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녀자리는 북반구 봄 하늘에서 관찰 가능한 가장 큰 황도 12궁 별자리로, 태양이 이 별자리를 통과하는 데 44일이 걸린다. 밝은 별 스피카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세차운동으로 인해 추분점은 처녀자리 내에 위치한다. 주요 별로는 스피카, 자비야바, 포리마, 아우바, 빈데미아트릭스 등이 있으며, 70 처녀자리, HW 처녀자리, PSR B1257+12 등 외계 행성 및 펄사가 발견되기도 했다. 처녀자리는 역사적으로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이아,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파르테노스 등 다양한 여신과 연관되었으며, 바빌로니아, 그리스, 로마 문명에서 풍요, 정의, 농업과 관련된 상징으로 여겨졌다. 처녀자리 은하단과 M87, M84 등의 딥 스카이 천체, 퀘이사 3C 273 등이 위치해 있다. 서양 점성술에서는 8월 23일부터 9월 23일까지 해당하며, 황소자리와 단짝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도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 적도의 별자리 - 바다뱀자리
바다뱀자리는 현대 별자리 중 가장 넓은 영역을 가진 동서로 길게 뻗은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 속 아폴론 이야기나 헤라클레스의 히드라 퇴치와 관련되어 있으며, 주요 항성인 알파르드와 다양한 메시에 천체, 여러 유성군을 포함한다. - 점성술 - 별자리
별자리는 하늘에서 보이는 별들의 집합으로, 동아시아에서는 삼원과 이십팔수를 기반으로, 서양에서는 그리스 신화를 바탕으로 체계화되었으며, 현대에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88개를 공식 인정하고 천문학, 신화, 점성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점성술 - 마갈궁
마갈궁은 염소와 물고기 꼬리 형상의 별자리로, 힌두교 신화의 괴어 마카라를 의미하며 인도 점성술에서 유래하여 동아시아에 전해져 토성의 거주지로 여겨지고 인도에서는 축제로 기념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처녀자리 | |
---|---|
기본 정보 | |
상징 | 처녀 |
약자 | Vir |
속격 | Virginis (비르기니스) |
발음 | (버르고), 속격 (베르지니스) |
해당 시기 | 5월 |
위치 | |
적경 | 13h |
적위 | -4° |
남중일 | 5월 25일 오후 9시 |
사분면 | SQ3 |
보이는 위도 | 북위 80도 ~ 남위 80도 |
구글 지도 검색어 | 처녀자리 |
특징 | |
면적 | 1294 평방도 |
면적 순위 | 2위 |
주요 별 개수 | 9개, 15개 |
바이어 지정 별 개수 | 96개 |
행성 보유 별 개수 | 29개 |
밝은 별 개수 | 3개 |
가장 밝은 별 | 스피카 (α Vir) |
별 밝기 | 0.98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 로스 128 |
별까지의 거리 (광년) | 10.94 광년 |
별까지의 거리 (파섹) | 3.35 파섹 |
메시에 천체 개수 | 11개 |
유성우 | |
유성우 종류 | 처녀자리 유성우 뮤 처녀자리 유성우 |
인접 별자리 | |
인접 별자리 목록 | 목동자리 머리털자리 사자자리 컵자리 까마귀자리 바다뱀자리 천칭자리 뱀자리 (머리) |
2. 위치 및 특징
처녀자리는 북반구의 봄철에 밤새도록 관찰할 수 있는 별자리이다. 3월과 4월에 가장 잘 보이며, 황도 12궁 중 가장 크다. 태양은 이 별자리를 44일 동안 통과하는데, 이는 1990년부터 2062년까지 9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해당된다. 처녀자리는 남반구의 세 번째 사분면(SQ3)에 위치하며, 위도 +80°에서 -80° 사이에서 관찰 가능하다.[1]
밝은 별 스피카는 큰곰자리의 국자 손잡이 곡선을 목동자리의 아크투루스까지 연결한 뒤, 다시 그 곡선을 연장하면 찾을 수 있다. 세차운동 때문에 추분점은 현재 β 처녀자리 근처에 있다. 추분점은 천구 적도와 황도가 만나는 지점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물고기자리의 춘분점이다. 기원전 18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태양은 추분점에 천칭자리에 있었으나, 이후 처녀자리로 이동했으며, 약 2440년경에는 사자자리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2. 1. 주요 별
처녀자리는 밝은 별 스피카를 비롯하여 자비야바, 포리마, 아우바, 빈데미아트릭스 등 여러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외에도 헤제, 자니아, 시르마, Rijl al Awwa 등 비교적 어두운 별들에도 이름이 붙어 있다.2. 1. 1. 항성 목록
처녀자리는 종종 두 개의 밀 이삭을 갖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그 중 하나가 가장 밝은 스피카이다. 북두칠성의 국자로부터 목동자리의 '아크투르스'에 이르는 곡선을 연장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처녀자리의 주요 항성은 다음과 같다.
이름 | 별칭 | 기타 |
---|---|---|
스피카 | α별 | 처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하늘 전체의 21개 1등성 중 하나 |
β별 | 자비야바(Zavijava) | 4등성 |
γ별 | 포리마(Porrima) | 3등성 |
δ별 | 미넬라우바(Minelauva) | 3등성 |
ε별 | 빈데미아트릭스(Vindemiatrix) | 3등성 |
ζ별 | 헤제(Heze) | 3등성 |
η별 | 자니아(Zaniah) | 4등성 |
ι별 | 시르마(Syrma) | 4등성 |
κ별 | 캉(Kang) | 4등성, 이십팔수의 항수의 거성 |
λ별 | 캄발리아(Khambalia) | 5등성 |
φ별 | 엘가파르(Elgafar) | 5등성 |
μ별 | Rijl al Awwa | |
PSR B1257+12 | 리치 (Lich) | 펄서, 1992년에 외계 행성 2개 발견 |
HD 102195 | 플레게톤(주성), 레테(외계 행성) | 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이탈리아에 명명권 부여 |
HD 130322 | 묀히(주성), 아이거(외계 행성) | 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스위스에 명명권 부여 |
WASP-39 | 말목(주성), 보카프린스(외계 행성) | 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아루바에 명명권 부여 |
χ별 | 행성을 가진 사중연성 | |
59번별 | 행성을 가지고 있음 | |
61번별 | 3개의 행성을 가지고 있음 | |
70번별 | 목성의 6.6배 질량을 가진 행성을 가지고 있음 | |
W별 | II형 세페이드 변광성 중에서도 그 변광 주기가 10-20일인 서브클래스 "처녀자리 W형 변광성 (CW)"의 프로토타입 |
처녀자리 70 별은 초기에 알려진 태양계외 행성계로, 목성의 7.5배 질량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처녀자리 HW 별은 대한민국이 발견한 최초의 쌍성주위 행성계이다.
PSR B1257+12는 잘 알려진 펄사로, 980광년 떨어져 있으며, 3개의 펄사 행성이 있다.
처녀자리의 7개의 주요 별은 2개의 뚜렷한 별자리를 형성하는데,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및 에타 처녀자리는 "처녀자리의 그릇"으로 알려진 성군을 형성한다. 스피카 및 세타 처녀자리와 함께 Y 자 모양을 이룬다.
별 70 처녀자리는 질량이 목성의 7.5배인 행성이 하나 확인된 최초의 알려진 태양계 외 행성계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별 카이 처녀자리는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 중 가장 질량이 큰 행성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질량은 목성의 11.1배이다.
태양과 유사한 별 61 처녀자리는 세 개의 알려진 행성이 있는데, 하나는 슈퍼 지구이고 두 개는 해왕성 질량 행성이다.
SS 처녀자리는 눈에 띄는 붉은색을 띠는 변광성이다. 약 1년에 걸쳐 최소 9.6에서 최대 6.0까지 변동한다.
2. 1. 2. 외계 행성
처녀자리에는 PSR B1257+12(행성 3개), 70 처녀자리(행성 1개), 카이 처녀자리(행성 1개), 61 처녀자리(행성 3개), NY 처녀자리(행성 2개), 59 처녀자리(행성 1개)를 포함하여 29개의 별을 공전하는 35개의 확인된 외계 행성이 있다.처녀자리 70 별은 초기에 알려진 태양계외 행성계로, 목성의 7.5배 질량의 행성이 확인되었다.[1] 처녀자리 HW 별은 대한민국이 발견한 최초의 쌍성주위 행성계이다.[2]
펄사 PSR B1257+12는 980광년 떨어져 있으며, 3개의 펄사 행성이 있다.[3] 1992년에 외계 행성 2개가 발견되어, 태양계 이외에 행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진 최초의 천체이다.[4]
처녀자리 χ별은 행성을 가진 사중 연성이며, 처녀자리 59번별과 처녀자리 61번별은 각각 1개, 3개의 행성을 가지고 있다. 처녀자리 70번별은 목성의 6.6배 질량을 가진 행성을 가지고 있다.[5]
2. 2. 딥 스카이 천체
처녀자리는 처녀자리 은하단을 포함하여 수많은 은하들이 밀집해 있는 영역이다. 처녀자리 은하단은 처녀자리 ε별(빈데미아트릭스) 서쪽 5°에서 12° 사이에 위치하며, 메시에 49, 메시에 58, 메시에 60, 메시에 61, 메시에 84, 메시에 86, 메시에 87, 메시에 89, 메시에 90 등 다양한 은하들이 있다. 메시에 104(솜브레로 은하)는 나선 은하로, 스피카 서쪽 10°에 위치하며 처녀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은 아니다.2. 2. 1. 은하단
처녀자리 은하단은 처녀자리 ε별(빈데미아트릭스) 서쪽 5°에서 12°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많은 은하를 포함하고 있다.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하는 주요 은하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유형 |
---|---|
M49 | 타원 은하 |
M58 | 막대 나선 은하 |
M59 | 타원 은하 |
M60 | 타원 은하 |
M61 | 나선 은하 |
M84 | 렌즈상 은하 |
M86 | 렌즈상 은하 |
M87 | 타원 은하, 전파원 처녀자리 A와 동일 천체 |
M90 | 나선 은하 |
NGC 5775 | 나선 은하 |
M104(솜브레로 은하)는 나선 은하로, 스피카 서쪽 10°에 위치하며 처녀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은 아니다.
NGC 4639는 지구에서 78Mly 떨어진 막대 나선 은하이다. 외부 팔에 세페이드 변광성이 많아 표준 촛불로 사용되어, 더 멀리 떨어진 은하의 I형 초신성을 보정하는데 활용되었다.[3]
HCG 62는 지구에서 200Mly 떨어진 Hickson Compact Group으로, 중심에 거대한 타원 은하와 활동성 은하핵으로 인한 뜨거운 가스 헤일로를 가지고 있다.[3]
M87은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가장 큰 은하로, 지구에서 60Mly 떨어져 있다. 중심의 초거대 블랙홀에서 나오는 전자 제트 때문에 주요 전파원으로, 블랙홀 관측에 중요한 대상이다.[3] 2019년 4월 10일,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프로젝트는 M87 중심 블랙홀의 이미지를 공개했는데, 이는 블랙홀의 첫 직접적인 이미지였다.[4][5][6] 이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최소 72억 배로, 은하수 근처에서 가장 거대한 블랙홀 중 하나이다.[7]
M84는 또 다른 타원 전파 은하로, 지구에서 60Mly 떨어져 있다. 중심을 공전하는 가스 구름의 속도로 보아 태양 질량의 3억 배에 달하는 블랙홀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3]
솜브레로 은하(M104)는 지구에서 2,800만 광년 떨어진 나선 은하이다. 중심에 늙은 별로 구성된 벌지가 있고, 밝은 구상 성단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된 먼지 띠를 가지고 있다.[3]
NGC 4438은 지구에서 50Mly 떨어진 특이 은하로, 활동성 은하핵을 가지고 있다. 초거대 블랙홀은 78ly 직경의 거품을 생성하며 물질의 천체물리학적 제트를 방출한다.[3]
NGC 4261은 중심에서 20ly 떨어진 곳에 12억 태양 질량의 블랙홀을 가지고 있다. 지구에서 45Mly 떨어져 있으며, 300ly 직경의 먼지가 많은 디스크를 가지고 있다. M84 및 M87과 함께 전파 스펙트럼에서 강한 방출을 보인다.[3]
처녀자리에는 최초로 확인된 퀘이사인 3C 273이 있으며, 12.9등급으로 하늘에서 가장 밝은 광학 퀘이사이다.
2. 2. 2. 기타 천체
처녀자리에는 최초로 확인된 퀘이사인 3C 273과 최초의 암흑 은하 후보인 VIRGOHI21 등 특이 천체들이 있다. 3C 273은 하늘에서 가장 밝은 광학 퀘이사(등급 약 12.9)이다. VIRGOHI21은 처녀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이다.[3]NGC 4639는 지구에서 78Mly 떨어진 막대 나선 은하이다. 바깥쪽 팔에 세페이드 변광성이 많아 표준 촛불로 사용되어, 더 멀리 떨어진 은하의 I형 초신성을 보정하는데 활용되었다.[3]
HCG 62는 Hickson Compact Group의 일종으로, 지구에서 200Mly 떨어져 있으며, 중심에 거대한 타원 은하가 있다. 중심 타원 은하의 활동성 은하핵 때문에 매우 뜨거운 가스의 헤일로가 나타난다.[3]
M87은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가장 큰 은하로, 지구에서 60Mly 떨어져 있다. 중심의 초거대 블랙홀에서 나오는 전자의 제트 때문에 주요 전파원으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프로젝트를 통해 블랙홀의 첫 직접 이미지가 촬영되었다.[3][4][5][6] 이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최소 72억 배에 달한다.[7]
M84는 또 다른 타원 전파 은하로, 지구에서 60Mly 떨어져 있다. 중심을 공전하는 가스 구름의 속도로 미루어 보아, 태양 질량 3억 배의 블랙홀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3]
솜브레로 은하는 지구에서 2,800만 광년 떨어진 나선 은하이다. 중심에는 늙은 별로 구성된 벌지가 있고, 크고 밝은 구상 성단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된 먼지 띠가 있다.[3]
NGC 4438은 지구에서 50Mly 떨어진 특이 은하로, 활동성 은하핵을 가지고 있다. 초거대 블랙홀은 78ly 지름의 거품을 생성하며 물질의 천체물리학적 제트를 방출한다.[3]
NGC 4261은 중심에서 20ly 떨어진 곳에 12억 태양 질량의 블랙홀을 가진다. 지구에서 45Mly 떨어져 있으며, 300ly 지름의 먼지 디스크가 있다. M84 및 M87과 함께 전파 스펙트럼에서 강한 방출을 보인다.[3]
3. 역사와 신화
처녀자리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여신들과 연관되어 왔다. 정확히 누구를 뜻하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이시타르, 이시스, 퀴벨레, 성모 마리아, 아테나 등 대부분의 유명한 여신들과 관련되었다. 큰곰자리, 작은곰자리와 함께 칼리스토 전설의 일부로 여겨져 칼리스토나 헤라로 묘사되기도 했다.
3. 1. 기원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MUL.APIN(기원전 10세기경)에서 처녀자리의 일부는 여신 샬라와 그녀의 곡물 이삭을 나타내는 "쟁기"로 알려졌다. 이 별자리의 별 중 하나인 스피카는 라틴어로 "곡물 이삭"을 뜻하며, 이는 메소포타미아 쟁기의 주요 산물 중 하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 별자리는 풍요와 관련이 있게 되었다.[8] 히파르코스의 처녀자리는 두 개의 바빌로니아 별자리에 해당한다. 처녀자리의 동쪽 구역에 있는 "쟁기"와 서쪽 구역에 있는 "에루아의 잎"이다. 에루아의 잎은 종려 잎을 들고 있는 여신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후대 처녀자리 묘사에서도 가끔 나타나는 모티프이다.[9]처녀자리의 원형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로 여겨진다. 기원전 5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 점토판 문서 MUL.APIN에 기록된 별과 별자리에 따르면, 스피카는 "이랑"이라고 불렸다. 또한, 이집트 덴데라 하토르 신전에서 발견된 기원전 50년경의 천체도에는 이랑(Furrow)과 잎(Frond)의 두 별자리가 있으며, 두 명의 여성이 그려져 있었다. "이랑"은 옆의 사자자리 꼬리와 채찍, 또는 보리 이삭을 가지고 있었고, "잎"은 "엘아의 잎"이라고 불리는 대추야자 잎을 가지고 있었다. 후에 이 두 여성이 통합되어 한 사람이 되었고, 각각의 손에 보리 이삭과 잎을 가진 처녀자리의 모습이 되었다.
3. 2. 신화 속 처녀자리
처녀자리는 역사 속에서 이시타르, 이시스, 퀴벨레, 성모 마리아, 아테나 등 다양한 여신들과 관련되어 왔다. 큰곰자리, 작은곰자리와 함께 칼리스토 전설의 일부로 여겨져 칼리스토나 헤라로 묘사되기도 했다.[10]바빌로니아 천문학에서 처녀자리는 여신 샬라와 그녀의 곡물 이삭을 나타내는 "쟁기"로 알려졌다. 처녀자리의 별 스피카는 "곡물 이삭"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풍요와 관련이 깊다.[8] 히파르코스의 처녀자리는 동쪽의 "쟁기"와 서쪽의 "에루아의 잎" 두 개의 바빌로니아 별자리에 해당한다. 에루아의 잎은 종려 잎을 들고 있는 여신으로 묘사되어 후대 처녀자리 묘사에 영향을 주었다.[9]
초기 그리스 천문학에서는 밀, 농업, 가을의 여신인 데메테르와 연관시켰으며, 로마인들은 케레스와 연관시켰다. 또한, 정의의 여신 유스티티아 또는 아스트라이아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손에 정의의 저울(현재의 천칭자리)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10] 후기 고전 시대의 또 다른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테네의 이카리우스의 딸 에리고네로 묘사되기도 한다.[11] 디오니소스의 총애를 받던 이카리우스가 목동들에게 살해당하자, 에리고네는 슬픔에 잠겨 자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3. 2. 1.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이아
제우스와 테미스 여신의 딸 아스트라이아는 정의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녀의 상징인 정의의 저울은 천칭자리로 주변에 위치해 있다.[10] 아스트라이아는 신과 인간이 함께 살던 시절, 인간의 타락에 실망하여 하늘로 돌아간 마지막 신이었다. 그녀는 인간에게 정의를 가르치려 했으나, 결국 인간의 악함에 실망하여 스스로 하늘로 올라가 별자리가 되었다고 전해진다.[10]3. 2. 2.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하데스에게 납치되어 지하세계의 아내가 된 페르세포네는 지상 세계를 그리워했다. 딸을 잃은 데메테르는 슬픔에 빠져 대지를 황폐하게 만들었고, 이를 보다 못한 제우스가 하데스를 설득하여 페르세포네는 1년의 절반을 지상에서 어머니와 함께 지낼 수 있게 되었다. 봄이 되어 동쪽 하늘로 떠오르는 처녀자리는 지하세계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페르세포네의 모습이며, 딸을 만난 데메테르의 슬픔이 가시고 땅은 다시 활기를 찾게 된다.[12][13][14][15]3. 2. 3. 기타 신화
히기누스는 처녀자리를 아폴론과 크리소테미스의 딸 파르테노스와 연관짓기도 했다.[16] 파르테노스는 처녀로 죽어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다른 이야기를 전하는데, 파르테노스가 스타퓔로스와 크리소테미스의 딸이며, 로이오와 몰파디아(헤미테아)의 자매였다고 한다. 자살 시도 후 그녀와 헤미테아는 아폴론에 의해 케르소네소스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지역 여신이 되었다.[17] 스트라본도 케르소네소스 전역에서 숭배받는 파르테노스라는 여신을 언급한다.[18]중세 시대에는 처녀자리가 성모 마리아와 연관되기도 했다.[8]
3. 3. 추분점
세차운동의 영향으로 추분점은 β 처녀자리 근처, 천칭자리와의 경계 안쪽에 있다. 이곳은 천구 적도가 황도와 교차하는 두 지점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물고기자리에 있는 춘분점이다. 기원전 18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태양은 천칭자리에 추분점을 두었으나, 이후 처녀자리로 이동했다. 이 지점은 약 2440년경 인접한 사자자리로 이동할 것이다.[1]4. 점성술
참조
[1]
웹사이트
Night Sky~Big Dipper Navigation
http://souledout.org[...]
Souledout.org
2012-05-16
[2]
서적
Deep Sky Objects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3]
서적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Firefly Books
[4]
잡지
These Are the First Pictures of a Black Hole — And That's a Big, Even Supermassive, Deal
https://time.com/556[...]
2020-12-30
[5]
뉴스
Black Hole Picture Revealed for the First Time – Astronomers at last have captured an image of the darkest entities in the cosmos – Comments
https://www.nytimes.[...]
2020-12-30
[6]
뉴스
Black Hole Image Makes History
https://www.jpl.nasa[...]
NASA
2020-12-30
[7]
학술지
Galaxy structure from multiple tracers - II. M87 from parsec to megaparsec scales
2016-03-00
[8]
서적
Time and the Calendar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9]
서적
Babylonian Star-lore
Solaria Pubs
[10]
서적
Universe
DK
[11]
서적
Georgics
[12]
웹사이트
Virgo? Here's your constellation | Constellations
http://earthsky.org/[...]
2021-05-27
[13]
웹사이트
Hawaiian Astronomical Society - Virgo
http://www.hawastsoc[...]
[14]
웹사이트
Star Tales – Virgo
http://www.ianridpat[...]
[15]
웹사이트
Mythology of the constellation Virgo
https://www.heavens-[...]
[16]
서적
Poetical Astronomy
[17]
서적
Library of History
[18]
서적
Geography
[19]
웹사이트
A Distant Spiral in Virgo
https://esahubble.or[...]
2021-06-08
[20]
웹사이트
Hubble Inspects A Pair of Space Oddities
https://esahubble.or[...]
2023-08-24
[21]
뉴스
Webb peers behind bars
https://esawebb.org/[...]
2023-10-17
[22]
웹사이트
ねじれて広がるダストレーン ハッブル宇宙望遠鏡が撮影したレンズ状銀河「NGC 4753」
https://sorae.info/a[...]
sorae
2024-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