...]
[331]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of Albanians in the United Kingdom http://www.independe[...]
[332] 웹사이트 Canadian Census of 2006 http://www12.statcan[...]
[333]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of Denmark http://www.dst.dk
[334]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 affiliation in Slovenia http://statbel.fgov.[...]
[335] 웹사이트 Official Belgian Population Statistics http://statbel.fgov.[...]
[336] 웹사이트 8,5 duizend Kosovaren in Nederland http://www.cbs.nl/nl[...] 2008-03-03
[337] 논문 2012
[338] 논문 2012
[339] 논문 2004
[340] 웹사이트 Albania - 2022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341] 논문 2016
[342]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https://www.scribd.c[...]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