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국의 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국은 76개의 주(Changwat)와 특별행정구역인 방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는 주지사가 통치하며, 주지사는 내무부 장관이 임명한다. 77개의 행정 구역은 지리적, 문화적 요인에 따라 4~6개의 지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태국의 행정 구역은 아유타야 왕국 시대부터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으며, 1932년 입헌 군주제 전환 이후 몬톤이 해체되고 주가 최상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주 - 방콕
    방콕은 태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차오프라야 강 하구에 위치하고, 1782년 라타나코신 왕국 건국 이후 태국 경제의 중심지로서 관광, 무역, 제조업 등이 발달했으며, 왕궁, 사찰 등 다양한 명소와 대중교통 및 항공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태국의 주 - 라용주
    라용 주는 태국 동부에 위치한 주로, 아유타야 왕국 시대부터 역사를 지니고 딱신 대왕의 해군 건설지로 유명하며, 아름다운 해안선과 국립공원 등의 자연경관, 그리고 동부경제회랑의 중심지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한 경제 중심지이다.
태국의 주
개요
Provinces of Thailand
태국의 주
영어 명칭Changwat, Province
유형단일 국가
국가타이 왕국
통계
현재 개수76개 주 + 1개 특별 행정 구역 (방콕)
인구 범위 (2022년)174,000명 (매홍손) – 5,702,000명 (방콕)
면적 범위사뭇송크람 – 나콘랏차시마
행정
정부 형태주/특별 행정 구역 정부
하위 행정 구역
기타

2. 태국의 주 (짱왓, Changwat)

태국은 76개의 (จังหวัดth)와 1개의 특별행정구역(방콕)으로 구성된다. 주는 태국의 1차 행정 구역이다.

각 주는 내무부 장관이 임명하는 주지사(ผู้ว่าราชการจังหวัดth)가 관리하며, 이는 주 정부 체계에 속한다. 다만, 특별행정구역인 방콕은 방콕 수도 행정청이라는 별도의 법인에서 관리하며, 방콕 시장(ผู้ว่าราชการกรุงเทพมหานครth)은 방콕 시민이 직접 선출한다. 방콕은 지방 정부로 분류된다.

주의 이름은 전통적으로 해당 지역의 주요 도시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나, 오늘날에는 주도(주의 행정 중심지)가 반드시 주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가 아니거나, 주의 이름과 다른 경우도 있다. 또한, 여러 주에서 행정 기관이 기존 도시 중심부에서 외곽의 새로운 건물로 이전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태국의 행정 구역 체계는 크게 중앙 정부, 주 정부, 지방 정부로 나뉜다. 주는 주 정부의 핵심 단위이다. 방콕 특별시를 제외한 76개 주는 하위 행정 구역으로 암푀( อำเภอth, 군)와 킹암푸(กิ่งอำเภอth, 준군)를 둔다. 그 아래에는 땀본( ตำบลth, 면)이 있으며, 가장 작은 행정 단위는 무반( หมู่บ้านth, 촌)이다. 과거에는 몬톤( มณฑลth, 주 또는 도)이라는 상위 행정 조직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2. 1. 태국의 주 목록

(태국어)인구
(2022년 12월)[1]면적
(km2)[2]인구
밀도주도HS[7]ISO[8]FIPS
방콕
(특별 행정 구역)กรุงเทพมหานครth5,702,0001,5643,623방콕BKKTH-10TH40
암낫차른อำนาจเจริญth402,0003,290115암낫차른ACRTH-37TH77
앙통อ่างทองth301,000950294앙통ATGTH-15TH35
븡깐บึงกาฬth450,0004,003106븡깐BKNTH-38TH81
부리람บุรีรัมย์th1,623,00010,080159부리람BRMTH-31TH28
차층사오ฉะเชิงเทราth754,0005,169139차층사오CCOTH-24TH44
차이낫ชัยนาทth331,0002,506131차이낫CNTTH-18TH32
차이야품ชัยภูมิth1,156,00012,69891차이야품CPMTH-36TH26
짠타부리จันทบุรีth572,0006,41584짠타부리CTITH-22TH48
치앙마이เชียงใหม่th1,820,00020,10779치앙마이CMITH-50TH02
치앙라이เชียงรายth1,315,00011,503113치앙라이CRITH-57TH03
촌부리ชลบุรีth1,603,0004,508346촌부리CBITH-20TH46
춤폰ชุมพรth524,0005,99885춤폰CPNTH-86TH58
깔라신กาฬสินธุ์th1,010,0006,936142깔라신KSNTH-46TH23
깜팽펫กำแพงเพชรth748,0008,51286깜팽펫KPTTH-62TH11
깐짜나부리กาญจนบุรีth914,00019,38546깐짜나부리KRITH-71TH50
콘깬ขอนแก่นth1,826,00010,659169콘깬KKNTH-40TH22
끄라비กระบี่th500,0005,32390끄라비KBITH-81TH63
람빵ลำปางth762,00012,48859람빵LPGTH-52TH06
람푼ลำพูนth421,0004,47892람푼LPNTH-51TH05
르이เลยth656,00010,50061르이LEITH-42TH18
롭부리ลพบุรีth779,0006,493116롭부리LRITH-16TH34
매홍손แม่ฮ่องสอนth174,00012,76523매홍손MSNTH-58TH01
마하사라캄มหาสารคามth1,000,0005,607172마하사라캄MKMTH-44TH24
묵다한มุกดาหารth338,0004,12687묵다한MDHTH-49TH78
나콘나욕นครนายกth224,0002,141122나콘나욕NYKTH-26TH43
나콘빠톰นครปฐมth955,0002,142430므앙 나콘파톰 구NPTTH-73TH53
나콘파놈นครพนมth698,0005,637127나콘파놈NPMTH-48TH73
나콘랏차시마นครราชสีมาth2,703,00020,736128나콘랏차시마NMATH-30TH27
나콘사완นครสวรรค์th997,0009,526111나콘사완NSNTH-60TH16
나콘시탐마랏นครศรีธรรมราชth1,602,0009,885158나콘시탐마랏NRTTH-80TH64
น่านth492,00012,13040난NANTH-55TH04
나라티왓นราธิวาสth847,0004,491180나라티왓NWTTH-96TH31
농부아람푸หนองบัวลำภูth481,0004,099125농부아 람푸NBPTH-39TH79
농카이หนองคายth536,0003,275160농카이NKITH-43TH17
논타부리นนทบุรีth1,335,0006371,986논타부리NBITH-12TH38
빠툼타니ปทุมธานีth1,142,0001,520766빠툼타니PTETH-13TH39
빠따니ปัตตานีth756,0001,977367빠따니PTNTH-94TH69
팡응아พังงาth243,0005,49549팡응아PNATH-82TH61
파탈룽พัทลุงth567,0003,861135파탈룽PLGTH-93TH66
파야오พะเยาth489,0006,18976파야오PYOTH-56TH41
펫차분เพชรบูรณ์th1,034,00012,34080펫차분PNBTH-67TH14
펫차부리เพชรบุรีth469,0006,17277펫차부리PBITH-76TH56
피찟พิจิตรth578,0004,319124피찟PCTTH-66TH13
핏사눌록พิษณุโลกth900,00010,58982핏사눌록PLKTH-65TH12
프라 나콘 시 아유타야พระนครศรีอยุธยาth812,0002,548322아유타야AYATH-14TH36
프래แพร่th426,0006,48368프래PRETH-54TH07
푸껫ภูเก็ตth387,000547762푸껫PKTTH-83TH62
쁘라찐부리ปราจีนบุรีth506,0005,02699쁘라찐부리PRITH-25TH74
쁘라쭈압키리칸ประจวบคีรีขันธ์th530,0006,41488쁘라쭈압키리칸PKNTH-77TH57
라농ระนองth204,0003,23060라농RNGTH-85TH59
랏차부리ราชบุรีth895,0005,189168랏차부리RBRTH-70TH52
라용ระยองth727,0003,666198라용


2. 2. 태국의 지역 구분

태국의 77개 짱왓(주)과 방콕 특별행정구역 지도


태국에는 총 77개의 주(짱왓)가 있으며, 이들은 지리적, 문화적 요인에 따라 여러 지방으로 나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류는 태국왕실연구소에서 정한 6개 지방 분류 방식이다. 이 외에도 4개 또는 5개 지방으로 나누는 방식도 사용된다.

=== 6개 지방 분류 ===

태국왕실연구소에 따른 6개 지방 분류는 다음과 같다.

북부 (9개 주)동북부 (이산) (20개 주)중부 (22개 주)
서부 (5개 주)동부 (7개 주)남부 (14개 주)

* 방콕과 주변 5개 주(나콘빠톰, 논타부리, 빠툼타니, 사뭇쁘라깐, 사뭇사콘)는 방콕 수도권으로 별도 분류되기도 한다.

=== 다른 분류 방식 ===



태국 행정 지도

3. 방콕 특별행정구역

방콕태국의 76개 (จังหวัด|짱왓th)와는 구분되는 특별행정구역이다.[1] 방콕을 제외한 76개 주는 하위 행정 구역으로 796개의 암푸(อำเภอ|암푸th, 군)와 80개의 킹암푸(กิ่งอำเภอ|낑암푸th, 분군)를 가진다.[1] 그 아래로는 땀본(ตำบล|땀본th, 면)이 있으며, 최하위 행정 구역으로 무반(หมู่บ้าน|무반th, 촌)이 존재한다.[1] 과거 태국의 행정 조직이었던 몬톤(มณฑล|몬톤th, 주 또는 도)은 현재 폐지되었다.[1]

4. 태국 행정 구역의 역사

는 일반적으로 해당 주의 원래 중심 도시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해당 도시가 반드시 주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곳은 아닐 수 있으며, 여러 주에서는 행정 중심지가 도시 외곽의 새로운 건물로 이전되기도 했다.

1932년 태국이 절대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전환되면서, 이전의 상위 행정 구역이었던 몬톤(Monthon)이 해체되고 주(창왓)가 다시 최상위 행정 구역 단위가 되었다. 이 시기 이후에도 태국의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1893년 시암(태국)의 주

4. 1. 1892년 이전

대부분의 주는 아유타야 왕국 시기 형성된 반독립적인 지역 공동체나 소왕국에 기원을 두고 있다. 각 주는 중심 도시인 เมือง|므앙th을 기반으로 주변 마을과 위성 도시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주의 관리는 국왕이 직접 임명한 총독이나, 해당 지역의 옛 왕족 후예로서 중앙 왕실로부터 통치권을 인정받은 지역 가문이 맡았다. 현실적으로 국왕은 지역 귀족이나 경제적 실력자 중에서 총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강력한 지역 세력의 협조 없이는 효과적인 통치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총독은 국왕으로부터 별도의 급여를 받지 않았으며, 대신 자체적으로 세금을 걷어 자신과 행정 조직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충당했다. 모든 주는 매년 수도인 방콕공물을 바쳐야 했다.

주는 네 가지 등급으로 구분되었다. 첫째는 국경 지역의 주, 둘째는 과거 독립적인 왕족이 다스렸던 지역의 주, 셋째는 기존 주에서 분리되어 새로 만들어진 주, 넷째는 수도와 가까운 주였다. 이 외에도 란나 공국, 라오스비엔티안루앙프라방, 캄보디아, 말레이시아의 케다와 같은 조공국들은 일반 주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국가의 일부를 구성했다. 이러한 관계는 만다라 시스템으로 설명되기도 하는데, 이 체제 하에서는 반독립적인 국가가 때때로 둘 이상의 강대국에 동시에 조공을 바치기도 했다.

새로운 주가 설치되는 경우는 해당 지역의 인구가 늘어나 기존 행정력으로 감당하기 어려워졌을 때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이유도 있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 총독의 세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면, 그 지역에 속했던 위성 도시를 독립된 주로 승격시켜 세력을 견제하기도 했는데, 마하사라캄 주가 이러한 사례에 해당한다.

1870년대에 들어서면서 영국프랑스 등 서구 열강의 식민주의적 팽창 압력이 거세지자, 시암(태국의 옛 이름) 정부는 중앙 집권적인 행정 개혁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특히 국경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 정부에서 직접 관리를 파견하는 조치가 이루어졌다.

4. 2. 1892년 행정 개혁

19세기 말, 영국프랑스 등 서구 열강의 식민주의 압력이 거세지면서 시암(태국의 옛 이름)은 국가 체제 정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특히 국경 지역에 대한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18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1900년 시암 지도


본격적인 행정 개혁은 쭐랄롱꼰 국왕(라마 5세) 시대에 이루어졌다. 1892년, 국왕은 중앙 정부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여 이전까지 책임과 권한이 중첩되어 있던 부처들을 서구식 행정 체계처럼 명확한 임무를 가진 조직으로 재편성했다. 이 과정에서 왕의 이복동생인 담롱 라차누팝 왕자가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그는 처음에는 북부 지역 행정을 담당하는 북부부(''마하타이'') 장관이었으나, 1894년 남부부(''칼라홈'')가 폐지되면서 신설된 내무부의 초대 장관이 되어 태국 전역의 지방 행정을 총괄하게 되었다.

담롱 왕자의 주도로 1893년부터 새로운 지방 행정 제도인 ''몬톤''(มณฑล|몬톤th, Monthon) 체제가 도입되었다. 이는 여러 개의 주(므앙)를 묶어 하나의 상위 행정 단위인 몬톤으로 만들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한 감독관(ข้าหลวงเทศาภิบาล|칼루앙 테사피반th)이 관할하는 방식이었다. 몬톤 제도는 국경 지대와 같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이 과정에서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거나 중앙 정부의 통제에 비협조적인 지방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일부 작은 주들은 하위 행정 구역인 ''암프''(อำเภอ|암프th, 군)나 ''탐본''(ตำบล|탐본th, 면)으로 격하되어 인근 주에 통합되기도 했다.



이러한 급격한 중앙 집권적 개혁은 기존에 자치권을 누리던 지역 귀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1902년 이산(ภาคอีสาน|이산th, 태국 북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성자 반란(กบฏผู้มีบุญ|끄봇 푸 미 분th)이 대표적이다. 처음에는 종말론적인 성격을 띤 종교 운동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새로운 행정 체제에 대한 불만이 결합되면서 정부 관료와 시설을 공격하는 양상으로 발전했다. 반란군은 켐마랏(เขมราฐ|켐마랏th) 시를 점령하고 불태우기도 했으나, 결국 몇 달 만에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9]

행정 구역의 명칭에도 변화가 있었다. 1916년부터는 주를 가리키는 용어로 ''창왓''(จังหวัด|창왓th)이라는 단어가 공식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주의 행정 중심지인 ''เมือง|므앙th'' 또는 ''อำเภอเมือง|암프므앙th''과 구분하고, 새롭게 정비된 지방 행정 구조를 강조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10]

담롱 라차누팝 왕자가 내무부 장관직에서 물러난 1915년 당시, 태국은 수도 방콕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총 19개의 몬톤과 그 아래 72개의 창왓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후 와치라웃 국왕(라마 6세)은 1915년 12월, 여러 몬톤을 관할하는 더 큰 행정 단위인 ''팍''(ภาค|팍th, Phak)을 설치하고 부왕(''우파랏'', อุปราช|우파랏th)을 책임자로 임명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1922년까지 4개의 팍이 실제로 설치되었으나, 행정 및 재정상의 문제로 1925년에 다시 폐지되었다. 동시에 행정 간소화와 비용 절감을 위해 여러 몬톤이 통합되기도 했다.

4. 3. 1932년 이후

1932년 태국이 절대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전환되면서 몬톤(monthon) 제도가 해체되었고, (จังหวัด|짱왓th)가 다시 최상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작은 주들이 폐지되거나 인근의 큰 주에 병합되었다. 예를 들어, 칼라신 주는 1932년에 해체되어 마하사라캄 주에 통합되었다가, 1947년에 다시 독립된 주로 복원되었다. 또한, 현재의 수코타이 주는 원래 사왕카록(Sawangkalok)으로 불렸으나, 1939년에 수코타이로 이름이 바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방콕 주변의 여러 주가 일시적으로 병합 운영되기도 했으나, 전쟁이 끝난 후 1946년에 대부분 원래대로 복구되었다. 또한, 태국은 전쟁 중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 영토를 점령하여 프라 타봉, 피분송크람, 나콘 짬파삭, 란 창이라는 4개의 새로운 주를 설치하기도 했으나, 이 지역들은 전쟁 후 프랑스에 반환되었다.

1972년에는 수도 방콕의 행정 체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 기존의 프라 나콘 주와 톤부리 주가 합병되어 방콕이라는 특별 행정 구역(Krung Thep Maha Nakhon)이 탄생했다. 이 새로운 행정 구역은 주민이 직접 선출하는 주지사를 두며, 일반적인 주의 행정 기능과 지방 자치 단체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하게 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인구 증가와 행정 편의를 위해 기존의 큰 주에서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새로운 주를 만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음은 1932년 이후 폐지되거나 병합된 주요 주들의 목록이다.

주도병합 연도비고
카빈 부리카빈 부리1926[12]쁘라찐부리 주로 병합
수코타이 (1932년 이전)수코타이 타니1932[13]사왕카록 주로 병합. (1938년 주 이름과 주도를 다시 수코타이로 변경)
롬삭롬삭펫차분 주로 병합
타냐부리타냐부리빠툼타니 주로 병합
칼라신깔라신마하사라캄 주로 병합 (1947년 다시 분리)
랑수안랑수안춤폰 주로 병합
타쿠아파타쿠아파팡응아 주로 병합
사이부리사이부리빳따니 주로 병합 (바쪼 군은 나라티왓 주로 병합)
프라쁘라댕프라쁘라댕사뭇쁘라깐 주로 병합 (랏 부라나 군은 톤부리 주로 병합)
민부리민 부리프라 나콘 주로 병합 (농 쪽 군은 먼저 차층사오 주로 병합되었다가 1933년 재할당)
사뭇쁘라깐 (1943년 이전)사뭇쁘라깐1943[14]프라 나콘 주로 병합 (꼬 시창 군은 촌부리 주로 병합). (프라 나콘 부분은 1946년 다시 분리)
나콘나욕나콘나욕쁘라찐부리 주로 병합 (반 나 군은 사라부리 주로 병합). (1946년 다시 분리)
사뭇사콘사뭇사콘톤부리 주로 병합. (1946년 다시 분리)
논타부리논타부리프라 나콘 주로 병합 (방 끄루아이 군, 방 야이 군, 방 부아 통 군은 톤부리 주로 병합). (1946년 다시 분리)
프라 나콘프라 나콘1971[15]현재의 방콕을 형성하기 위해 병합
톤부리톤부리


5. 과거의 행정 구역

1932년 태국이 절대 군주제에서 입헌 군주제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행정 구역인 몬톤이 해체되고, 주(짱왓)가 다시 최상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작은 주들이 폐지되기도 했다.

현재의 수코타이 주는 원래 사왕카록이라는 이름이었으나, 1939년에 수코타이로 이름이 바뀌었다. 칼라신 주는 1932년에 해체되었다가 1947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방콕 주변의 여러 주가 잠시 병합되었으나 전쟁 후 원래대로 돌아갔다. 또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점령한 지역에 프라 타봉, 피분송크람, 나콘 짬파삭, 란 창 등 4개의 주를 일시적으로 설치하기도 했다.

1972년에는 수도권의 프라 나콘 주와 톤부리 주가 합쳐져 특별 행정 구역인 방콕이 되었다. 방콕은 선출직 주지사를 두는 등 일반 주와 지방 자치 단체의 성격을 함께 가진다.

20세기 후반부터는 기존의 큰 주에서 새로운 주들이 분리되어 나왔다. 1975년 야소톤 주(우본 랏차타니 주에서 분할), 1977년 파야오 주(치앙라이 주에서 분할), 1982년 묵다한 주(나콘 파놈 주에서 분할)가 신설되었다. 1993년에는 사 깨오 주(쁘라친부리 주에서 분할), 농 부아 람푸 주(우돈 타니 주에서 분할), 암낫 찰런 주(우본 랏차타니 주에서 분할) 등 세 개의 주가 동시에 만들어졌다. 가장 최근인 2011년 3월 23일에는 농카이 주에서 부엥깐 주가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5. 1. 다른 주로 병합된 주

주도병합운명
카빈 부리카빈부리1926[12]쁘라친부리 주로 병합
수코타이 (1932년 이전)수코타이 타니1932[13]사왕칼록 주로 병합. 그러나, 1938년에 주의 이름과 주도가 다시 수코타이로 변경되었다.
롬 삭롬삭펫차분 주로 병합
타냐부리타냐부리파툼타니 주로 병합
칼라신칼라신마하사라캄 주로 병합, 1947년에 다시 분리
랑 수안랑수안춤폰 주로 병합
타쿠아 파타쿠아파팡응아 주로 병합
사이 부리사이부리파타니 주로 병합 (바초 군 제외, 나라티왓 주로 병합)
프라 쁘라댕프라쁘라댕사뭇쁘라깐 주로 병합 (랏부라나 군 제외, 톤부리 주로 병합)
민 부리민부리프라나콘 주로 병합 (농촉 군은 먼저 차층사오 주로 병합된 후 1933년에 재할당됨)
사뭇 쁘라깐 (1943년 이전)사뭇쁘라깐1943[14]프라나콘 주로 병합 (꼬시창 군 제외, 촌부리 주로 병합). 프라나콘 부분은 1946년에 다시 분리
나콘나욕나콘나욕쁘라친부리 주로 병합 (반나 군 제외, 사라부리 주로 병합). 1946년에 다시 분리
사뭇사콘사뭇사콘톤부리 주로 병합. 1946년에 다시 분리
논타부리논타부리프라나콘 주로 병합 (방끄루아이 군, 방야이 군, 방부아통 군 제외, 톤부리 주로 병합). 1946년에 다시 분리
프라 나콘프라나콘1971[15]현재의 방콕을 형성하기 위해 병합
톤부리 주톤부리


5. 2. 양도된 영토

과거 시암의 영토였으나 역사적 과정을 거쳐 다른 나라에 속하게 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상당수 영토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영국프랑스의 제국주의 확장 과정에서 영국령 버마,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영국령 말라야 등으로 편입되었다.

영토수도기간운명현재 지역
살라윈 영토치앙마이1802–1892카렌니 주 및 샨 주, 영국령 버마카야 주 및 샨 주 미얀마
코타웅 영토춤폰1769–1864타닌타리 구역, 영국령 버마타닌타리 구역 미얀마
미아와디 영토치앙마이1768–1834타톤, 영국령 버마미아와디, 카인 주 미얀마
십이주 타이없음1779–1888제4군사구역, 손라, 라오까이, 옌바이, 푸토, 호아빈,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선라 성, 디엔비엔 성, 라이쩌우 성, 푸토 성, 옌바이 성, 호아빈 성 베트남
치앙카엥 (무앙싱)무앙싱1892–1893샨 주 영국령 버마 및 오트 메콩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샨 주 미얀마 및 루앙남타 라오스
루앙프라방루앙프라방1778–1893루앙프라방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루앙프라방 주 라오스
치앙쿠앙치앙쿠앙1828–1893쩐닌,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시엥쿠앙 주 라오스
보리칸 니콤보리칸 니콤1828–1893비엔티안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볼리캄사이 주 라오스
캄 케르트캄 케르트1828–1893캄무안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볼리캄사이 주 라오스
캄 문캄 문1828–1893캄무안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캄무안 주 라오스
나콘 파놈나콘 파놈1893나콘 파놈 주 (시암)와 캄무안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에서 분할나콘 파놈 주 태국 및 캄무안 주 라오스
묵다한묵다한1893묵다한 주 (시암)와 사반나케트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에서 분할묵다한 주 태국 및 사반나케트 주 라오스
켐마랏켐마랏1893켐마랏 구 (시암)와 살라완 주 (프랑스령 인도차ина) 사이에서 분할우본랏차타니 주 태국 및 살라완 주 라오스
나콘 챔파삭나콘 챔파삭1780–1826, 1829–1904데트 우돔 (시암)와 참파삭 주, 아타푸 주, 스퉁트렝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에서 분할스퉁트렝 주 캄보디아 및 살라완 주, 아타푸 주 라오스
캄 통 루앙캄 통 루앙1829–1893살라완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살라완 주 라오스
살라완살라완1829–1893살라완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살라완 주 라오스
아타푸아타푸1829–1893아타푸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아타푸 주 라오스
시타돈시타돈1829–1893참파삭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참파삭 주 라오스
샌 팡샌 팡1829–1893스퉁트렝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스퉁트렝 주 캄보디아
치앙타엥치앙타엥1829–1893스퉁트렝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스퉁트렝 주 캄보디아
차이부리차이부리1893–1904루앙프라방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사이냐부리 주 라오스
쿠칸쿠칸1907쿠칸 구 (시암)와 캄퐁톰 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에서 분할시사켓 태국 및 스퉁트렝 주, 캄퐁톰 주 캄보디아
상카상카1907상카 구 (시암)와 반테아이멘체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에서 분할수린 주 태국 및 오다르멘체이, 반테아이메안체이 주 캄보디아
시엠라트시엠라트1845–1907시엠립,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시엠립 캄보디아
프놈 소크프놈 스록1845–1907시엠립, 반테아이멘체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시엠립, 오다르멘체이, 반테아이메안체이 주 캄보디아
시소폰시소폰1845–1907반테아이멘체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반테아이메안체이 주 캄보디아
파라 타봉파라 타봉1769–1907바탐방,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바탐방, 파일린, 반테아이메안체이 주 캄보디아
프라찬키리켓[16]프라찬키리켓1855–1904푸르삿 및 캄폿, 프랑스령 인도차이나푸르삿 주 및 코콩 주, 캄보디아
페낭페낭1786–1867페낭, 영국령 말라야페낭 말레이시아
란창사마 부리1941–1946루앙프라방,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사이냐부리 주 및 루앙프라방 주, 라오스
파라 타봉바탐방1941–1946바탐방,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바탐방 주 및 파일린 주, 캄보디아
피분송크람시소폰1941–1946바탐방, 시엠립, 캄퐁톰 및 스퉁트렝,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반테아이메안체이 주, 오다르멘체이 및 시엠립, 캄보디아
나콘 챔파삭참파삭1941–1946캄퐁톰, 스퉁트렝 및 바사크, 프랑스령 인도차이나프레아 비헤어 및 스퉁트렝 주, 캄보디아
참파삭 주, 라오스
시부리알로르 세타르1821–1909
1943–1945
케다, 영국령 말라야케다, 말레이시아
팔릿캉가르1839–1909
1943–1945
페를리스, 영국령 말라야페를리스, 말레이시아
칼란탄코타바루1786–1909
1943–1945
클란탄, 영국령 말라야클란탄, 말레이시아
트랑가누쿠알라 트렝가누1786 –1909
1943–1945
트렝가누, 영국령 말라야트렝가누, 말레이시아
사라트 타이 뎀치앙 퉁1943–1945카렌니 주 및 샨 주, 영국령 버마카야 주 및 샨 주 미얀마
타나오시타나오시~1767다웨이, 꼰바웅 왕조 미얀마타닌타리 구역 미얀마


6. 태국 행정 구역 변천사 (지도)

1932년 태국이 절대 군주제에서 입헌 군주제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행정 구역인 몬톤(monthon)이 해체되고, 주(짱왓)가 다시 최상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작은 주들이 폐지되거나 통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방콕 주변의 여러 주가 일시적으로 병합되었으나, 전쟁 후 원래대로 복구되었다. 또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로부터 획득한 영토에 프라 타봉, 피분송크람, 나콘 짬파삭, 란 창 등 4개 주를 설치하기도 했으나, 전쟁 후 해당 영토는 반환되었다.

현재의 수코타이 주는 원래 사왕카록(Sawang khalok)으로 불렸으나 1939년 수코타이로 개칭되었다. 칼라신 주는 1932년에 해체되었다가 1947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1972년에는 프라 나콘 주와 톤부리 주가 합병되어 특별 행정 구역인 방콕이 탄생했다. 방콕은 주민이 직접 선출하는 주지사가 있으며, 일반적인 주의 행정 기능과 지방 자치 단체의 기능을 통합하여 운영된다.

20세기 후반 이후, 인구 증가와 행정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존의 큰 주에서 새로운 주가 분리되어 나왔다.



아래는 시대별 태국(시암)의 행정 구역 변화를 보여주는 지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tat.bora.dop[...] 2019-12-31
[2] 웹사이트 ตารางที่ 2 พี้นที่ป่าไม้ แยกรายจังหวัด พ.ศ.2562 https://www.forest.g[...] 2021-04-06
[3] 간행물 National Administration Act 1991 and its amendments https://www.dga.or.t[...] Office of the Council of State of Thailand
[4] 웹사이트 Administrative information https://multi.dopa.g[...] Provincial Affairs Bureau 2017-04-21
[5] 웹사이트 ประกาศสำนักทะเบียนกลาง เรื่อง จำนวนราษฎรทั่ว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 ตามหลักฐานการทะเบียนราษฎร ณ วันที่ 31 ธันวาคม 2558 http://stat.bora.dop[...] 2018-05-28
[6]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Thailand https://www.cia.gov/[...] 2018-06-13
[7] 웹사이트 What is the Harmonized System (HS)? http://www.wcoomd.or[...]
[8] 웹사이트 ISO 3166-2:TH https://www.iso.org/[...]
[9] 서적 The Provincial Administration of Siam from 1892 to 1915 https://ora.ox.ac.uk[...] 1969
[10] 논문 http://www.ratchakit[...] 1916-05-28
[11] Citation English: An updated version of the map https://commons.wiki[...] 2020-08-31
[12] 웹사이트 430 http://www.ratchakit[...]
[13] 웹사이트 576 http://www.ratchakit[...]
[14] 웹사이트 2447 http://www.ratchakit[...]
[15] 웹사이트 816 http://www.ratchakit[...]
[16] 웹사이트 ร.๔ พระราชทานชื่อเมือง ประจวบคีรีขันธ์ กับ ปัจจันตคีรีเขตร ให้คู่กัน! แต่วันนี้อีกเมืองหายไปไหน!! https://mgronline.co[...] 2018-06-27
[17] 문서 仏暦2528年バンコク首都府行政組織法に拠る。
[18] 문서 中華人民共和国の特別行政区
[19] 문서 ヨーロッパにも分類され得る。
[20] 문서 一部はアフリカに含ま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