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미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미원은 동아시아 천문학에서 하늘의 구획을 나타내는 별자리 구역 중 하나로, 정부를 상징한다. 처녀자리, 사자자리, 머리털자리에 걸쳐 있으며, 좌태미원과 우태미원으로 구성된다. 주요 별자리로는 오제좌, 태자, 삼공 등이 있으며, 동번, 서번, 남번으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태미원은 자미원, 천시원과 함께 삼원을 이루며, 28수와 연결되어 하늘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태미원에 속한 별자리들은 다음과 같다.
2. 태미원에 속한 별자리
별자리 한자 별 개수 위치 추가 설명 상징 태미좌원 太微左垣 5 처녀자리, 머리털자리 좌집법(左執法), 동상상(東上相), 동차상(東次相), 동차장(東次將), 동상장(東上將) 왼쪽의 다섯 수호 별 태미우원 太微右垣 5 사자자리, 처녀자리 우집법(右執法), 서상장(西上將), 서차장(西次將), 서차상(西次相), 서상상(西上相) 오른쪽의 다섯 수호 별 알자 謁者 1 처녀자리 손님을 접견하는 관리, 또한 대사에게 명령을 내림 삼공 三公 3 큰곰자리 구경 九卿 3 처녀자리 아홉 개의 호화로운 부서의 관리 오제후 五諸侯 5 머리털자리 황제의 다섯 제후 내병 內屏 4 처녀자리 문 안의 작은 벽 오제좌 五帝座 5 사자자리 다섯 황제의 의자 행신 幸臣 1 머리털자리 조정의 총애를 받는 신하 태자 太子 1 사자자리 황태자 종관 従官 1 사자자리 황제의 수행원 낭장 郎将 1 머리털자리 고위 무관 호분 虎賁 1 사자자리 궁궐 수비대 사령관 상진 常陳 7 사냥개자리, 큰곰자리 군대 낭위 郎位 15 머리털자리 군대의 서기 명당 明堂 3 사자자리 헌원(軒轅) 황제 초기의 교육 장소 영대 靈臺 3 사자자리 천문대 소미 少微 4 사자자리, 작은사자자리 국가 관리 장원 長垣 4 사자자리 변경 벽 삼태 三台 6 큰곰자리 세 등급의 관리, 또는 하늘의 삼층 건물
태미원은 '좌태미원'과 '우태미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입구 양쪽의 두 별은 각각 '좌집법'과 '우집법'으로 불린다.[1] 정원을 둘러싼 담의 형태를 본떠 만들었으며, 그 중심에는 오제좌가, 중심별은 사자자리 β별(데네볼라)이 위치한다.[2][3]
2. 1. 태미원 좌원
태미좌원(太微左垣)은 처녀자리와 머리털자리에 걸쳐 있는 5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좌원은 왼쪽의 다섯 수호 별을 의미하며, 다음 별들로 구성된다.[1]
태미원은 정원을 둘러싼 담의 형태를 본떠 만들었으며, 동번 4성(동상상·동차상·동차장·동상장)은 처녀자리 γ·δ·ε별, 머리털자리 α별이고, 남번 2성의 좌집법은 처녀자리 η별이다. 동번과 좌집법을 합쳐 "좌원"이라고도 한다.[1]
2. 2. 태미원 우원
태미원 우원은 사자자리와 처녀자리에 걸쳐 있는 5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우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1]
이는 오른쪽의 다섯 수호 별을 의미한다. 태미원은 정원을 둘러싼 담의 형태를 본떠 만들었으며, 그 중심에는 사자자리 β별(데네볼라)인 오제좌가 위치한다. 서번 4성(서상상·서차상·서차장·서상장)은 사자자리 σ·ι·θ·δ별에 해당한다. 남번 2성 중 우집법은 처녀자리 β별이다.
2. 3. 태미원 내의 기타 별자리
별자리 | 한자 | 별 개수 | 위치 |
---|---|---|---|
알자 | 謁者 | 1 | 처녀자리 |
삼공 | 三公 | 3 | 큰곰자리 |
구경 | 九卿 | 3 | 처녀자리 |
오제후 | 五諸侯 | 5 | 머리털자리 |
내병 | 內屏 | 4 | 처녀자리 |
오제좌 | 五帝座 | 5 | 사자자리 |
행신 | 幸臣 | 1 | 머리털자리 |
태자 | 太子 | 1 | 사자자리 |
종관 | 従官 | 1 | 사자자리 |
낭장 | 郎将 | 1 | 머리털자리 |
호분 | 虎賁 | 1 | 사자자리 |
상진 | 常陳 | 7 | 사냥개자리, 큰곰자리 |
낭위 | 郎位 | 15 | 머리털자리 |
명당 | 明堂 | 3 | 사자자리 |
영대 | 靈臺 | 3 | 사자자리 |
소미 | 少微 | 4 | 사자자리, 작은사자자리 |
장원 | 長垣 | 4 | 사자자리 |
삼태 | 三台 | 6 | 큰곰자리 |
옛 선조들은 북쪽 하늘 중심에 삼원(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이 있다고 믿었다. 태미원은 오늘날의 정부에 해당하며, 삼태성, 헌원, 좌원장, 우원자, 오제자 등 대신 격 별자리들이 있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네 방향을 지키는 사신이 있는데, 동방의 청룡, 서방의 백호, 북방의 현무, 남방의 주작이 그들이다. 이들은 각각 7수씩 28수를 나타낸다.[4]
3. 삼원과 28수
3. 1. 삼원 (三垣)
별자리군의 하나인 3원(垣)은 28수(宿)와 함께 옛 선조들이 우리 북쪽 하늘 중심에 거대한 삼원(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이 놓여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여기서 원(垣)은 담장을 의미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우주의 벽이라고 볼 수 있다. 3원에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하늘에 들어 있듯 인간세계와 닮아 있다.
만물의 생장소멸을 주관한다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늘나라의 궁궐인 자미궁이 있고, 이 자미궁의 담을 자미원이라고 불렀는데, 임금님을 모시는 신하 별들이 사는 곳이다.
하늘나라의 임금님을 모시고 있는 것인 만큼 자미궁은 각 지방의 제후격인 28수(宿)의 호위를 받고 있으며, 28수는 일월과 오행성, 즉 칠정(七政)의 호위를 받고 있고, 하늘에 떠있는 수많은 별은 바로 임금별인 북극성을 호위하고 있는 것이다.
태미원은 오늘날의 정부에 해당한다. 이곳은 삼태성, 헌원, 좌원장, 우원자, 오제자 등 대신 격 별자리들이 있다.
천시원은 백성들이 모여사는 도성으로, 조선시대 종로의 저자거리에 시전이 놓여 여러 가지 물품 거래가 활발했던 것처럼 하늘의 시장인 천시원에서도 다양한 물건들이 전시되고 매매가 이루어졌다.
이처럼 천시원은 백성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곳이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네 방향을 지배하고 보호하는 사신이 있다. 동방을 지키는 청룡, 서방을 지키는 백호, 북방 거북이 현무, 남방의 주작이 4신이고 각각 7수씩 28수를 나타낸다. 28수를 이어주면 네 마리 동물의 몸을 이루고, 28수의 이름은 각각 그 동물의 부위를 나타내는 한자말이 된다.[4]
3. 2. 28수 (二十八宿)
옛 선조들은 북쪽 하늘 중심에 거대한 삼원(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이 있다고 믿었다. 여기서 원(垣)은 담장을 의미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우주의 벽과 같다. 삼원에는 인간세상과 같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하늘에 들어 있다.
하늘나라의 임금을 모시고 있는 자미궁은 각 지방의 제후격인 28수의 호위를 받고 있으며, 28수는 해와 달과 다섯 행성, 즉 칠정(七政)의 호위를 받고 있다. 그리고 하늘에 떠있는 수많은 별은 바로 임금별인 북극성을 호위하고 있는 것이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네 방향을 지배하고 보호하는 사신이 있다. 동방을 지키는 청룡, 서방을 지키는 백호, 북방 거북이 현무, 남방의 주작이 4신이고 각각 7수씩 28수를 나타낸다. 28수를 이어주면 네 마리 동물의 몸을 이루고, 28수의 이름은 각각 그 동물의 부위를 나타내는 한자말이 된다.[4]
4. 한국 천문학에서의 태미원
옛 선조들은 우리 북쪽 하늘 중심에 거대한 삼원(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이 놓여있다고 믿었다. 여기서 원(垣)은 담장을 의미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우주의 벽이라고 보면 된다. 3원에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하늘에 들어 있듯 인간세계와 닮아 있다.[4]
만물의 생장소멸을 주관한다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늘나라의 궁궐인 자미궁이 있고, 이 자미궁의 담을 자미원이라고 불렀는데 임금님을 모시는 신하 별들이 사는 곳이다. 자미궁은 각 지방의 제후격인 28수의 호위를 받고 있으며, 28수는 일월과 오행성, 즉 칠정(七政)의 호위를 받고 있다. 하늘에 떠있는 수많은 별은 바로 임금별인 북극성을 호위하고 있는 것이다.[4]
천시원은 백성들이 모여사는 도성으로, 조선시대 종로의 저자거리에 시전이 놓여 여러 가지 물품 거래가 활발했던 것처럼 하늘의 시장인 천시원에서도 다양한 물건들이 전시되고 매매가 이루어졌다. 이처럼 천시원은 백성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곳이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네 방향을 지배하고 보호하는 사신이 있는데, 동방을 지키는 청룡, 서방을 지키는 백호, 북방 거북이 현무, 남방의 주작이 4신이고 각각 7수씩 28수를 나타낸다. 28수를 이어주면 네 마리 동물의 몸을 이루고, 28수의 이름은 각각 그 동물의 부위를 나타내는 한자말이 된다.[4]
4. 1. 조선시대의 활용
옛 선조들은 북쪽 하늘 중심에 삼원(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이 있다고 믿었다. 태미원은 오늘날의 정부에 해당하며, 삼태성, 헌원, 좌원장, 우원자, 오제자 등 대신 격 별자리들이 있는 곳이다.[4]4. 2. 현대 천문학적 의의
옛 선조들은 북쪽 하늘 중심에 거대한 삼원(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이 있다고 믿었다. 태미원은 오늘날의 정부에 해당하며, 삼태성, 헌원, 좌원장, 우원자, 오제자 등 대신 격 별자리들이 있는 곳이다.[4]참조
[1]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中國星區、星官及星名英譯表
https://www.lcsd.gov[...]
[2]
서적
中西対照恒星図表
1981
[3]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亮星中英對照表
https://www.lcsd.gov[...]
[4]
뉴스
백성의 염원-민화에 담다
http://www.dailyphar[...]
데일리팜
201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