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네볼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네볼라는 사자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 '다나브 알-아사드'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사자의 꼬리'라는 의미를 지닌다. 사자자리의 꼬리에 위치하며, '베타 레오니스'로도 불린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공식 명칭으로 '데네볼라'를 승인했다. 물리적 특성으로는 약 4억 년 미만의 나이, 태양의 약 1.73배 반지름, A3 V형 분광형, 8500 켈빈의 유효 온도, 초고속 자전으로 인한 적도 팽창, 먼지 원반 존재 등이 있다. 또한,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이며, IC 2391 성협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알타이르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자 알파 아퀼라에로 표기되며,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견우성이라는 동양 이름으로 불리고, 지구에서 16.8광년 떨어져 빠르게 자전하는 A형 주계열성으로 찌그러진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미와 상징을 지니고 현대 사회에서도 활용된다.
  • 사자자리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 사자자리 - K2-18b
    K2-18b는 지구에서 124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K2-18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대기 중 수증기, 메탄, 이산화탄소, 다이메틸 설파이드가 검출되었으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 A형 주계열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A형 주계열성 - 오리온자리 V380
    오리온자리 V380은 B9~A1형 허빅 Ae/Be형 항성인 주성을 중심으로, 원시행성계 원반, 차가운 동반성, 세 번째 별, 그리고 중력적으로 결합된 네 번째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며, 강력한 중력적 상호작용과 거대한 항성풍 충격파를 형성한다.
데네볼라
기본 정보
데네볼라의 위치
별자리사자자리
관측 정보
기원J2000
겉보기 등급2.14
별칭데네브 알리트
사자자리 베타 (β Leonis)
94 Leo
BD=+15°2383
FK5 444
GCTP 2738.00
GJ 448
HD 102647
HIP 57632
HR 4534
LHS 2462
LTT 13249
SAO 99809
특징
분광형A3Va
B-V 색 지수+0.09
U-B 색 지수+0.07
변광성 유형δ Sct
위치 정보
시선 속도−0.2 km/s
고유 운동 (적경)−497.68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114.67 밀리초/년
연주시차90.91
연주시차 오차0.52
절대 등급+1.93
거리36 (11.1 파섹)
물리적 특징
질량1.78 태양 질량
반지름1.75 태양 반지름
광도12.9 태양 광도
표면 온도8262 K
표면 중력4.0
금속 함량+0.00
자전 속도128 km/s
나이1억 년 – 3억 8천만 년
명칭
Bayer 명명법사자자리 베타 (β Leonis)
Flamsteed 명명법사자자리 94

2. 명칭

데네볼라는 사자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로,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β 레오니스* (베타 레오니스),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는 *94 레오니스*로 표기된다. 플램스티드 명명법은 광도가 아닌 적경 증가를 기준으로 부여된 것이다.[3]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으며, 같은 해 7월 첫 번째 회보에서 이 별의 이름을 '데네볼라'로 승인했다. 이 이름은 현재 IAU 별 이름 목록에 공식적으로 등재되어 있다.

힌두 천문학에서 데네볼라는 *우타라 팔구니*(두 번째 붉은 별)라는 낙샤트라에 해당한다.

데네볼라는 스피카, 아크투루스와 함께 봄의 삼각형 별자리의 일부이며, 코르 카롤리와 함께 대다이아몬드 별자리를 구성한다.

2. 1. 어원

데네볼라는 'Deneb Alased'의 줄임말로, 아랍어 'ذنب الاسد|다나브 알-아사드ar'에서 유래했으며 '사자꼬리'를 의미한다. 이 이름처럼 데네볼라는 사자자리에서 사자의 꼬리에 해당한다. 백조자리데네브도 비슷한 작명 과정을 거쳤다. 알폰소 목록에는 'Denebalezeth'로 표기되어 있다.[3] 1871년 R. A. 프록터의 북반구 항성 목록에는 'Deneb Aleet'(데네브 알리트)로 기록되어 있다.

11세기 학자 알 비루니는 데네볼라에 대해 "이 별이 떠오르면서 열기는 물러가며, 이 별이 지면 냉기가 물러간다."라고 기록했다.[4] 15세기 천문학자 울루그 베그는 이 별에 '알 사라파'('날씨를 바꾸는 자'라는 의미)라는 이름을 붙였다.[4]

요한 바이어우라노메트리아(1603년)에서 이 별은 '사자자리 베타'로, 존 플램스티드의 성표(1725년)에는 '사자자리 94'로 기록되었다.

중국에서 이 별은 五帝座一(오제좌일)로 표기하는데, 이는 '오 제좌에서 첫째 별'이라는 뜻이다. 점성학에서 이 별은 불행과 불운의 상징이었다.

3. 특징

데네볼라는 비교적 젊은 별로, 나이가 4억 년 미만으로 추정된다. 간섭 관측을 통해 태양 반지름의 약 1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 자전 속도로 인해 적도 팽창이 있는 찌그러진 모양을 하고 있다. 태양보다 질량이 75% 더 커서, 주계열성 단계에서 수명이 짧다.

데네볼라의 자전 속도는 초당 약 128 킬로미터이다. 이 속도는 태양 자전 속도의 약 60배이며, 대표적인 초고속 회전 항성인 아케르나르와 비슷하다. 사수자리 δ형 변광성으로, 변광 범위가 매우 작아서 육안 관측으로는 변광을 알 수 없다.

3. 1. 물리적 특성

데네볼라는 나이가 4억 년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간섭계로 측정한 반지름은 태양의 173% 정도이다. 항성의 스펙트럼에 기초하면 데네볼라의 분광형은 A3 V이다. 여기서 V는 광도분류상 주계열임을 뜻하며 중심핵에서 수소를 태워 에너지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데네볼라의 외피층 유효 온도는 약 8500 켈빈으로 전형적인 흰색 빛을 뿜는 A형 별의 외관을 보인다. 데네볼라는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으로 1일에 10번 꼴로 약 0.025 등급의 밝기 변화를 보인다. 데네볼라는 적외선 초과 현상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데네볼라 주변에 먼지 원반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베가화가자리 베타처럼 데네볼라 주변에 외계 행성의 재료가 될 물질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먼지 원반의 온도는 약 120 켈빈이다. 허셜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이 먼지 원반은 항성에서 39 천문단위 떨어져 있었다.

3. 2. 먼지 원반

데네볼라는 적외선 초과 현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데네볼라 주변에 먼지 원반이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베가화가자리 베타처럼 데네볼라 주변에 외계 행성의 재료가 될 물질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먼지 원반의 온도는 약 120,000이다. 허셜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이 먼지 원반은 항성에서 39 천문단위 떨어져 있었다.

3. 3. 운동학적 특성

데네볼라는 IC 2391 초성단으로 알려진 성협의 일원으로 보인다. 이 성협의 별들은 중력으로 묶여 있지는 않으나, 공간에서 거의 비슷한 고유운동을 보인다. 이는 이들이 같은 장소에서 태어났으며, 처음에는 산개 성단을 형성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같은 성협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로는 화가자리 알파, 작은개자리 베타, 산개성단 IC 2391 등이 있다. 이외에도 60개 이상의 별들이 이들과 같은 장소에서 태어났음이 확인되었다.

4. 문화와 역사 속 데네볼라

학명은 β Leonis(약칭은 β Leo)이다. 고유명 '''데네볼라'''(Denebola)는 아랍어로 "사자의 꼬리"를 뜻하는 ذنب الأسد|자나브 알 아사드ar(실제 발음: dhanabu-l-ʾasad(자나브 르 아사드))에서 유래한다. 2016년 6월 30일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은 ''Denebola''를 사자자리 β별의 고유명으로 정식 승인했다.

참조

[1] MW Denebola
[2] 문서 The two components of the [[γ Leonis]] double star, which are unresolved to the naked eye, have a combined magnitude brighter than it.
[3] 저널 The Star Catalogue Commonly Appended to the Alfonsine Tables http://adsabs.harvar[...]
[4] 웹사이트 LacusCurtius • Allen's Star Names — Leo http://penelope.uc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