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탁발십익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발십익건은 318년에 태어나 376년에 사망한 선비족 탁발부의 인물로, 338년에 대왕으로 즉위하여 건국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그는 즉위 후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세력을 확장했으며, 전연, 흉노 등 주변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376년 전진의 침공으로 막남으로 피신했으나, 탁발식군에게 살해당했다. 탁발십익건은 뛰어난 재능과 군주로서의 도량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으며 북위 번영의 기반을 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76년 사망 - 에르마나리크
    에르마나리크는 게르만 전설 속 고트족 왕으로, 호전적인 폭군으로 묘사되며 넓은 영토를 다스렸으나 알란족과 훈족의 침략에 맞서다 자살한 인물로, 중세 게르만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의 군주 - 탁발울률
    탁발울률은 탁발부의 수령 탁발의로의 아들로, 316년 대나라의 대왕으로 옹립되어 유능한 군사 지도자로서 세력을 확장했지만, 321년 백모 유씨에게 살해당했다.
  • 대의 군주 - 탁발의로
    탁발의로는 서진의 유곤과 협력하여 흉노족 유연에 대항하고 세력을 확장하다 315년 대왕에 봉해졌으나, 아들에게 살해당한 후 북위 건국 후 목황제로 추존된 대나라의 초대 대왕이다.
탁발십익건
기본 정보
뉴허량 유적지에서 발견된 여신상 머리 부분.
뉴허량 유적지에서 발견된 여신상 머리 부분.
이름拓跋什翼犍 (Tuòbá Shíyìjiān, 퉈바 스이지안)
한국어 이름탁발십익건
칭호
왕조
재위 기간338년 - 376년
수도번치 → 성락
拓跋什翼犍 (Tuòbá Shíyìjiān, 퉈바 스이지안)
미상
시호昭成皇帝 (Zhāochéng Huángdì, 자오청 황디)
묘호高祖 (Gāozǔ, 가오주)
출생318년
사망376년
부친탁발울률
모친왕씨
왕후모용씨
연호건국

2. 생애

318년 탁발울률의 차남으로 태어난 탁발십익건은 비범한 출생 설화를 가지고 있다. 329년 형 탁발의괴가 대왕이 되자 후조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석륵과 화평을 맺고, 이후 약 10년간 인질 생활을 했다. 338년 탁발의괴의 뒤를 이어 대왕으로 즉위하고, 건국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다.

탁발십익건은 백관을 설치하고 율령을 정비하여 청렴하고 간결한 정치를 펼쳤으며, 연좌제를 완화하여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켰다. 오환을 통치하고, 동쪽으로는 예맥, 서쪽으로는 파락나, 남쪽으로는 음산, 북쪽으로는 사막에 이르기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흉노 철불부의 침략을 격파하고, 전연과 혼인 관계를 맺는 등 외교에도 힘썼다. 후조 쇠퇴 후 중원 정벌을 계획했으나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367년 전연의 침입에 분노하여 모여니를 공격하고, 370년 고차를 정벌하는 등 정복 활동을 펼쳤다. 376년 전진 부견의 침공으로 여러 부족이 반란을 일으키자 막남으로 피신했고, 이후 운중군으로 돌아왔으나 탁발근의 사주를 받은 탁발식군에게 살해당했다.

2. 1. 어린 시절과 즉위

318년, 탁발십익건은 대왕 탁발울률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그의 출생은 비범했다고 전해진다. 321년, 백모 유씨가 반란을 일으켜 탁발울률을 비롯한 수십 명을 살해하고 아들 탁발하육을 왕위에 올렸다. 탁발십익건은 어머니 왕씨의 도움으로 도망쳤는데, 왕씨는 "하늘의 가호가 있다면 울지 말아다오"라고 빌었고, 탁발십익건은 울지 않아 모자는 무사히 피신할 수 있었다.

325년, 탁발하육이 죽고 유씨의 또 다른 아들 탁발흘나가 즉위했다. 329년, 형 탁발의괴가 탁발흘나를 몰아내고 대왕이 되었다. 탁발십익건은 후조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석륵을 만나 화평을 청하고, 이후 약 10년간 인질로 머물렀다.

338년, 탁발의괴가 병으로 죽으면서 탁발십익건을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대신들은 탁발십익건이 멀리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대신들은 탁발굴을 세우려 했으나, 탁발고의 양보로 탁발십익건이 즉위하게 되었다. 탁발고는 석호에게 자신을 인질로 삼고 형을 돌려보내 달라고 청했고, 석호는 이에 감탄하여 두 사람 모두 귀국시켰다.

338년 11월, 탁발십익건은 번치성 이북 지역에서 대왕으로 즉위하고 건국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2. 2. 치세

탁발십익건은 즉위 후 백관을 설치하고 국가 체제를 정비했다. 장사 연봉, 낭중령 허겸 등을 임명하고, 반역, 살인, 강간, 절도 등에 대한 법을 명문화하여 율령을 정비했다. 그의 정치는 청렴하고 간결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연좌제를 완화하여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켰다. 귀순해 온 사람들을 오환이라 칭하고, 이들을 두 개의 부로 나누어 동생 탁발고에게 북부를, 서장자 탁발식군에게 남부를 감독하게 했다. 동쪽으로는 예맥, 서쪽으로는 파락나, 남쪽으로는 음산, 북쪽으로는 사막에 이르기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수십만 명의 백성을 복속시켰다.

339년, 참합피에서 여러 부의 어른들을 모아 새로운 도읍 건설을 논의했으나, 어머니 왕씨의 반대로 중단했다. 340년, 운중군의 성락궁(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 호린골 현)으로 천도했다. 341년, 옛 성락성 남쪽에 새로운 성을 쌓았다.

흉노 철불부의 유호가 침략해 왔으나 격파했고, 유호 사후 아들 유무환이 귀순하자 그에게 딸을 시집보냈다. 전연과 혼인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했다. 처음에는 모용황의 여동생과 혼인했고, 이후 모용황의 딸과 다시 혼인했다.

351년, 후조가 쇠퇴하고 염민중원을 혼란에 빠뜨리자, 탁발십익건은 중원 정벌을 계획했으나, 여러 부의 어른들의 반대로 중지했다. 355년, 어머니 왕씨가 사망했다.

356년, 철불부 유알두가 배반할 낌새를 보이자 그를 타이르고 항복시켰다. 358년, 철불부에서 대규모 반란이 발생하자 유알두를 공격하고 그 병력을 흡수했다.

363년, 고차가 침입하자 격파했다. 364년, 몰가부를 공격하여 가축 수백만 마리를 획득했다. 367년, 전연의 침입으로 탁발십익건은 분노하여 유주 군사를 이끌고 모여니를 공격했다. 370년, 고차를 정벌하여 대파했다. 371년, 장손근의 모반이 일어났고, 태자 탁발실이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374년, 유위진을 정벌했으나 패배했다.

376년, 전진 부견의 침공으로 여러 부족이 반란을 일으키고 탁발십익건은 막남으로 피신했다. 이후 운중군으로 돌아왔으나, 탁발근의 사주를 받은 탁발식군에게 살해당했다.

3. 인물 평가

위수(위서 편찬)는 "소성제(탁발십익건)는 뛰어난 재능과 군주로서의 도량을 갖추었고, 사방을 정벌하여 이를 이겼으며, 변방에 위세를 떨쳤다. 도읍을 개정하고 연호를 세워 그 대업을 융성하게 했다. 이후 160년에 걸친 번영을 맞이한 것은 이 위업 덕분이 아니겠는가"라고 평가했다. 장대령(진오호지장 저술)은 "탁발십익건은 바지 속에서 목숨의 위기에 처하면서도 탁발의로의 업적을 수립할 수 있었고, 더욱이 대국을 정강하게 만들었다. 필사의 각오로 동쪽을 건너 기세로 북쪽을 쳤다. 말(사마씨)이 쓰러지고 소(십익건과 그 일족)가 일어설 조짐이 아니겠는가"라고 평가했다.

탁발십익건은 지혜와 용기를 겸비하고, 마음이 넓고 사려 깊었으며, 희로애락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았다. 키는 8척이었으며, 높은 코를 가지고 있었다. 머리카락은 매우 길어 땅에 닿을 정도였다고 한다.

전진부견은 탁발십익건에게 태학에서 공부할 것을 명했다. 어느 날 부견이 탁발십익건에게 "학문을 좋아하는가?"라고 묻자, 탁발십익건은 "좋아하지 않는다면, 폐하께서는 이 익(翼)에게 학문을 배우게 하여 무엇에 쓰시려고 하십니까?"라고 대답했다. 부견은 이 답변에 학문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만족했다.

4. 가족 관계

구 분내용
아버지탁발울률
어머니왕씨
탁발의괴
동생탁발고
모용외의 딸, 모용황의 여동생
모용씨 (모용황의 딸)
서장자탁발실군
아들탁발실 (도무제의 아버지)
아들탁발한
아들탁발알파
아들탁발수구
아들탁발힐근
아들탁발지간
아들탁발역진
아들탁발굴돌
유무환의 처
요서공주 (하야간의 처)
유고인의 처
유위진의 처
유항니의 처


5. 연호

建國|찌엔궈중국어 (338년 ~ 376년)

참조

[1] 서적 宋書
[1] 서적 南斉書
[2] 서적 宋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