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중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국 중부는 태국을 4개 또는 6개 지역으로 나누는 두 가지 주요 시스템에 따라 정의되는 지역이다. 4개 지역 체제에서는 26개의 주, 6개 지역 체제에서는 북쪽의 수코타이 주와 핏사눌록 주에서 남쪽의 타이만까지를 포함하며, 왕립 산림청의 정의에 따르면 방콕을 포함한 18개 주로 구성된다. 2018년 기준, 태국 중부의 경제 생산량은 태국 GDP의 5.3%를 차지하며, 아유타야 주의 1인당 GPP가 가장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지방 - 태국 남부
태국 남부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태국의 지리적, 행정적 지역으로 크라 지협을 통해 본토와 연결되며, 다양한 지형과 산맥, 강, 호수가 존재하고, 고대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 14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고, 남부 태국어가 사용되며, 불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주민이 거주하고, 농업, 산업, 관광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태국의 지방 - 태국 동부
태국 동부는 산깜펭 산맥과 타이만에 접한 7개 주를 포함하는 태국의 지리적 지역으로, 과일 농업과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동부 해안의 공업 개발로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팡시다 국립공원을 포함한 국립공원들을 보유한 경제 중심지이다. - 태국의 지리 - 태국 남부
태국 남부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태국의 지리적, 행정적 지역으로 크라 지협을 통해 본토와 연결되며, 다양한 지형과 산맥, 강, 호수가 존재하고, 고대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 14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고, 남부 태국어가 사용되며, 불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주민이 거주하고, 농업, 산업, 관광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태국의 지리 - 말레이반도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반도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해상 무역의 요충지이자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태국 중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개요 | |
지역 | 태국 |
기타 명칭 | ภาคกลาง (팍 끌랑) |
구분 | 지역 |
행정 | |
중심 도시 | 방콕 |
하위 행정 구역 | 21개 주와 1개의 특별 행정 구역 |
주 목록 | 방콕 나콘빠톰 주 논타부리 주 빠툼타니 주 사뭇쁘라깐 주 사뭇사콘 주 사뭇송크람 주 깜팽펫 주 나콘사완 주 펫차분 주 피칫 주 피사눌록 주 수코타이 주 우타이타니 주 앙통 주 아유타야 주 차이낫 주 롭부리 주 나콘나욕 주 사라부리 주 싱부리 주 수판부리 주 |
통계 | |
면적 | 91,798.64 km² |
인구 (2015년) | 20,183,134명 |
경제 | |
GDP (2019년) | US$ 2,867억 |
언어 | 태국어 외 |
2. 지역 구분
태국의 주를 지역별로 묶는 방식에는 여러 기준이 존재하며, 주로 4개 또는 6개 지역으로 나누는 체계가 사용된다. 어떤 체계를 따르느냐에 따라 '태국 중부'가 포함하는 지역의 범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지리 연구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6개 지역 체계에서는 북쪽의 수코타이 주와 핏사눌록 주부터 남쪽의 타이만 연안까지를 중부 지역으로 보지만, 서쪽의 미얀마 접경 산악 지대와 동쪽 해안 지역은 제외한다. 반면, 4개 지역 체계에서는 북쪽 경계가 차이낫 주, 싱부리 주, 롭부리 주까지로 더 좁지만, 서쪽과 동쪽으로는 각각 미얀마와 캄보디아 국경까지 더 넓게 포함한다.
이 외에도 왕립 산림청의 정의 등 다른 분류 방식도 존재한다. 이러한 지역 구분은 행정적인 구역 설정이라기보다는 지리적 또는 통계적 목적에 따른 분류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세부 분류를 참고할 수 있다.
2. 1. 4개 지역 체제
태국의 주를 지역별로 묶는 방식에는 여러 기준이 있는데, 그중 4개 지역으로 나누는 체계가 있다. 이 체계에서 태국 중부는 북쪽으로 차이낫 주, 싱부리 주, 롭부리 주까지 포함하며, 서쪽으로는 미얀마, 동쪽으로는 캄보디아 국경까지 넓게 걸쳐 있다. 이는 지리 연구 등에서 쓰이는 6개 지역 체계와는 범위가 다르다.
4개 지역 체계에 따르면 태국 중부는 26개의 주로 구성되며, 통계 등의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4개의 그룹으로 세분화된다.[3]
분류 | 포함되는 주 |
---|---|
방콕 도시권 | 방콕, 나콘파톰 주, 논타부리 주, 빠툼타니 주, 사뭇쁘라깐 주, 사뭇사콘 주 |
태국 중앙부 | 앙통 주, 아유타야 주, 차이낫 주, 롭부리 주, 나콘나욕 주, 사라부리 주, 싱부리 주 |
태국 서부 | 칸차나부리 주, 펫차부리 주, 쁘라쭈압키리칸 주, 랏차부리 주, 사뭇송크람 주, 수판부리 주 |
태국 동부 | 차층사오 주, 찬타부리 주, 촌부리 주, 라용 주, 쁘라친부리 주, 사깨오 주, 뜨랏 주 |
이 분류에서 태국 동부 지역은 때때로 중부 지역과는 별개의 지역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 구분은 행정적인 구역 설정이라기보다는 지리적 또는 통계적 목적에 따른 분류이다.
2. 2. 6개 지역 체제
태국의 주를 지역별로 묶는 방식에는 여러 기준이 있지만, 주로 4개 지역 체계와 6개 지역 체계가 사용된다. 이 중 6개 지역 체계는 지리 연구 등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이다.6개 지역 체계에서 태국 중부는 북쪽으로 수코타이 주와 핏사눌록 주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타이만에 접하는 지역까지를 포함한다. 다만 서쪽의 미얀마와 국경을 맞댄 산지 지역의 주들과 동쪽 해안 지역의 주들은 중부 지역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지역 구분은 행정 구역이 아닌 지리적 또는 통계적 목적의 분류이다.
지리적 구분에 따른 6개 지역 체계에서 중부 지역에 포함되는 주는 총 22개이며, 다음과 같이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구분 | 포함 주 (가나다 순) |
---|---|
대방콕 (7개 주) | 나콘파톰, 논타부리, 방콕, 사뭇사콘, 사뭇송크람, 사뭇프라칸, 파툼타니 |
북중부 태국 지역 (7개 주) | 나콘사완, 수코타이, 우타이타니, 캄팽펫, 펫차분, 피찟, 피싸눌록 |
남중부 태국 지역 (8개 주) | 나콘나욕, 롭부리, 사라부리, 수판부리, 싱부리, 아유타야, 앙통, 차이낫 |
2. 3. 왕립 산림청의 구분
2019년 왕립 산림청이 정의한 중부 지역은 18개 주(대방콕 지역 7개 주, 남중부 태국 8개 주, 서부 태국 3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부 지역의 총 면적은 67473km2이며, 총 산림 면적은 22374km2 또는 이 지역 면적의 33.2%이다.[2]3. 경제
태국 국가 통계청(NSO)의 경제 통계 분류에 따르면, 태국 중부 지역은 앙통, 아유타야, 차이낫, 롭부리, 사라부리, 싱부리의 6개 주를 포함한다. 나콘나욕 주는 태국 동부 지역으로 분류된다.
2018 회계연도 기준으로 태국 중부 지역(위 6개 주 기준)의 총 경제 생산량(GPP)은 8633억태국 밧 (278.5억달러)으로, 이는 태국 전체 GDP의 약 5.3%에 해당한다.[4] 이 지역 내에서는 특히 아유타야 주가 경제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4]
3. 1. 중부 지역 주요 주의 경제 지표 (2018년)
국가 통계청(NSO)의 태국 중부 경제 통계 분류에 따른 6개 주(앙통 주, 아유타야 주, 차이낫 주, 롭부리 주, 사라부리 주, 싱부리 주)의 2018 회계연도 기준 경제 지표는 다음과 같다.[4]해당 6개 주의 총 경제 생산량(GPP)은 8633억태국 밧 (278.5억달러)으로, 이는 태국 전체 GDP의 5.3%에 해당한다. 특히 아유타야 주는 경제 생산량 4127억태국 밧 (133억달러), 1인당 GPP 454953THB (14676USD)을 기록하며 중부 지역 6개 주 중 가장 높은 경제력을 보였다. 이는 1인당 GPP 기준으로 2위인 사라부리 주보다 40% 높고, 나머지 4개 주보다는 3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4]
순위 | 주 | GPP (백만 밧) | 인구 (천 명) | 1인당 GPP (밧) |
---|---|---|---|---|
1 | 아유타야 주 | 412,701 | 907 | 454,953 |
2 | 사라부리 주 | 246,063 | 758 | 324,820 |
3 | 싱부리 주 | 27,783 | 190 | 145,899 |
4 | 롭부리 주 | 110,962 | 777 | 142,741 |
5 | 앙통 주 | 30,539 | 250 | 122,159 |
6 | 차이낫 주 | 35,280 | 294 | 119,850 |
style="text-align:center;"| | 중부 지역 (6개 주) | 863,328 | 3,177 | 271,759 |
4. 행정 구역
태국을 여러 지역으로 나누는 시스템은 다양하며, 이에 따라 태국 중부의 경계도 조금씩 다르게 정의된다.
지리적 구분 방식인 6지방 체제에서는 중부 지역을 다음과 같이 22개의 주로 구성하며, 3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분류 | 포함 주 |
---|---|
대방콕 | 방콕, 나콘빠톰 주, 논타부리 주, 빠툼타니 주, 사뭇쁘라깐 주, 사뭇사콘 주, 사뭇송크람 주 |
북중부 태국 지역 | 깜팽펫 주, 나콘사완 주, 펫차분 주, 피찟 주, 피사눌록 주, 수코타이 주, 우타이타니 주 |
남중부 태국 지역 | 앙통 주, 아유타야 주, 차이낫 주, 롭부리 주, 나콘나욕 주, 사라부리 주, 싱부리 주, 수판부리 주 |
한편, 4지방 체제는 태국 중부를 26개의 주로 정의하며, 특히 통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4개의 그룹으로 나눈다.[3]
분류 | 포함 주 |
---|---|
대방콕 | 방콕, 나콘빠톰 주, 논타부리 주, 빠툼타니 주, 사뭇쁘라깐 주, 사뭇사콘 주 |
중부 하위 지역 | 앙통 주, 아유타야 주, 차이낫 주, 롭부리 주, 나콘나욕 주, 사라부리 주, 싱부리 주 |
서부 지역 | 깐차나부리 주, 펫차부리 주, 쁘라쭈압키리칸 주, 랏차부리 주, 사뭇송크람 주, 수판부리 주 |
동부 지역 | 차층사오 주, 짠타부리 주, 촌부리 주, 쁘라찐부리 주, 라용 주, 사깨오 주, 뜨랏 주 |
동부 지역은 때때로 중부 태국과 별개의 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경우 해안가의 4개 주만 포함하거나, 위의 목록에서 나콘나욕 주를 제외한 주들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구분은 정치적 하위 구역이 아니며, 지리적 또는 통계적 분류에 해당한다.
참조
[1]
간행물
"Gross Regional and Provincial Product, 2019 Edition"
https://www.nesdc.go[...]
Office of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uncil (NESDC)
2019-07
[2]
웹사이트
ตารางที่ 2 พี้นที่ป่าไม้ แยกรายจังหวัด พ.ศ.2562
https://www.forest.g[...]
2021-04-06
[3]
서적
Thailand
[4]
보고서
Phitsanulok Provincial Statistical Report 2562-2019: Economic Statistics - National Account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