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행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소 행성은 철이 풍부한 핵과 용융된 탄화 규소 및 탄화 티타늄, 흑연, 다이아몬드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상의 행성이다.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탄소가 풍부한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형성되며, 물이 없고 이산화 탄소 또는 일산화 탄소로 이루어진 대기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2023년 현재까지 탄소 행성으로 확인된 외계 행성은 없지만, 펄서 PSR B1257+12 주변의 행성, 게자리 55 b e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소 -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윌러드 리비가 1949년에 발견한 유기 물질 연대 측정 방법으로, 탄소-14의 방사성 붕괴를 이용하여 최대 6만 년까지의 연대를 측정하며, 고고학 유물 연대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 탄소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행성의 종류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 행성의 종류 - 목성형 행성
목성형 행성은 크고 무거우며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대기를 가진 행성으로, 태양계의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속하며, 내부는 유체 상태이고 많은 위성과 고리를 가지며, 혜성 침입을 막아 지구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지구형 행성 - 금성
금성은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지구형 행성이지만,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와 높은 표면 온도, 강력한 표면 압력, 그리고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지구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 지구형 행성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탄소 행성 | |
---|---|
개요 | |
![]() | |
정의 | 산소보다 탄소가 풍부한 행성 |
이론적 질량 범위 | 지구 질량의 약 5배에서 목성 질량의 20배까지 |
주요 구성 성분 (이론적) | 탄화물 탄소 (다이아몬드 형태 포함) |
관련 연구 | 마크 쿠츠너 사라 시거 |
특징 (이론적) | |
내부 구조 | 핵: 철 맨틀: 탄화규소 또는 이산화규소 외피: 탄소 (흑연 및 다이아몬드 형태) |
표면 구성 | 탄소 화합물 (타르, 아스팔트 등) |
물 존재 가능성 | 극히 낮음 (탄소와 결합하여 탄화수소 형성) |
대기 | 두꺼운 탄소 대기 (메탄, 에탄 등) |
색상 | 붉은색 또는 갈색 |
형성 조건 (이론적) | |
원시 행성계 원반 내 C/O 비율 | 0.8 초과 (태양계 C/O 비율: 0.5) |
행성 이동 | 탄소가 풍부한 지역으로 이동 |
행성 형성과 진화 | 고온 환경에서 탄소 화합물 응축 |
잠재적 후보 | |
55 Cancri e (게자리 55 e) | 질량: 지구의 약 8배 반지름: 지구의 약 2배 논란: 탄소 행성 여부에 대한 논쟁 존재 |
논쟁 및 추가 정보 | |
탄소 행성 존재 가능성 | 이론적 가능성은 높음 실제 관측 증거는 부족 |
연구의 중요성 | 외계 행성 다양성 연구 및 생명체 존재 가능성 탐색 |
2. 정의 및 구성
탄소 행성은 알려진 지구형 행성처럼 철이 풍부한 핵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핵 주위에는 용융된 탄화 규소와 탄화 티타늄이 존재할 것이다. 그 위에는 흑연 형태의 탄소 층이 있고, 충분한 압력이 있다면 수 킬로미터 두께의 다이아몬드 층이 형성될 수 있다. 화산 활동이 일어나면 내부의 다이아몬드가 표면으로 분출되어 다이아몬드와 탄화 규소로 이루어진 산을 만들 수도 있다. 행성 표면에는 얼어붙거나 액체 상태의 탄화수소(타르, 메탄 등)와 일산화 탄소가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7]
탄소 행성은 질량이 같은 규산염 행성 및 물 행성과 유사한 지름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므로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10] 지구의 지질학적 특징과 유사한 특징이 존재할 수 있지만 구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은 오일로 구성될 수 있다. 온도가 충분히 낮으면(350 K 미만), 가스는 광화학적으로 장쇄 탄화수소로 합성되어 표면에 비처럼 내릴 수 있다.
탄소 행성은 탄소가 풍부하고 산소가 결핍된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형성된다. 태양계에서는 탄소/산소 비율이 0.5 정도이지만, 이 비율이 1을 넘으면 암석 행성 대신 탄소 행성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19].
2. 1. 대기
탄소 행성은 알려진 지구형 행성처럼 철이 풍부한 핵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핵 주위에는 용융된 탄화 규소와 탄화 티타늄이 존재할 것이다. 그 위에는 흑연 형태의 탄소 층이 있고,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면 수 킬로미터 두께의 다이아몬드 층이 형성될 수 있다. 화산 활동이 일어나면 내부의 다이아몬드가 표면으로 분출되어 다이아몬드와 탄화 규소로 이루어진 산을 만들 수도 있다. 행성 표면에는 얼어붙거나 액체 상태의 탄화수소(타르, 메탄 등)와 일산화 탄소가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7] 탄소 행성에 대기가 존재하고 평균 표면 온도가 77°C 미만이라면 기상 사이클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그러나 탄소 행성에는 물이 존재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혜성이나 소행성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가 표면의 탄소와 반응하여 물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비교적 온도가 낮은 탄소 행성의 대기는 주로 이산화 탄소나 일산화 탄소로 구성되며, 상당량의 탄소 스모그를 포함할 것이다.[8]
3. 형성
탄소 행성은 탄소가 풍부하고 산소가 결핍된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형성된다. 태양계의 탄소/산소 비율은 0.5 정도이지만, 이 비율이 1을 넘으면 암석 행성 대신 탄소 행성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19]
탄소 행성의 중심에는 암석 행성과 유사한 금속질 핵이 있고, 그 주변은 탄화 규소와 탄화 티타늄의 맨틀로 덮여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각은 흑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분한 고압 환경이 존재하면 두께가 수 km에 달하는 다이아몬드 층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지표면에는 탄화수소와 일산화 탄소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19]
3. 1. 펄서 행성
드라우거, 폴터가이스트, 포베토르는 펄서 행성이다. 이들은 탄소를 생성하는 별의 붕괴로 형성된 탄소 행성일 수 있다. 탄소 행성은 은하 중심이나 은하를 공전하는 구상 성단 근처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곳의 별들은 태양보다 탄소 대 산소 비율이 더 높다. 늙은 별이 죽으면 대량의 탄소를 뿜어낸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많은 세대의 별들이 종말을 맞이함에 따라, 탄소 및 탄소 행성의 농도는 증가할 것이다.[11]4. 관측 및 후보
탄소 행성은 질량이 같은 규산염 행성 및 물 행성과 유사한 지름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므로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10] 지구의 지질학적 특징과 유사한 특징이 존재할 수 있지만 구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은 오일로 구성될 수 있다. 온도가 충분히 낮으면(-23°C 미만), 가스는 광화학적으로 장쇄 탄화수소로 합성되어 표면에 비처럼 내릴 수 있다.
2011년, NASA는 TPF라고 불리는 미션을 취소했는데, 이는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훨씬 큰 관측소로서 이러한 행성을 감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탄소 행성의 스펙트럼에는 물이 없지만 일산화탄소와 같은 탄소질 물질의 존재를 나타낼 것이다.
2023년 현재 탄소 행성으로 확인된 외계 행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탄소 행성의 평균 밀도는 암석 행성과 비슷하기 때문에, 지름은 같은 질량의 암석 행성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때문에 현재 기술로는 둘을 구별하기 어렵다.[20]
별의 원소 조성은 동반성으로부터의 질량 이동으로 후천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쌍성계에서 탄소가 풍부한 점근거성분지성으로부터의 질량 이동은 별의 탄소/산소 비율 증가를 가져오는 전형적인 상황이다. 탄소/산소 비율의 증가가 후천적인 것이라면, 별 탄생 직후의 행성이 형성되는 시대에는 그 별은 탄소 행성을 만들어낼 정도로 탄소/산소 비율이 높지 않았을 것이다. 탄소가 풍부한 주계열성을 대상으로 한 시선 속도 탐사에서 대상의 대부분에 동반성의 존재를 나타내는 시선 속도의 변동이 발견되고 있다.[22]
4. 1. 주요 후보
2011년, 태양과 유사한 여러 별에 대해 탄소/산소 비율이 조사되었다. 대상이 된 941개의 별 중 대부분은 탄소/산소 비율이 1보다 작아 암석 행성이 만들어지기 쉬운 환경이었지만, 46개는 1을 넘었다. 이들은 탄소 행성을 가진 별의 후보로 여겨진다.[21]펄서 PSR B1257+12 주위에는 지구 질량 정도의 행성이 여러 개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탄소 행성일지도 모른다. 펄서는 탄소가 풍부한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잔해로 여겨진다. 또한, 은하계의 중심은 탄소의 자연 존재비가 커서 탄소 행성이 형성되기 쉬운 환경에 있다.
일반적인 행성으로는 게자리 55 b e가 탄소 행성의 후보 중 하나이다. 주성인 게자리 55 A가 탄소가 풍부한 별이며, 게자리 55 b e는 지구보다 큰 슈퍼 지구이고, 표면 온도도 2000°C 전후가 되는 고온의 행성이기 때문에, 표면은 흑연, 내부는 다이아몬드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된다.[23]
2012년 10월, 얀센이 탄소 행성일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가 발표되었다. 얀센은 지구 질량의 8배, 반지름은 2배이다. 연구에 따르면 약 2148.9°C의 이 행성은 "물과 화강암 대신 흑연과 다이아몬드로 덮여 있다". 얀센은 코페르니쿠스를 18시간마다 한 번 공전한다.[12]
5. 갈색 왜성
참조
[1]
arXiv
Extrasolar Carbon Planets
2005
[2]
journal
Jupiter Formed with More Tar than heat
http://solarsystem.w[...]
2004
[3]
journal
A vaporization model for iron/silicate fractionation in the Mercury protoplanet
http://solarsystem.w[...]
1987-04
[4]
간행물
The carbon-to-oxygen ratio in stars with planets
https://www.aanda.or[...]
P. E. Nissen
[5]
journal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tudy of Dwarf Stars in the Northern Sky: Lithium, Carbon, and Oxygen Abundances
[6]
journal
Carbon and Oxygen Abundances in Cool Metal-Rich Exoplanet Hosts: A Case Study of the C/O Ratio of 55 Cancri
[7]
웹사이트
Earth-Like Planets May Be Made of Carbon
http://www.scientifi[...]
2010-01
[8]
간행물
Kohlenstoffplaneten
Space Magazin
2014-04
[9]
뉴스
Scientists Model a Cornucopia of Earth-sized Planets
http://www.nasa.gov/[...]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7-09-24
[10]
journal
Mass-Radius Relationships for Solid Exoplanets
[11]
웹사이트
Carbon Planets - Space Art and Astronomical Illustrations
http://www.novaceles[...]
Novacelestia.com
2013-01-03
[12]
뉴스
A diamond bigger than Earth?
http://uk.reuters.co[...]
2012-10-15
[13]
뉴스
Solid diamond planet found
http://www.australia[...]
2011-08-26
[14]
잡지
Scientists Discover a Diamond as Big as a Planet
http://www.time.com/[...]
2011-08-26
[15]
journal
PSR J2222−0137. I. Improved physical parameters for the system
[16]
journal
A 1.05M☉Companion to PSR J2222–0137: The Coolest Known White Dwarf?
[17]
뉴스
Astronomers Find Slow-Cooked Diamond the Size of Earth
https://www.national[...]
2014-06-24
[18]
journal
The atomic and molecular content of disks around very low-mass stars and brown dwarfs
http://www.nrl.navy.[...]
2013-12
[19]
paper
Extrasolar Carbon Planets
https://ui.adsabs.ha[...]
[20]
journal
Mass-Radius Relationships for Solid Exoplanets
[21]
journal
Carbon and Oxygen in Nearby Stars: Keys to Protoplanetary Disk Chemistry
[22]
journal
[23]
ArXiv
A Possible Carbon-rich Interior in Super-Earth 55 Cancri e
http://jp.arxiv.org/[...]
[24]
저널
Jupiter Formed with More Tar than heat
http://solarsystem.w[...]
2004
[25]
저널
A vaporization model for iron/silicate fractionation in the Mercury protoplanet
http://solarsystem.w[...]
1987-04
[26]
ArXiv 인용
Extrasolar Carbon Planets
2005
[27]
저널
The Diversity of Extrasolar Terrestrial Planets
20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