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르바바 평원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르바바 평원 전투는 1493년 오스만 제국과 크로아티아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보스니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후, 크로아티아는 오스만 제국의 공격에 노출되었고, 크로아티아군은 크르바바 평원에 집결하여 오스만군에 맞섰다. 전투 결과 크로아티아군은 대패하여 많은 귀족과 병사들을 잃었으며, 이는 크로아티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전투는 크로아티아의 저항 의지를 꺾지는 못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공격에 더욱 취약하게 만들었으며, "크로아티아 왕국의 첫 번째 해체"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크르바바 평원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 이름 | 크르바바 평원 전투 |
일부 | 오스만 제국의 유럽 침공 오스만-크로아티아 전쟁 |
날짜 | 1493년 9월 9일 |
장소 | 크로아티아 왕국 크르바바 평원 |
좌표 | 44.6N 15.7E |
결과 | 오스만 제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오스만 제국 |
교전국 2 | 크로아티아 왕국 |
지휘관 | |
오스만 제국 지휘관 | 하둠 야쿱 파샤 (보스니아 산자크) 이스마일 베이 (알라자 히사르 산자크) 메흐메드 베이 (위스퀴프 산자크) |
크로아티아 왕국 지휘관 | 에메리크 데렌친 베르나르딘 프랑코판 이반 프랑코판 체틴스키 니콜라 6세 프랑코판 프라뇨 베리슬라비치 페타르 2세 즈린스키 |
병력 규모 | |
오스만 제국 병력 | 경 기병 8,000 - 10,000명 |
크로아티아 왕국 병력 | 기병 2,000 - 3,000명, 보병 8,000명 |
사상자 규모 | |
오스만 제국 사상자 | 1,000명 전사 |
크로아티아 왕국 사상자 | 5,000 - 7,000명 전사, 1,500명 포로 |
명칭 (다른 언어) | |
크로아티아어 | Bitka na Krbavskom polju, Krbavska bitka |
헝가리어 | Korbávmezei csata |
터키어 | Krbava Muharebesi |
2. 배경
1463년 보스니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이후, 오스만 제국은 서쪽으로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여 크로아티아 왕국의 남부와 중부 지역을 위협했다.[3]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의 방어는 소수의 군대로 자신의 비용을 들여 요새화된 국경을 지켜야 하는 크로아티아 귀족들의 책임이 되었다.
1463년 보스니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후, 오스만 제국은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크로아티아 왕국의 남부와 중부 지역을 위협하기 시작했다.[3] 이후 오스만 제국의 습격은 더욱 빈번해졌는데, 이는 주로 정규군이 아닌 경기병 부대인 아킨지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은 봄과 여름 동안 기독교 영토로 침입하여 시골을 약탈했으며, 요새화된 국경 도시와의 직접적인 충돌은 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지속적인 습격은 지역 주민들이 땅을 버리고 떠나게 만들었고, 국경 요새는 보급품 부족에 시달리게 되었다.
크르바바 평원 전투에서의 패배는 크로아티아 사회 전체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하루 만에 약 7,000명의 크로아티아군이 목숨을 잃었으며, 이 중에는 크로아티아의 봉건 귀족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 패배는 크로아티아인들의 저항 의지를 완전히 꺾지는 못했지만, 이후 오스만 제국의 공격에 더욱 취약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전투 이후, 일부 크로아티아인들은 오스트리아로, 다른 이들은 이탈리아의 해안 지방으로 피난을 떠났다.[15]
크르바바 평원 전투에 대한 기록은 다양한 현대 및 이전 역사적 자료에 기록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기록 중에는 1493년 9월 13일 세니에서 작성된 교황 사절 안토니오 파브레게스의 보고서, 1493년 9월 23일 얀 하시슈테인스키가 여행서에 기록한 내용, 1493년 노비 비노돌스키 성무일과서에 기록된 글라골 사제 마르티나크의 기록, 그리고 1493년 9월 27일 닌 주교 유라이 디브니치가 교황 알렉산데르 6세에게 보낸 편지에 담긴 전투 기록 등이 있다. 1561년에는 연대기 작가 이반 토마시치가 그의 저서 ''크로아티아 왕국의 간략한 연대기'' (''Chronicon breve Regni Croatiae'')에서 크르바바 평원 전투를 묘사했으며, 1696년에는 파바오 리터 비테조비치가 ''Kronika aliti szpomen vszega szvieta vikov''에서 묘사했다.[11] 오스만 측에서는 오스만 역사가 호자 사데딘 에펜디가 그의 저서 ''역사의 왕관''에 전투를 기록했다.[12] 이전 역사 자료에 제시된 참전 군인과 사상자 수는 대부분 과장되어 있다. 패배 소식이 빠르게 퍼지면서 전투 직후에 작성된 보고서는 막대한 손실에 대한 인상을 반영했다.
[1]
웹사이트
Jahrbuch der Kunsthistorischen Sammlungen des Allerhöchsten Kaiserhauses (ab 1919 Jahrbuch der Kunsthistorischen Sammlungen in Wien): Der Weisskunig — Wien, 6.1888
https://digi.ub.uni-[...]
University of Heidelberg
2024-10-19
오스만 제국군은 네레트바강을 따라 진군하여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했고, 1482년에는 라마를 함락시켰다. 이를 통해 오스만군은 강력하게 요새화된 국경 지대를 교묘하게 피해서 크로아티아로 진격할 수 있는 경로를 확보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습격은 더욱 빈번해졌는데, 주로 오스만 제국의 정규군이 아닌 경기병대인 아킨지에 의해 이루어졌다. 아킨지는 봄과 여름 동안 기독교 영토로 침입하여 요새화된 국경 도시와의 직접적인 충돌은 피하면서 시골 지역을 약탈했다. 이러한 지속적인 습격은 지역 주민들이 땅을 버리고 떠나게 만들었고, 국경 요새는 보급품 부족에 시달리게 되었다. 오스만 경기병대는 크로아티아를 넘어 카린티아와 카르니올라까지 진출하여 베네치아 공화국의 국경을 압박했다.
1491년 9월, 오스만 기병대가 쿠파 강을 건너 카르니올라에 도달했다. 그러나 돌아오는 길에 우드비나 근처에서 크로아티아의 반 라디슬라프 에게르바르와 백작 베르나르딘 프랑코판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요격당했고, 브르필레 전투에서 패배했다.
브르필레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오스만군은 1492년 한 해 동안 공격을 중단했다. 하지만 하딤 야쿠프 파샤가 보스니아 산자크의 산자크베이로 부임한 후, 오스만군의 습격은 다시 시작되었다.
3. 준비
1491년 9월, 오스만 기병대가 쿠파 강을 건너 카르니올라까지 도달하는 습격이 있었으나, 돌아오는 길에 크로아티아의 반 라디슬라프 에게르바르와 백작 베르나르딘 프랑코판의 군대에 의해 우드비나 근처 브르필레 전투에서 패배했다. 이 패배로 오스만군은 1492년 동안 공격을 중단해야 했다. 그러나 하딤 야쿠프 파샤가 보스니아 산자크의 산자크베이가 되면서 오스만군의 습격은 재개되었다.
1493년 여름, 하딤 야쿠프 파샤는 8,000명의 아킨지를 이끌고 야이체를 공격했으나 요새 점령에는 실패했다. 이후 그는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카르니올라와 슈티리아로 진입하여 약탈을 감행했다. 같은 시기 크로아티아 내부에서는 새로 임명된 크로아티아 반 에메릭 데렌친과 프랑코판 가문, 쿠르야코비치 가문 사이에 세니 등 여러 도시의 통제권을 둘러싼 내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1493년 7월 중순, 베르나르딘 프랑코판 백작과 이반 8세 프랑코판이 우위를 점하며 세니를 포위했으나, 반 데렌친이 구원군을 보내자 포위는 풀리고 프랑코판 군대는 소콜라츠로 퇴각했다. 이 과정에서 프랑코판 가문은 오스만 제국과 협력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그들의 영지 역시 오스만 군대에 의해 황폐해지고 있었다. 오스만 군대가 접근하고 있다는 소식은 결국 크로아티아 귀족들이 내부 갈등을 멈추고 평화를 맺도록 만들었다.
퇴각하는 길에 오스만군은 북부 리카의 모드루시를 약탈했는데, 이곳은 프랑코판 가문의 영지였다. 오스만군을 요격하기 위해 프랑코판 가문과 반 데렌친은 크로아티아 전역에서 군대를 모았다. 이 군대는 약 3,000명의 기병과 8,000명의 보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부는 크르바바 주변 지역 농민들로 이루어졌다. 군대의 최고 지휘관은 반 에메릭 데렌친이었다.
크로아티아 지휘부는 오스만군과의 교전 방식을 두고 의견이 갈렸다. 크로아티아의 주요 귀족 중 한 명인 이반 프랑코판 체틴스키는 지형을 이용하여 인근 협곡과 계곡에서 오스만 군대를 매복 공격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최고 사령관인 반 데렌친은 이러한 제안을 무시하고, 오히려 크로아티아인들을 겁쟁이라고 비난하며 개활지인 크르바바 평원에서 정면 대결을 벌이자고 주장했다. 체틴스키는 데렌친에게 "이것은 헝가리에서 도시나 마을을 말을 타고 달리는 것과는 다르다. 오늘 당신은 투르크인들이 어떻게 싸우는지 보게 될 것이다."라고 답하며 그의 결정이 가져올 위험을 경고했다고 전해진다. 결국 데렌친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크로아티아 군대는 크르바바 평원에서 오스만 군대와 정면으로 맞서기로 결정했다.
4. 전투
오스만 제국군은 2년 전 브르필레 협곡에서의 패배를 교훈 삼아, 크르바바 평원으로 진입하기 위해 고리차의 가장 낮고 좁은 산길을 택했다. 전투를 앞두고, 오스만 지휘관 하딤 야쿠프 파샤는 요샨(Jelšani) 근처에서 붙잡고 있던 기독교 포로들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이는 전투 중에 포로들이 크로아티아군을 도울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함이었다. 터키 역사가 H. E. 에펜디에 따르면, 야쿠프 파샤는 부하들에게 "유일신에 대한 적을 향한 분노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격렬한 연설을 하기도 했다.[6] 지휘관들과 회의를 마친 후, 그는 약 3,000명의 기병대를 크르바바 평원 근처 숲에 매복시켰다.
크로아티아군은 처음에 비수치 마을 근처 크르바바 평원의 동쪽 경사면에 진을 쳤다. 이들의 계획은 오스만군과 탁 트인 평원에서 싸우는 것이었다. 크로아티아군은 적을 정면으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었고,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첫 번째 그룹은 슬라보니아 병사들로 구성되어 프란요 베를라비치가 지휘했고, 두 번째 그룹은 이반 프랑코판 체틴스키가, 세 번째 그룹은 니콜라 6세 프랑코판과 베르나르딘 프랑코판이 이끌었다. 보병과 기병은 세 그룹에 고르게 분배되었다. 군대의 총지휘관은 반 에메리크 데렌친이었다. 오스만 군대 역시 세 그룹으로 편성되었다. 첫 번째 그룹은 크루셰바츠 산자크의 산자크 베이인 이스마일 베이가, 두 번째 그룹은 위스퀴프 산자크(스코페)의 메흐메드 베이가, 그리고 중간 그룹은 하딤 야쿠프 파샤가 직접 지휘했다. 보스니아 왕 스테판 토마스의 아들인 이샤크 베이 크랄로글루(보스니아의 지기스문트)도 오스만 측에서 전투에 참여했다.[7]
오스만 계획은 크로아티아 군대를 숲 옆으로 더 서쪽으로 유인하여 매복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이스마일의 우익이 먼저 움직여 크로아티아 좌익으로 향했다. 크로아티아군은 경사면을 떠나 오스만군에게 돌진하여 탁 트인 평원에서 전투를 시작했다. 전투는 칼을 사용하여 근접전으로 치러졌으며 활은 사용되지 않았다. 오스만군은 처음에는 밀려났고, 크로아티아 군대를 매복으로 유인하는 가짜 후퇴를 시작했다.
크르바바 평원의 숲 지역에 위치한 3,000명의 오스만 기병대는 크르바바 강을 건너 크로아티아 후방을 공격했다. 그런 다음 숲에 숨어 있던 하딤 야쿠프 파샤의 오스만 주력이 정면 공격을 시작했다. 따라서 크로아티아 군대는 정면, 오른쪽, 후방에서 공격을 받았다. 베르나르딘 프랑코판의 크로아티아 좌익은 터키 경 기병대의 공격을 견디지 못하고 후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크로아티아 보병은 포위되어 후퇴할 수 없었다. 크로아티아 군대는 총체적인 패배를 겪었고, 소수의 병력만이 근처의 요새화된 우드비나 마을에서 안전하게 탈출했다.
전투는 오전 9시경에 시작되어 오후 늦게 끝났다. H. E. 에펜디에 따르면, 전투의 절정에서 데렌친은 그의 말을 쳐서 쓰러뜨린 아킨지와 결투를 벌였고, 파샤에게 끌려가 그의 손과 목에 밧줄이 묶였다. 파샤는 그를 사슬에 묶어 죽거나 포로로 잡힌 크로아티아 병사들 옆에 세워 그의 귀와 코를 자르라고 명령했다.[8] 데렌친은 포로로 죽었고, 그의 형제와 아들 파바오는 전투에서 사망했다. 니콜라 6세 프랑코판 트르자키도 포로로 잡혔지만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되었다. 사망한 크로아티아 귀족들 중에는 이반 프랑코판 체틴스키, 페타르 2세 즈린스키, 유라이 블라트코비치, 그리고 야이체 반 미하일로 페트케이가 있었다. 베르나르딘 프랑코판 백작과 프란요 베를라비치는 전투에서 살아남았다. 크로아티아군은 미르코 데렌친을 포함한 크로아티아 귀족들의 정수라 할 수 있는 무수한 많은 사람들을 잃을 정도의 완벽한 피해를 입었다.[15]
5. 영향
크로아티아 귀족들이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이전의 역사가들과 연대기 작가들은 이 전투를 "크로아티아 왕국의 첫 번째 해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9]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크르바바 평원에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인 영토 확장을 이루지는 못했다.[10] 피해가 컸기 때문에, 현지에서는 크르바바 평원을 "피의 들판"(Krvavo polje|크르바보 폴례hr)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크로아티아-헝가리 왕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평화 조약은 1495년 4월에 체결되었다. 다음 주요 오스만 침략은 1512년과 1513년에 발생했으며, 두비차 전투에서 크로아티아의 승리로 이어졌다. 전투 이후, 그리고 수십 년 동안, 끊임없는 오스만 공격으로 인해 현지 크로아티아인들은 더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했다; 북서 크로아티아, 해안과 섬, 그리고 국외로도 이동했다.
6. 역사적 기록
참조
[2]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3]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4]
서적
Povijest Hrvata; pregled povijesti hrvatskog naroda 600–1918
Zagreb
[5]
서적
Izvori za hrvatsku povijest do 1526. godine
Školska knjiga
[6]
문서
[7]
서적
Jajce Grad: prilog povijesti posljednje bosanske prijestolnice
HKD Napredak
[8]
문서
[9]
문서
Chronicon breve Regni Croatiae
[10]
문서
[11]
간행물
Croatian Encyclopedia
Leksikografski zavod Miroslav Krleža
2014-01-05
[12]
서적
Izvori za hrvatsku povijest do 1526. godine
Školska knjiga
[13]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14]
서적
Democratic Transition in Croatia: Value Transformation, Education & Media
[15]
서적
Croatia: A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