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레이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 반도는 말레이어 '타나 멜라유'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현재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반도이다.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역사적으로 해상 무역의 요충지이자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말라카 해협을 우회하는 석유 및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중국해의 지형 - 메콩강 삼각주
    메콩강 삼각주는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비옥한 충적 평야 지대로서 껀터 직할시와 12개 성을 포함하며, 복잡한 수로망을 통해 쌀 생산과 어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명과 외세의 영향을 받았으나, 현재는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말레이시아의 지리 - 동말레이시아
    동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섬 북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지역으로 사바주, 사라왁주, 라부안 연방 직할지로 구성되며, 서말레이시아보다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가지고 출입국 관리를 시행하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천연자원이 풍부하지만 필리핀 남부 무슬림 세력의 테러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지리 - 반도 말레이시아
    반도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하며 태국과 국경을 접하고 해협과 바다에 면해 있는 말레이시아의 서쪽 지역으로, 말레이 반도라고도 불리며 다민족, 다문화 사회를 이루고 제조업, 관광업 등이 발달했다.
  • 아시아의 반도 - 인도차이나반도
    인도차이나반도는 동남아시아의 일부로 인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하여 양국의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 본토 동남아시아로도 불리며 티베트 고원에서 뻗어 나온 산맥과 주요 강들로 이루어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등의 국가가 위치하고 이들은 모두 ASEAN 회원국이다.
  • 아시아의 반도 - 아라비아반도
    아라비아 반도는 아시아 서남부의 큰 반도로, 사막 지형이 특징이며 여러 국가가 위치하고, 세계 최대 석유 매장량을 보유한 이슬람교 발상지이자 종교적, 문화적 중심지이지만, 최근 높은 인구 증가율과 경제 및 정치적 변화를 겪고 있다.
말레이반도
위치 정보
말레이반도 위치
말레이반도 위치
일반 정보
위치동남아시아
면적242,363.8 제곱킬로미터
최고 고도2,187 미터
최고봉타한산
둘러싸는 해양인도양, 태평양
국가별 정보
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 반도 지역
말레이시아 최대 도시쿠알라룸푸르
미얀마타닌타리 지역
미얀마 행정 구역카우타웅 구
미얀마 최대 도시카우타웅
태국태국 남부
태국 최대 도시핫야이

2. 어원

'말레이 반도'라는 명칭은 말레이어 '타나 멜라유'(''Tanah Melayu'')에서 유래했으며, '타나'(''Tanah'', 땅)와 '멜라유'(말레이인)가 합쳐져 "말레이 땅"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7세기 초의 다양한 말레이어 텍스트에서 발견되며, 유명한 고전 이야기인 ''항 투아 이야기''에서 자주 언급된다. 이 텍스트에서 ''Tanah Melayu''는 말라카 술탄국의 지배하에 있는 지역을 가리킨다.[2]

16세기 초, 포르투갈 조제사인 토메 피레스는 ''Terra de Tana Malaio''라는 거의 동일한 용어를 사용했는데, 그는 이 용어로 마무드 샤가 망명 정부를 세운 수마트라 남동부 지역을 지칭했다. 17세기 포르투갈 역사가 에마누엘 고디뉴 드 에레디아의 기록에는 ''Malaios'' 지역이 언급되어 있다.[3]

말라카 건설 이전, 고대와 중세의 여러 외국 자료에도 말레이 반도에 대한 언급이 있다. 고대 인도 텍스트인 ''바유 푸라나''에 언급된 ''말라야드비파''("산악-섬 대륙")는 말레이 반도를 가리키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4][5][6] 브리하데스와라르 사원 남쪽 벽의 비문에는 ''Malaiur''이라는 단어가 기록되어 있다.[7][8]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는 ''Maleu-kolon''이라는 지명이 언급되어 있다.[9] 원나라의 중국 연대기에는 ''Ma-li-yu-er''이라는 단어가 언급되어 있다.[10][11] 마르코 폴로는 자신의 여행기에서 ''Malauir''를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왕국으로 언급했다.[12][13]

3. 자연

말레이반도는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있다. 저지대 숲은 쌍떡잎식물 목련목 굴거리나무과(Dipterocarpaceae) 나무가 우점하고, 산악 지대 숲에는 참나무과(Fagaceae), 도금양과(Myrtaceae), 녹나무과(Lauraceae)의 상록수, 열대 침엽수 및 기타 식물과가 서식한다.[16]

반도의 숲에는 수천 종의 동물과 식물이 서식한다. 멸종 위기에 처한 여러 대형 포유류가 이곳에 서식하는데, 아시아코끼리(*Elephas maximus*), 가우르(*Bos gaurus*), 호랑이(*Panthera tigris*), 말레이곰(*Helarctos malayanus*), 말레이맥(*Tapirus indicus*), 구름표범(*Neofelis nebulosa*) 및 시암랑(*Symphalangus syndactylus*) 등이 있다.[16] 수마트라코뿔소(*Dicerorhinus sumatrensis*)도 과거에는 이 숲에 서식했지만, 말레이시아의 마지막 코뿔소는 2019년에 죽었고, 이 종의 소수의 남은 개체는 수마트라에만 남아 있다.[17]

이 반도에는 여러 개의 고유한 생태지역이 있다. 테나세림-남태국 반상록우림은 테나세림 산맥과 크라 지협을 포함한 반도 북부를 덮고 있으며, 지협 양쪽 해안까지 뻗어 있다. 깐까르-파타니 식물지리 경계는 태국 남부와 말레이시아 북부를 가로지르며, 북쪽의 인도차이나와 남쪽의 순다랜드 및 말레이시아의 거대한 생물지리학적 지역의 경계를 나타낸다. 경계선 북쪽의 숲은 계절적으로 낙엽이 지는 나무가 특징인 반면, 순다랜드 숲은 연중 강우량이 많고 나무는 대부분 상록수이다. 말레이시아 반도에는 세 가지 육상 생태 지역이 있다. 말레이시아 반도 산악 우림 생태 지역은 해발 1,000미터 이상의 산악 지대를 덮고 있다. 저지대와 구릉지는 말레이시아 반도 우림 생태 지역에 속한다. 말레이시아 반도 이탄 습지림은 반도 양쪽 저지대의 독특한 물에 잠긴 숲을 포함한다.[18]

광범위한 맹그로브 숲이 양쪽 해안선을 따라 펼쳐져 있다. 미얀마 해안 맹그로브는 반도 서쪽 해안에 있으며, 인도차이나 맹그로브는 동쪽 해안에 있다.

4. 구성 국가

현재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고 있다.[19]


  • 북서부는 미얀마의 다닌다리 지역이다.
  • 중부와 북동부는 태국의 춘폰, 크라비, 나콘시탐마랏, 나라티왓, 팟타니, 팡nga, 팟탈룽, 푸껫, 라농, 사툰, 송클라, 수랏타니, 트랑, 얄라 등 14개 주가 있다.
  • 남부 지역 대부분은 말레이시아가 차지하고 있으며, "서말레이시아" 또는 "말레이반도"(Semenanjung Malaysia)라고 불린다. 조호르 해협 건너편에는 싱가포르가 있다.

4. 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반도 지도


말레이시아는 반도 남부 대부분을 차지하며, "서말레이시아" 또는 "말레이반도"(Semenanjung Malaysia)라고 불린다.[19] 조호르, 케다, 켈란탄, 말라카, 네그리슴빌란, 파항, 페낭, 페락, 프를리스, 셀랑고르, 트렝가누 등 11개 주와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 2개 연방 준주로 구성되어 있다.

깃발문장주도왕궁 소재지면적 (km2)국가 원수정부 수반
----조호르주조호르바루무아르19166km2술탄주무장관
----케다주알로르스타아낙 부킷9492km2술탄주무장관
----켈란탄주코타바루쿠방 케리안15040km2술탄주무장관
----말라카주말라카1712km2Yang di-Pertua Negeri|주지사ms수석장관
----네그리슴빌란주세렘반세리 메난티6658km2양 디-퍼르투안 베사르
(최고 통치자)
주무장관
--파항주쿠안탄페칸35965km2술탄주무장관
----페낭주조지타운1049km2Yang di-Pertua Negeri|주지사ms수석장관
----페락주이포쿠알라 캉사21146km2술탄주무장관
----프를리스주캉가아라우819km2라자주무장관
----셀랑고르주*샤알람클랑7951km2술탄주무장관
----트렝가누주쿠알라 트렝가누쿠알라 트렝가누12958km2술탄주무장관

* 연방 준주인 쿠알라룸푸르푸트라자야는 셀랑고르주 안에 위치해 있다.

4. 2. 미얀마

다닌다리 지역(တနင်္သာရီတိုင်းဒေသကြီး|타닌따리 따잉데따지my)은 반도 북서부 지역을 차지한다.[19]

4. 3. 태국

태국은 반도 중부와 북동부 지역을 차지하며, 춘폰, 크라비, 나콘시탐마랏, 나라티왓, 팟타니, 팡nga, 팟탈룽, 푸껫, 라농, 사툰, 송클라, 수랏타니, 트랑, 얄라 등 14개 주가 이에 해당한다.[19]

5. 지정학적 특징

말레이 반도는 역사적으로 해상 무역의 요충지였으며, 현재도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이 말레이 작전을 통해 55일 만에 반도를 점령한 전략적 요충지였다.[21][22]

최근에는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지 않고 석유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말레이 반도 횡단 석유 파이프라인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자국 북서부 케다주에서 북동부 클란탄주까지 총연장 312km의 석유 파이프라인과 2개의 정유소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2007년 8월 착공 예정이었다. 참고로 말레이 반도 최단 횡단 루트는 태국 영토인 크라 지협이다. 그 외에도 중동에서 미얀마를 남하하는 파이프라인 계획도 있다.

참조

[1] 서적 The Physical Geography of Southeast Asia
[2] 서적 Imperial alchemy : nationalism and political identity in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Asal Usul Orang Melayu: Menulis Semula Sejarahnya (The Malay Origin: Rewrite Its History) https://www.scribd.c[...] Jurnal Melayu,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2012-06-04
[4] 서적 India's Interaction with Southeast Asia: History of Science,Philosophy and Culture in Indian Civilization, Vol. 1, Part 3 Munshiram Manoharlal
[5] 서적 The culture and art of India https://archive.org/[...] Coronet Books Inc
[6] 서적 Some contributions of India to the ancient civilisation of Indonesia and Malaysia Punthi Pustak
[7] 서적 An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oughton Mifflin Co
[8] 서적 Life, thought, and culture in India, c. AD 300-1000 Centre for Studies in Civilizations
[9] 서적 Researches on Ptolemy's geography of eastern Asia (further India and Indo-Malay archipelago) Oriental Books Reprint Corporation
[10] 웹사이트 Chronicle of Mongol Yuan http://www.guoxue.co[...]
[11] 서적 History of South East Asia Macmillan
[12] 서적 Ser Marco Polo; notes and addenda to Sir Henry Yule's edition, containing the results of recent research and discovery Bibliolife
[13]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the Venetian: the translation of Marsden revised, with a selection of his notes Kessinger Publishing, LLC
[14] 서적 Utsuho Monogatari footnotes
[15] 학술지 From nation to networks and back again: Transnationalism, class and national identity in Malaysia Routledge
[16]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Island Press
[17] 뉴스 The last Sumatran rhino in Malaysia has died and there are less than 80 left in the world https://www.cnn.com/[...] 2019-11-27
[18]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Island Press
[19] 웹사이트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http://www.statistic[...] Jabatan Perangkaan Malaysia 2011-01-24
[20] 웹사이트 Malay Peninsula
[21] 웹사이트 復活したマラッカ海峡迂回の原油パイプライン構想-タイ政府が備蓄基地一体の国際石油取引ハブ構想推進を決定- https://oilgas-info.[...] 独立行政法人石油天然ガス・金属鉱物資源機構[JOGMEC]石油・天然ガス資源情報 2016-11-19
[22] 웹사이트 マレーシア: マラッカ海峡を迂回する原油パイプライン計画の実現性を検証する https://oilgas-info.[...] 独立行政法人石油天然ガス・金属鉱物資源機構[JOGMEC] 2016-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