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탈지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지유는 우유에서 지방을 제거하여 생산되는 유제품으로, 국가 및 지역에 따라 지방 함량 기준과 표시 방식에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지방 함량 0.1%의 우유를 탈지유로, 영국에서는 빨간색 포장으로, 미국에서는 무지방 우유로 분류한다. 탈지유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생산되며,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치즈 등 다양한 유제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음용되거나, 동물 사료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젖 - 조제분유
    조제분유는 모유 수유가 어려운 영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대체 식품으로, 낮은 모유 수유율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만 질병 위험 증가 및 안전성 문제, 마케팅 윤리 논란 등으로 국제적인 규제를 받고 있다.
  • 젖 - 분유
    분유는 생유나 우유를 가공해 분말 형태로 만든 제품으로, 영아용 조제분유, 식품 제조, 유엔 식량 원조 등에 활용되며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식으로 생산된다.
탈지유
기본 정보
탈지유
탈지유
영양 정보
열량134 kJ
단백질3.4 g
지방0.1 g
탄수화물5.0 g
당류4.8 g
철분0.1 mg
칼슘100 mg
마그네슘10 mg
97 mg
칼륨150 mg
나트륨51 mg
아연0.40 mg
비타민 A0 µg
베타카로틴0 µg
정의
탈지유모든 유지방을 제거한 우유
미국 규정
미국 연방 규정집Title 21, Section 133.189 에 정의됨.
역사
우유 배달No Milk Today - The vanishing world of the milkman 책에서 언급.

2. 용어

국가 및 지역에 따라 탈지유 및 저지방 우유를 지칭하는 용어와 표기 방식이 다르다.

미국에서는 우유가 주로 지방 함량에 따라 전유(3.5%), 2% 저지방 우유, 1% 저지방 우유, 0% 무지방 우유(탈지유)로 판매된다.[4] 미국 우유 생산업체는 병뚜껑이나 포장 색상으로 우유 종류를 구분하기도 하는데, 전유는 주로 빨간색, 2% 우유는 대부분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1%와 탈지유의 색상은 지역이나 유제품에 따라 다르며, 보라색, 녹색, 노란색, 분홍색, 연한 파란색 등이 사용된다.[4]

미국의 학교 급식의 저지방 우유


영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전유(약 3.0~4%, 파란색 포장), 저지방 우유(약 1.8%, 녹색 포장), 무지방 우유(약 0.1%, 빨간색 포장), 채널 제도 우유(약 5~5.5%, 금색 뚜껑)가 판매된다.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1% 지방 우유(보라색 또는 주황색 포장)도 판매한다. 과거에는 밀크맨이 유리병에 담긴 우유를 배달해 주기도 했는데, 우유병 뚜껑의 색깔(전유는 흰색, 저지방 우유는 빨간 줄무늬가 있는 흰색, 무지방 우유는 파란색 체크무늬가 있는 흰색 호일)로 지방 함량을 구분했다.[2]

2. 1. 한국

한국에서는 유지방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종류지방 함량
전유약 3~4%
준탈지유약 1.8%
탈지유약 0.1%


2. 2. 영국

영국에서는 유지방 함량에 따라 우유를 구분하며, 포장 색상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주요 우유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지방 함량종류포장 색상
약 3.0~4%전유 (Whole milk)파란색
약 1.8%준탈지유 (Semi-skimmed milk)녹색
약 0.1%탈지유 (Skimmed milk)빨간색
약 5~5.5%채널 제도 우유금색 (다를 수 있음)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1% 지방 우유를 판매하며, 보통 보라색 또는 주황색 포장으로 판매된다.[2]

과거에는 아침 일찍 밀크맨이 유리병에 담긴 우유를 집 앞까지 배달해 주기도 했다. 이때 우유병 뚜껑의 색깔로 지방 함량을 구분했는데, 전유는 흰색, 준탈지유는 빨간 줄무늬가 있는 흰색, 탈지유는 파란색 체크무늬가 있는 흰색 호일을 사용했다.[2]

영국에서 판매되는 주요 우유는 탈지유, 준탈지유, 전유 세 가지로 나뉜다. 준탈지유는 전체 우유 판매량의 63%를 차지하여 가장 인기가 많다. 전유는 27%, 탈지유는 6%를 차지한다.[7][8][9]

유지방 함량영국 용어
5%섬 우유 또는 아침용 우유[10]
3.5% (일반적으로 3.7%)고지방우유 또는 전지방우유[11]
1.5%-2% (일반적으로 1.7%)저지방우유 또는 2% 우유[12][13]
1%1% 우유
0.3% 미만 (일반적으로 0.1%)탈지유[13]


2. 3. 미국

미국에서는 우유를 주로 지방 함량에 따라 구분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로 판매된다.[4]

중량 기준 지방 함량미국 용어
3.25%전유 또는 일반 우유[14]
2%2% 우유 또는 저지방 우유[15]
1%1% 우유 또는 저지방 우유[8]
0~0.5%탈지유 또는 무지방 우유[8]



미국 우유 생산업체는 병뚜껑이나 포장 색상으로 우유 종류를 구분하는 색상 코드 시스템을 사용한다. 전유는 주로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2% 우유는 대부분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1%와 탈지유의 색상은 지역이나 유제품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인 색상으로는 보라색, 녹색, 노란색, 분홍색 또는 연한 파란색이 있다.[4]

미국에서는 탈지유를 무지방 우유라고도 한다. 미국 농무부(USDA) 규정에 따라, 1회 제공량당 지방이 0.5g 미만인 식품은 "무지방"(fat-free, zero-fat, no-fat)으로 표시할 수 있다.[8][16]

2. 4. 일본

일본에서는 축산물 위생 관리법에 따라 우유의 표시가 규제되고 있다.

무게 기준 지방 함량일본 용어
3% 이상우유 (성분 조정 없음)
1.5-3%성분 조정 우유
0.5-1.5%저지방 우유
0–0.5%무지방 우유


3. 생산

현대의 탈지유는 대부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전유(원유)에서 지방을 분리하여 생산한다. 원심분리기를 통해 전유를 회전시키면 지방구가 분리되어 지방 함량이 낮은 탈지유를 얻을 수 있다.[21][5][17]

4. 활용

탈지유는 요구르트, 코티지치즈, 아이스크림, 탈지유, 가공유, 유음료, 카제인, 탈지분유, 탈지가당연유의 원료가 된다.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전국의 카페 체인 등에서 음용으로도 제공된다. 다이어트 식품으로 무지방 그릭 요구르트도 유행하고 있다.

5. 기타

탈지유는 돼지를 살찌우는 데 사용되었으며, 성장하는 돼지에게 좋은 보충제이자 비육 목적으로도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그 이유는 완전한 단백질을 제공하고 사료를 더욱 먹음직스럽게 만들기 때문이다.[3] 송아지 사육용 사료로서도 중요하다.[18]

5. 1. 동물 사료

역사적으로 탈지유는 돼지를 살찌우는 데 사용되었는데, "성장하는 돼지에게 가장 좋은 보충제일 뿐만 아니라 비육 목적으로도 거의 동등한 가치가 있다"고 추천되었다. 그 이유는 "완전한 단백질을 제공"하고 사료를 "더욱 먹음직스럽게" 만들기 때문이다.[3] 송아지 사육용 사료로서도 중요하다.[18]

참조

[1] 웹사이트 CFR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http://www.accessdat[...] Federal Drugs Administration
[2] 서적 No Milk Today - The vanishing world of the milkman Robinson 2017-05-23
[3] 논문 Fattening Pigs for Market https://ir.library.o[...] 2022-08-20
[4] 웹사이트 The Colors of Milk Labels & What They Mean https://livehealthy.[...] 2022-07-21
[5] 웹사이트 How Is Skim Milk Made? https://www.thekitch[...] 2021-02-16
[6] 웹사이트 CFR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http://www.accessdat[...] Federal Drugs Administration 2022-03-29
[7] 서적 No Milk Today - The vanishing world of the milkman Robinson 2017-05-23
[8] 웹사이트 Bread and milk: the perfect couple http://www.thegrocer[...] The Grocer 2010-06-23
[9] 뉴스 Milk producers urged to skim off more fat as EU relaxes rules http://www.timesonli[...] Times Online 2008-01-01
[10] 웹사이트 Channel Island Milk https://www.tesco.co[...] Tesco Online 2018-04-23
[11] 웹사이트 Whole Milk https://www.tesco.co[...] Tesco Online 2018-04-23
[12] 웹사이트 https://www.milk.co.[...]
[13] 웹사이트 The Milk and Dairies (Semi-skimmed and Skimmed Milk) (Heat Treatment and Labelling) Regulations 1988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of Acts of Parliament 2008-05-13
[14] 웹사이트 Title 21 § 131.110 Milk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https://www.ecfr.gov[...] CFR 2022-01-22
[15] 웹사이트 Skimming the Milk Label https://web.archive.[...] FDA 2008-05-13
[16] 웹사이트 The Colors of Milk Labels & What They Mean https://livehealthy.[...] 2022-07-21
[17] 웹사이트 How Is Skim Milk Made? https://www.thekitch[...] 2021-02-16
[18] 논문 Fattening Pigs for Market https://hdl.handle.n[...] 2022-11-11
[19] 웹인용 CFR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http://www.accessdat[...] Federal Drugs Administration
[20] 서적 No Milk Today - The vanishing world of the milkman Robinson 2017-05-23
[21] 웹인용 How Is Skim Milk Made? https://www.thekitch[...] 2021-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