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조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조속(Struthio)은 타조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두 종의 조류, 타조(Struthio camelus)와 소말리아타조(Struthio molybdophanes)를 포함한다. 이 속은 1758년 칼 폰 린네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과거에는 에뮤, 레아, 화식조도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된다. 타조속의 화석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발견되며, 가장 오래된 화석 종은 약 2100만 년 전 아프리카 나미비아에서 발견된 Struthio coppensi이다. 타조는 현재 아프리카의 사바나와 사헬 지역에서 서식하며, 과거에는 아시아와 아라비아 반도에서도 발견되었으나 멸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조과 - 타조알
타조알은 현존하는 조류 알 중 가장 크고, 평균 길이 15cm, 너비 13cm, 무게 1.4kg에 달하며, 고대부터 용기나 장식품으로 사용되었고 기독교 상징으로도 쓰였으며 오늘날 고급 식재료로 취급된다. - 마이오세의 새 - 되새과
되새과는 1819년에 명명되었고 강한 부리를 가진 조류 과로,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약 50개 속 235종을 포함하고, DNA 분석을 통해 분류가 수정되어 현재는 세 개의 아과와 하와이꿀빨이새류를 포함한다. - 마이오세의 새 - 헤라클레스 이넥스펙타투스
헤라클레스 이넥스펙타투스는 2019년에 명명된 멸종된 대형 앵무새 종으로,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화석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1미터 크기에 7킬로그램의 몸무게를 가졌고, 그리스 신화 영웅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예상치 못한 발견에 대한 놀라움을 표현하는 종명을 가지며, 미오세 시대 뉴질랜드 숲에서 서식했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타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2. 분류
칼 폰 린네는 1758년에 타조속(''Struthio'')을 처음 기술했다.[2] 린네와 초기 분류학자들은 에뮤, 레아, 화식조를 타조속에 포함시켰으나, 이후 각 종은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었다.[2]
현생종으로는 타조(''Struthio camelus'')와 소말리아타조(''Struthio molybdophanes'')가 있다. 소말리아타조는 최근 대부분의 권위자들에 의해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여전히 증거를 검토하고 있다.[6][7]
2008년, ''S. linxiaensis''가 속으로 옮겨졌다.[26] 또한 2019년에는 ''S. pannonicus'', ''S. dmanisensis'', ''S. transcaucasicus''의 3종이 속으로 옮겨졌다.[27] 일부 화석은 생흔 화석 분류군이며, 뼈의 특징으로 기술된 것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28]
화석종은 다음과 같다.
- †Struthio barbarous/Struthio barbarousla Arambourg 1979
- †Struthio brachydactylus/Struthio brachydactylusla Burchak-Abramovich 1939 (신세, 우크라이나)
- †Struthio chersonensis/Struthio chersonensisla (Brandt 1873) Lambrecht 1921 (신세, 유럽 남동부부터 아시아 중서부) – 알 화석만
- †Struthio coppensi/Struthio coppensila Mourer-Chauviré et al. 1996 (중신세 전기, 나미비아)
- †Struthio daberasensis/Struthio daberasensisla Pickford, Senut & Dauphin 1995 (신세 전기-중기, 나미비아) – 알 화석만
- †Struthio epoasticus/Struthio epoasticusla Bonaparte 1856
- †Struthio kakesiensis/Struthio kakesiensisla Harrison & Msuya 2005 (신세 전기, 탄자니아) – 알 화석만
- †Struthio karingarabensis/Struthio karingarabensisla Senut, Dauphin & Pickford 1998 (중신세 후기-신세 전기, 아프리카 남서부-중동부) – 알 화석만(?)
- †Struthio oldawayi/Struthio oldawayila Lowe 1933 (후기 홍적세, 탄자니아) – 아마도 타조 ''S. camelus''의 아종[29]
- †Struthio orlovi/Struthio orlovila Kuročkin & Lungo 1970 (중신세 후기, 몰도바)
- †Struthio wimani/Struthio wimanila Lowe 1931 (신세 전기, 중국·몽골)
- †동아시아타조( ''Struthio anderssoni}}'' ) Lowe 1931 (홍적세 후기, 중국·몽골)[30][31] {{endash/Struthio anderssonila oospecies(?)
- †아시아타조(''Struthio asiaticus/Struthio asiaticusla'') Brodkorb 1863 (신세 전기-홀로세 전기, 중앙아시아부터 중국?·모로코)
2. 1. 현생종
칼 폰 린네가 1758년에 처음 기술한 타조속(''Struthio'')에는 타조(Struthio camelus)와 소말리아타조(Struthio molybdophanes)가 현생종으로 속한다.[2] 소말리아타조는 최근 대부분의 학자들에 의해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여전히 타조의 아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6][7]
과거에는 에뮤, 레아, 화식조도 타조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각각 별도의 속으로 분류된다.[2]
2. 2. 화석종
타조속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약 2100만 년 전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마이오세 초기 지층에서 발견된 †''Struthio coppensi''이다.[20]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화석종이 발견되었으며,[19] 특히 아시아에서는 후기 홍적세까지 타조가 생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2][23][24]- †''Struthio barbarus'' Arambourg 1979
- †''Struthio brachydactylus'' Burchak-Abramovich 1939 (우크라이나 플라이오세)
- †''Struthio chersonensis'' (Brandt 1873) Lambrecht 1921 (SE 유럽에서 WC 아시아까지 플라이오세) – 난각종
- †''Struthio coppensi'' Mourer-Chauviré et al. 1996 (나미비아 엘리자베스펠트 초기 마이오세)
- †''Struthio daberasensis'' Pickford, Senut & Dauphin 1995 (나미비아 초기 – 중기 플라이오세) – 난각종
- †''Struthio kakesiensis'' Harrison & Msuya 2005 (탄자니아 라에톨리 초기 플라이오세) – 난각종
- †''Struthio karingarabensis'' Senut, Dauphin & Pickford 1998 (SW 및 CE 아프리카 후기 마이오세 – 초기 플라이오세) – 난각종(?)
- †''Struthio oldawayi'' Lowe 1933 (탄자니아 후기 플라이스토세) – 아마도 ''S. camelus''의 아종[21]
- †''Struthio orlovi'' Kuročkin & Lungo 1970 (몰도바 후기 마이오세)
- †''Struthio wimani'' Lowe 1931 (중국 및 몽골 초기 플라이오세)
- †동아시아타조( ''Struthio anderssoni'' ) Lowe 1931 (중국에서 몽골까지 후기 플라이스토세)[22][23][24]
- †아시아타조(''Struthio asiaticus'') Brodkorb 1863 (중앙 아시아에서 중국? 및 모로코까지 초기 플라이오세 – 초기 홀로세)
2008년, ''S. linxiaensis''는 오리엔토르니스속으로 옮겨졌고,[18] 2019년에는 ''S. pannonicus'', ''S. dmanisensis'', ''S. transcaucasicus''가 파키스트루티오속으로 옮겨졌다.[19] 몇몇 추가적인 화석 형태는 흔적 화석으로, 특징적인 뼈에서 묘사된 것과의 연관성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더 많은 양질의 자료가 나올 때까지 검토가 필요하다.[20]
3. 진화
타조과는 초기 에오세에 처음 나타난 시조류의 일원이며, 에르길로르니티다에와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이다.[8] 따라서 타조과는 아시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8] ''타조'' 속의 가장 초기의 화석은 약 2100만 년 전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미오세 초기에 발견되었으므로, 이 속은 아프리카 기원이라고 제안되었다.[9] 미오세 중후기(500만~1300만 년 전)에 유라시아로 퍼져 널리 분포하게 되었다.[9] 아프리카 화석 종의 관계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단편적인 유해에서 많은 아시아 타조 종이 묘사되었으며, 이들의 상호 관계와 아프리카 타조와의 관계는 혼란스럽다. 인도, 몽골, 중국에서는 타조가 최후 빙하기 말이나 심지어 그 이후에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선사 시대 중국 도자기와 암각화에서 타조의 그림이 발견되었다.[10][22][23][11]
4. 분포 및 서식지
오늘날 타조는 야생 상태에서는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며, 사바나와 사헬과 같은 열대 우림 지대의 북쪽과 남쪽 모두에서 다양한 개방형 건조 및 반건조 서식지에 서식한다.[12] 소말리아타조는 동아프리카 지구대라는 지리적 장벽에 의해 일반 타조와 격리되어 진화하여 아프리카의 뿔에서 발견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일반 타조의 마사이아종이 소말리아타조와 함께 서식하지만, 행동적, 생태적 차이로 인해 이종 교배를 막고 있다.[13] 아라비아타조는 소아시아와 아라비아에서 20세기 중반까지 멸종되었으며, 이스라엘에서 그들의 생태적 역할을 채우기 위해 북아프리카타조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14]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탈출한 일반 타조는 야생화된 개체군을 형성했다.[15][16][17]
5. 타조와 한국 문화
참조
[1]
간행물
Struthio camelus
2018
[2]
서적
Catalogue of the Genera and Subgenera of Birds contained in the British Museum
https://www.biodiver[...]
Taylor and Francis
[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1992
[4]
논문
Speed of animals
1974-03
[5]
웹사이트
The South African Ostrich Industry Footprint
https://www.elsenbur[...]
2020-07
[6]
웹사이트
Ratites
http://www.worldbird[...]
WorldBirdNames.org
[7]
웹사이트
The BirdLif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with conservation status and taxonomic sources.
http://www.birdlife.[...]
[8]
논문
Extinct crane-like birds (Eogruidae and Ergilornithidae) from the Cenozoic of Central Asia are indeed ostrich precursors
https://academic.oup[...]
2021-11-13
[9]
논문
The late Cenozoic history of the ostriches (Aves: Struthionidae), as revealed by fossil eggshell and bone remains
https://linkinghub.e[...]
2020-09
[10]
웹사이트
Genitalia, Totems and Painted Pottery: New Ceramic Discoveries in Gansu and Surrounding Areas
http://www.chinaheri[...]
China Heritage Quarterly
2007
[11]
논문
Ancient DNA Reveals Late Pleistocene Existence of Ostriches in Indian Sub-Continent
2017-03-08
[12]
웹사이트
Struthio camelus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13]
논문
Phylogeographic patterns in mitochondrial DNA of the Ostrich (Struthio camelus)
http://sora.unm.edu/[...]
[14]
뉴스
The Bitter Fate of Ostriches in the Wild
http://www.haaretz.c[...]
2007-12-25
[15]
웹사이트
Ostriches in Australia – and near my home
http://trevorsbirdin[...]
trevorsbirding.com
2007-09-13
[16]
뉴스
The outback ostriches — Australia's loneliest birds
https://www.abc.net.[...]
2018-09-01
[17]
웹사이트
Common Ostrich (Struthio camelus)
https://inaturalist.[...]
[18]
논문
Rediscussion in the taxonomic assignment of Struthio linxiaensis Hou, et al., 2005
2008
[19]
논문
A giant early Pleistocene bird from eastern Europe: unexpected component of terrestrial faunas at the time of early Homo arrival
[20]
논문
New Fossil Ratite (Aves: Palaeognathae) Eggshell Discoveries from the Late Miocene Baynunah Foramation of the United Arab Emirates, Arabian Peninsula
http://palaeo-electr[...]
[21]
웹사이트
OVPP-Struthio 8
https://olduvai-pale[...]
olduvai-paleo.org
[22]
논문
Dating North Asian surface assemblages with ostrich eggshell: Implications for palaeoecology and extirpation
[23]
서적
On the occurrence of fossil remains of Struthionidae in China. In: Essays on the cenozoic of northern China. Memoirs of the Geological Survey of China (Peking), Series A, No. 3, pp. 53–77
Geological Survey of China
[24]
논문
Research into the prehistory of the Chinese
[25]
서적
Catalogue of the Genera and Subgenera of Birds contained in the British Museum
https://www.biodiver[...]
Taylor and Francis
[26]
논문
Rediscussion in the taxonomic assignment of Struthio linxiaensis Hou, et al., 2005
2008
[27]
논문
A giant early Pleistocene bird from eastern Europe: unexpected component of terrestrial faunas at the time of early Homo arrival
[28]
논문
New Fossil Ratite (Aves: Palaeognathae) Eggshell Discoveries from the Late Miocene Baynunah Foramation of the United Arab Emirates, Arabian Peninsula
http://palaeo-electr[...]
[29]
웹사이트
OVPP-Struthio 8
https://olduvai-pale[...]
[30]
논문
Dating North Asian surface assemblages with ostrich eggshell: Implications for palaeoecology and extirpation
[31]
문서
J. G. Andersson, Essays on the cenozoic of northern China. Memoirs of the Geological Survey of China (Peking), Series A, No. 3 (1923), pp. 1–152, especially pp. 53–77: "On the occurrence of fossil remains of Struthionidae in China."; and J. G. Andersson, Research into the prehistory of the Chinese. Bulletin of the Museum of Far Eastern Antiquities 15 (1943), 1–300, plus 200 pl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