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산자리 파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이블산자리 파이는 테이블산자리 방향으로 약 59광년 떨어진 G형 주계열성이다. 이 별 주위에는 세 개의 행성이 발견되었는데, 가장 먼저 발견된 테이블산자리 파이 b는 질량이 큰 외계 행성 또는 갈색 왜성으로, 2064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테이블산자리 파이 c는 지구의 약 2배 크기의 슈퍼 지구로, 6.27일의 짧은 주기로 별을 공전한다. 2022년에는 테이블산자리 파이 d가 발견되었으며, 약 125일의 공전 주기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이블산자리 - 대마젤란 은하
대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로, 불규칙 은하 또는 마젤란형 왜소나선은하로 분류되며, 뚜렷한 중심 막대와 나선팔 구조,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인 타란툴라 성운을 포함하고, 약 16만 광년 떨어져 별의 탄생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천체이자 초신성 SN 1987A가 관측된 은하이다. - 테이블산자리 - 테이블산자리 알파
- G형 준거성 - 목동자리 에타
목동자리 에타는 목동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무프리드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황색 준거성이자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는 금속 과잉 별이다. - G형 준거성 - 글리제 777
글리제 777은 백조자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황색 준거성 글리제 777 A와 적색 왜성 글리제 777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글리제 777 A는 두 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외계 행성 탐사 및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테이블산자리 파이 | |
---|---|
기본 정보 | |
별자리 | 테이블산자리 |
겉보기 등급 | +5.65 |
명칭 | |
다른 이름 | B=π Men CD=-80° 195 CPD=-80° 161 GJ 9189 HD 39091 HIP 26394 HR 2022 LFT 429 LHS 208 LTT 2359 SAO 258421 TOI 144 |
위치 정보 | |
시선 속도 | 10.71 ± 0.12 km/s |
고유 운동 - 적경 | 310.909 밀리초각/년 |
고유 운동 - 적위 | 1049.060 밀리초각/년 |
연주시차 | 54.6825 밀리초각 |
절대 등급 | +4.35 ± 0.01 |
특징 | |
분광형 | G0 V |
색 지수 (R-I) | 0.29 |
색 지수 (V-R) | 0.31 |
색 지수 (B-V) | 0.60 |
색 지수 (U-B) | 0.11 |
변광성 여부 | 없음 |
물리적 특성 | |
질량 | 1.11 ± 0.01 태양질량 |
반지름 | 1.15 ± 0.01 태양반지름 |
광도 | 1.532 ± 0.004 태양광도 |
표면 중력 (log g) | 4.35 ± 0.01 |
유효 온도 | 6013 ± 18 K |
금속 함량 ([Fe/H]) | 0.09 |
자전 속도 | 2.96 km/s |
나이 | 34 ± 6 억 년 |
2. 행성계
2001년 10월 15일, 테이블산자리 파이 주위를 공전하는 첫 번째 외계 행성인 테이블산자리 파이 b가 발견되었다.[1] 이 행성은 당시 발견된 외계 행성 중 가장 질량이 큰 행성 중 하나였으며, 궤도 이심률이 매우 큰 타원 궤도를 가지고 있었다. 2018년 9월, NASA의 행성 탐사 위성(TESS)의 관측 데이터를 통해 테이블산자리 파이 c가 발견되었다.[3] 이 행성은 지구의 약 2배 크기를 가진 슈퍼 지구로, 6.27일의 짧은 주기로 별 주위를 공전한다. 2022년 3월, 고정밀 시선 속도법 관측을 통해 테이블산자리 파이 d가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약 125일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행성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동반 천체 | 질량 | 공전 주기 | 궤도 긴반지름 | 이심률 |
---|---|---|---|---|
c | M⊕ | 0 | ||
d | ≥ M⊕ | |||
b | MJ |
2. 1. 테이블산자리 파이 b
2001년 10월 15일 이 별 주위를 도는 행성 하나가 발견되었다.[1] 이 행성은 당시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가장 무거웠다. 행성의 궤도는 이심률이 0.64로 매우 컸으며, 항성에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극단적인 궤도를 그린다. 테이블산자리 파이 b는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 중 가장 질량이 큰 행성 중 하나이다.이 행성의 큰 질량과 이심률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에 존재했을지도 모를 지구형 행성의 궤도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항성계 밖으로 튕겨져 나가게 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정밀 관측 데이터와 천체 측정법을 통해, 이 천체의 질량은 목성의 14.1배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갈색 왜성의 범주에 속한다.
2. 2. 테이블산자리 파이 c
테이블산자리 파이 c는 지구 질량의 약 4.82배, 반지름은 지구의 약 2.14배인 슈퍼 지구이다.[3] 6.27일의 매우 짧은 주기로 별 주위를 공전하며, 원형에 가까운 궤도를 가진다.[3] 이 행성은 행성 탐사 위성(TESS)에 의해 발견된 첫 번째 외계 행성으로,[3] 향후 행성 대기 연구에 적합한 대상으로 여겨진다.가이아 DR2와 ''히파르코스'' 천체 측정법을 사용한 분석에 따르면 행성 b와 c는 49°−131°(1 시그마)로 서로 기울어진 궤도에 위치해 있어 행성 c가 대부분의 경우에 통과하지 않으며, 모성 별의 자전축과 큰 어긋남을 갖게 된다.[4]
행성 c는 넓은 궤도에서 형성된 후, 행성 또는 갈색 왜성 b의 중력적 영향으로 안쪽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5] 원시적이고 휘발성이 높은 대기의 일부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6]
2. 3. 테이블산자리 파이 d
테이블산자리 파이 d는 지구 질량의 최소 13.38배인 행성으로, 약 124.64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궤도 이심률은 0.220이다. 2022년에 시선 속도법을 통해 처음 발견이 보고되었고, 이후 2023년 연구에서 존재가 확인되었다. 2022년의 다른 연구에서는 이 행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2. 4. 행성계의 역학적 진화
2020년, 가이아 DR2와 ''히파르코스'' 천체 측정법을 사용한 분석에 따르면, b와 c 행성은 49°−131°(1 시그마)로 서로 기울어진 궤도에 위치해 있다.[4] 이는 행성 c가 대부분의 경우 모성 별을 통과하지 않으며, 모성 별의 자전축과 크게 어긋남을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c는 넓은 궤도에서 형성된 후, b (행성 또는 갈색 왜성)의 중력적 영향으로 안쪽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5] 또한, c는 원시적이고 휘발성이 높은 대기의 일부를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6]
참조
[1]
간행물
A probable planetary companion to HD 39091 from Anglo-Australian Planet Search
https://arxiv.org/ab[...]
[2]
간행물
Mass constraints on substellar companion candidates from the re-reduced Hipparcos intermediate astrometric data: nine confirmed planets and two confirmed brown dwarfs
2011
[3]
간행물
TESS Discovery of a Transiting Super-Earth in the π Mensae System
[4]
간행물
Evidence for a high mutual inclination between the cold Jupiter and transiting super Earth orbiting π Men
[5]
간행물
Orbital misalignment of the super-Earth π Men c with the spin of its star
[6]
간행물
A 20 Second Cadence View of Solar-type Stars and Their Planets with TESS: Asteroseismology of Solar Analogs and a Recharacterization of π Men C
[7]
Arxiv
TESS Discovery of a Transiting Super-Earth in the π Mensae System
[8]
웹사이트
A Radial Velocity Study of the Planetary System of Pi Mensae: Improved Planet Parameters for PI Mensae c and a Third Planet on a 125-d Orbit
https://arxiv.org/ab[...]
2022-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