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6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63년은 명나라 천순 7년, 조선 세조 9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홍문관이 설치되었으며, 프랑수아 비용이 파리에서 추방당하고 보스니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는 등 서유럽에서 사건이 발생했다. 1463년에는 프리드리히 3세,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시마즈 다다마사 등이 태어났고, 볼로냐의 카타리나, 스테판 토마셰비치, 마리 당주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63년 | |
---|---|
연도 정보 | |
기원전 | 기원전 15세기 |
기원후 | 15세기 |
주요 사건 | |
유럽 | 1463년 4월 25일, 메흐메트 2세의 군대가 보스니아를 침공함. 1463년 스페인의 카탈루냐 지방에서 카탈루냐 농민 전쟁이 발발함. |
아시아 | 1463년 베트남에서 레 성통 황제가 다이비엣사끼 편찬을 시작함. |
탄생 | |
인물 | 1월 17일 - 안토니오 마리아차치, 이탈리아의 화가 2월 24일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이탈리아의 철학자 6월 29일 - 레오 에그, 스위스의 수도사, 연대기 작가 8월 29일 - 요한네스 하스, 독일의 천문학자, 점성가, 수학자 9월 16일 - 하이레딘 바르바롯사, 오스만 제국의 제독 12월 12일 - 레오나르도 로레다노,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미상 | 카이타시,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승려, 시인 야마우치 우에스기 마사자네,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에르콜레 1세 데스테, 페라라 공작 루이사 데 메디치,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조반니 바티스타 오르시니의 아내 조반니 안드레아 보카치노, 이탈리아 화가 |
사망 | |
인물 | 3월 31일 - 이사크, 키예프의 유대교 지도자 5월 21일 - 스체판 토마셰비치, 보스니아의 마지막 왕 9월 2일 - 레오나르도 다 피스토이아, 이탈리아의 성직자, 아우구스티누스회 총장 |
미상 | 우에스기 노리자네,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존 던스터블, 영국 작곡가 니콜라스 오브 쿠사, 독일의 철학자, 신학자, 천문학자, 수학자, 추기경 |
2. 연호
- 명(明) 천순(天順) 7년
- 일본(日本) 간쇼(寛正일본어) 4년
- 후 레 왕조(後黎朝) 꽝투언(光順) 4년
- 명(明) 영종 천순제(英宗 天順帝) 복위 7년
- 조선(朝鮮) 세조(世祖) 9년
- 후 레 왕조(後黎朝) 성종(聖宗) 4년
- 간지 : 계미
- 일본
- * 관정 4년
- ** 고가공방 : 교덕 12년
- * 황기 2123년
- 중국
- * 명 : 천순 7년
- 조선
- * 이씨조선 : 세조 9년
- * 단기 3796년
- 베트남
- * 후레 왕조 : 광순 4년
- 불멸기원 : 2005년 - 2006년
- 이슬람력 : 867년 - 868년
- 유대력 : 5223년 - 5224년
3. 사건
3. 1. 한국
홍문관이 설치되었다.3. 2. 동아시아 및 기타 지역
조선 세조 9년 11월 17일 홍문관 설치.무함마드 룸파가 카노를 통치하기 시작하다.
마르실리오 피치노가 헤르메스 문서집을 라틴어로 번역하다.
3. 3. 서유럽
프랑수아 비용이 교수형 집행 유예를 받고 파리에서 추방당했으며, 이후 그의 삶은 기록되지 않았다.[1] 보스니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1] 비스툴라 석호 전투에서 프로이센 동맹 해군이 튜턴 기사단 해군을 패퇴시켰다.[1] 헤스딘 휴전으로 잉글랜드의 랭커스터 가문에 대한 프랑스의 지원이 종식되었다.[1]3. 4. 오스만 제국
무함마드 룸파(Muhammad Rumfa)가 카노를 통치하기 시작했다.4. 탄생
- 1월 17일 - 프레드리히 3세(Frederick III, Elector of Saxony) (사망 1525년)
- 2월 24일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Giovanni Pico della Mirandola), 이탈리아 철학자 (사망 1494년)[2]
- 5월 21일 (관정 4년 5월 3일) - 시마즈 다다마사(島津忠昌), 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센고쿠 다이묘, 시마즈 씨의 제11대 당주 ( + 1508년)
- 6월 14일 – 헨리 4세(Henry IV, Duke of Brunswick-Lüneburg), 독일 귀족 (사망 1514년)
- 8월 4일 – 로렌초 디 피에르프란체스코 데 메디치(Lorenzo di Pierfrancesco de' Medici), 피렌체의 예술 후원자 (사망 1503년)
- 9월 29일 – 루이 1세(Louis I, Count of Löwenstein),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 가문의 창시자 (사망 1523년)
- 10월 20일 또는 10월 29일 – 알레산드로 아킬리니(Alessandro Achillini), 볼로냐 철학자 (사망 1512년)[3]
- 11월 29일 – 안드레아 델라 발레(Andrea della Valle),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사망 1534년)
- 12월 25일 – 요한 폰 슈바르첸베르크(Johann of Schwarzenberg), 독일 판사이자 시인 (사망 1528년)
- 쇼니 호즈미츠네(正親町三条実望), 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공경 ( + 1530년)
- 카테리나 스포르차(Caterina Sforza), 포를리 백작 부인이자 섭정 (사망 1509년)[4]
- 도쇼인(洞松院), 센고쿠 다이묘 아카마쓰 마사노리(赤松政則)의 후실 ( + 사망년도 미상)
- 나이토 요시키요(内藤義清), 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무장 ( + 1537년)
- 마르그리트 드 로렌(1463-1521)(Marguerite de Lorraine), 아랑송 공 르네(René d'Alençon)의 왕비 ( + 1521년)
- 요시다 시게카타(吉田重賢), 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무장, 궁술가 ( + 1543년)
4. 1. 한국
1463년은 조선 세조 9년이었다.4. 2. 동아시아 및 기타 지역
2월 24일 -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철학자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가 태어났다.1월 17일 - 프리드리히 3세(Friedrich III.), 작센 선제후가 태어났다.
5월 21일 (관정 4년 5월 3일) - 시마즈 다다마사(島津忠昌),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시마즈 씨의 제11대 당주가 태어났다.
6월 14일 - 하인리히 1세(Heinrich I.),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이 태어났다.
쇼니 호즈미츠네(正親町三条実望),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이 태어났다.
카테리나 스포르차(Caterina Sforza), 이몰라, 포를리의 여성 영주가 태어났다.
도쇼인(洞松院), 전국 다이묘 아카마쓰 마사노리(赤松政則)의 후실이 태어났다.
나이토 요시키요(内藤義清),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이 태어났다.
마르그리트 드 로렌(1463-1521)(Marguerite de Lorraine), 아랑송 공 르네(René d'Alençon)의 왕비가 태어났다.
요시다 시게카타(吉田重賢),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궁술가가 태어났다.
4. 3. 서유럽
2월 24일 -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철학자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가 태어났다.카테리나 스포르차(Caterina Sforza)는 이몰라, 포를리의 여성 영주였다.
마르그리트 드 로렌(1463-1521)(Marguerite de Lorraine)는 아랑송 공 르네(René d'Alençon)의 왕비였다.
5. 사망
- 3월 9일 – 볼로냐의 카타리나, 이탈리아 로마 가톨릭 수녀이자 성녀 (1413년 출생)[5]
볼로냐의 카타리나 성녀 - 5월 25일 – 보스니아의 스테판 토마셰비치 왕 (참수됨)
보스니아의 스테판 토마셰비치 왕 - 6월 4일 – 플라비오 비온도,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1392년 출생)
- 6월 17일 – 포르투갈의 카타리나 공주, 수녀 (1436년 출생)
포르투갈의 카타리나(수녀) - 9월 23일 – 조반니 디 코시모 데 메디치, 이탈리아 귀족 (1421년 출생)
- 11월 1일 - 다비드, 트라페존트 제국의 황제 (약 1408년 출생)
- 11월 15일 – 조반니 안토니오 델 발조 오르시니, 타란토 공작이자 나폴리의 곤스타블 (1393년 출생)
- 11월 18일 - 요한 4세, 바이에른 공작 (1437년 출생)
- 11월 29일 – 마리, 프랑스 왕비, 샤를 7세의 배우자 (1404년 출생)[6]
- 12월 2일 – 알브레히트 6세, 오스트리아 대공 (1418년 출생)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6세 - 12월 16일 – 필립 쿠르트네이 경, 영국 귀족 (1404년 출생)
- 날짜 미상
- * 야곱 가온, 바스크계 유대인 세금징수인 (폭도에게 참수됨)
- * 폰헤아 야트, 크메르 제국의 마지막 국왕이자 캄보디아의 초대 국왕 (1394년 출생)
- 1월 18일(寛正 3년 12월 29일) - 결성조,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결성씨 제13대 당주 (* 1439년)
- 2월 11일(寛正 4년 1월 23일) - 운장일경, 무로마치 시대의 임제종 성일파 승려 (* 1386년)
- 9월 2일(寛正 4년 7월 19일) - 아사쿠라 교케이,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아사쿠라씨 제5대 당주 (* 1380년)
- 9월 20일(寛正 4년 8월 8일) - 히노 시게코,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측실, 7대 아시카가 요시카쓰, 8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생모 (* 1411년)
- 10월 8일(寛正 4년 8월 26일) - 나가오 카게나카,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코즈케 및 무사시 슈고다이 (* 1388년)
- 10월 18일(寛正 4년 9월 6일) - 시타마, 무로마치 시대의 도다이사 승려 (* 1383년)
- 11월 23일(寛正 4년 11월 13일) - 우쓰노미야 아키쓰나,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우쓰노미야씨 제15대 당주 (* 1443년)
- 12월 1일 - 메리 오브 겔더스, 스코틀랜드 왕국 왕 제임스 2세 (스코틀랜드 왕)의 왕비 (* 1434년)
- 윌리엄 네빌, 켄트 백작 (* 1410년경)
- 하타케야마 요시타다, 무로마치 시대의 슈고다이묘 (* 생년 미상)
5. 1. 한국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5. 2. 동아시아 및 기타 지역
1463년에는 무로마치 시대의 여러 인물들이 사망했다. 1월 18일에는 결성씨 제13대 당주 결성조가, 2월 11일에는 임제종 승려 운장일경이, 9월 2일에는 아사쿠라씨 제5대 당주 아사쿠라 교케이가 사망했다. 9월 20일에는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측실이자 7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카쓰와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생모인 히노 시게코가 사망했다. 10월 8일에는 코즈케 및 무사시 슈고다이 나가오 카게나카가, 10월 18일에는 도다이사 승려 시타마가, 11월 23일에는 우쓰노미야씨 제15대 당주 우쓰노미야 아키쓰나가 사망했다. 그 외에도 11월 1일 트라브존 제국의 황제 다비드 (트라브존 제국 황제), 11월 18일 바이에른 공작 요한 4세 (바이에른 공작), 11월 29일 프랑스 왕 샤를 7세 (프랑스 왕)의 왕비 마리 당주, 12월 1일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2세 (스코틀랜드 왕)의 왕비 메리 오브 겔더스, 12월 2일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6세 (오스트리아 대공), 켄트 백작 윌리엄 네빌 (켄트 백작), 슈고다이묘 하타케야마 요시타다 등이 사망했다.5. 3. 서유럽
1463년 서유럽에서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사망했다. 11월 1일에는 트라브존 제국의 황제인 다비드 (트라브존 제국 황제)가 사망했고, 11월 18일에는 바이에른 공작인 요한 4세 (바이에른 공작)이 사망했다. 11월 29일에는 프랑스 왕국 왕 샤를 7세 (프랑스 왕)의 왕비인 마리 당주가 사망했고, 12월 1일에는 스코틀랜드 왕국 왕 제임스 2세 (스코틀랜드 왕)의 왕비인 메리 오브 겔더스가 사망했다. 12월 2일에는 오스트리아 대공인 알브레히트 6세 (오스트리아 대공)이 사망했다. 켄트 백작 윌리엄 네빌 (켄트 백작)도 1463년에 사망했다.5. 4. 오스만 제국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5. 5. 기타 지역
무함마드 룸파(Muhammad Rumfa)가 카노를 통치하기 시작했다. 마르실리오 피치노(Marsilio Ficino)가 헤르메스 문서집(Corpus Hermeticum)을 라틴어로 번역했다.참조
[1]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2]
서적
The Late Medieval Age of Crisis and Renewal, 1300-1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
서적
Alessandro Achillini (1463-1512) and His Doctrine of "universals" and "transcendentals": A Study in Renaissance Ockhamism
https://books.google[...]
Bucknell University Press
[4]
서적
Moral Combat: Women, Gender, and War in Italian Renaissanc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8
[5]
웹사이트
Saint Catherine of Bologna Italian mystic
https://www.britanni[...]
2020-02-15
[6]
서적
The Dauphines of France
https://books.google[...]
S. Paul &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