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운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중군은 전한 시대에 대나라에서 분할되어 설치된 군으로,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일대에 위치했다. 흉노의 침입에 대비한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무제의 흉노 공격 시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다. 신나라 시기에는 수항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선비족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신흥군에 통합되었다. 이후 북위 시대에도 존속하다가 수나라에 의해 폐지되었다. 당나라 때 산서성 대동시 일대에 운중군이 설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몽골의 군 - 서하군
    서하군은 전한 무제가 상군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한 군으로, 삭방자사부에 소속되어 현재의 어얼둬쓰 시, 뤼량 시, 위린 시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왕망의 신나라 때 잠시 귀신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 전조,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때 호주, 분주로 개칭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내몽골의 군 - 정양군 (행정 구역)
    정양군은 전한 시대에 흉노의 공격으로부터 대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왕망 시기에 득강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는 신흥군으로 개편되었고, 수나라 시기에 흔주가 정양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지만 당나라 무덕 4년에 폐지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한나라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운중군
지리 정보
개요
국가중국
시대전국시대 ~ 당나라
폐지 시기당나라
상세 정보
전국시대윈중 군
진나라윈중 군
서한윈중 군
신나라쇼우 강 군 (Shòu Jiàng Jùn, 受降郡)
동한윈중 군
삼국시대폐지
서진폐지
동진폐지
남북조시대윈중 군
수나라폐지
당나라윈중 군

2. 역사

운중군은 전한 초기에 대나라의 지군이었다. 기원전 196년, 고제는 흉노 등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나라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운중군을 분할하여 한나라 직할 군으로 삼았다. 분리된 운중군 동부는 정양군이 되어 여전히 대나라에 속했다. 이후 전한 멸망까지 행정 구역의 변동은 없었다.[30][31]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8,303호, 173,270명이 있었다. 치소는 운중현이었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에는 총 11개의 현을 가지고 있었다.[3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운중현雲中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북동
함양현咸陽縣바오터우시 투메드 우기
도림현陶林縣호흐호트시 북동동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정릉현楨陵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남동
독화현犢和縣호흐호트시 투메드 좌기·바오터우시 투메드 우기·구양 현 남동 일대
사릉현沙陵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북
원양현原陽縣호흐호트시 남동
사남현沙南縣오르도스시 준가르 기 북동
북여현北輿縣호흐호트시중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무천현武泉縣호흐호트시 북동
양수현陽壽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남동



왕망은 군의 이름을 수항(受降)으로 고치고, 일부 현의 이름을 변경했다.

전한
운중원복(遠服)
함양분무(賁武)
도림정륙(楨陸)
사릉희은(希恩)
무천순천(順泉)
양수상득(常得)



신나라 시기에는 11현, 5,351호, 26,430명의 주민을 통치했다. 후한 시기부터 선비족의 공격으로 인구가 급감했고, 215년 정양군, 삭방군, 오원군과 함께 현으로 격하되었다. 치소는 신저우 시 위안핑 시 서부로 이전되었고, 신흥군으로 통폐합되면서 옛 운중군 지역은 버려졌다. 버려진 운중군 지역은 탁발선비가 차지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운중현雲中縣변화없음
함양현咸陽縣
기릉현箕陵縣호흐호트 시 칭수이허 현 북서 황하강변
사릉현沙陵縣변화없음
사남현沙南縣
북여현北輿縣
무천현武泉縣
원양현原陽縣
정양현定襄縣호흐호트시 남동정양군에서 이관되었다.
성락현成樂縣호흐호트 시 호린게르 현 북서정양군에서 이관되었다. 탁발선비가 이곳을 초기 근거지로 삼았다.
무진현武進縣호흐호트시 호린게르 현 북동정양군에서 이관되었다.



탁발선비가 이 지역을 거점으로 삼은 후 큰 변동 없이 유지되어 북위의 영역이 되었다. 처음에는 삭주에 속했다가 후에 운주(雲州)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연민현(延民縣)과 운양현(雲陽縣)의 2현을 두었고, 성락 지역은 성락군으로 분리되었다.

북위 멸망 후 동위, 북제의 지배를 받다가 북제가 멸망하면서 수나라의 전신인 북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수나라는 운중군을 폐지했다.

운중군은 전국 시대 무령왕 (재위 기원전 326년 - 기원전 298년)이 임호누번을 격파하고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안문군, 대군과 함께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6] 진나라 때 운중현에 군 치소가 설치되었다.

전한 시대에 운중군은 북쪽의 흉노와 접하는 최전선이었다. 고조 (유방) 시대에는 한나라에서 흉노로 투항한 조리·왕황이 빈번하게 안문·대·운중을 침략했다.[7] 문제 6년(기원전 174년)에는 흉노의 3만 기병이 운중에 침입했다. 문제 14년(기원전 166년) 이후, 연이은 흉노의 침공으로 운중군은 살해와 약탈로 1만 명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8] 후원 4년(기원전 160년)경에도 흉노의 3만 기병이 침입했다.[9]

무제가 반격에 나서자, 운중군은 한나라의 출격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원광 6년(기원전 129년)의 첫 대공세에서는, 공손하가 운중군에서 출격했다.[10] 원삭 2년(기원전 127년)에는 대장군위청이 운중에서 진격하여 전과를 올렸다.[11] 얼마 동안 흉노의 침입은 다른 군으로 빗겨갔지만, 태초 3년(기원전 102년)에는 다시 흉노가 운중을 침략했다.[12] 본시 3년(기원전 73년), 선제의 치세에서, 운중군에서 전장군의 한증이 3만여 기병을 이끌고 출격했다.[13]

원봉 5년(기원전 106년)에 전국에 주가 설치되었을 때, 운중군은 병주에 속했다. 운중·함양·도림·정릉·독화·사릉·원양·사남·북여·무천·양수의 11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기에 3만 8303호, 17만 3270명이 있었다.[14]

왕망 시대에는 수강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이 건국되자, 운중군의 명칭으로 돌아갔다.[15] 후한 시대에 운중군은 운중·함양·기릉·사릉·사남·북여·무천·원양·정양·성락·무진의 11현을 관할했다.[16]

215년 (건안 20년), 조조가 운중·정양·오원·삭방의 4군을 현으로 고치고, 4현을 관할하는 신흥군을 세웠다.[17]

의 혜제 시대에 신흥군은 진창군으로 개칭되었다. 304년 (영흥 원년), 유연이 한왕을 칭하고 자립하자, 병주 전역을 한(전조)이 장악했다. 유요가 도읍을 장안으로 옮기자, 평양 이동 지역은 석륵에게 장악되었고, 삭방에 삭주가 설치되었다.[18]

북위 시대에 다시 운중군이 설치되었다. 삭주에 속했고, 후에 운주에 속하여, 연민·운양의 2현을 관할했다.[19]

시대에는 마읍군운내현이 설치되었다. 621년 (무덕 4년), 당나라가 유무주를 평정했다. 623년 (무덕 6년), 운내현 항안진에 북항주가 설치되었고, 운내현은 운중현으로 개칭되었다. 624년 (무덕 7년), 북항주는 폐지되었다. 640년 (정관 14년), 삭주의 북쪽 정양성에서 운주와 정양현이 이전되었다. 682년 (영순 원년), 운주는 돌궐에게 공격당해 폐지되었고, 그 지역의 민중은 삭주로 이전되었다. 732년 (개원 20년), 다시 운주가 설치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운주는 운중군으로 개칭되었다. 이 운중군은 현재의 산서성대동시에 해당한다. 758년 (건원 원년), 운중군은 운주로 개칭되었고, 운중군의 호칭은 사라졌다.[20]

3. 행정 구역

전한 초기에 운중군은 전한의 제후왕국인 대나라의 지군이었다.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고제는 흉노 등 북방 민족들에게 시달리는 대나라의 방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운중군을 분할하여 한나라의 직할 군으로 삼았다.[30][31] 분리된 운중군 동부는 정양군이 되어 여전히 대나라에 속했다. 이후 전한 멸망까지 행정구역의 변동은 없었다.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8,303호, 173,270명이 있었다. 치소는 운중현이었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총 11현을 관할했다.[3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운중현雲中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북동
함양현咸陽縣바오터우시 투메드 우기
도림현陶林縣호흐호트시 북동동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정릉현楨陵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남동
독화현犢和縣호흐호트시 투메드 좌기·바오터우시 투메드 우기·구양 현 남동 일대
사릉현沙陵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북
원양현原陽縣호흐호트시 남동
사남현沙南縣오르도스시 준가르 기 북동
북여현北輿縣호흐호트시중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무천현武泉縣호흐호트시 북동
양수현陽壽縣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남동


4. 역대 군수·태수

운중군의 역대 군수와 태수는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맹서? ~ 기원전 198년? [33]
? ~ 기원전 196년 [34]
위상문제 시기 [35]
이광경제 시기 [24]
수성기원전 119년 [36]
여파호기원전 81년 ~ ?
전순? ~ 기원전 71년 [27]
한안국기원전 42년 [37]정양태수일 수도 있음
신경기기원전 22년 ~ 기원전 21년 [28]



이름재임 기간비고
교호29년/30년 ~ 31년 [29]건무 5년 혹은 6년(29년, 30년)에 노방에 의해 임명, 건무 7년(31년)에 광무제에 귀순


4. 1. 전한

이름재임 기간비고
맹서? ~ 기원전 198년? [33]문제 즉위(기원전 180년) 전 십수 년 재임 후 면직, 즉위 후 재임[21]
? ~ 기원전 196년 [34]
위상문제 시기 (기원전 166년)[23]재임 후 면직[22]
이광경제 시기 (기원전 157년 ~ 기원전 141년) [24]
수성기원전 119년 [36]
여파호기원전 81년 ~ ? [26]
전순? ~ 기원전 71년 [27]
한안국기원전 42년 [37]정양태수일 수도 있음
신경기기원전 22년 ~ 기원전 21년 [28]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Han
[4] 서적 Book of Later Han
[5] 서적 Book of Jin
[6] 서적 史記 匈奴列伝第50 岩波文庫版
[7] 서적 漢書 匈奴伝第64上 ちくま学芸文庫版
[8] 서적 漢書 匈奴伝第64上 ちくま学芸文庫版
[9] 서적 漢書 匈奴伝第64上 ちくま学芸文庫版
[10] 서적 史記 匈奴列伝第50 岩波文庫版
[11] 서적 史記 匈奴列伝第50 岩波文庫版
[12] 서적 漢書 武帝紀第6, 匈奴伝第64上 ちくま学芸文庫版
[13] 서적 漢書 宣帝紀第8, 匈奴伝第64上 ちくま学芸文庫版
[14] 서적 漢書 地理志第8下 ちくま学芸文庫版
[15] 서적 漢書 地理志第8下 ちくま学芸文庫版
[16] 서적 後漢書 郡国志五
[17] 서적 三国志 魏書武帝紀
[18] 서적 晋書 地理志上
[19] 서적 魏書 地形志二上
[20] 서적 旧唐書 地理志二
[21] 서적 史記 田叔列伝第44 岩波文庫版
[22] 서적 史記 張釈之馮唐列伝第42 岩波文庫版
[23] 서적 史記 匈奴列伝第50 岩波文庫版
[24] 서적 史記 李将軍列伝第49 岩波文庫版
[25] 서적 漢書 衛青霍去病列伝第25 ちくま学芸文庫版
[26] 서적 漢書 百官公卿表第7下
[27] 서적 漢書 匈奴伝第64上 ちくま学芸文庫版
[28] 서적 漢書 百官公卿表第7下
[29] 서적 後漢書 光武帝紀第1下, 王劉張李彭盧列伝第2
[30]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31] 서적 한서 권1 하 고제기제1 하
[3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33] 서적 한서 권37 계포난포전숙전
[34] 서적 한서 권40 장진왕주전
[35] 서적 한서 권50 장풍급정전
[36] 서적 위청곽거병전
[37] 서적 한흥이래장상명신연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