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 망원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양 망원경은 태양을 관측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천체 망원경이다. 최상의 회절 한계를 달성하기 위한 충분한 크기의 광학계가 필요하지만, 다른 천문 망원경에 비해 빛 수집 능력은 상대적으로 작다. 전문적인 태양 망원경은 열, 난류, 좁은 시야각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수한 기술과 구조를 갖추고 있다. 태양 망원경은 태양의 미세 구조, 동태, 자기장 및 전자기파 방사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며, 태양 활동 관측은 기상 및 항공우주 분야에 중요하다. 아마추어 천문학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태양을 관측하며, 여러 태양 관측 임무를 통해 태양의 활동과 그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 관측 도구 - 육분의
육분의는 존 해들리와 토마스 고드프리가 개발한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도구로, 넓은 시야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특히 해군에서 백업 항해 도구로 사용된다. - 천문 관측 도구 - 사분의
사분의는 천구의 4분의 1 크기로 제작되어 각도 측정에 사용되는 천문 관측 기구로, 고대 인도에서 기원하여 이슬람 천문학을 거쳐 유럽으로 전파되면서 항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휴대성을 높인 형태로 발전하여 천체의 고도 측정, 시간 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다. - 망원경 형식 - 카세그레인식 망원경
- 망원경 형식 - 뉴턴식 망원경
뉴턴식 망원경은 아이작 뉴턴이 발명한 반사 망원경으로, 포물면 주반사경과 평면 부반사경을 사용하여 빛을 모아 상을 만들며 색수차가 없고 대구경 제작에 유리하지만 코마 수차와 회절 현상 등의 단점이 있어 천문 관측, 교육, 연구에 널리 쓰이고 돕소니안 망원경 등으로 변형된다. - 태양 - 하지
하지는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로,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절기이며 여름의 절정을 의미하고, 기온 상승과 장마 시작, 백야 현상과 함께 다양한 풍습과 음식 문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 태양 - 선글라스
선글라스는 눈부심 감소와 자외선 차단을 주 목적으로 하는 안경으로, 과거 눈부심 방지 및 표정 은폐 용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패션 아이템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발전해 왔지만, 저가 제품의 성능 미흡이나 과도한 자외선 차단에 대한 논란도 있다.
태양 망원경 | |
---|---|
개요 | |
유형 | 망원경 |
용도 | 태양 관측 |
상세 정보 | |
특징 | 필터 사용 분광기 사용 |
목적 | 태양의 광구, 채층, 코로나 연구 |
기술 | |
기술적 어려움 | 열 관리 대기 교란 보정 |
주요 태양 망원경 | |
지상 | 국립 태양 천문대 스웨덴 태양 망원경 그레고리 태양 망원경 |
우주 | 태양 역학 관측소 (SDO) 태양·헬리오스피어 관측 위성 (SOHO) IRIS 다중파장 이미징 망원경 배열 (Hi-C) 유클리드 JUICE 프라바 솔라 오비터 |
추가 정보 | |
관련 기술 | 코로나그래프 |
2. 전문적인 태양 망원경
전문적인 태양 망원경은 높은 분해능과 집광력을 위해 대구경을 채택하며, 태양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수한 설계 및 냉각 시스템을 사용한다.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므로, 항성 물리학을 고해상도로 연구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1990년대까지[3] 표면을 분해하여 관측할 수 있었던 유일한 별이었다. 태양 천문학자들이 관심을 갖는 일반적인 주제는 태양 주기(11년 주기), 태양 흑점, 자기장 활동 (태양 발전기 참조), 태양 플레어, 코로나 질량 방출, 미분 회전 및 플라스마 물리학이다.
최전선에서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망원경의 구경은 1m 내외 정도이다. 태양열에 의해 (기온역전처럼) 공기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상이 악화되는 현상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초점 거리를 길게 잡고, 망원경 내부·광로를 진공으로 하여 상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등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관측 장치를 지상부/지하부에 고정해 두고, 헬리오스타트를 이용하여 태양의 추적·광 도입을 행하는 형식도 있다. 관찰에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분광기에 의한 태양광의 스펙트럼 분포 등이 특히 이용된다. X선 등 단파장의 전자기파는 지상에서 관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공위성에 탑재된 것이 사용된다(태양 관측 위성).
2. 1. 태양 망원경의 특징
태양 망원경은 최상의 회절 한계를 달성하기 위해 충분히 큰 광학계가 필요하지만, 다른 천문 망원경에 비해 빛 수집 능력은 낮은 편이다. 최근에는 더 좁은 필터와 더 높은 프레임 속도로 인해 광자 부족 작동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1] 다니엘 K. 이노우예 태양 망원경과 EST는 해상도 향상뿐 아니라 빛 수집 능력을 높이기 위해 더 큰 구경을 가지고 있다.태양 망원경은 낮에 작동하기 때문에, 망원경 주변 지면이 가열되어 난류가 발생하고 해상도가 저하되므로, 야간 망원경보다 시상이 일반적으로 더 나쁘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태양 망원경은 보통 탑 위에 건설되며 구조물은 흰색으로 칠해진다. 네덜란드 개방형 망원경은 바람이 구조 전체를 통과하여 망원경의 주 반사경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개방형 프레임 위에 건설되었다.
집중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태양 망원경의 또 다른 문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열 차단 장치는 태양 망원경 설계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다니엘 K. 이노우예 태양 망원경의 경우 열 부하는 2.5MW/m2이며 최대 출력은 11.4kW이다.[2] 이러한 열 차단 장치의 목표는 이러한 열 부하를 견딜 뿐만 아니라 돔 내부에 추가적인 난류를 유발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차갑게 유지하는 것이다.
전문적인 태양 관측소는 매우 긴 초점 거리를 가진 주요 광학 요소를 가질 수 있으며(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네덜란드 개방형 망원경), 망원경 내부의 대류로 인한 공기 흐름을 제거하기 위해 진공 또는 헬륨에서 작동하는 광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1미터가 넘는 구경에서는 진공관 입구 창의 압력 차이가 너무 커져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니엘 K. 이노우예 태양 망원경과 EST는 돔의 능동 냉각을 통해 망원경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다.
태양의 하늘을 가로지르는 경로가 좁기 때문에 일부 태양 망원경은 고정 위치에 설치되며(때로는 지하에 매설되기도 함) 태양을 추적하는 유일한 움직이는 부분은 헬리오스타트이다. 맥매스-피어스 태양 망원경이 그 예이다.

2. 2. 주요 태양 망원경 목록
망원경 이름 | 가동 시작 | 구경 |
---|---|---|
아인슈타인 타워(Einsteinturm) | 1924년 | |
맥베쓰-피어스 태양 망원경 | 1961년 | 1.6m |
맥베쓰 - 헐버트 천문대 | 1941년 ~ 1979년 | 61cm |
스웨덴 진공 태양 망원경 | 1985년 ~ 2000년 | 47.5cm |
스웨덴 1m 태양 망원경 | 2002년 | 1m |
리처드 B. 던 태양 망원경 | 1969년 | 1.63m |
윌슨산 천문대 | ||
네덜란드 개방형 망원경 | 1997년 | 45cm |
테이데 천문대 | ||
* 진공식 타워형 망원경 | 1989년 | 70cm |
* GREGOR 태양 망원경 | 2012년 | 1.5m |
굿 태양 망원경 | 2009년 | 1.6m |
다오청 태양 전파 망원경 | 313개 포물선 안테나 | |
다니엘 K. 이노우에 태양 망원경 (DKIST) | 4m | |
유럽 태양 망원경 (EST) | (제안) | 4m |
중국 거대 태양 망원경 (CGST) | (제안) | 5m ~ 8m |
인도 국립 대형 태양 망원경 (NLST) | (제안) |
대부분의 태양 관측소는 가시광선, 자외선, 근적외선 파장에서 광학적으로 관측하지만, 지구 대기의 흡수 때문에 지표면에서는 관측할 수 없는 다른 태양 현상도 관측할 수 있다.
3. 태양 관측의 종류
태양 활동 관측은 기상학 및 항공우주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태양 활동은 기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태양 플레어는 오로라 외에도 전자기파 장애를 일으켜 인공위성 문제나 우주비행사의 방사선 피폭, 지구 통신 장애 및 전자 장비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항성 활동 메커니즘은 아직 불명확한 점이 많아(태양#태양의 수수께끼 참고) 천문학·물리학적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체 관측에는 천체 망원경을 사용하지만, 태양은 광량이 커 특별한 태양 관측용 망원경인 태양 망원경이 필요하다. 태양 망원경은 태양면의 미세 구조, 동태, 자기장 및 전자기파 방사 연구에 사용되며, 활동 주기 특정에도 활용된다.
연구용 태양 망원경은 구경이 1m 내외이며, 태양열로 인한 공기 흔들림( 기온역전 참조)을 줄이기 위해 초점 거리를 길게 하고 망원경 내부·광로를 진공으로 만드는 등 견고하게 제작된다.
헬리오스타트를 이용하여 태양 추적 및 광 도입을 하는 형식도 있으며, 회절격자를 이용한 분광기로 태양광 스펙트럼 분포를 관찰한다.
X선 등 단파장 전자기파는 지상 관측이 어려워 인공위성에 탑재된 태양 관측 위성을 사용한다.
3. 1. 다양한 관측 방법
4. 아마추어 태양 망원경
아마추어 천문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태양을 관측한다.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흰 종이, 빛 차단 필터, 허셸 웨지[17], 수소-알파 필터, 단광 태양경 등 다양한 장비들을 사용한다. 전문적인 망원경과는 다르게 아마추어 태양 망원경은 대개 훨씬 작다.
4. 1. 아마추어 관측 방법
아마추어 천문학 분야에서는 태양을 관측하는 데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아마추어들은 흰 종이에 태양 상을 투영하는 간단한 시스템, 빛을 차단하는 천체 필터, 빛과 열의 95%를 접안렌즈에서 차단하는 허셜 프리즘[4][17], 수소-알파 필터 시스템, 그리고 심지어 직접 만든 분광 태양망원경까지 다양한 장비를 사용한다. 전문가용 망원경과는 달리, 아마추어용 태양 망원경은 일반적으로 훨씬 작다.

과거에는 망원경을 이용한 태양 관측에 초강력 감광 필터가 사용되었다. 이는 고성능 차광 유리(용접용 차광 유리와 유사)를 사용한 감광 필터를 접안렌즈 부분에 장착하여 강렬한 태양광을 줄여서 관측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감광 필터는 열에 견디지 못하고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곧바로 실명 등으로 이어지는 위험한 문제였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접안부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흰색 투영판을 설치하고 망원경을 "프로젝터"로 이용하여 관측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동시에 여러 사람이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관측되는 태양 상은 명암비가 낮고, 투영판을 치우고 들여다보면 역시 위험하다.
반대로, 대물렌즈 쪽에 감광 필터를 부착하여 관측하는 방법이 있다. 수천 분의 일에서 수만 분의 일의 광선 투과율을 가진 금속 박막증착 유리 필터나 특수 필름을 대물렌즈 앞에 부착하면 비교적 안전하게 태양을 직접 관측할 수 있다.
최근 아마추어 관측용으로는 고성능 간섭 필터를 사용한 태양 망원경이 보급되고 있다. 이것은 주로 Hα선(파장 656.28nm)을 고성능 밴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관측하는 것으로 태양 플레어를 직접 관측할 수 있다. 또한 개기일식이 아니더라도 홍염(프로미넌스)을 관측할 수 있다.
아마추어 용도에서는 망원경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것은 운영상 현실적이지 않으므로 소구경의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반사 망원경은 열에 의해 망원경 내부에 기류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다.
5. 태양탑
태양탑은 태양을 연구하기 위한 장비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일반적으로 태양 망원경 설계의 일부이다. 태양탑 관측소는 진공탑 망원경이라고도 한다. 태양탑은 지면의 태양열 가열과 대기 중으로의 열 방출로 인한 대기 난류 위로 관측 장비를 들어올리는 데 사용된다. 전통적인 관측소는 야간에 대부분의 관측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면 방사가 최소화되므로 지상 높이 위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이 용어는 체렌코프 복사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태양탑 대기 체렌코프 효과 실험(STACEE) 및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의 태양열 발전탑과 같이 실험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구조물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5. 1. 주요 태양탑
윌슨 산 천문대의 수평형 스노우 태양 관측소는 1904년에 건설되었다. 곧 열 방사가 관측을 방해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08년에는 약 18.29m 높이의 탑이, 1912년에는 약 45.72m 높이의 탑이 건설되었다. 60피트 탑은 현재 태양 지진학 연구에 사용되고 있으며, 150피트 탑은 UCLA의 태양 주기 프로그램에서 활동하고 있다.다른 태양 망원경으로는 리처드 B. 던 태양 망원경, 므동 태양 관측소 탑 등이 있다.
6. 태양 물리학 주요 임무
태양 지구 관계 관측소(STEREO), 태양 역학 관측소, 파커 태양 탐사선, 태양 궤도선(SolO), 큐브샛 포 솔라 파티클(CuSP), 아디티아-L1 등 여러 탐사선이 태양 물리학 연구를 위해 발사되었다. 이들은 태양 및 코로나 질량 방출과 같은 태양 현상의 입체 영상, 태양 고에너지 입자와 자기장, 태양 코로나의 역학 등을 연구한다.[6][7][8][9][10][11][12][13][14]
6. 1. 주요 임무 목록
- 태양 지구 관계 관측소(STEREO)는 2006년 10월에 발사되었다. 두 개의 동일한 우주선이 발사되어 각각 지구보다 앞서거나 뒤처지는 궤도를 돌게 되었다. 이를 통해 태양과 코로나 질량 방출과 같은 태양 현상의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다.[6][7]
- 태양 역학 관측소는 2010년에 발사되어 지구 주위의 정지궤도에서 태양을 관측한다.[8]
- 파커 태양 탐사선은 2018년 델타 IV 헤비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으며, 2025년에는 근일점이 0.046AU에 도달하여 최초로 태양 코로나 저궤도를 비행하는 인공위성으로서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이 될 것이다.[9]
- 태양 궤도선(SolO)은 2020년에 발사되었으며, 최소 근일점이 0.28AU에 달하여 태양을 향한 카메라를 가진 가장 가까운 위성이 될 것이다.[10]
- 큐브샛 포 솔라 파티클(CuSP)은 2022년 11월 16일 아르테미스 1호에 추가탑재되어 입자와 자기장을 연구하기 위해 발사되었다.[11][12]
- 인도우주연구기구는 2023년 9월 2일에 ''아디티아-L1''이라는 100kg 위성을 발사했다.[13] 주요 장비는 태양 코로나의 역학을 연구하기 위한 코로나그래프이다.[14]
7. 태양 연구의 의의 (일본어판 참고)
태양 활동 관측은 기상학, 항공우주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태양 활동은 기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태양의 폭발적인 활동으로 인한 태양 플레어는 오로라 외에도 전자기파 장애 등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인공위성의 문제나 우주비행사의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건강 피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지구상에서도 통신 장애나 전자 장비 오작동의 큰 원인이 된다.[1]
또한, 항성의 활동 메커니즘은 아직 불명확한 점이 많이 있으며(태양#태양의 수수께끼 등 참고), 천문학·물리학적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1]
8. 연구 용도 (일본어판 참고)
태양면의 미세 구조, 동태, 자기장 및 전자기파 방사 연구에 사용된다. 또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활동 주기를 특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최전선에서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태양 망원경의 구경은 1m 내외 정도이다. 태양열에 의해 (기온 역전처럼) 공기가 흔들려 상이 나빠지는 현상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초점 거리를 길게 하고 망원경 내부·광로를 진공으로 만들어 상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등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1]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연구용 태양 망원경은 비슷한 사양의 다른 망원경보다 견고한 경우가 많다.[1]
관측 장치를 지상부/지하부에 고정해 두고, 헬리오스타트를 이용하여 태양을 추적하고 빛을 도입하는 형식도 있다.[1]
관찰에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분광기에 의한 태양광의 스펙트럼 분포 등이 특히 이용된다.[1]
X선 등 단파장 전자기파는 지상에서 관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공위성에 탑재된 태양 관측 위성이 사용된다.[1]
참조
[1]
논문
Limitations and Opportunities for the Diagnostics of Solar and Stellar Magnetic Fields
http://adsabs.harvar[...]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01
[2]
웹사이트
Heat Stop Concepts
http://atst.nso.edu/[...]
2011-05-28
[3]
논문
The surface structure and limb-darkening profile of Betelgeuse
1997-09
[4]
서적
Total Eclipses: Science, Observations, Myths and Legend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웹사이트
H-alpha Solar Telescopes - An In-depth Discussion and Survey
http://www.ianmoriso[...]
Professor Morison's Astronomy Digest
2020-04-17
[6]
웹사이트
STEREO Spacecraft & Instruments
http://www.nasa.gov/[...]
2006-05-30
[7]
논문
Sun Earth Connection Coronal and Heliospheric Investigation (SECCHI)
https://orbi.uliege.[...]
2019-08-25
[8]
웹사이트
Solar Dynamics Observatory (SDO)
https://pweb.cfa.har[...]
2024-05-31
[9]
뉴스
Our sun will never look the same again thanks to two solar probes and one giant telescope
https://www.space.co[...]
Space.com
2020-03-09
[10]
웹사이트
Solar Orbiter
https://www.esa.int/[...]
2022-03-29
[11]
웹사이트
Artemis 1 will carry a space weather cubesat to study solar wind
https://www.space.co[...]
2024-05-26
[12]
웹사이트
CuSP
https://science.nasa[...]
NASA
2024-05-26
[13]
웹사이트
2 key Gaganyaan crew abort tests, Aditya top priority
https://timesofindia[...]
2022-02-02
[14]
웹사이트
Aditya L-1: After Chandrayaan 2, ISRO to pursue India's first mission to the Sun in 2020
https://www.firstpos[...]
2019-08-02
[15]
논문
Limitations and Opportunities for the Diagnostics of Solar and Stellar Magnetic Fields
http://adsabs.harvar[...]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6]
논문
Heat Stop Concepts
http://atst.nso.edu/[...]
2013-12-10
[17]
서적
Total eclipses: science, observations, myths, and legends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