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타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타요어는 누벨칼레도니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위니옹 크레올어의 영향과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생루이 여자 선교 학교는 타요어의 표준화와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타요어는 명사, 동사, 인칭 대명사 등을 갖추고 있으며, 시제, 상, 양상을 표현하는 문법적 표지를 활용한다. 사회언어학적으로 프랑스어와 디글로시아 관계에 놓여 있으며, 프랑스어의 우세로 인해 타요어의 사용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차고스 크리올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아이티어
    아이티어는 아이티에서 사용되는 크리올 언어로,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어원을 가지며 프랑스어에 뿌리를 두고 서아프리카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1987년 아이티 헌법에서 프랑스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문학 작품에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타요
일반 정보
언어 이름타요어
고유 명칭Patois de Saint-Louis (파투아 드 생루이)
사용 국가프랑스(누벨칼레도니)
사용자 수900명 (2009년)
언어 계통크리올 언어
언어 분류프랑스어 기반 크리올 언어
지역 분류태평양
ISO 639-3cks
Glottologtayo1238
Glottolog 명칭Tayo

2. 역사

타요어의 기원은 레위니옹 크레올의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어휘와 문법 구조의 유사성을 근거로 레위니옹 크레올의 영향을 주장하지만, 다른 연구자들은 타요어 고유의 특징을 강조하며 그 영향을 제한적으로 본다. 타요어는 프랑스어의 영향도 많이 받았는데, 이는 누벨칼레도니가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 배경과 관련이 깊다.

2. 1. 생루이 선교 학교의 역할

생루이 여자 선교 학교는 타요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학교는 1910년대 초에 설립되어, 지역 여성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했다. 학교에서는 프랑스어와 함께 현지 언어, 즉 타요어를 가르쳤다. 이 과정에서 타요어는 학교 교육을 통해 표준화되고 발전하는 계기를 맞았다. 학교에서 사용된 타요어는 문법, 어휘 측면에서 정제되었고, 이는 타요어의 보존과 확산에 기여했다. 더불어, 학교는 타요어를 사용하는 여성들이 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 타요어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했다. 이 학교는 단순히 교육 기관을 넘어, 타요어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 2. 레위니옹 크레올의 영향

타요어는 레위니옹 크레올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존재하지만, 그 영향의 정도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타요어의 어휘와 문법 구조가 레위니옹 크레올과 유사한 점이 많다고 주장하며, 이는 타요어가 레위니옹 크레올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고 본다.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타요어 고유의 특징이 더 많으며, 레위니옹 크레올과의 유사성은 우연의 일치이거나 제한적인 영향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쟁은 타요어의 기원과 형성에 대한 연구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타요어는 프랑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이는 누벨칼레도니가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3. 음운론

타요어는 명사, 동사, 지시사, 소유격, 인칭 대명사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타요어의 어휘와 문법은 카낙 기층어와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타요어 명사는 성의 구분이 없으며,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있다. 복수형은 명사 뒤에 '-s'를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tayo"는 단수형이고, "tayos"는 복수형이다. 타요어에서는 명사에 접미사 '-la'를 붙여 지시사/지시대명사로 활용한다. '-la'가 붙은 명사는 "이것", "그것", "저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소유격은 명사 뒤에 '-'를 붙여서 만든다. 소유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pu' 전치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타요어는 다양한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여 주어, 목적어, 소유격 등 다양한 문법적 역할을 수행한다. 인칭 대명사는 의존 대명사와 독립 대명사로 분류된다.

타요어 동사는 시제, 상, 양상, 부정, 명령, 사역의 다양한 문법 범주를 표현한다. 타요어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를 구분하며, 각각 다른 어미를 사용한다. 타요어는 진행상, 완료상 등 상의 개념을 나타내며, 가능성, 추측 등의 양상을 표현한다. 타요어는 'pa' 입자를 사용하여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며, 명령형은 동사 어간에 '-아/-어', '-시-', '-십시오' 등의 어미를 붙여서 만든다. 사역 동사를 만들 때 동사 앞에 'fe' 표지를 사용한다.

타요어는 다음과 같은 시제, 상, 양상을 나타내는 문법적 표지를 활용한다.

표지기능예시
-na과거 시제, 완료된 동작을 나타냄"타요가 학교에 갔나(gass-na)" (타요가 학교에 갔다)
-ga현재 시제, 진행 중인 동작 또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냄"타요가 밥을 먹가(meok-ga)" (타요가 밥을 먹는다)
-ke미래 시제, 미래에 일어날 일을 나타냄"타요가 내일 오께(o-ke)" (타요가 내일 올 것이다)
-i진행 상, 동작의 지속을 나타냄"타요가 달리이(dalli-i)" (타요가 달리고 있다)
-de경험 상, 과거의 경험을 나타냄"타요가 보데(bo-de)" (타요가 본 적이 있다)
-ya의무 양상, 해야 함을 나타냄"타요가 숙제를 해야(hae-ya)" (타요가 숙제를 해야 한다)
-ge추측 양상, 추측 또는 가능성을 나타냄"타요가 올게(ol-ge)" (타요가 올 것이다/올지도 모른다)



타요는 엉뚱한 질문과 내용 질문을 즐겨 사용하며, 이러한 질문 방식은 타요만의 독특한 특징으로,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다양한 답변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다.

4. 문법

타요어는 명사, 대명사, 동사 등 다양한 문법 요소를 갖추고 있다.

타요어 명사의 복수 형태는 'tule'라는 수식어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린이"를 뜻하는 "cawawa"의 복수형은 "cawawa tule"가 된다. 타요어에서는 명사에 접미사 '-la'를 붙여 지시사/지시대명사로 활용한다. '-la'가 붙은 명사는 "이것", "그것", "저것"과 같이 특정 대상을 가리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tayo" (타요)에 '-la'가 붙으면 "tayola"가 되며, 이는 "이 타요", "그 타요", "저 타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문맥에 따라 대상과의 거리, 화자/청자의 인식 여부 등을 나타낸다. 'pu' 전치사는 타요어 명사의 소유격을 나타낸다. 소유자는 소유된 명사 앞에 온다. 예를 들어, "아이의 책"은 "pu"를 사용하여 타요어로 "buku pu anak"으로 표현할 수 있다.

타요어에는 다양한 인칭 대명사가 존재하며, 문장의 주어, 목적어, 소유격 등 다양한 문법적 역할을 수행한다. 인칭 대명사는 크게 의존 대명사와 독립 대명사로 분류된다. 의존 대명사는 다른 단어에 의존하여 사용되며, 주로 소유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의"라는 의미의 대명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소유의 관계를 나타낸다. 반면, 독립 대명사는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주어, 목적어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나"라는 대명사는 문장의 주어로 사용될 수 있다. 타요어 인칭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 그리고 지칭 대상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타요어 동사는 시제, 상, 양상, 부정, 명령, 사역의 다양한 문법 범주를 표현한다. 타요어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를 구분하며, 과거 시제는 동사 어미에 "-ㅆ-"을 붙여 표현하고, 현재 시제는 동사 어미에 아무것도 붙이지 않거나 "-ㄴ/는다"를 붙여 표현하며, 미래 시제는 동사 어미에 "-ㄹ/을"을 붙여 표현한다. 타요어는 진행상, 완료상을 나타내며, 진행상은 동사 어미에 "-고 있-"을 붙여 표현하고, 완료상은 동사 어미에 "-아/어/여 놨다"를 붙여 표현한다. 타요어는 가능성, 추측 등을 나타내며, 가능성은 동사 어미에 "-ㄹ/을 수 있다"를 붙여 표현하고, 추측은 동사 어미에 "-ㄹ/을 것이다"를 붙여 표현한다. 타요어는 부정 표현을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내는데, 짧은 부정은 동사 앞에 "안"을 붙여 표현하고, 긴 부정은 동사 앞에 "못"을 붙여 표현한다. 타요어는 명령형, 청유형, 권유형을 구분하며, 명령형은 동사 어미에 "-아/어/여라"를 붙여 표현하고, 청유형은 동사 어미에 "-ㅂ시다"를 붙여 표현하며, 권유형은 동사 어미에 "-아/어/여요"를 붙여 표현한다. 타요어는 사역 표현을 "-게 하다"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타요어는 시제, 상, 양상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법적 표지를 활용한다.

표지기능예시
-na과거 시제, 완료된 동작을 나타냄"타요가 학교에 갔나(gass-na)"
-ga현재 시제, 진행 중인 동작 또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냄"타요가 밥을 먹가(meok-ga)"
-ke미래 시제, 미래에 일어날 일을 나타냄"타요가 내일 오께(o-ke)"
-i진행 상, 동작의 지속을 나타냄"타요가 달리이(dalli-i)"
-de경험 상, 과거의 경험을 나타냄"타요가 보데(bo-de)"
-ya의무 양상, 해야 함을 나타냄"타요가 숙제를 해야(hae-ya)"
-ge추측 양상, 추측 또는 가능성을 나타냄"타요가 올게(ol-ge)"



타요어는 'pa' 입자를 사용하여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tayo"는 "있다"는 뜻이지만, "pa tayo"는 "없다"는 의미가 된다. 타요어의 명령형은 동사 어간에 '-아/-어', '-시-', '-십시오' 등의 어미를 붙여서 만든다. 타요어에서는 사역 동사를 만들 때 동사 앞에 'fe' 표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는 그에게 오라고 시켰다"는 "Ne fe-tɔŋ gɔŋ gɔŋ-mɛ"로 표현된다. 여기서 'fe'는 사역 동사의 표지이며, 'tɔŋ'은 '오다'를 의미하는 동사이다. 'gɔŋ'은 목적어이며, '-mɛ'는 3인칭 단수 대명사이다.

타요는 엉뚱한 질문과 내용 질문을 즐겨 사용한다. 이러한 질문 방식은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다양한 답변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다.

타요어는 카낙 기층어와 프랑스어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카낙 기층어는 타요어의 어휘 및 문법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어순과 발음 체계에서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프랑스어는 타요어의 어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어에서 차용된 어휘들은 타요어의 일상생활 및 문화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타요어를 다른 언어들과 구별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타요어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4. 1. 명사

타요어의 명사는 성(gender)의 구분이 없으며,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존재한다. 복수형은 명사 뒤에 '-s'를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tayo" (타요)는 단수형이고, "tayos" (타요들)는 복수형이다.

타요어의 지시사는 다음과 같다: "e" (이), "esa" (그), "eza" (저). 예를 들어, "e tayo"는 "이 타요", "esa tayo"는 "그 타요", "eza tayo"는 "저 타요"를 의미한다.

타요어의 소유격은 명사 뒤에 '-'를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tayo's"는 "타요의"를 의미한다.

4. 1. 1. 복수화

타요어 명사의 복수 형태는 'tule'라는 수식어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린이"를 뜻하는 "cawawa"의 복수형은 "cawawa tule"가 된다.

4. 1. 2. 지시사/지시대명사

타요어에서는 명사에 접미사 '-la'를 붙여 지시사/지시대명사로 활용한다. '-la'가 붙은 명사는 "이것", "그것", "저것"과 같이 특정 대상을 가리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tayo" (타요)에 '-la'가 붙으면 "tayola"가 되며, 이는 "이 타요", "그 타요", "저 타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문맥에 따라 대상과의 거리, 화자/청자의 인식 여부 등을 나타낸다.

4. 1. 3. 소유

'pu' 전치사는 타요어 명사의 소유격을 나타낸다. 소유자는 소유된 명사 앞에 온다.

예를 들어, "아이의 책"은 "pu"를 사용하여 타요어로 "buku pu anak"으로 표현할 수 있다.

4. 2. 인칭 대명사

타요어에는 다양한 인칭 대명사가 존재하며, 문장의 주어, 목적어, 소유격 등 다양한 문법적 역할을 수행한다. 인칭 대명사는 크게 의존 대명사와 독립 대명사로 분류된다. 의존 대명사는 다른 단어에 의존하여 사용되며, 주로 소유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의"라는 의미의 대명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소유의 관계를 나타낸다. 반면, 독립 대명사는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주어, 목적어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나"라는 대명사는 문장의 주어로 사용될 수 있다. 타요어 인칭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 그리고 지칭 대상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4. 3. 동사

타요어 동사는 시제, 상, 양상, 부정, 명령, 사역의 다양한 문법 범주를 표현한다.
시제: 타요어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를 구분한다.

  • 과거 시제는 동사 어미에 "-ㅆ-"을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갔다"는 "가다" (가다)의 과거 시제이다.
  • 현재 시제는 동사 어미에 아무것도 붙이지 않거나, "-ㄴ/는다"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간다"는 "가다"의 현재 시제이다.
  • 미래 시제는 동사 어미에 "-ㄹ/을"을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갈 것이다"는 "가다"의 미래 시제이다.

상: 타요어는 진행상, 완료상을 나타낸다.

  • 진행상은 동사 어미에 "-고 있-"을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가고 있다"는 "가다"의 진행상이다.
  • 완료상은 동사 어미에 "-아/어/여 놨다"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갔다 놨다"는 "가다"의 완료상이다.

양상: 타요어는 가능성, 추측 등을 나타낸다.

  • 가능성은 동사 어미에 "-ㄹ/을 수 있다"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갈 수 있다"는 "가다"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 추측은 동사 어미에 "-ㄹ/을 것이다"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갈 것이다"는 "가다"의 추측을 나타낸다.

부정: 타요어는 부정 표현을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낸다.

  • 짧은 부정은 동사 앞에 "안"을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안 간다"는 "가다"의 부정 표현이다.
  • 긴 부정은 동사 앞에 "못"을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못 간다"는 "가다"의 부정 표현이다.

명령: 타요어는 명령형, 청유형, 권유형을 구분한다.

  • 명령형은 동사 어미에 "-아/어/여라"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가라"는 "가다"의 명령형이다.
  • 청유형은 동사 어미에 "-ㅂ시다"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갑시다"는 "가다"의 청유형이다.
  • 권유형은 동사 어미에 "-아/어/여요"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가요"는 "가다"의 권유형이다.

사역: 타요어는 사역 표현을 "-게 하다"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가게 하다"는 "가다"의 사역형이다.

4. 3. 1. 시제, 상, 양상

타요어는 시제, 상, 양상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법적 표지를 활용한다. 아래 표는 타요어의 주요 시제, 상, 양상 표지와 그 기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다.

표지기능예시
-na과거 시제, 완료된 동작을 나타냄"타요가 학교에 갔나(gass-na)" (타요가 학교에 갔다)
-ga현재 시제, 진행 중인 동작 또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냄"타요가 밥을 먹가(meok-ga)" (타요가 밥을 먹는다)
-ke미래 시제, 미래에 일어날 일을 나타냄"타요가 내일 오께(o-ke)" (타요가 내일 올 것이다)
-i진행 상, 동작의 지속을 나타냄"타요가 달리이(dalli-i)" (타요가 달리고 있다)
-de경험 상, 과거의 경험을 나타냄"타요가 보데(bo-de)" (타요가 본 적이 있다)
-ya의무 양상, 해야 함을 나타냄"타요가 숙제를 해야(hae-ya)" (타요가 숙제를 해야 한다)
-ge추측 양상, 추측 또는 가능성을 나타냄"타요가 올게(ol-ge)" (타요가 올 것이다/올지도 모른다)



위 표에서 제시된 예시는 타요어의 문법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예시이며, 실제 사용에서는 다양한 변형과 조합이 가능하다.

4. 3. 2. 부정

타요어는 'pa' 입자를 사용하여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tayo"는 "있다"는 뜻이지만, "pa tayo"는 "없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타요어 문법의 기본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4. 3. 3. 명령법

타요어의 명령형은 동사 어간에 '-아/-어', '-시-', '-십시오' 등의 어미를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가다'는 '가', '가세요', '가십시오'로 명령형이 된다. '먹다'는 '먹어', '드세요', '드십시오'가 된다.

4. 3. 4. 사역 동사

타요어에서는 사역 동사를 만들 때 동사 앞에 'fe' 표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는 그에게 오라고 시켰다"는 "Ne fe-tɔŋ gɔŋ gɔŋ-mɛ"로 표현된다. 여기서 'fe'는 사역 동사의 표지이며, 'tɔŋ'은 '오다'를 의미하는 동사이다. 'gɔŋ'은 목적어이며, '-mɛ'는 3인칭 단수 대명사이다.

4. 4. 질문

타요는 엉뚱한 질문과 내용 질문을 즐겨 사용한다. 그의 질문은 종종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며, 단순한 정보 습득을 넘어선 사고의 확장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타요는 "만약에 말이야..."와 같은 가정을 통해 질문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질문 방식은 타요만의 독특한 특징으로,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다양한 답변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다.

4. 4. 1. 구조 형성

타요어는 카낙 기층어와 프랑스어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카낙 기층어는 타요어의 어휘 및 문법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어순과 발음 체계에서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프랑스어는 타요어의 어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어에서 차용된 어휘들은 타요어의 일상생활 및 문화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어휘 차용은 타요어의 고유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타요어를 프랑스어 화자들도 이해하기 용이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타요어를 다른 언어들과 구별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타요어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5. 사회언어학적 상황

타요어는 프랑스어와 디글로시아 관계에 놓여 있다. 즉, 프랑스어는 공식적인 언어, 교육 언어, 미디어 언어로서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타요어는 주로 가족, 친구 사이에서 사용되는 구어에 국한된다. 이러한 상황은 타요어의 사회적 지위에 영향을 미쳐, 타요어 사용자들이 프랑스어를 더 선호하고, 타요어 사용을 꺼리는 경향을 낳았다. 타요어는 또한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세대 간의 언어 사용 빈도 차이도 나타나고 있다. 젊은 세대일수록 타요어 사용 빈도가 낮아지고, 프랑스어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사회언어학적 상황은 타요어의 존속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언어 다양성 측면에서도 우려를 자아낸다.

타요어는 프랑스어와 디글로시아 관계에 놓여 있다. 프랑스어는 공식적인 언어, 교육 언어, 미디어 언어로서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타요어는 주로 가족, 친구 사이에서 사용되는 구어에 국한된다. 이러한 상황은 타요어의 사회적 지위에 영향을 미쳐, 타요어 사용자들이 프랑스어를 더 선호하고, 타요어 사용을 꺼리는 경향을 낳았다. 타요어는 또한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세대 간의 언어 사용 빈도 차이도 나타나고 있다. 젊은 세대일수록 타요어 사용 빈도가 낮아지고, 프랑스어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사회언어학적 상황은 타요어의 존속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언어 다양성 측면에서도 우려를 자아낸다.

참조

[1] 간행물 Mission Educated Girls in the 19th Century 2013
[2] 간행물 Reunion Creole in New Caledonia: What Influence on Tayo? 2007
[3]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6]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7]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8]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9]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0]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1]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2]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3]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4]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5]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6]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7]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8]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9]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0]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1]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2]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3]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4]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5]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6]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7]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8]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9]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0]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1]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2]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3]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4]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5] 간행물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6]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7]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8]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9]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0]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1]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2]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3] 논문 Tayo https://apics-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4] 서적 The emergence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emergence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emergence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47] 논문 French, English or Kanak Languages? Can Traditional Languages be Sustained in New Caledonia? 2017
[48] 논문 French, English or Kanak Languages? Can Traditional Languages be Sustained in New Caledonia? 2017
[49] 논문 French, English or Kanak Languages? Can Traditional Languages be Sustained in New Caledonia? 2017
[50] 문서 Tayo at Ethnologue
[51] 웹사이트 Etnhologue report on Tayo http://www.ethnologu[...]
[52] 서적 A Geolinguistic Handboo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