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립토아나키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립토아나키즘은 '숨겨진' 또는 '비밀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암호 기술을 활용하여 정부의 감시를 회피하고 익명성을 보장하며, 가상 국가 또는 네트워크 국가를 통해 자유를 증진하려는 사상이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암호 무정부주의적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크넷 마켓과 같은 익명 거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암호 무정부주의는 자유지상주의적 가치에 기반하며, 사이버 공간을 새로운 국경으로 인식하여 사회적 창의성과 성장을 추구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사상이 무정부주의보다는 자유지상주의에 가깝다고 비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립토아나키즘 - 파이러트베이
    파이러트베이는 2003년 스웨덴에서 설립된 비트토렌트 웹사이트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마그넷 링크를 제공하며, 저작권 침해 문제로 여러 법적 논란을 겪었음에도 도메인 변경과 서버 이전을 통해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 크립토아나키즘 - 가상사설망
    가상 사설망(VPN)은 공용 네트워크에서 보안 기술을 통해 사설 네트워크처럼 안전하게 통신하는 기술로, 개인 정보 보호, 원격 근무, 기업 네트워크 연결 등에 활용되며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 응용암호학 - 위키리크스
    위키리크스는 2006년 설립되어 줄리언 어산지가 주도한 비영리 조직으로, 정부와 기업의 기밀 정보를 폭로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정보 진위 논쟁, 러시아 정부 연루 의혹, 법적 문제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응용암호학 -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FHSS)은 전파 방해에 강하고, 송신기와 수신기가 공유하는 비밀 키를 통해 생성된 주파수 도약 패턴으로 통신 보안을 강화하는 확산 스펙트럼 기술의 한 종류이며, 블루투스에서는 적응형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AFH)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간섭 저항성을 개선한다.
  • 기술법 - 인공지능 규제
    인공지능 규제는 인공지능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 정책적 움직임이며, 국가별로 인식 차이를 보이며 완전 자율 무기 규제 등 다양한 쟁점을 포함한다.
  • 기술법 -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GDPR)은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EU 역내 규제를 통합하기 위해 2018년 5월 25일부터 EU 27개 회원국에 시행된 법규이다.
크립토아나키즘
구글 지도
기본 정보
분류정치 이념
관련 운동사이버펑크
주요 인물
주요 인물티모시 C. 메이
특징
개요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정부의 감시와 통제를 벗어나려는 정치적 이념
목표개인의 자유와 익명성 보호
국가 권력의 약화 및 소멸
분산화된 사회 건설
기술적 수단암호화폐
익명 네트워크 (토르)
분산 원장 기술
암호화 통신
이상 사회사이버 공간에서 국가의 간섭이 없는 자유로운 사회
윤리적 딜레마익명성의 악용 가능성 및 불법 활동 조장 우려
역사 및 발전
기원1980년대 말 사이버펑크 운동에서 시작
영향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발전
익명 네트워크 및 분산 플랫폼 개발
연관 단체사이퍼펑크
관련 개념
연관 이념아나키즘
자유지상주의
탈중앙화
반대 개념국가 권력
감시 사회
검열
비판범죄 및 불법 행위 조장 가능성
기술적 격차로 인한 불평등 심화 우려
참고 문헌
주요 문서http://groups.csail.mit.edu/mac/classes/6.805/articles/crypto/cypherpunks/may-virtual-comm.html
https://www.activism.net/cypherpunk/crypto-anarchy.html
http://www.cryptoanarchy.net/index.html
기타
관련 용어사이버 무정부주의
암호 아나키

2. 용어

"크립토(crypto)"라는 접두사는 "숨겨진" 또는 "비밀의"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κρυπτός(크립토스)에서 유래했다.[1] 이는 '암호파시스트' 또는 '암호유대인'과 같이 정체성을 숨기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와는 다르다. 많은 암호무정부주의자들은 자신의 신념과 암호학에 기반한 도구 활용을 공개적으로 밝히는 경우가 많다.

3. 동기

암호 무정부주의자들의 동기 중 하나는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에 대한 감시로부터 방어하는 것이다. 암호 무정부주의자들은 프리즘, 에셜론, 템포라(Tempora), 통신 데이터 보관(telecommunications data retention), NSA의 영장 없이 감시 논란(NSA warrantless surveillance controversy), 룸 641A(Room 641A), FRA(National Defence Radio Establishment (Sweden)) 등과 같은 정부의 대량 감시(mass surveillance)로부터 보호하려고 한다. 암호 무정부주의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주요 방어 수단으로 암호화(cryptography)의 개발과 사용을 고려한다.[5]

2022년 한 연구는 암호 무정부주의가 사회 정치적 문제 해결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암호 무정부주의는 실제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치 운동을 만드는 데 유용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6]

4. 익명 거래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익명 거래 시스템을 통해 경제적 자유를 증진시키는 암호 무정부주의의 주요 수단 중 하나로 여겨진다.[7] 티모시 C. 메이는 《사이버노미콘》에서 암호 무정부주의가 자신이 "암호 무정부주의"라 부르는 무정부 자본주의 시장 시스템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19] 그는 강력한 암호화 기술이 국가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경제 및 사회적 상호 작용의 본질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믿었다.[21]

4. 1. 비트코인과 암호 무정부주의

비트코인은 모든 거래 기록을 공동으로 유지하는 P2P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보호되는 암호화폐로, 암호 무정부주의적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뉴욕 타임스의 에이드리언 첸은 비트코인의 아이디어가 암호 무정부주의 선언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7] 실크로드는 비트코인만 허용되는 불법 마약 시장의 한 예였다.[7] 암살 시장은 자칭 암호 무정부주의자인 쿠와바타 사부로(桑畑三十郎)(필명)가 운영했던 토르 기반 다크넷 마켓이었다.[8]

4. 2. 실크로드와 암살 시장

비트코인은 모든 거래의 공동 기록을 유지하는 P2P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보호되는 암호화폐로, 암호 무정부주의적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뉴욕 타임스의 에이드리언 첸(Adrian Chen)은 비트코인의 아이디어가 《암호 무정부주의 선언》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7] 실크로드는 비트코인만 허용되었던 불법 마약 시장이었다.[7]

암살 시장은 쿠와바타케 산쥬로(Kuwabatake Sanjuro, 한국명: 桑畑三十郎)라는 가명을 사용하는 자칭 암호 무정부주의자가 운영한 토르 기반 다크넷 마켓이었다.[8]

5. 가상 및 네트워크 국가

암호 무정부주의자들은 물리적 강압을 줄이고 자유를 증진하기 위해 가상 국가 또는 네트워크 국가를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티모시 C. 메이는 1992년 ''사이버 공간의 리버타리아(Libertaria in Cyberspace)''에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국가 형태를 제안하며, 이러한 가상 공동체가 자기 선택과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했다.[10]

1999년 제리 에버러드는 저서 ''가상 국가(Virtual States)''에서 미셸 푸코의 철학을 통해 가상 국가 개념을 탐구했다. 그는 국가가 시민과의 권력 불균형을 통해 존재한다고 지적하며, 시장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조달되는 가상 국가가 국가 기구의 "상품 및 서비스 경제" 측면을 장악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국가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일부 영역에서 권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11]

발라지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의 개념을 구체화하여, 온라인 커뮤니티가 외교적 승인을 받는 국가를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5. 1. 네트워크 국가의 개념

발라지 스리니바산은 2022년 저서 《네트워크 국가: 당신만의 국가를 시작하는 방법(The Network State: How to Start Your Country)》에서 네트워크 국가의 개념을 구체화했다.[9] 그는 네트워크 국가를 "집단 행동 능력을 갖춘 고도로 일치된 온라인 공동체로, 전 세계의 영토를 크라우드 펀딩하고 결국 기존 국가로부터 외교적 승인을 받는다."라고 정의했다.[9]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가 갖추어야 할 요소로 다음을 제시했다.[9]

  • 도덕적 혁신
  • 국가 의식
  • 인정받는 창립자
  • 집단 행동 능력
  • 대면 수준의 시민성
  • 통합 암호화폐
  • 사회적 스마트 계약에 의해 제한되는 합의 정부
  • 크라우드 펀딩된 물리적 영토의 군도
  • 가상 수도
  • 충분한 인구, 소득 및 부동산 면적을 증명하는 온체인 인구 조사


그는 이념을 더욱 응집력 있게 정렬하고, 정치적 내분을 방해하며, 더 자유로운 인간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 네트워크 국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전통적인 국가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그들의 영토적이고 강압적인 본성을 강조한다.[9]

스리니바산은 프레더릭 잭슨 터너의 국경론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사이버 공간이 암호 무정부주의자들에게 사회적 창의성과 성장을 위한 새로운 국경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존 페리 바로우의 사이버 공간 독립 선언에서 사이버 공간을 자유의 "바이러스"가 서식하는 국경에 비유한 것과 유사하다.[9][12]

1992년 티모시 메이는 ''사이버 공간의 리버타리아(Libertaria in Cyberspace)''에서 암호화를 통해 익명성이 보장되고 물리적 강압이 감소되는 가상 국가의 개념을 제시했다.[10] 1999년 제리 에버러드는 ''가상 국가(Virtual States)''에서 미셸 푸코의 철학을 바탕으로 국가의 권력 불균형을 지적하고, 사이버 공간 기반 가상 국가가 국가 기구의 “상품 및 서비스 경제” 측면을 장악할 것이라고 예측했다.[11]

5. 2. 국경론과 사이버 공간

발라지 스리니바산은 프레더릭 잭슨 터너의 국경론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사이버 공간이 암호 무정부주의자들에게 새로운 국경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역사를 통틀어 국경이 개방적이고 논쟁의 여지가 없는 영토로서 탐험, 실험 및 정착을 허용해 왔다고 말한다. 스리니바산의 국경론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에서 사이버 공간은 암호 무정부주의자들에게 사회적 창의성과 성장을 위한 새로운 국경을 나타낸다. 그는 사람들이 더 큰 자주권을 확보하고 더 합리적이고 자발적인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이러한 새로운 국경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9]

존 페리 발로우의 ''사이버 공간 독립 선언''은 사이버 공간을 자유의 "바이러스"가 서식하는 국경에 비유하여 국가의 지배를 거부한다.[12]

6. 암호 무정부주의에 대한 비판

일부 학자들은 암호무정부주의가 '무정부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 핵심 가치인 자유는 무정부주의보다는 자유지상주의에 더 가깝다고 비판한다.[13] 20세기 초 무정부주의에서 자유는 개인 간의 경쟁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실현되는 가치로 여겨졌지만, 암호무정부주의의 자유 개념은 사회적 차원이 부족하고 개인 간의 경쟁을 중시하는 자유지상주의적 가치에 기반한다는 것이다.[13]

7. 암호 무정부주의와 한국 사회

암호 무정부주의는 한국 사회에서 국가 권력에 대한 견제와 시민 자유 확장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특히, 2023년 9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사건은 국가 권력의 남용 가능성과 시민 감시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암호 무정부주의적 관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7. 1. 한국의 정보 감시 논란

암호무정부주의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의사소통 감시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프리즘, 에셀론 등 정부의 대량 감시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한다.[18]

7. 2. 한국의 정치, 사회적 상황과 암호화폐

한국은 암호화폐에 대한 높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는 국가 중 하나이다. 뉴욕 타임스의 전 기자인 에이드리언 첸(Adrian Chen)에 따르면, 암호화폐의 익명성과 탈중앙화된 특성은 한국의 정치, 사회적 상황과 맞물려 암호 무정부주의적 움직임의 잠재적 기반이 될 수 있으며, 비트코인의 이면에 있는 사상은 "암호 무정부주의 선언(Crypto-anarchist Manifesto)"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한다.[19]

참조

[1] 웹사이트 What does cyberanarchism mean? https://www.definiti[...] 2022-01-08
[2] 웹사이트 Crypto Anarchy and Virtual Communities http://groups.csail.[...] 2014-12-01
[3] 간행물 Cryptoanarchism and Cryptocurrencies https://papers.ssrn.[...]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SSRN) 2021-03-29
[4] 웹사이트 The Crypto Anarchist Manifesto https://www.activism[...] 2019-03-17
[5] 간행물 Autonomous Distributed Networks: The Unfulfilled Libertarian Dream of Breaking Free from Regulations https://papers.ssrn.[...] 2019-09-29
[6] 저널 Crypto-Anarchism: The Ideology of Blockchain Technologies https://journals.rud[...] 2022-09-07
[7] 뉴스 Much Ado About Bitcoin https://www.nytimes.[...] 2013-11-26
[8] 잡지 Meet the 'Assassination Market' Creator Who's Crowdfunding Murder with Bitcoins https://www.forbes.c[...] 2013-11-18
[9] 웹사이트 The Network State: How To Start a New Country https://thenetworkst[...] 2023-08-01
[10] 웹사이트 Libertaria in Cyberspace {{!}} Satoshi Nakamoto Institute https://nakamotoinst[...] 2023-08-01
[11] 서적 Virtual States: The Internet and the Boundaries of the Nation State Routledge 1999-09-19
[12] 웹사이트 A 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Cyberspace https://www.eff.org/[...] 2023-08-01
[13] 저널 Non-anarchist Anarchisms and Anarchisms of Non-anarchist Origin in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 https://www.academia[...] 2022-01-01
[14] 웹사이트 Crypto Anarchy and Virtual Communities http://groups.csail.[...] 2014-12-01
[15] 간행물 Cryptoanarchism and Cryptocurrencies https://papers.ssrn.[...]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SSRN) 2021-03-29
[16] 웹사이트 What does cyberanarchism mean? https://www.definiti[...] 2022-01-08
[17] 웹사이트 The Crypto Anarchist Manifesto https://www.activism[...] 2019-03-17
[18] 간행물 Autonomous Distributed Networks: The Unfulfilled Libertarian Dream of Breaking Free from Regulations https://papers.ssrn.[...] 2019-09-29
[19] 뉴스 Much Ado About Bitcoin https://www.nytimes.[...] 2013-11-26
[20] 뉴스 Much Ado About Bitcoin https://www.nytimes.[...] 2013-11-26
[21] 잡지 Meet the 'Assassination Market' Creator Who's Crowdfunding Murder with Bitcoins https://www.forbes.c[...] 2013-11-18
[22] 웹사이트 Crypto Anarchy and Virtual Communities http://groups.csail.[...] 2014-12-01
[23] 웹사이트 The Cyphernomicon http://www.cryptoa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