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슬로바키아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19세기 루도비트 슈투르에 의해 표준어가 정립되었으며,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에서도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공용어이며, 미국, 체코, 헝가리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슬로바키아어는 동부, 중부, 서부 방언으로 나뉘며, 로마자를 사용한다. 문법적으로는 굴절어이며, 다양한 격과 수, 시제 변화를 보인다. 또한, 체코어와 매우 유사하며, 다양한 언어로부터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어 - Strč prst skrz krk
- 슬로바키아어 - 체코슬로바키아어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용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분리되었다. - 슬로바키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슬로바키아의 언어 - 루신어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동슬라브어로,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로 나뉘며, ISO 639-3 코드 'rue'를 부여받아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국가에서 소수민족 언어로 보호받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 세르비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세르비아의 언어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슬로바키아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사용 국가 | 슬로바키아, 체코, 헝가리,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슬라보니아, 보이보디나 |
민족 | 슬로바키아인, 판노니아 루신인 |
모국어 화자 | 538만 8870명 (2012–2021) |
제2언어 화자 | 205만 800명 (2012) |
문자 | 라틴 문자 (슬로바키아어 알파벳) 슬로바키아어 점자 키릴 문자 (판노니아 루신어 알파벳)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어군 | 슬라브어파 |
하위 어군 | 서슬라브어군 |
세부 어군 | 체코슬로바키아어군 |
방언 | 서부 슬로바키아 방언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 (판노니아 루신어 포함) |
공용 국가 | (세르비아) |
소수 언어 사용 국가 | |
언어 관리 기관 | 슬로바키아 공화국 문화부 |
ISO 639-1 | sk |
ISO 639-2b | slo |
ISO 639-2t | slk |
ISO 639-3 | slk |
Glottolog | slov1269 |
Linguasphere | 53-AAA-db |
기타 정보 | |
![]() |
2. 역사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은 중세 후기에 서슬라브어 내에서 발전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방언 연속체 내에서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표준화는 근세 초기부터 시작되었다. 19세기 중후반에 루도비트 슈투르에 의해 현대 슬로바키아어 알파벳과 표준어가 성문화되었고, 마르틴 하탈라에 의해 개혁되었다. 체코 공화국과의 국경을 따라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라비아 방언은 때때로 슬로바키아어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일부 서부 변종은 체코어에 더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두 언어 사이의 중간 방언을 형성한다.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국가 공용어이며, 슬로바키아 헌법에 의해 그 지위가 보장된다.[21] 슬로바키아 헌법 6조 1항은 "슬로바키아 공화국 영토 내에서는 슬로바키아어가 국가공용어이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슬로바키아는 공용어 정책과 공용어에 관한 법률이 확립된 국가이다.[23][25]
3. 사용 국가 및 지역
슬로바키아 외에도 체코,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독일, 폴란드 등 여러 국가에서 슬로바키아 디아스포라에 의해 사용된다.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 자치주에서는 슬로바키아어가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슬로바키아어는 전통적으로 구 헝가리 왕국 전역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헝가리, 세르비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등에도 사용자가 분포한다.
슬로바키아 공화국에서는 약 500만 명이 슬로바키아어를 사용하며, 해외에서는 미국에서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50만 명, 체코 32만 명, 헝가리 11만 명, 세르비아 8만 명, 루마니아 2만 2천 명, 폴란드 2만 명, 캐나다 2만 명, 오스트레일리아,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등에서 각각 5천 명씩 사용하고 있다.
3. 1. 슬로바키아어 규정
표준 슬로바키아어(spisovná slovenčinask)는 슬로바키아 공화국 국가 언어에 관한 의회 법률(언어법)에 의해 정의된다. 이 법에 따라 문화부는 슬로바키아 국가 언어 분야의 전문 슬로바키아 언어학 연구소 및 전문가의 판단에 근거하여 표준화된 슬로바키아어 형태를 승인하고 발표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의 일부인 슬로바키아어 언어학 연구소(Ľudovít Štúr Institute of Linguistics)이다. 실제로 문화부는 표준 슬로바키아어 사용을 위한 권위 있는 참고 서적을 명시하는 문서를 발표하는데, 이를 코디피케이션 핸드북(kodifikačná príručkask)이라고 한다. 현재 규정은 2021년 3월 15일에 발표되었다. 이러한 출판물은 네 가지가 있다.[26]3. 2. 해외 슬로바키아어 학교
4. 방언
슬로바키아어는 크게 동부, 중부, 서부의 세 방언군으로 나뉜다. 동부 방언과 서부 방언은 서로 비슷하며, 중부 방언은 남슬라브어(특히 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어)와 일부 공통점을 가진다.
방언은 주로 음운론, 어휘, 억양 변화에서 차이를 보이며, 통사론적 차이는 미미하다. 현대 슬로바키아어 알파벳과 표준어는 19세기 중후반 루도비트 슈투르(Ľudovít Štúr)에 의해 성문화되었고, 마르틴 하탈라(Martin Hattala)에 의해 개혁되었으며,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이 현재 표준어의 기초를 이룬다. 모든 방언이 서로 완전히 상호 이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부 슬로바키아 주민이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슬로바키아의 방언은 지리적으로 산악 지대에 의해 분열되어 있다. 슬로바키아어 방언은 크게 다음 네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 서부 슬로바키아 방언 (트렌친, 트르나바, 니트라, 자호리에)
-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 (리프토프, 오라바, 투리에츠, 테코프, 혼트, 노보흐라드, 게메르 및 졸렌 주변)
-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 (스피슈, 샤리슈, 젬플린 및 아보브)
- 저지대(돌노젬스케) 슬로바키아 방언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판노니아 평원과 남동부 헝가리, 서부 루마니아, 그리고 크로아티아의 시르미아 지역의 슬로바키아 외부)
처음 세 그룹(서부, 중부, 동부)은 이미 10세기에 존재했다. 서부 방언은 체코 공화국의 모라비아 방언과, 남부 중부 방언은 남슬라브어와, 동부 방언은 폴란드어 및 동슬라브어와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저지대 방언은 주변 언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헝가리어 및 루마니아어)와 일부 단어와 지역적 특징을 공유한다.
5. 문자
슬로바키아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슬로바키아어 문자는 총 46개로, 기본 로마자 알파벳에 diacritic(ˇ, ´, ¨, ˆ)이 붙은 문자와 합자(dz, dž, ch)를 포함한다.
슬로바키아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Aa, Áá, Ää, Bb, Cc, Čč, Dd, Ďď, Dzdz, Dždž, Ee, Éé, Ff, Gg, Hh, Chch, Ii, Íí, Jj, Kk, Ll, Ľľ, Ĺĺ, Mm, Nn, Ňň, Oo, Óó, Ôô, Pp, Qq, Rr, Ŕŕ, Ss, Šš, Tt, Ťť, Uu, Úú, Vv, Ww, Xx, Yy, Ýý, Zz, Žž
6. 음운
슬로바키아어는 15개의 모음 음소(단모음 11개, 이중모음 4개)와 29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모음의 길이는 음운론적으로 중요하며, 단모음과 장모음은 같은 음질을 가진다.[33] 슬로바키아어는 "리듬 법칙"을 사용하여 같은 단어 내에서 두 개의 장모음이 연이어 오는 것을 금지한다.
슬로바키아어의 음성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어말 자음은 무성화된다.
- 문장 내에서, 대응하는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을 가진 자음이 자음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경우,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유성화되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무성화된다.
- 음절 말의 "v"는 /u̯/가 된다. 단, 바로 뒤에 "n"이나 "ň"이 오는 경우는 제외된다.
- "ia", "ie", "iu"는 /i̯a/, /i̯e/, /i̯u/로 발음된다. 단, 외래어와 차용어는 제외된다.
- "r"과 "l"은 모음처럼 취급될 수도 있으며,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에는 악센트가 표기된다.
문자 | IPA 발음 기호 |
---|---|
a | a |
á | aː |
ä | æ, ɛ |
b | b |
c | t͡s |
č | t͡ʃ |
d | d |
ď | ɟ, dʲ |
dz | d͡z |
dž | d͡ʒ |
e | e |
é | eː |
f | f |
g | ɡ |
h | ɦ |
ch | x |
i | ɪ |
í | iː |
j | j |
k | k |
l | l, l̩ |
ĺ | l̩ː |
ľ영어 | ʎ, lʲ |
m | m |
n | n |
ň | ɲ, nʲ |
o | ɔ |
ó | ɔː |
ô | u̯o |
p | p |
q | kv |
r | r, r̩ |
ŕ | r̩ː |
s | s |
š | ʃ |
t | t |
ť | c, tʲ |
u | u |
ú | uː |
v | v |
w | v |
x | ks |
y | ɪ |
ý | iː |
z | z |
ž | ʒ |
6. 1. 자음
슬로바키아어의 자음은 국제 음성 기호(IPA)로 표기할 수 있다. 슬로바키아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colspan="3" | | 입술소리 | 잇몸소리 | 뒷잇몸소리 | 센입천장소리 | 여린입천장소리 | 목청소리 | ||
---|---|---|---|---|---|---|---|---|
콧소리 | ||||||||
터짐소리 | 안울림소리 | |||||||
울림소리 | ||||||||
터짐마찰소리 | 안울림소리 | |||||||
울림소리 | ||||||||
마찰소리 | 안울림소리 | |||||||
울림소리 | ||||||||
흐름소리 | 반모음 | |||||||
설측음 | 짧은소리 | |||||||
긴소리 | ||||||||
떨림소리 | 짧은소리 | |||||||
긴소리 |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슬로바키아어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 잇몸소리, 뒷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으로 나뉜다. 조음 방법으로는 콧소리, 터짐소리, 터짐마찰소리, 마찰소리, 흐름소리(떨림소리, 반모음, 설측음)이 있다.
슬로바키아어는 종착 무성화 현상이 나타난다. 즉, 유성 자음(b, d, ď, g, dz, dž, z, ž, h|italic=nosk)이 단어 끝에 오면 무성 대응 자음(p, t, ť, k, c, č, s, š, ch|italic=nosk)으로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pohybsk는 로, prípadsk는 로 발음된다.
또한, 유성음과 무성음이 섞인 자음 군집에서는 마지막 자음의 유성/무성에 따라 전체 군집의 소리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otázkask는 로, vzchopiť sask는 로 발음된다. 이러한 규칙은 단어 경계에도 적용되어, prísť domovsk는 (집에 오다)로, viac jahôdsk는 (딸기 더)로 소리난다.
6. 2. 모음
슬로바키아어의 모음은 전설, 후설, 고, 중, 저, 이중모음으로 분류된다. 음소 /æ/는 주변적이며 종종 /e/와 합쳐지는데, 이 두 음소는 일반적으로 높은 레지스터에서만 구별된다.[33]
슬로바키아어에서 모음의 길이는 음운론적으로 중요하다. 단모음과 장모음은 같은 음질을 가진다.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와 달리, 같은 단어 내에서 두 개의 장모음이 연이어 오는 것을 금지하는 "리듬 법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두 번째 모음은 단모음으로 줄어든다. 예를 들어, 어근 vín-sk에 여격 복수 어미 -áchsk을 추가하면 vínachsk가 되고 *vínáchsk가 되지 않는다.[33] 이 법칙은 이중모음에도 적용되는데, 예를 들어 "흰색"을 의미하는 형용사는 bielysk이고 *bielýsk가 아니다 (체코어 bílýcs와 비교).
7. 정서법
슬로바키아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4개의 부호(ˇ, ´, ¨, ˆ)를 특정 문자 위에 붙여서 사용한다. (a-á, ä; c-č; d-ď; dz-dž; e-é; i-í; l-ľ,ĺ; n-ň; o-ó,ô; r-ŕ; s-š; t-ť; u-ú; y-ý; z-ž)
슬로바키아어 철자의 주요 원칙은 음소 원칙이다. 보조 원칙은 형태론적 원칙인데, 같은 어근에서 파생된 형태는 발음이 달라도 동일하게 표기된다. 이 원칙의 예로 동화 규칙이 있다. 어원적 원칙에 따라 'i'와 'y'는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발음되지만, 특정 자음 뒤에는 'i'를, 다른 자음 뒤에는 'y'를 사용한다.
문법적 원칙은 남성 명사형용사의 기본 단수형과 복수형이 발음에는 차이가 없지만 다르게 쓰이는 경우에 나타난다. (예: peknýsk = 멋진 – 단수, peknísk = 멋진 – 복수)
외래어는 슬로바키아어 원칙을 사용하여 다시 쓰여진다. 예를 들어 "weekend"는 víkendsk로, "software"는 softvérsk로 표기된다.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는 다른 언어의 인명과 지명은 슬로바키아어 형태의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 한 원래 철자를 유지한다. (예: "런던" - Londýnsk)
슬로바키아어에는 일부 이형 동형어(철자는 같지만 발음과 의미가 다른 단어)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예는 krásnesk (아름다운)와 krásnesk (아름답게)이다.
8. 문법
슬로바키아어 문법은 동사 활용, 명사의 격변화, 형용사와 명사의 일치 등 복잡한 체계를 갖는다.[34]
- 동사: 주어의 수와 인칭에 따라 6가지로 활용하며, 단수와 복수를 구분한다. 인칭대명사가 주어일 때는 종종 생략된다. 과거 시제는 두 가지, 미래 시제는 한 가지이며, 두 가지의 조건법이 있다.[34]
- 형용사: 명사의 성, 수에 따라 어형이 바뀌며, 항상 명사 앞에 온다.
- 어순: 일반적으로 SVO 어순을 취한다.
8. 1. 통사론
- 동사는 인칭과 수에 있어 주어와 일치한다.
- 형용사, 대명사, 수사는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와 인칭, 성, 격에 일치한다.
- 형용사는 명사 앞에 위치한다. 식물학 또는 동물학 용어는 예외이다 (예: mačka divá|마치카 디바sk, 직역하면 "고양이 야생의", Felis silvestris|펠리스 실베스트리스la). 대부분의 교회에서 성령(성신)을 언급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Duch Svätý|두흐 스배티sk).
슬로바키아어의 어순은 비교적 자유롭다. 강한 굴절이 문장 성분(주어, 목적어, 술어 등)의 문법적 역할을 어순에 관계없이 식별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은 어순을 사용하여 정보 구조(주제와 강조)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표지되지 않은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이다. 어순 변화는 일반적으로 가능하지만, 어순이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Ten veľký muž tam dnes otvára obchod.|텐 벨키 무시 탐 드네스 오트바라 옵호트.sk = 저 큰 남자가 오늘 거기서 가게를 엽니다. (ten|텐sk = 저; veľký|벨키sk = 큰; muž|무시sk = 남자; tam|탐sk = 거기; dnes|드네스sk = 오늘; otvára|오트바라sk = 엽니다; obchod|옵호트sk = 가게) – 이 어순은 특정한 세부 사항이 아닌 일반적인 정보만 강조한다.
- Ten veľký muž dnes otvára obchod tam.|텐 벨키 무시 드네스 오트바라 옵호트 탐.sk = 저 큰 남자는 오늘 거기서 가게를 엽니다. – 이 어순은 장소(tam|탐sk = 거기)를 강조한다.
- Dnes tam otvára obchod ten veľký muž.|드네스 탐 오트바라 옵호트 텐 벨키 무시.sk = 오늘 거기서 저 큰 남자가 가게를 엽니다. – 이 어순은 가게를 여는 사람(ten|텐sk = 저; veľký|벨키sk = 큰; muž|무시sk = 남자)에 초점을 맞춘다.
- Obchod tam dnes otvára ten veľký muž.|옵호트 탐 드네스 오트바라 텐 벨키 무시.sk = 거기 가게는 오늘 저 큰 남자가 엽니다. – 억양에 따라 가게 자체 또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여격과 목적격이 나타나는 문장의 어순은 주로 다음 두 가지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Požičaj mu ju.|포지차이 무 유.sk 대명사 여격 + 대명사 목적격
- Požičaj ju Petrovi.|포지차이 유 페트로비.sk 대명사 목적격 + 명사 여격
- Požičaj mu knihu.|포지차이 무 크니후.sk 대명사 여격 + 명사 목적격
8. 2. 형태론
슬로바키아어는 굴절어로서,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등이 다양한 어미 변화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동사는 주어의 수·인칭에 따라 6가지로 활용하며,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있다. 형용사·동사 및 일부 수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수에 따라 어형이 바뀐다. 형용사는 항상 명사 앞에 오며, 일반적으로 SVO 어순을 취한다. 인칭대명사가 주어일 때는 종종 생략된다. 과거 시제는 두 가지, 미래 시제는 한 가지이며, 두 가지의 조건법이 있다.[34]
8. 2. 1. 관사
슬로바키아어는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를 제외한 주요 슬라브어와 마찬가지로 관사가 없다. 남성형 ten|텐sk (그것), 여성형 tá|타sk, 중성형 to|토sk 등의 지시대명사를 명사 앞에 사용하여 정확성을 나타낼 수 있다.8. 2. 2. 명사, 형용사, 대명사
슬로바키아어 명사는 격과 수에 따라 어형이 변화한다. 격은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처소격, 도구격의 여섯 가지가 있다. 호격은 완전히 선택적이며 대부분 표시되지 않는다. 주로 구어체와 일부 고정된 표현에서 사용된다. mamask 엄마(주격) 대 mamisk 엄마!(호격), tatosk, ocosk 아빠(주격) 대 tatisk, ocisk 아빠!(호격), pánsk 씨, 선생님 대 panesk 선생님(예: 길에서 누군가에게 말을 걸 때)과 같이 사용된다. 수는 단수와 복수 두 가지가 있다. 명사는 고유한 성을 가지고 있다. 성은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가 있다. 형용사와 대명사는 격, 수, 성에서 명사와 일치해야 한다.8. 2. 3. 수사
슬로바키아어에서 0부터 10까지의 숫자는 고유한 형태를 가지며, 1부터 4까지의 숫자는 성에 따라 다른 표현을 사용한다. 11부터 19까지의 숫자는 각 숫자의 끝에 násťsk를 붙여서 만든다. 20, 30, 40은 접미사 dsaťsk를 사용하고, 50, 60, 70, 80, 90은 desiatsk를 사용한다. 복합 숫자(21, 1054 등)는 수학 기호와 같은 순서로 이러한 단어들을 조합하여 만든다(예: 21 = dvadsaťjedensk, 문자 그대로 "이십일").1–10 | 11–20 | 10–100 | |||
---|---|---|---|---|---|
1 | jedensk (남성 명사), jednosk (중성), jednask (여성) | 11 | jedenásťsk | 10 | desaťsk |
2 | dvask (무생물 남성 명사), dvesk (중성, 여성), dvajask (생물 남성) | 12 | dvanásťsk | 20 | dvadsaťsk |
3 | trisk (중성, 무생물 남성, 여성), trajask (생물 남성) | 13 | trinásťsk | 30 | tridsaťsk |
4 | štyrisk (중성, 무생물 남성, 여성), štyriask (생물 남성) | 14 | štrnásťsk | 40 | štyridsaťsk |
5 | päťsk | 15 | pätnásťsk | 50 | päťdesiatsk |
6 | šesťsk | 16 | šestnásťsk | 60 | šesťdesiatsk |
7 | sedemsk | 17 | sedemnásťsk | 70 | sedemdesiatsk |
8 | osemsk | 18 | osemnásťsk | 80 | osemdesiatsk |
9 | deväťsk | 19 | devätnásťsk | 90 | deväťdesiatsk |
10 | desaťsk | 20 | dvadsaťsk | 100 | stosk |
몇몇 큰 수들은 다음과 같다: (200) dv'''e'''stosk, (300) tristosk, (900) deväťstosk, (1,000) tisícsk, (1,100) tisícstosk, (2,000) dv'''e'''tisícsk, (100,000) stotisícsk, (200,000) dv'''e'''stotisícsk, (1,000,000) miliónsk, (1,000,000,000) miliardask.
셀 수 있는 명사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복수 소유격이다(예: päť domovsk = 다섯 채의 집 또는 stodva žiensk = 백두 명의 여성). 반면, 2~4 등의 수량을 셀 때 명사의 복수형은 일반적으로 수를 세지 않은 주격 형태이다(예: dva domysk = 두 채의 집 또는 dve ženysk = 두 명의 여성). 하지만 많은 경우에 성에 따른 규칙이 적용된다.
8. 2. 4. 동사
슬로바키아어 동사는 세 가지 주요 활용 형태를 가지며, 3인칭과 단수/복수의 두 가지 수가 구분된다. 주어 인칭 대명사는 강조하지 않는 한 생략된다.일부 미완료 동사는 완료 동사의 어간으로부터 반복적이거나 습관적인 행위를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동사들은 별개의 렉세임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숨기다(완료)'는 skryťsk이고, '숨기다(습관적)'는 skrývaťsk이다.
역사적으로 두 가지 과거 시제 형태가 사용되었다. 둘 다 분석적으로 형성된다. 이 중 두 번째 형태는 과거완료 시제에 해당하지만, 현대 슬로바키아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고어로 간주된다. 관련 동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skryťsk: skryl somsk (나는 숨겼다/나는 숨긴 채였다), bol som skrylsk (나는 숨겨 놓았었다)
- skrývaťsk: skrýval somsk, bol som skrývalsk
하나의 미래 시제가 존재한다. 미완료 동사의 경우 분석적으로 형성되고, 완료 동사의 경우 현재 시제와 동일하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skryťsk: skryjemsk
- skrývaťsk: budem skrývaťsk
두 가지의 조건절 형태가 존재한다. 둘 다 과거 시제로부터 분석적으로 형성된다.
- skryťsk: skryl by somsk (나는 숨겼을 것이다), bol by som skrylsk (나는 숨겨 놓았을 것이다)
- skrývaťsk: skrýval by somsk, bol by som skrývalsk
수동태는 영어와 같이 (조동사 + 수동태 분사) 또는 재귀 대명사 'sa'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 skryťsk: je skrytýsk, sa skryjesk
- skrývaťsk: je skrývanýsk, sa skrývask
수동 분사는 접미사 -nýsk/-týsk/-enýsk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 skryťsk: skrytýsk
- skrývaťsk: skrývanýsk
능동 현재 분사는 접미사 -úcisk/-iacisk/-acisk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 skryťsk: skryjúcisk
- skrývaťsk: skrývajúcisk
진행형은 접미사 -úcsk/-ucsk/-iac/-acsk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 skryťsk: skryjúcsk (숨기는 동안(완료))
- skrývaťsk: skrývajúcsk (숨기는 동안)
능동 과거 분사는 이전에는 접미사 -všísk를 사용하여 형성되었지만,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동명사는 접미사 -iesk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 skryťsk: skrytiesk
- skrývaťsk: skrývaniesk
다음과 같이 여러 활용 패러다임이 존재한다.[34]
volaťsk (부르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남성 - 여성 - 중성) |
---|---|---|---|
1인칭 | volámsk | volámesk | volalsk – volalask – volalosk |
2인칭 | volášsk | volátesk | |
3인칭 | volásk | volajúsk |
bývaťsk (살다, 거주하다, 존재하다가 아님)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bývamsk | bývamesk | bývalsk – bývalask – bývalosk |
2인칭 | bývašsk | bývatesk | |
3인칭 | bývask | bývajúsk |
vracaťsk (돌아오다 또는 (주로 속어에서) 토하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vraciamsk | vraciamesk | vracalsk – vracalask – vracalosk |
2인칭 | vraciašsk | vraciatesk | |
3인칭 | vraciask | vracajúsk |
robiťsk (하다, 일하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robímsk | robímesk | robilsk – robilask – robilosk |
2인칭 | robíšsk | robítesk | |
3인칭 | robísk | robiask |
vrátiťsk (돌아오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vrátimsk | vrátimesk | vrátilsk – vrátilask – vrátilosk |
2인칭 | vrátišsk | vrátitesk | |
3인칭 | vrátisk | vrátiask |
kupovaťsk (사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kupujemsk | kupujemesk | kupovalsk – kupovalask – kupovalosk |
2인칭 | kupuješsk | kupujetesk | |
3인칭 | kupujesk | kupujúsk |
zabudnúťsk (잊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zabudnemsk | zabudnemesk | zabudolsk – zabudlask – zabudlosk |
2인칭 | zabudnešsk | zabudnetesk | |
3인칭 | zabudnesk | zabudnúsk |
vidieťsk (보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vidímsk | vidímesk | videlsk – videlask – videlosk |
2인칭 | vidíšsk | vidítesk | |
3인칭 | vidísk | vidiask |
minúťsk (쓰다, 놓치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miniemsk | miniemesk | minulsk – minulask – minulosk |
2인칭 | miniešsk | minietesk | |
3인칭 | miniesk | minúsk |
niesťsk (나르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nesiemsk | nesiemesk | niesolsk – nieslask – nieslosk |
2인칭 | nesiešsk | nesietesk | |
3인칭 | nesiesk | nesúsk |
stučnieťsk (살이 찌다) | 단수 | 복수 | 과거 시제 |
---|---|---|---|
1인칭 | stučniemsk | stučniemesk | stučnelsk – stučnelask – stučnelosk |
2인칭 | stučniešsk | stučnietesk | |
3인칭 | stučniesk | stučnejúsk |
byťsk (있다) | jesťsk (먹다) | vedieťsk (알다) | |
---|---|---|---|
1인칭 단수 | somsk | jemsk | viemsk |
2인칭 단수 | sisk | ješsk | viešsk |
3인칭 단수 | jesk | jesk | viesk |
1인칭 복수 | smesk | jemesk | viemesk |
2인칭 복수 | stesk | jetesk | vietesk |
3인칭 복수 | súsk | jediask | vediask |
과거 시제 | bolsk, bolask, bolosk | jedolsk, jedlask, jedlosk | vedelsk, vedelask, vedelosk |
8. 2. 5. 부사
부사는 형용사 어미를 osk 또는 esk/ysk로 바꾸어 만든다. 때로는 osk와 esk 모두 사용 가능하다. 다음은 그 예이다.- vysokýsk (높은) – vysokosk (높이)
- peknýsk (좋은) – peknesk (좋게)
- priateľskýsk (친근한) – priateľskysk (친근하게)
- rýchlysk (빠른) – rýchlosk (빨리)
부사의 비교급은 형용사 어미를 비교급/최상급 어미인 (ej)šísk 또는 (ej)šiesk로 바꾸어 만든다. 최상급은 접두사 ''naj-''를 붙여 만든다. 다음은 그 예이다.
- rýchlysk (빠른) – rýchlejšísk (더 빠른) – najrýchlejšísk (가장 빠른): rýchlosk (빨리) – rýchlejšiesk (더 빨리) – najrýchlejšiesk (가장 빨리)
8. 2. 6. 전치사
각 전치사는 하나 이상의 문법적 격과 관련이 있다. 전치사가 지배하는 명사는 주어진 문맥에서 전치사와 일치해야 한다. 전치사 od|오트sk는 항상 소유격을 요구하지만, po|포sk와 같은 일부 전치사는 전치사의 의도된 의미에 따라 다른 격을 요구할 수 있다.: 친구들로부터 = od priateľov|오트 프리아텔료우sk (priatelia|프리아텔리아sk의 소유격)
: 광장 주위 = po námestí|포 나메스티sk (námestie|나메스티에sk의 여격)
: 광장까지 = po námestie|포 나메스티에sk (námestie|나메스티에sk의 목적격)
9. 어휘
슬로바키아어는 프로토슬라브어에서 유래했으며, 체코어, 폴란드어를 비롯한 다른 서슬라브어파 언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체코어는 슬로바키아어의 후기 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35] 슬로바키아어 어휘에는 라틴어, 독일어, 체코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그리스어(순서대로)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많으며,[35] 최근에는 영어의 영향도 받고 있다.
9. 1. 체코어와의 관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대부분 방언은 상호 이해 가능하지만,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은 체코어 화자에게 이해하기 어렵고 폴란드어와 동슬라브어파에 더 가깝다. 체코어 화자와 동부 방언 화자 간의 접촉은 제한적이다.[35]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TV 방송 및 법정 절차(행정절차법 99/1963 Zb.)에서 체코어 사용이 허용되었다. 1999년부터 2009년 8월까지 소수 언어법 184/1999 Z.z. 6조에는 "본 법을 적용할 때 체코어 사용은 국가 언어와의 근본적인 이해 가능성 요건을 충족한다"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모호한 조항이 있었다. 국가 언어는 슬로바키아어이며, 소수 언어법은 기본적으로 소수 민족 인구가 20% 이상인 지자체(슬로바키아에는 그러한 체코 지자체가 없음)를 가리킨다. 2009년 9월 1일부터(국가 언어법 270/1995 Z.z. 개정에 따라) 국가 언어(즉, 슬로바키아어)와 "근본적으로 이해 가능한" 언어(즉, 체코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국가 기관과의 접촉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체코 공화국 기관에서 발행한 체코어 문서는 공식적으로 인정된다. 공식 지위와 관계없이 체코어는 슬로바키아 대중 매체와 체코 원어민의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 모두 동등한 언어로 널리 사용된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1918년에 설립되어 1993년까지 존재했던 체코슬로바키아 이전부터 오랜 상호 작용과 상호 영향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문어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와 상당한 표기법적 특징을 공유하며, 체코슬로바키아 시대의 기술 및 전문 용어도 공유하지만, 음운론적, 문법적 및 어휘적 차이점이 존재한다.
9. 2. 다른 슬라브어와의 관계
슬라브어 계열 언어들은 서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관계이며, 역사적으로 복잡한 민족 정치적 역사로 인해 상호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는 슬로바키아어가 이웃 언어들과 공유하는 많은 특징에 반영되어 있다.[35] 표준 슬로바키아어는 많은 슬라브어 방언들과 상당한 상호 이해도를 보인다. 동슬로바키아 방언은 모든 슬로바키아어 방언 중에서 폴란드어와 가장 높은 상호 이해도를 보이며, 그다음이 루신어이다. 그러나 동슬로바키아어와 루신어 모두 친숙한 전문 용어와 상위 레지스터 표현이 부족하다. 폴란드어와 소르브어 또한 상위 레지스터에서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와 상당히 다르지만, 비전문적이고 하위 레지스터의 말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어느 정도의 상호 이해는 구어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그리고 심지어 러시아어(이 순서대로)에서도 나타나지만, 이들의 정자법은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35]슬로바키아어와 체코어는 유사하며 대화도 거의 통한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극동부 방언, 체코어의 모라비아 방언을 제외하면 어느 정도 통한다. 그러나, 폴란드어로는 일반적으로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는 아니다.
영어 | 슬로바키아어 | 체코어 | 폴란드어 | 루신어 |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불가리아어 | 슬로베니아어 |
---|---|---|---|---|---|---|---|---|---|
사다 | kupovaťsk | kupovatcs | kupowaćpl | куповати|kupovatyrue | купувати|kupuvatyuk | купляць|kuplaćbe | kupovatish | купува|kupuvabg | kupovatisl |
어서 오세요 | Vitajtesk | Vítejtecs | Witajciepl | Вітайте|vitajterue | Вітаю|vitajuuk | Вітаю|vitajube | Dobrodošlish | добре дошли|dobre došlibg | Dobrodošlisl |
아침 | ránosk | ráno/jitrocs | rano/ranekpl | рано|ranorue | рано/ранок|rano/ranokuk | рана/ранак|rana/ranakbe | jutrosh | утро|utrobg | jutrosl |
감사합니다 | Ďakujemsk | Děkujics | Dziękujępl | Дякую|diakujurue | Дякую|diakujuuk | Дзякуй|dziakujbe | Hvalash | благодаря|blagodarjabg | Hvalasl |
잘 지내세요? | Ako sa máš?sk | Jak se máš?cs | Jak się maszpl? (구어체 "jak leci?pl") | Як ся маєш/маш?|jak sia maješ/maš?rue | Як справи?|jak spravy?uk | Як справы?|jak spravy?be | Kako si?sh | Как си?|Kak si?bg | Kako se imaš?/Kako si?sl |
Як ся маєш?|jak sia maješ?uk | Як маесься?|jak majeśsia?be |
9. 3. 차용어
슬로바키아어는 프로토슬라브어에서 유래했으며, 프로토슬라브어는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유래했다.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 폴란드어를 비롯한 다른 서슬라브어파 언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체코어는 슬로바키아어의 후기 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 오래된 슬로바키아어 어휘에서 가장 많은 차용어는 라틴어, 독일어, 체코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그리스어(순서대로)에서 유래했다.[35] 최근에는 영어의 영향도 받고 있다.10. 예시 문장
Všetci ľudia sa rodia slobodní a rovní v dôstojnosti aj právach. Sú obdarení rozumom a svedomím a majú sa k sebe správať v duchu bratstva.|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모든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sk [38]
참조
[1]
웹사이트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 Покрајинска влада
http://www.vojvodina[...]
[2]
서적
Brill Encyclopedia of Slavic Languages and Linguistics
https://referencewor[...]
Brill Publishers
2024-04-01
[3]
웹사이트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http://www.vojvodina[...]
Government of the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2013-05-25
[4]
웹사이트
Národnostní menšiny | Vláda ČR
https://vlada.gov.cz[...]
[5]
학회발표
The relationship between official and minority languages in Poland
https://web.archive.[...]
European Federation of National Institutions for Language
2019-11-28
[6]
웹사이트
Hungary needs to strengthen use of and access to minority languages
https://www.coe.int/[...]
Council of Europe
2016-12-14
[7]
웹사이트
Odluka o donošenju kurikuluma za nastavni predmet Slovački jezik i kultura u osnovnim i srednjim školama u Republici Hrvatskoj (Model C)
https://narodne-novi[...]
[8]
웹사이트
Slovaci
https://pravamanjina[...]
[9]
웹사이트
Pukanec
https://www.pukanec.[...]
[10]
웹사이트
Slováci v Rumunsku
https://web.archive.[...]
2024-01-27
[11]
웹사이트
https://www.edu.ro/s[...]
2024-08-00
[12]
웹사이트
Rumunsko
https://www.slovensk[...]
[13]
웹사이트
75 de ani de invatamant in limba slovaca
https://www.bihon.ro[...]
2011-09-16
[14]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15]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Czech languag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1-06
[17]
학술지
Mutual intelligibility between West and South Slavic languages
[18]
서적
A grammar of contemporary Polish
Slavica
[19]
웹사이트
Czech Literature, 1774 to 1918
https://web.archive.[...]
Babel - University of Oxford Modern Languages
2002
[20]
웹사이트
Czech Republic
https://web.archive.[...]
2024-04-30
[21]
웹사이트
https://www.preziden[...]
[22]
웹사이트
https://www.preziden[...]
2024-08-00
[23]
웹사이트
Overview
https://eurydice.eac[...]
[24]
웹사이트
https://www.narodnos[...]
2024-08-00
[25]
웹사이트
https://www.culture.[...]
2024-08-00
[26]
웹사이트
MK-3620/2021-110/6659
https://www.culture.[...]
2021-03-15
[27]
웹사이트
The Statute Of The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 Skupština Autonomne Pokrajine Vojvodine
https://www.skupstin[...]
[28]
웹사이트
https://szlovak-bp.e[...]
2024-08-00
[29]
웹사이트
Szlovák Iskola - Kezdőlap
https://szlovak-bcs.[...]
[30]
웹사이트
Gymnázium Jána Kollára so žiackym domovom v Báčskom Petrovci
https://www.jankolla[...]
2024-01-26
[31]
웹사이트
O Gimnaziji – Gimnazija "Mihajlo Pupin" Kovačica
https://gymko.edu.rs[...]
[32]
웹사이트
LICEUL TEORETIC "JOZEF GREGOR TAJOVSKÝ" NĂDLAC
https://tajovskynadl[...]
[33]
서적
Slavic Prosody: Language Change and Phonological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4]
서적
Morfológia slovenského jazyka
[35]
서적
Staršia slovenská lexika v medzijazykových vzťahoch
https://www.juls.sav[...]
Jazykovedný ústav Ľudovíta Štúra SAV
[36]
웹사이트
Jazyková situácia na Slovensku v kontexte EÚ, s ohľadom na anglicizmy v slovenskej dennej tlači
https://www.ff.umb.s[...]
2007-00-00
[37]
웹사이트
Magyar Nyelvőr – Pacsai Imre: Magyar–szlovák kulturális és nyelvi kapcsolat jegyei...
http://www.c3.hu/~ny[...]
[38]
PDF
https://www.amnesty.[...]
[3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