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자자리는 페르시아, 시리아 등 고대 문명에서 사자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불린 별자리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기원전 4000년경에 이미 사자와 유사한 별자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라클레스가 네메아의 사자를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제우스가 하늘에 두었다고 전해진다. 사자자리는 1922년 국제 천문 연맹에서 현재의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정식 지정되었으며, 밝은 별 레굴루스를 포함하여 낫 모양을 이루는 별들의 배열이 특징이다. 또한, 사자자리에는 봄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데네볼라, 여러 개의 밝은 은하와 유성우가 위치하고 있으며, 서양 점성술에서는 7월 23일부터 8월 22일까지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도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 적도의 별자리 - 바다뱀자리
바다뱀자리는 현대 별자리 중 가장 넓은 영역을 가진 동서로 길게 뻗은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 속 아폴론 이야기나 헤라클레스의 히드라 퇴치와 관련되어 있으며, 주요 항성인 알파르드와 다양한 메시에 천체, 여러 유성군을 포함한다. - 사자자리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 사자자리 - K2-18b
K2-18b는 지구에서 124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K2-18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대기 중 수증기, 메탄, 이산화탄소, 다이메틸 설파이드가 검출되었으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사자자리 | |
---|---|
기본 정보 | |
![]() | |
상징 | 사자 |
약자 | Leo |
속격 | Leonis (레오니스) |
발음 | '' |
적경 | 09h 21m 37.0221s - 11h 06m 46.5595s |
적위 | +32.9691162° - −6.6916924° |
남중 시간 | 20시 |
남중 날짜 | 4월 하순 |
4분면 | NQ2 |
총 면적 | 946.964 평방도 |
면적 순위 | 12위 |
주요 별의 수 | 9개, 15개 |
Bayer/Flamsteed 명명법 별의 수 | 92개 |
행성 보유 별의 수 | 13개 |
밝은 별의 수 | 5개 |
가장 가까운 별의 수 | 5개 |
가장 밝은 별 | 레굴루스 (α Leo) |
별의 밝기 | 1.40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이름 | 볼프 359 |
별까지의 거리 (광년) | 7.78 광년 |
별까지의 거리 (파섹) | 2.39 파섹 |
메시에 천체 수 | 5개 |
유성우 | 사자자리 유성우 |
인접 별자리 | 큰곰자리 작은사자자리 살 Field (모서리) 게자리 바다뱀자리 육분의자리 컵자리 처녀자리 머리털자리 |
위도 (최대) | 북극 90° |
위도 (최소) | 남위 65도 65° |
관측 용이한 달 | 4월 |
위치 정보 | |
기타 | |
일본어 이름 | しし座 (시시자) |
라틴어 이름 | Leo (레오) |
2. 역사
페르시아, 시리아, 이스라엘, 인도, 바빌로니아 등 고대 문명에서 사자자리는 모두 사자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불렸다.[10] 사자자리는 현대 88개 별자리 중 가장 오래된 별자리 중 하나이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메소포타미아인들은 기원전 4000년경에 이미 사자와 유사한 별자리를 가지고 있었다.[10]
바빌로니아 천문학에서 사자자리는 "위대한 사자"를 의미하는 UR.GU.LA로 불렸으며, 밝은 별 레굴루스는 "사자의 가슴에 있는 별"이자 왕의 별로 알려져 왕족과 뚜렷한 연관성을 가졌다.[9] 기원전 2천년기 중반부터는 "위대한 대형 육식 동물"을 의미하는 '''Mul Ur-Gu-la'''라고 불렸다. 이 별자리는 왕권을 상징하는 별자리로 여겨졌으며, 현재의 α별 레굴루스는 왕 그 자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리스 신화에서 사자자리는 헤라클레스가 12가지 과업 중 첫 번째 과업에서 죽인 네메아의 사자로 여겨졌다.[10] 이 사자는 어떤 무기에도 끄떡없었기 때문에 헤라클레스는 맨손으로 사자를 물리쳐야 했다.[11] 제우스는 이 과업을 기념하기 위해 사자를 하늘에 두었다.[11]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의 저서 『파이노메나 (Φαινόμεναgrc)』에 기록된 별자리 목록에 이미 사자자리의 이름이 올라 있었으며, 기원전 3세기 전반의 마케도니아 시인 아라토스의 시편 『파이노메나 (Φαινόμεναgrc)』에서는 큰곰자리 뒷다리 아래쪽에 있으며, 태양이 게자리를 지나 이 별자리에 들어갈 무렵 여름이 절정에 달해 벼가 남김없이 수확된다고 했다.
기원전 3세기 후반의 천문학자 에라토스테네스의 천문서 『카타스테리스모이 (Καταστερισμοίgrc)』나 1세기 초두의 고대 로마의 작가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천문 시 (De Astronomicala)』에서는 "사자는 백수의 왕이므로 제우스가 이를 칭찬하여 별자리로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먼저 제시되어 있으며, 다른 설로 로도스의 페이산드로스가 전하는 이야기로,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 중 첫 번째로 등장하는 네메아의 사자라고 하는 설도 언급하고 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개최된 국제 천문 연맹 (IAU)의 창립 총회에서 현재의 88개 별자리가 정해졌을 때 그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별자리 이름은 '''Leo''', 약칭도 '''Leo'''로 정식으로 정해졌다.
2. 1. 고대 문명에서의 사자자리
페르시아, 시리아, 이스라엘, 인도, 바빌로니아 등 고대 문명에서 사자자리는 모두 사자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불렸다.[10] 사자자리는 현대 88개 별자리 중 가장 오래된 별자리 중 하나이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메소포타미아인들은 기원전 4000년경에 이미 사자와 유사한 별자리를 가지고 있었다.[10]바빌로니아 천문학에서 사자자리는 "위대한 사자"를 의미하는 UR.GU.LA로 불렸으며, 밝은 별 레굴루스는 "사자의 가슴에 있는 별"이자 왕의 별로 알려져 왕족과 뚜렷한 연관성을 가졌다.[9] 기원전 500년경에 제작된 천문에 관한 점토판 문서 『MUL.APIN영어 (MUL.APIN)』에서는, 하늘에 3개 있는 층 중 최상층의 "엔릴의 길"에 놓인, 8번째 "사자", 9번째 "왕", 10번째 "사자의 꼬리"가 현재의 사자자리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그리스 신화에서 사자자리는 헤라클레스가 12가지 과업 중 첫 번째 과업에서 죽인 네메아의 사자로 여겨졌다.[10] 이 사자는 어떤 무기에도 끄떡없었기 때문에 헤라클레스는 맨손으로 사자를 물리쳐야 했다.[11] 제우스는 이 과업을 기념하기 위해 사자를 하늘에 두었다.[11]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의 저서 『파이노메나 (Φαινόμεναgrc)』에 기록된 별자리 목록에 이미 사자자리의 이름이 올라 있었으며, 기원전 3세기 전반의 마케도니아 시인 아라토스의 시편 『파이노메나 (Φαινόμεναgrc)』에서는 큰곰자리 뒷다리 아래쪽에 있으며, 태양이 게자리를 지나 이 별자리에 들어갈 무렵 여름이 절정에 달해 벼가 남김없이 수확된다고 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개최된 국제 천문 연맹 (IAU)의 창립 총회에서 현재의 88개 별자리가 정해졌을 때 그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별자리 이름은 '''Leo''', 약칭도 '''Leo'''로 정식으로 정해졌다.

2. 2. 그리스 로마 신화
헤라클레스는 신이 되기 위한 12업 중 하나로 네메아 골짜기에 사는 식인 사자를 무찔러야 했다.[10] 이 사자의 가죽은 매우 단단하여 창이나 칼로는 뚫을 수 없었다. 한 달간의 혈투 끝에 헤라클레스는 사자의 목을 졸라 숨통을 끊는 데 성공한다.[11] 헤라클레스는 승리의 상징으로 사자 가죽을 걸치고 다녔으며, 그의 아버지 제우스는 아들의 승리를 기리고 영웅적 면모를 영원히 기억하고자 네메아의 사자를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었다.[11]그리스 신화에서 사자자리는 헤라클레스가 그의 12가지 과업 중 첫 번째 과업에서 죽인 네메아의 사자로 여겨진다.[10] 네메아의 사자는 동굴에 여성을 인질로 잡아 전사들을 유인했고, 어떤 무기로도 끄떡없었다.[11] 헤라클레스는 맨손으로 사자를 물리쳐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사자의 동굴로 들어가 근접전을 벌였다. 사자가 덮치자 헤라클레스는 공중에서 사자를 잡고 한 손으로는 앞다리를, 다른 한 손으로는 뒷다리를 잡아 뒤로 꺾어 척추를 부러뜨려 갇힌 여인들을 구했다.[11]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는 사자자리를 ''Herculeus Leo''와 ''Violentus Leo''라고 불렀다. ''Bacchi Sidus'' (바쿠스의 별)는 바쿠스가 이 동물과 동일시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또 다른 이름이다. 마르쿠스 마닐리우스는 이를 ''Jovis et Junonis Sidus'' (유피테르와 유노의 별)라고 불렀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카타스테리스모이』나 히기누스의 『천문시』에서는 기원전 7세기의 서사 시인 로도스의 페이산드로스가 전하는 이야기로 헤라클레스에게 쓰러진 네메아의 사자라고 하는 설이 소개되고 있다. 헤라클레스가 맨손으로 사자를 꺾어 죽였다는 것만 언급될 뿐 전승의 자세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전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케』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여신 헤라에게 광기를 불어넣어져 자신의 아이와 이피클레스의 아이를 불길에 던져 죽여버린 헤라클레스는 스스로를 테베에서 추방하고, 델포이로 가서 어디에 살아야 할지를 신에게 물었다. 신탁은 「티린스에 살며 미케네의 왕 에우리스테우스를 12년간 섬기며 명해지는 열 개의 과업을 행하고, 이 공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불멸하게 될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이때 헤라클레스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헤라클레스는, 첫 번째로 네메아의 사자의 가죽을 가져올 것을 명받았다. 이 사자는 튀폰의 아이로, 불사신이었다. 네메아에서 사자를 찾아낸 헤라클레스는 활로 사자를 쏘았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는 곤봉을 휘둘러 사자를 몰아 동굴로 몰아넣고, 턱에 팔을 감아 꺾어 죽였다. 헤라클레스는 쓰러뜨린 사자를 가지고 미케네로 갔지만, 그를 두려워한 에우리스테우스는 헤라클레스에게 시내로 들어가는 것을 금했다.
2. 3. 한국 전통 천문학
독일인 선교사 이그나츠 쾨글러/Ignaz Kögler영어(다이진셴) 등이 편찬하여, 청 건륭제 치세의 1752년에 완성·주진된 성표 '흠정의상고성'에서는 사자자리의 별은 삼원의 하나인 "태미원"과 이십팔수의 남방 주작 칠수의 세 번째 수 "유수", 네 번째 수 "성수"에 배당되었다고 한다.
태미원에서는 β·HD 102660·(불명)·95·HD 102910의 5성이 성관 "오제좌"에, 93번 별이 제왕의 적자를 나타내는 성관 "태자"에, 92번 별이 천자의 근시를 나타내는 성관 "종관"에, 72번 별이 황제의 친위대를 나타내는 성관 "호분"에, 54·51이 사대부를 나타내는 "소미"에, 46·52·53·48이 장성을 나타내는 성관 "장원"에, χ·59·58이 천문대를 나타내는 성관 "영대"에, τ·υ·87이 천자가 정교를 밝히는 전당을 나타내는 "명당"에 각각 배당되었다. 또한 태미원의 오른쪽 성벽을 나타내는 성관 "자미우원"에서는 σ가 서상장, ι가 서차장, θ가 서차상, δ가 서상상으로 여겨졌다.
유수에서는 ψ·ξ·ω의 3성이 술의 제조·판매를 관리하는 술관을 나타내는 깃발을 나타내는 성관 "주기"에 배당되었다. 성수에서는 HD 83630·15·κ·λ·ε·μ·ζ·γ·η·α·ο·ρ·31의 13성이 살쾡이자리의 4성과 함께 황제를 나타내는 성관 "헌원"에, HD 86012가 작은사자자리의 3성과 함께 법관을 나타내는 성관 "내평"에 배당되었다.
3. 특징
사자 형상이면서, 일반적으로 낫 모양의 별이 사자의 머리 뒤쪽에 있는 것처럼 표현되며, 낫에는 사자자리 엡실론,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제타, 사자자리 감마, 사자자리 에타, 사자자리 알파 등 6개의 별이 표시되어 있다. 사자 꼬리는 사자자리 베타(Denebola)로 표시되고 나머지 몸은 사자자리 델타와 사자자리 세타로 표시 된다.
천구 적도를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상의 어디에서든 별자리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바다뱀자리, 처녀자리, 큰곰자리와 면적 넓이 상위 3개의 별자리와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사자자리 자체도 전천 88개 별자리 중 12번째로 크다. 20시 남중은 4월 하순경이며, 북반구에서는 봄의 대표적인 별자리로 여겨진다.
β별 데네볼라와 목동자리의 α별 아르크투루스, 처녀자리의 α별 스피카가 이루는 삼각형은 '''봄의 대삼각형'''이라고 불린다. 서양에서는 β별 데네볼라가 아닌 α별 레굴루스를 한 꼭짓점으로 하는 더 큰 삼각형을 Spring Triangle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자의 머리에 해당하는 λ-ε-μ-ζ-γ-η-α의 7개 별을 이은 「?」를 뒤집은 듯한 별의 배열은 '''사자의 낫''' (더 시클/The Sickle영어)이라고 불린다.
3. 1. 낫 (The Sickle)
사자 형상이면서, 일반적으로 낫 모양의 별이 사자의 머리 뒤쪽에 있는 것처럼 표현되며, 낫에는 사자자리 엡실론,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제타, 사자자리 감마, 사자자리 에타, 사자자리 알파 등 6개의 별이 표시되어 있다. 사자 꼬리는 사자자리 베타(Denebola)로 표시되고 나머지 몸은 사자자리 델타와 사자자리 세타로 표시 된다.3. 2. 삼각형
사자자리에서 사자 꼬리는 사자자리 베타(Denebola)로 표시되고 나머지 몸은 사자자리 델타와 사자자리 세타로 표시된다. 사자 모양이면서, 일반적으로 낫 모양의 별이 사자의 머리 뒤쪽에 있는 것처럼 표현되며, 낫에는 사자자리 엡실론,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제타, 사자자리 감마, 사자자리 에타, 사자자리 알파 등 6개의 별이 표시되어 있다.4. 별과 천체
## 주요 별
사자자리에는 밝은 별들이 많다. 레굴루스는 '작은 왕'이라는 의미의 α Leo의 별칭이다. 데네볼라는 β Leo의 별칭이다. 알기에바는 γ1 Leo의 별칭이다. 이 외에 어두운 별들에도 δ(조스마:Zosma), θ(Chort:코르트), κ(Al Minliar al Asad:알민리아르 알아사드), λ(Alterf:알테르프), ο(Subra:수브라) 등의 별칭이 붙여졌다.
η, γ, ζ(Adhafera), μ(Ras Elased Borealis), ε(Ras Elased Australis) 별은 '낫'으로 알려진 별그림을 형성하며, 사자의 머리와 갈기에 해당된다. 사자의 꼬리 부분은 기원전 240년경 톨레미에 의해 머리털자리로 분리되었다.
울프 359는 지구에서 약 7.7 광년 떨어져 있어 가장 가까운 별 중 하나이다. 글리제 436은 33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계 외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작은 행성이 주위를 돌고 있다. 사자자리 CW(IRC +10216)는 탄소별로, 적외선 N-대(파장 10 μm)에서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사자자리에는 밝은 변광성인 적색 거성 R 사자자리도 있다. 이는 최소 등급 10이고 정상 최대 등급 6인 미라 변광성이며 주기적으로 4.4등급으로 밝아진다. R 사자자리는 지구에서 33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주기는 310일이고 직경은 450 태양 직경이다.
SDSS J102915+172927 (Caffau의 별)는 사자자리에서 보이는 은하 헤일로에 있는 II종 별이다. 약 130억 년 된 것으로, 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별 중 하나이다. 알려진 별 중에서 가장 낮은 금속량을 가지고 있다.
고유 명칭 | 바이어 명명법 | 광년 | 겉보기 등급 |
---|---|---|---|
레굴루스 | α Leonis | 79 | 1.35 |
데네볼라 | β Leonis | 36 | 2.14 |
알기에바 | γ Leonis | 130 | 2.08 |
조스마 | δ Leonis | 58 | 2.56 |
알게누비 | ε Leonis | 247 | 2.98 |
아다페라 | ζ Leonis | 274 | 3.33 |
알 자바 | η Leonis | 1,270 | 3.49 |
체르탄 | θ Leonis | 165 | 3.32 |
라살라스 | μ Leonis | 124 | 3.88 |
4. 1. 주요 별
사자자리에는 밝은 별들이 많다. 레굴루스(Regulus)는 '작은 왕'이라는 의미의 α Leo의 별칭이다. 데네볼라(Denebola)는 β Leo의 별칭이다. 알기에바(Algieba)는 γ1 Leo의 별칭이다. 이 외에 어두운 별들에도 δ(조스마:Zosma), θ(Chort:코르트), κ(Al Minliar al Asad:알민리아르 알아사드), λ(Alterf:알테르프), ο(Subra:수브라) 등의 별칭이 붙여졌다.η, γ, ζ(Adhafera), μ(Ras Elased Borealis), ε(Ras Elased Australis) 별은 '낫'으로 알려진 별그림을 형성하며, 사자의 머리와 갈기에 해당된다. 사자의 꼬리 부분의 술은 기원전 240년경 톨레미에 의해 머리털자리로 분리되었다.
울프 359는 지구에서 약 7.7 광년 떨어져 있어 가장 가까운 별 중 하나이다. 글리제 436은 33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계 외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작은 행성이 주위를 돌고 있다. 사자자리 CW(IRC +10216)는 탄소별(carbon star:대기에 탄소 성분이 풍부한 별)로, 적외선 N-대(파장 10 μm)에서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사자자리에는 밝은 변광성인 적색 거성 R 사자자리도 있다. 이는 최소 등급 10이고 정상 최대 등급 6인 미라 변광성이며 주기적으로 4.4등급으로 밝아진다. R 사자자리는 지구에서 33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주기는 310일이고 직경은 450 태양 직경이다.
SDSS J102915+172927 (Caffau의 별)는 사자자리에서 보이는 은하 헤일로에 있는 II종 별이다. 약 130억 년 된 것으로, 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별 중 하나이다. 알려진 별 중에서 가장 낮은 금속량을 가지고 있다.
고유 명칭 | 바이어 명명법 | 광년 | 겉보기 등급 |
---|---|---|---|
레굴루스 | α Leonis | 79 | 1.35 |
데네볼라 | β Leonis | 36 | 2.14 |
알기에바 | γ Leonis | 130 | 2.08 |
조스마 | δ Leonis | 58 | 2.56 |
알게누비 | ε Leonis | 247 | 2.98 |
아다페라 | ζ Leonis | 274 | 3.33 |
알 자바 | η Leonis | 1,270 | 3.49 |
체르탄 | θ Leonis | 165 | 3.32 |
라살라스 | μ Leonis | 124 | 3.88 |
4. 2. 어두운 천체
사자자리에는 메시에 65, 메시에 66, 메시에 95, 메시에 96, 사자자리 I 왜소은하 등 여러 밝은 은하가 위치해 있다.[5] 이 중 M65, M66, NGC 3628은 세쌍둥이 은하를 구성한다.[5]


샤를 메시에가 편집한 메시에 목록에는 은하 5개가 수록되어 있으며, 패트릭 무어가 선정한 콜드웰 목록에는 나선 은하 NGC 3626이 포함되어 있다. M65, M66, NGC 3628은 사자자리 삼중 은하라고 불린다.

M66은 사자자리 삼중 은하의 일부인 나선 은하로, 3,7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다른 구성원과의 중력 상호 작용으로 인해 형태가 왜곡되어 별들이 M66에서 벗어나고 있다.[5] M65와 M66은 대형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볼 수 있지만, 집중된 핵과 긴 형태는 대형 아마추어 장비에서만 관측 가능하다.
M95와 M96은 모두 지구에서 2,000만 광년 떨어진 나선 은하이다. M95는 막대 나선 은하이며, M105는 M95/M96 쌍에서 약 1도 떨어져 있는 9등급의 타원 은하로, 지구에서 약 2,0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NGC 2903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막대 나선 은하로, 우리 은하와 크기 및 모양이 유사하며 지구에서 2,500만 광년 거리에 있다. 은하 중심부에는 별 형성 지역 근처의 "핫스팟"이 있으며, 먼지 막대의 존재로 인해 별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은하 외곽에는 젊은 산개 성단이 많이 존재한다.
사자자리에는 Clowes–Campusano LQG, U1.11, U1.54, Huge-LQG 등 대형 퀘이사 그룹을 포함하여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가장 큰 구조 중 일부가 존재한다.[6]
국부 은하군에 속하는 왜소 은하도 여러 개 발견되었는데, 왜소 타원 은하인 사자자리 I, 사자자리 II, 사자자리 IV, 사자자리 V는 우리 은하의 서브 그룹에 속하며, 왜소 불규칙 은하인 사자자리 A는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4. 3. 유성우
매년 11월 17일경, 사자자리에서 출발하는 사자자리 유성우가 있다.[7] 사자자리 유성우는 템펠-터틀 혜성을 모혜성으로 하며, γ별 부근을 복사점으로 하는 유성군으로, 11월 14일~15일에 절정에 달한다. 약 33년마다 대출현이 관측되며, 2001년 11월 18일 밤부터 다음 날 19일 새벽에는 시간당 1,000개 이상의 유성우가 관측되었다. 일반적인 최대 빈도는 시간당 약 10개의 유성이다. 이러한 출현과 1999년부터 2002년에 걸친 활발한 활동은 당시 최신 더스트 트레일 이론에 의해 예측되었으며, 이론 확립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월 사자자리 유성우는 1월 1일부터 7일 사이에 절정에 달하는 작은 유성우이다.[7] 사자자리 이름을 딴 유성군으로, IAU의 유성 데이터 센터(IAU Meteor Data Center)에서 확정된 유성군(Established meteor showers)으로 분류되는 것은 사자자리 유성군(Leonids, LEO), 사자자리 κ 주간 유성군(Daytime kappa Leonids, KLE), 1월 사자자리 유성군(January Leonids, JLE)의 3가지이다.
4. 4. 서양 점성술
서양의 점성술에서 사자자리는 7월 23일부터 8월 22일까지 해당된다.[12] 인도의 점성술에서는 8월 10일부터 9월 15일까지 해당된다. 2002년 기준으로, 태양은 8월 10일부터 9월 16일까지 사자자리에 위치한다.[12] 항성 점성술에서는 8월 16일부터 9월 17일까지로 간주된다.[12]4. 5. 동양 점성술
서양 점성술에서 사자자리는 7월 23일부터 8월 22일까지 해당된다.[12] 인도 점성술에서는 8월 10일부터 9월 15일까지 해당된다.[12] 2002년 기준으로 태양은 8월 10일부터 9월 16일까지 사자자리에 위치한다.[12] 열대 점성술에서는 태양이 7월 23일부터 8월 22일까지 사자자리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항성 점성술에서는 8월 16일부터 9월 17일까지로 간주된다.[12]4. 6. 현대 문화
USS 레오니스 (AK-128)는 미국 해군의 크레이터급 화물선이었다.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Star Names
https://penelope.uch[...]
[2]
웹사이트
List of IAU-approved Star Names
https://www.iau.org/[...]
2022-01-24
[3]
뉴스
Astronomers discover smallest "exoplanets" yet
https://www.theglobe[...]
[4]
서적
Guidebook to the Constellations: Telescopic Sights, Tales, and Myths
Springer
2012
[5]
서적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Firefly Books
2006
[6]
뉴스
Universe's Largest Structure Discovered
http://www.sci-news.[...]
scinews.com
2013-01-11
[7]
간행물
Mapping Meteoroid Orbits: New Meteor Showers Discovered
2011-09
[8]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9]
서적
Babylonian Star-lore
Solaria Publications
2008
[10]
서적
Stars and Planets
Houghton Mifflin
2006
[11]
서적
Mythology: Myths, Legends and Fantasies
Struik
2007
[12]
문서
Zodiacal Constellations
Willmann-Bell Inc.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