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체고비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남부 지역으로, 지리적, 문화적 경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이름은 1454년 오스만 제국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5세기 코사차 가문의 스테판 부크치치 코사차의 칭호인 '헤르체그'에서 유래했다. 7세기 슬라브족 정착 이후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영향을 받았다. 148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된 후 1918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모스타르를 비롯한 여러 도시와 다양한 문화 유적, 종교, 음악 전통을 가지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크라비차 폭포, 후토보 블라토, 블라가이, 네움, 메주고리예 등이 있다.

2. 어원

오스만 제국은 1454년 2월 1일 오스만 사령관 에세베그가 스코페에서 보낸 서한에서 이 지역을 헤르체고비나|Hercegovina|헤르체고비나sh (헤르세크|Hersek|헤르세크tr, هرسك|Hersek|헤르세크ota)로 처음 사용했다.[2][3] 1470년에는 헤르체고비나 산자크를 포차에 처음 설치했다.

''헤르체고비나''는 '헤르체그-스테판'의 칭호에서 파생된 명사로, 문자 그대로 '공작의 땅'( 헤르체고비나|hercegovina|헤르체고비나sh), 즉 '헤르체그의 땅'을 의미한다.[4]

''헤르체그''라는 칭호는 독일어 헤르조그|Herzog|헤르조그de (공작을 의미하는 독일어)의 슬라브어 형태이다. 이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코사차 공작은 헤르체그-스테판이었으며, 1449-50년에 훔|Hum|훔sh의 헤르체그가 되었다. 1481년 12월, 스테판 부크치치의 후계자들의 영토는 마침내 오스만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헤르체고비나"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기 전에는, 이 지역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훔스카 젬야|Humska zemlja|훔스카 젬야sh("훔의 땅") 또는 간단히 훔|Hum|훔sh이라고 불렸다.[4]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 하에 이 지역은 독일어로 헤르츠가우|Herzogau|헤르츠가우de라고 불렸으며, 이는 어원적으로 슬라브어 이름과 일치한다.

3. 역사

7세기슬라브족발칸반도에 정착한 이후, 헤르체고비나는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훔(Hum) 또는 트라부니아(Travunia)로 불렸다. 중세 시대에 헤르체고비나 동반부는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서반부는 크로아티아의 지배를 받았다. 14세기부터 보스니아 총독의 영지가 되면서 보스니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1448년 1월 20일, 보스니아 귀족 스체판 북치치 코사차는 신성 로마 제국 프레데리크 3세 황제에게 보낸 서한에서 자신을 '보스니아의 대공', '성 사바 대공'이라 칭했다. '공작(Herzeg)의 땅'이라는 뜻의 헤르체고비나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했다.

1482년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9세기에는 헤르체고비나 각지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다. 1878년 베를린 회의 결과에 따라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었고, 1908년에는 정식으로 합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소멸되면서 보스니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3. 1. 중세 시대

7세기슬라브족발칸반도에 정착한 이후, 헤르체고비나는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훔(Hum) 또는 트라부니아(Travunia)로 불렸다. 중세 시대에 헤르체고비나 동반부는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서반부는 크로아티아의 지배를 받았다. 14세기부터 보스니아 총독의 영지가 되면서 보스니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2][3]

1100년대에 훔(Hum)은 네마니치 왕조 가문의 손에 들어갔으며, 헝가리 역시 보스니아에 대한 주장의 일부로 훔을 주장했고, 헝가리와 네마니치 가문 사이에는 지배권을 쟁취하기 위한 전쟁이 벌어졌다. 13세기 초에 라슈카가 훔의 대부분을 장악했고, 성 사바는 1220년에 스톤에 세르비아의 주교구를 만들었다. 1220년대에 페테르는 훔의 공으로 불렸으며, 스플리트의 공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가톨릭 교회는 그의 동방 정교회 신앙 때문에 그를 파문했지만, 스플리트 시민들은 그를 공으로 유지했다. 그의 사망 이후 그의 후손들은 수십 년 동안 훔의 적어도 일부를 계속 통치했다.[4]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과 스테판 드라구틴 사이의 전쟁 과정에서 크로아티아 출신의 파울 1세 슈비치는 서부 훔뿐만 아니라 네레트바 강 너머까지 확장하여 네베시녜와 스톤 지역을 점령했다. 파울은 맏아들 믈라덴 2세 슈비치를 훔의 영주로 임명했다. 파울의 정복지 중 적어도 일부는 그의 봉신인 콘스탄틴 넬리피치에게 부여되었다. 파울의 죽음 이후 밀루틴과 드라구틴은 평화를 맺고 슈비치 가문에 대항하여 전쟁을 벌였다. 이어진 전쟁에서 밀루틴은 믈라덴의 형제 중 한 명을 포로로 잡았고, 믈라덴 슈비치는 그를 돌려받기 위해 훔의 일부를 밀루틴에게 돌려주는 데 동의해야 했다. 1313년 이 합의 이후 네레트바 강은 다시 동부 훔과 서부 훔의 경계가 되었다.[4]

1321년 스테판 밀루틴의 죽음 이후, 다양한 세르비아 귀족들이 편을 갈랐고, 훔에서는 브라니보예비치 가문이 가장 강력해졌다. 스톤에 법정을 두고 그들은 세티나 강에서 코토르까지 펠레샤츠를 포함한 토지를 주장했다. 보스니아 반 스테판 2세 코토로마니치는 동맹 훔 귀족들과 세르비아가 브라니보예비치를 지원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1326년 훔을 장악하여 병합했다. 훔을 둘러싼 전쟁의 일환으로 두브로브니크는 브라니보예비치가 소유한 훔의 일부인 펠레샤츠와 스톤을 점령하려 했다. 세르비아는 그것을 양보하는 것을 거부했고, 이로 인해 두브로브니크와 세르비아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1333년 세르비아의 새로운 왕 스테판 두샨은 펠레샤츠와 스톤을 현금과 연례 조공을 받고 두브로브니크에 팔았다.[4]

3. 1. 1. 코사차 가문 시대의 훔스카 젬랴

7세기에 슬라브족이 발칸반도에 정착한 이후,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훔(Hum) 또는 트라부니아(Travunia)로 불리던 헤르체고비나는 중세 시대에 동쪽은 세르비아, 서쪽은 크로아티아의 지배를 받았다. 14세기부터 보스니아 총독의 영지가 되면서 보스니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13세기와 14세기 초, 보스니아의 반 스테판 1세 코토로마니치와 스테판 2세 코토로마니치는 이 지역들을 보스니아에 합병했고, 트브르트코 1세는 현대 헤르체고비나의 범위를 넘어 영토를 확장했다.

이 시기, ''훔스카 젬랴''(훔의 땅) 또는 간단히 ''훔''이라 불리던 헤르체고비나의 일부는 트르트코 1세 왕에 의해 코사차 가문과 그들의 브코비치 분가에 넘겨졌다. 이들은 보스니아 군대의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이 지역을 다스리게 되었다.[4]

당시 파블레 라디노비치가 이끌던 파블로비치 가문은 드라나 주에 있는 로가티차 근처에 거점을 두고, 드라나와 브르흐보스나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여 트레비네를 중심으로 한 훔 지역의 일부 영토를 공유했다.[5][6]

코사차 가문이 왕으로부터 훔 지역을 받았을 때, 상코비치 가문이 이 지역에서 우선권을 가지고 있었다. 상코비치 가문은 14세기와 15세기 초에 훔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들의 거점은 글라바티체보의 마을 비스쿠피에 있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립 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는 가족 묘지가 남아 있다.[8] 상코비치 가문의 창시자는 상코 밀테노비치[9]였고, 그의 장남은 라디치 상코비치였다.

오스만의 위협이 동쪽에서 고조되어 보스니아와 훔 지역의 남동부를 위협했다. 1388년 8월 27일, 라디치는 빌레차 전투에 참여했는데, 당시 대공 브라트코가 이끄는 보스니아 군대가 오스만 습격 부대를 격파했다.[10][11]

1391–1392년에 라디치와 그의 형제 벨랴크는 코나블레에 있는 그들의 재산을 라구사에 팔려고 시도했다.[14] 그러나 라디치 상코비치가 두브로브니크에 코나블리를 판매하는 것에 반대하여 왕과 귀족들이 ''스타나크''를 소집했다.[15] 대공 브라트코 브코비치와 크네즈 파블레 라디노비치는 1391년 12월에 ''스타나크''의 축복을 받은 후 라디치를 상대로 파견되었다.[15] 두 사람은 라디치를 체포하고 코나블리를 점령하여 서로 나누었다.[15]

브라트코 브코비치가 사망한 후,[15] 그의 조카인 보스니아 대공, 산달 흐라니치가 그의 뒤를 이었다.[15] 산달 흐라니치는 라디치에 대한 투쟁을 계속했다.[15] 라디치는 1398년에 자유를 되찾았고, 스테판 오스토야 국왕의 중요한 동맹이 되었다.[16]

라디치는 1403-1404년 보스니아-두브로브니크 전쟁에 참여하여 스테판 오스토야 국왕의 이름으로 두브로브니크를 공격했다. 산달은 라디치를 체포하여 그의 모든 땅을 빼앗고, 눈을 멀게 한 후 감옥에 던져 라디치는 1404년에 사망하여 상코비치 가문의 종말을 알렸다.[15]

산달이 사망하자, 스체판 브크치치가 훔 지역에 대한 영주권을 상속받았고,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전 이 지역(''젬랴'')을 효과적으로 통제한 마지막 보스니아 귀족이었다. 그는 스스로를 '훔과 프리모르예 공작, 보스니아 대공, 크냐즈 드라나'라고 칭했고, 나중에는 '성 사바 공작, 훔 영주, 보스니아 대공, 드라나 크냐즈 및 기타'라고 칭했다. 오스만의 정복과 보스니아 왕국의 멸망 이후, ''훔'' 또는 ''훔스카 젬랴''는 ''헤르체고비나''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공작의 땅"을 의미한다.[4]

스체판 브크치치 시대의 코사차 상징.


1448년 1월 20일, 스체판 북치치 코사차는 신성 로마 제국프레데리크 3세 황제에게 보낸 서한에서 자신을 '보스니아의 대공', '성 사바 대공'이라는 칭호로 명명했다. "공작(Herzeg)의 땅"이라는 뜻을 가진 헤르체고비나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라는 이름으로 여전히 존재하는 ''"헤르체고비나"''[4]는 스체판 브크치치 코사차의 가장 중요하고 지울 수 없는 유산이다. 한 사람이 자신의 이름을 마지막 몇 년 동안 떼려야 뗄 수 없게 된 그의 귀족 작위를 이전에 ''훔스카 젬랴'' 또는 ''훔''이라고 불리던 지역에 부여했기 때문에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는 발칸 지역에서 독특하다.[4]

1451년, 스체판은 두브로브니크 도시를 공격하고 포위했다. 그는 이전에 라구사 공화국의 귀족이 되었기 때문에 라구사 정부는 그를 반역자로 선포했다. 그를 살해하는 사람에게는 15,000두캇의 보상, 두브로브니크에 있는 2,000두캇 상당의 궁전, 연간 300두캇의 수입이 제공되었으며, 또한 이 일을 하는 사람에게 세습 라구사 귀족 지위를 약속했다.[4]

스체판 브크치치는 1466년에 사망했고 그의 둘째 아들인 브라트코 헤르체고비치가 ''헤르체그''로 그의 뒤를 이었고, 그는 가능한 한 많은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1482년, 스체판 부크치치의 후계자들의 영토는 오스만 제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3. 2. 오스만 제국 시대

1482년, 스테판 부크치치 코사차의 후계자들의 영토는 오스만 제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에 헤르체고비나(Hersek)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최초의 국가였다.[2] 보스니아의 베일레르베이 이사-베그 이사코비치는 1454년의 서한에서 이 이름을 언급했다.[3]

오스만 제국에서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에야레트 내의 산자크인 헤르체고비나 산자크로 조직되었다. 1477년 터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일부 마을은 "블라흐의 소유"로, 다른 마을은 "세르비아 정착지"로 언급되었으며 대부분 버려졌다.[18] 오스만 데프테르에 따르면, 15세기 말 헤르체고비나에는 최소 35,000명의 블라흐인이 있었다.[19]

장기 전쟁(1591–1606) 동안, 세르비아인들이 헤르체고비나에서 봉기(1596–97)했지만, 가츠코 들판에서의 패배 이후 빠르게 진압되었다.

1645년부터 1669년까지의 칸디아 전쟁은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이 달마티아와 연안 헤르체고비나를 놓고 싸우면서 이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의 결과, 오스만 제국은 Neum-클렉 연안 지역을 통해 아드리아 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두브로브니크 공화국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를 양도했다.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의 소금을 얻는 데서 이익을 얻었다.

보스니아 봉기 (1831–32)의 결과, 빌라예트는 분할되어 반독립적인 비지르 알리-파샤 리즈반베고비치가 통치하는 별도의 헤르체고비나 에얄레트를 형성했다. 그의 사망 후,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 에야레트는 병합되었다.

새로운 공동 실체는 1853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일반적으로 불렸다. 이 지역의 세르비아인들은 오스만 제국에 반란(1852–62)을 일으켰고 오스만 통치로부터 세르비아인의 해방을 추구한 몬테네그로인들의 지원을 받았다.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들은 오스만 통치에 자주 반발했고, 헤르체고비나 봉기 (1875-78)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이는 세르비아 공국몬테네그로의 지원을 받았다.

3. 3. 현대

1878년 베를린 회의의 결과에 따라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었고, 1908년에는 정식으로 합병되었다. 헤르체고비나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몬테네그로와의 통합을 원했다. 1895년 프란치스코회모스타르에 헤르체고비나 최초의 대학교를 열었다.[20]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헤르체고비나 합병은 보스니아 위기를 초래했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국제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은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에 대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의 불만에서 비롯되었다.[20]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헤르체고비나는 민족 갈등의 장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무슬림 준군사 조직인 슈츠코리를 결성했고, 이들은 특히 헤르체고비나에서 세르비아인들을 박해했다.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최초로 발생한 적극적인 '인종 청소' 사건이었다.[20]

1918년 헤르체고비나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1년에는 파시스트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점령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헤르체고비나는 파시스트 크로아티아 우스타샤, 왕당파 세르비아 체트니크,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간의 격전지였다. 행정적으로는 훔 및 두브라바 군으로 나뉘었다. 1945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공화국 중 하나가 되었고,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해체 시까지 유지되었다. 보스니아 전쟁 동안 서부 및 중부 헤르체고비나의 상당 부분은 헤르체그-보스니아 (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합류)의 통제하에 있었고, 동부 헤르체고비나는 스릅스카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4. 지리

봄철 이반 산과 Bjelašnica 산 사이의 고개인 이반 세들로에서 바라본 헤르체고비나.


블리디예 고원에서 바라본 츠브르스니차의 서쪽 경사면.


네레트바 강 계곡


빌레치코 호수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남부 지역이다. 지리적, 문화적으로 경계와 영토가 엄격하게 정의된 적은 없다.[21]

보스니아는 헤르체고비나의 서쪽과 북쪽에 있으며, 두 지역 사이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헤르체고비나의 남서쪽에는 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 지역이 있고, 동남쪽에는 몬테네그로가 있다.

토지 면적은 대략 11500km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 면적의 약 23%)[21] 또는 12300km2 (약 24%)이다.[1] 아드리아 해와는 20 km 길이의 해안선으로 접해 있다.

헤르체고비나의 지형은 주로 언덕이 많은 카르스트 지형이며, 북쪽에는 츠브르스니차와 프렌과 같은 높은 산이 있다. 네레트바 강의 중앙 계곡을 제외하면, 네레트바 강 상류는 북부 헤르체고비나에 위치하며, 빠르게 흐르는 강과 높은 산이 있는 울창한 숲 지대이다. 코니츠야블라니차가 이 지역에 있다.

네레트바 강은 몬테네그로 국경 근처의 레브르슈니크 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면서 헤르체고비나로 들어간다. 네레트바 강의 상류 유역은 많은 고유종과 멸종 위기종이 있는 귀중한 생태 지역이다. 가파른 카르스트 지형을 관통하여 래프팅과 카약킹을 위한 훌륭한 기회를 제공하며, 주변 산과 숲은 도전적인 하이킹 지형을 제공한다. 네레트바 강의 상류 지류는 산악 지형으로 인해 대부분 짧으며, 라키트니차 강은 깊은 협곡을 깎아 유럽에서 가장 탐험되지 않은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라키트니차 강은 코니츠 상류의 네레트바 강으로 흘러든다. 네레트바 강은 북서쪽으로 흐르며 코니츠를 통과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큰 호수 중 하나인 야블라니차 저수지(`Jablaničko jezero`)로 들어간다. 야블라니차 마을 근처에서 호수가 끝나면, 네레트바 강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아드리아 해로 향한다. 해안을 따라 늘어선 산들이 점차 물러나면서 네레트바 강은 모스타르시가 위치한 계곡으로 들어선다. 구 다리 아래로 흘러가며 너비가 넓어진 후, 아드리아 해로 흘러들어가기 전에 차플리나 마을과 크로아티아의 네레트바 삼각주로 향한다.

4. 1. 도시와 마을

모스타르는 헤르체고비나 지역 중심부에 위치한 가장 잘 알려진 도시이자 비공식 수도이다. 10만 명 이상의 시민이 거주하는 유일한 도시이다.[1]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큰 도시로는 트레비네, 스톨라츠, 시로키 브리예그, 포수셰, 류부슈키, 토미슬라브그라드, 그루데, 코니츠, 차플리나 등이 있다.[1]

스톨라츠는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로, 정착지는 구석기 시대 (바다니 동굴)부터 시작되었다. 일리리아 부족은 다오르손 도시에 살았고, 브레가바 강을 따라 여러 로마 정착지가 있었다. 중세 주민들은 라딤랴에 스테차크라고 불리는 큰 석조 무덤 기념물을 남겼다.[1] 트레비네는 트레비시니차 강에 위치하며, 몬테네그로 국경 근처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최남단 도시이다.[1]

차플리나와 류부슈키는 그들의 역사와 강으로 유명하며, 메주고리예 마을은 많은 로마 가톨릭 신자들에게 종교적으로 중요하다.

5. 행정 구역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헤르체고비나는 국가의 두 주요 구성체인 스릅스카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으로 나뉜다.[1]

스릅스카 공화국의 헤르체고비나 지역은 일반적으로 동 헤르체고비나로 불리며, 점점 더 "트레비네 지역"으로 불리고 있다. 이 지역은 행정적으로 베르코비치, 빌레차, 가츠코, 이스토치니 모스타르, 류비네, 네베시네, 트레비네 시정촌으로 나뉜다.[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내에서 헤르체고비나는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와 서 헤르체고비나 주의 칸톤으로 행정적으로 나뉜다. 이 두 칸톤은 다른 위치 또는 지리적 특징과 관련하여 이 지역을 언급할 뿐이다. 이 지역의 일부는 제10주에 속한다.[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서 헤르체고비나 주

6. 인구

헤르체고비나 지역 주민은 민족 명칭으로 '''헤르체고비나인'''(; ; , )으로 알려져 있다.[22] 역사적으로 헤르체고비나의 인구는 민족적으로 혼합되어 있었지만, 1990년대의 보스니아 전쟁으로 대규모 민족 청소와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했다. 1991년 마지막 전쟁 전 인구 조사에서는 437,095명의 주민이 기록되었다.[22]


  • 크로아티아인은 일반적으로 모스타르, 류부시키, 시로키 브리예그, 치틀루크, 그루데, 포수셰, 차플리나, 노움, 스톨라츠, 라브노, 프로조르-라마 등 크로아티아 국경에 가장 가까운 지역에 거주한다.
  • 보스니아인은 주로 네레트바 강을 따라 모스타르, 코니츠, 야블라니차와 같은 지역에 살고 있으며, 스톨라츠, 차플리나, 프로조르-라마에서도 상당한 비율로, 네베시네, 가츠코, 트레비네에서도 소규모로 거주하고 있다.
  • 세르비아인은 동 헤르체고비나에서 다수를 차지하며, 베르코비치, 빌레차, 가츠코, 이스토치니 모스타르, 류비네, 네베시네, 트레비네를 포함한 지방 자치 단체에 거주한다.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서 헤르체고비나 칸톤,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칸톤 및 동 헤르체고비나의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23]

민족인구비율
크로아티아인212,42855.2%
보스니아인94,89524.7%
세르비아인70,95218.4%
기타6,4831.7%
총계384,743100%


7. 문화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던 점을 반영하여, 수정 작업 역시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내용을 생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7. 1. 기념물

이 지역은 풍부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모고르옐로, 스타리 모스트, 스테치, 테키야 등 다양한 문화 역사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1]

7. 2. 종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24]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종교는 다음과 같다:

  • 자훔레 및 헤르체고비나 교구 (세르비아 정교회)
  • 모스타르-두브노 로마 가톨릭 교구 및 트레비네-므르칸 로마 가톨릭 교구
  • 이슬람교 (참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이슬람 공동체)

7. 3. 음악


  • 강가
  • 구슬레
  • 세브달린카


8. 관광

헤르체고비나의 자연 명소는 여러 가지가 있다.[1]


  • 크라비차 폭포(Kravica)는 트레비자트 강(Trebižat)에 있으며, 류부시키 시 근처에 있는 여러 폭포이다. 더운 날씨에 현지인들이 수영을 즐겨 찾는 곳이다.
  • 후토보 블라토는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조류 보호 구역 중 하나로, 많은 국제 조류학자들이 모이는 곳이다.
  • 비예트레니차는 동굴 시스템이자 독특한 생태계이다. 크로아티아와의 국경 근처, 라브노 지방 자치 단체의 포포보 폴리에에 있다. 동굴은 아직 완전히 탐험되지 않았지만, 방문객에게 공개되어 있다. 많은 수의 고유한 동굴 서식종이 발견되었으며, 새로운 종의 발견도 기대할 수 있다.
  • 블라가이는 동굴 시스템 내부의 부나 강(Buna)의 발원지로도 알려져 있다.
  • 아드리아 해에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유일한 해안 도시인 네움도 관광 명소이다.
  • 메주고리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이 찾는 장소 중 하나이다.

9. 이미지 갤러리

네움

10. 참고 문헌


  • Dušan T. Bataković|두샨 T. 바타코비치영어 (199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 역사와 정치''. 파리: Dialogue. ISBN 9782911527104.
  • Sima Ćirković|시마 치르코비치sr (1964a). ''헤르체크 스테판 부크치치-코사차와 그의 시대''. Naučno delo SANU.
  • Sima Ćirković|시마 치르코비치sr (1964). ''중세 보스니아 국가의 역사''. 세르비아 문학 길드.
  • Sima Ćirković|시마 치르코비치영어 (2004). ''세르비아인''. Malden: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1405142915.
  • Florin Curta|플로린 쿠르타영어 (2006). ''중세 시대의 남동 유럽, 500–1250''.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젤코 파이프리치 (2000). ''코트로마니치''. Janus. 3장. 스테판 2세 코트로마니치 (1314-1353).
  • John Van Antwerp Fine Jr.|존 밴 앤트워프 파인 2세영어 (1991) [1983]. ''초기 중세 발칸: 6세기부터 12세기 말까지의 비판적 연구''. 앤아버, 미시간: 미시간 대학교 출판부. ISBN 0472081497.
  • John Van Antwerp Fine Jr.|존 밴 앤트워프 파인 2세영어 (1994) [1987]. ''후기 중세 발칸: 12세기 말부터 오스만 제국 정복까지의 비판적 연구''. 앤아버, 미시간: 미시간 대학교 출판부. ISBN 0472082604.
  • Damir Karbić|다미르 카르비치hr (2004). “크로아티아 반의 세습 지위 상실까지의 브리비르의 슈비치 (1322)”. ''Historical Contributions''.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22권, 1–26쪽.
  • Nada Klaić|나다 클라이치hr (1989). ''중세 보스니아: 트르트코의 대관식(1377년)까지의 보스니아 통치자들의 정치적 지위''. 자그레브: Grafički zavod Hrvatske. ISBN 9788639901042.
  • 바리샤 크레키치 (1978). “후기 중세 두브로브니크의 경제 성장에 대한 외국인의 기여”. ''Viator''. 9권, 385–404쪽. doi:10.1525/9780520327320-019. ISBN 9780520327320.
  • Esad Kurtović|에사드 쿠르토비치sh (2009). ''보스니아 대공산 산달리 흐라니치 코사차''. 4권. 사라예보 역사 연구소. ISBN 9789958649011. 역사적 모노그래프.
  • John R. Lampe|존 R. 램프영어 (2000). ''역사로서의 유고슬라비아: 두 번의 국가가 있었다''. 케임브리지, 잉글랜드: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77401-7.
  • Marko Vego|마르코 베고hr (1982). ''중세 보스니아 국가의 기원''. Svjetlost.

참조

[1] 서적 Regionalna strategija ekonomskog razvoja Hercegovine https://www.redah.ba[...] 2020-11-22
[2] 서적 The Medieval and Ottoman Roots of Modern Bosnian Society Harvard University Center for Middle Eastern Studies
[3] 간행물 Bosna
[4] 문서
[5] 웹사이트 Borak (Han-stjenički plateau) necropolis with stećak tombstones in the village of Burati, the historic site https://web.archive.[...] 2019-02-02
[6] 웹사이트 M.A. Thesis: "Slavni i velmožni gospodin knez Pavle Radinović" (available for download at faculty website) https://www.ff.unsa.[...] Faculty of Philosophy of University of Sarajevo – History Department 2019-02-02
[7] 웹사이트 ГЛасник http://www.uarrs-arh[...] УдружеЊе Архивских Радниҝа Републиҝе Српске
[8] 웹사이트 Grčka Glavica – necropolis with stećak tombstones and the ruins of a church in the village of Biskup, the historic area http://old.kons.gov.[...] Commission to preserve national monuments 2024-04-27
[9] 서적 Kotromanići
[10] 서적 Osman's Dream Basic Books
[11] 웹사이트 Bitka kod Bileće (1388) – Zaboravljeni grob Vlatka Vukovića https://web.archive.[...] PLEMENITO – digitalni arhiv 2019-02-22
[12] 웹사이트 Slavni i velmožni gospodin knez Pavle Radinović https://www.ff.unsa.[...] 2020-04-08
[13] 웹사이트 Adrian Hastings, Južni Slaveni http://ivanlovrenovi[...] 2020-04-08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Godišnjak https://books.google[...]
[18] 서적 The Serbs Wiley-Blackwell
[19] 서적 Povijest Bosne – kratki pregled Erasmus Gilda, Novi Liber, Zagreb, Dani-Sarajevo
[20] 문서
[21] 간행물 Administrativno uređenje Hercegovine od 1945. do 1952. godine http://www.most.ba/1[...] 2017-07-29
[22] 서적 Ethnic composition of Bosnia-Herzegovina population, by municipalities and settlements, 1991 Zavod za statistiku Bosne i Hercegovine
[23] 웹사이트 Popis 2013 u BiH http://www.statistik[...] 2023-05-14
[24] 웹사이트 Freedom of religion Law..., Official Gazette of B&H 5/04 https://web.archive.[...] 2018-01-04
[25] 웹사이트 Herzegovina more and more attractive to guests and tourism investments https://www.croatiaw[...] Croatia Week 2023-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