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압은 흙이 구조물에 가하는 수평 방향의 압력을 의미하며, 흙막이 구조물 설계에 중요한 요소이다. 수평 토압은 토압 계수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토압 계수는 수직 응력에 대한 수평 응력의 비로 정의된다. 토압은 흙의 상태에 따라 정지 토압, 주동 토압, 수동 토압으로 구분되며, 각각 변위가 없는 경우, 흙이 팽창하여 파괴되는 경우, 흙이 압축되어 파괴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토압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랭킨의 이론, 쿨롱의 이론 등이 있으며, 동적 조건에서의 토압 계산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압 | |
|---|---|
| 개요 | |
| 정의 | 흙 속에 작용하는 압력 |
| 작용 방향 | 수평 방향 |
| 관련 분야 | 토질역학 지반공학 |
| 종류 | |
| 정지 토압 | 흙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용하는 압력 |
| 주동 토압 | 흙이 팽창함에 따라 감소하는 압력 |
| 수동 토압 | 흙이 압축됨에 따라 증가하는 압력 |
| 영향 요인 | |
| 흙의 종류 | 모래 점토 |
| 흙의 함수비 | 흙 속에 포함된 물의 양 |
| 흙의 다짐 정도 | 흙 입자들이 얼마나 빽빽하게 채워져 있는지 |
| 지하수위 | 지하수의 수면 높이 |
| 구조물의 변위 | 구조물이 움직이는 정도 |
| 활용 | |
| 옹벽 설계 | 흙의 압력에 저항하는 벽 설계 |
| 터널 설계 | 터널 주변 흙의 압력을 고려한 설계 |
| 지하 구조물 설계 | 지하 구조물에 작용하는 흙의 압력 고려 |
| 사면 안정 해석 |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 |
| 계산 방법 | |
| Rankine 토압 이론 | 흙의 내부 마찰각과 흙의 단위 중량을 이용하여 토압 계산 |
| Coulomb 토압 이론 | 흙과 구조물 사이의 마찰을 고려하여 토압 계산 |
| 유한 요소법 | 복잡한 지반 조건에서 토압 계산 |
2. 수평 토압 이론
흙에 중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 압력을 계산하는 이론을 수평 토압 이론이라고 한다. 횡방향 토압 이론 또는 간단히 토압 이론이라고도 부른다. 옹벽, 널말뚝과 같은 흙막이 구조물은 흙으로부터 수평 압력을 받으며,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흙막이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 수평 토압 이론이 사용된다.
수평 토압은 흙막이 구조물에 변위가 없는 경우의 정지 토압, 흙이 팽창하여 파괴되는 순간의 주동 토압, 흙이 압축되어 파괴되는 순간의 수동 토압,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2] 정지 토압은 지하 배수구, 박스 암거, 지하실 벽체 등 변위를 거의 허용하지 않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주동 토압은 옹벽이 뒤채움 흙의 압력으로 전도될 때 작용하며, 수동 토압은 벽체가 외력을 받아 뒤채움 흙쪽으로 눌릴 때 발생한다.
수평 토압은 연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 응력 에 대한 수평 응력 의 비, 즉 토압 계수 를 이용해 나타낼 수 있다.
:
수평토압 계수 K는 수평 유효 응력, σ’h와 수직 유효 응력, σ’v의 비로 정의된다. 유효 응력은 토질역학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 응력에서 간극 수압을 뺀 입자 간 응력이다. 특정 토층에 대한 K는 토질 특성과 응력 이력의 함수이다. K의 최소 안정 값은 주동토압 계수 Ka라고 하며, 주동토압은 예를 들어 옹벽이 흙으로부터 멀어질 때 얻어진다. K의 최대 안정 값은 수동토압 계수 Kp라고 하며, 수동토압은 예를 들어 흙을 수평으로 밀어내는 수직 쟁기에 대항하여 발생한다. 토양에 수평 변형률이 없는 수평 지반 퇴적의 경우 "정지" 수평토압 계수 K0이 얻어진다.
수평토압을 예측하는 많은 이론이 있으며, 일부는 경험적 기반이고 일부는 분석적으로 파생된다.
정지 상태에 있는 물에서, 어떤 지점에서의 수압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물의 단위 체적 중량에 해당 지점보다 위에 있는 물의 높이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토압의 경우, 연직 방향에 관해서는 흙의 단위 체적 중량에 깊이를 곱한 값이 토압이 되며, 이는 물과 동일하다. 반면, 수평 방향은 흙의 단위 체적 중량에 깊이를 곱한 값의 0.4~0.7배가 토압이 된다. 흙의 상태에 따라 수평 토압의 값이 바뀌며, 각각 주동 토압, 수동 토압, 정지 토압이라고 불린다.
3. 수평 토압의 종류

토압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가 있다.
수평 토압과 변위의 관계는 위 그림과 같다.
각 지반의 상태는 위 그림과 같으며, , , 는 각각 정지 토압 계수, 주동 토압 계수, 수동 토압 계수를 나타낸다.
주동 토압과 수동 토압은 랭킨(Rankine) 토압과 쿨롱(Coulomb) 토압,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3. 1. 정지 토압의 계산
정지 토압 계수()는 팽창계 시험, 공내 재하 시험 등을 통해 결정하거나, 경험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유효응력으로 표시된 내부마찰각)
:
:(여기서 OCR은 과압밀비)
브루커와 아이얼랜드[10]가 정규 압밀점토에 대해 제안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배수마찰각)
과압밀비를 이라고 하면, 과압밀점토에 대해서,(즉 OCR>1인 경우)
:
:(여기서 는 과압밀점토의 수평 토압 계수, 는 정규압밀점토의 수평 토압 계수)
3. 2. 주동 및 수동 토압의 계산
수평토압 계수 K는 수평 유효 응력과 수직 유효 응력의 비로 정의된다. 토질역학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효 응력은 전체 응력에서 간극 수압을 뺀 입자 간 응력이다. 특정 토층에 대한 K는 토질 특성과 응력 이력의 함수이다. K의 최소 안정 값은 주동토압 계수 Ka이며, 옹벽이 흙으로부터 멀어질 때 얻어진다. K의 최대 안정 값은 수동토압 계수 Kp이며, 흙을 수평으로 밀어내는 수직 쟁기에 대항하여 발생한다.[2] 토양에 수평 변형률이 없는 수평 지반 퇴적의 경우 "정지" 수평토압 계수 K0이 얻어진다.
수평토압을 예측하는 많은 이론이 있으며, 일부는 경험적 기반이고 일부는 분석적으로 파생된다.
쿨롱(1776)[2]은 옹벽에 작용하는 측방 토압 문제를 처음으로 연구했다. 그는 한계 수평 토압을 결정하기 위해 파괴되는 토괴를 자유 물체로 간주하는 한계 평형 이론을 사용했다. 쿨롱의 주요 가정은 파괴면이 평면이라는 것이다.
Mayniel (1808)[16]은 쿨롱의 방정식을 벽 마찰(로 표시)을 고려하도록 확장했다. Müller-Breslau (1906)[17]은 비수평 뒷채움 및 비수직 토벽 인터페이스(수직에서 각도로 표시)에 대해 Mayniel의 방정식을 더욱 일반화했다.
:
:
위의 방정식을 계산하거나 상업용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대신, 일반적인 경우에 대한 표가 담긴 책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신 수평 부분 가 표로 정리된다. 이것은 에 를 곱한 것과 같다.
실제 토압력 는 흙의 무게로 인한 부분 과 추가 하중으로 인한 부분 의 합에서 점착력이 있는 부분 을 뺀 것이다.
는 벽 높이에 걸쳐 압력을 적분한 것으로, 흙의 비중량에 를 곱한 값에 벽 높이의 제곱의 절반을 곱한 것과 같다.
옹벽 위의 테라스에 균일한 압력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는 이 압력에 와 벽 높이를 곱한 것과 같다. 이것은 테라스가 수평이거나 벽이 수직인 경우에 적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에 를 곱해야 한다.
는 일반적으로 점착력 값이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없는 한 0으로 가정한다.
는 벽의 바닥에서 높이의 1/3 지점에서 벽 표면에 작용하며 벽에서 직각을 이루는 각도 를 이룬다. 는 동일한 각도에서 작용하지만 높이의 1/2 지점에서 작용한다.
모노노베-오카베[19][20]와 카필라[21]의 동적 활성 및 수동 상태에 대한 토압 계수는 쿨롱 해법과 동일한 기준으로 얻어졌다.
:
:
여기서, 와 는 각각 수평 및 수직 가속도의 지진 계수이고, , 는 수직면에 대한 구조물의 뒷면 경사각이고, 는 구조물과 흙 사이의 마찰각이며, 는 뒷면 경사각이다.
Mazindrani와 Ganjale[28]는 경사진 지반을 가진 점착-마찰 지반에 의해 마찰이 없고 비 경사진 벽에 작용하는 토압 문제에 대한 해석적 해법을 제시했다. 유도된 방정식은 능동 상태와 수동 상태 모두에 대해 아래와 같다.
:
:
능동 및 수동 토압에 대한 수평 성분은 다음과 같다.
:
:
3. 2. 1. 랜킨(Rankine)의 이론
1857년 랜킨(Rankine)이 제안한 이론으로, 소성 평형 상태에서 주동 토압과 수동 토압을 해석적으로 계산한다. 흙은 점착력이 없고(c=0), 벽체는 마찰이 없으며, 벽체와 흙의 접촉면은 수직이고, 파괴시의 활동면은 평면이라고 가정한다.
주동 토압 계수()와 수동 토압 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여기서 는 지표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는 흙의 내부마찰각이다.
지표면이 수평()인 경우엔 식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된다.
:
:
위 식에서 로, 주동 토압 계수와 수동 토압 계수는 서로 역수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질토에 대한 응력경로는 위 그림과 같다. 정지토압 상태는 K0 선 상에, 주동 또는 수동토압으로 인해 파괴된 경우는 Kf 선상에 있어야 한다.
지표가 수평이고, i=0, c=0인 경우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은 다음과 같다.
랑킨 토압을 산출할 때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사용한다.
1. 옹벽은 고려하지 않는다.(옹벽의 마찰 및 형상은 고려하지 않는다.)
2. 소성 평형 상태가 된다. 몰-쿨롱의 파괴 기준을 따른다.
3. 경사각을 고려하지 않는다.
; 주동 토압 상태
: 몰-쿨롱의 파괴 기준의 주응력 표시는 다음과 같다.
::
: 주동 토압 시, 최대 주응력은 , 최소 주응력은 이므로,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
: 위 식을 에 대해 정리한다.
::
: 또한, 주동 토압 계수 를 사용하여 위 식을 쓴다.
::
::
; 수동 토압 상태
: 몰-쿨롱의 파괴 기준의 주응력 표시는 다음과 같다.
::
: 수동 토압 시, 최대 주응력은 , 최소 주응력은 이므로,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
: 위 식을 에 대해 정리한다.
::
: 또한, 수동 토압 계수 를 사용하여 위 식을 쓴다.
::
::
3. 2. 2. 쿨롱(Coulomb)의 이론
쿨롱은 흙이 등방성이고 균질하며 점착력이 있고, 파괴 토체는 쐐기모양의 강체이며, 벽체의 마찰력이 존재하고, 전단저항력은 파괴면을 따라 균등하게 작용하며, 파괴면은 평면이라는 가정 하에 주동 토압과 수동 토압을 계산하는 식을 제안하였다.[36]
주동 토압 계수:
:
수동 토압 계수:
:
여기서 는 벽체와 흙의 접촉면이 벽체 저판과 이루는 각도, 는 지표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는 파괴면의 연직 방향과 반력이 이루는 각도, 는 토압의 합력이 벽체 배면의 연직 방향과 이루는 각도이다.
쿨롱의 토압이론은 중력식 옹벽 설계에 사용된다.[36]
쿨롱(1776)[2]은 옹벽에 작용하는 측방 토압 문제를 처음으로 연구했다. 그는 한계 수평 토압을 결정하기 위해 파괴되는 토괴를 자유 물체로 간주하는 한계 평형 이론을 사용했다. 쿨롱의 주요 가정은 파괴면이 평면이라는 것이다.
Mayniel (1808)[16]은 쿨롱의 방정식을 벽 마찰(로 표시)을 고려하도록 확장했다. Müller-Breslau (1906)[17]은 비수평 뒷채움 및 비수직 토벽 인터페이스(수직에서 각도로 표시)에 대해 Mayniel의 방정식을 더욱 일반화했다.
:
:
1948년, 알베르 카코 (1881–1976)와 장 케리젤 (1908–2005)은[4] 비평면 파괴면을 고려하도록 뮐러-브레슬라우의 방정식을 수정한 진보된 이론을 개발했다. 그들은 파괴면을 나타내기 위해 대수 나선을 사용했다. 이러한 수정은 흙-벽 마찰이 있는 수동 토압에서 매우 중요하다. 메이닐과 뮐러-브레슬라우의 방정식은 이 상황에서 보수적이지 않으며 적용하기에 위험하다. 능동 토압 계수의 경우, 대수 나선 파괴면은 뮐러-브레슬라우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차이를 제공한다.
쿨롱 토압을 산출할 때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사용한다.
쿨롱 토압은 랑킨 토압보다 적용 범위가 넓고, 벽체와의 마찰, 벽체의 기울기, 뒤쪽 지표면의 기울기도 고려한다.
| 벽체와의 마찰 | 벽체의 형상 | 지반의 형상 | 토재료 | 흙의 내부 마찰 | |
|---|---|---|---|---|---|
| 고려하지 않음 | 고려하지 않음 | 고려하지 않음 | c, 재 | 고려함 | |||||
| 고려함 | 고려함 | 고려함 | 재만 | 고려함 |
3. 2. 3. 점성토의 토압 (벨 Bell)
벨(Bell)은 점착력이 있는 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식을 제안했다.[19]:
:
인장 응력이 생기는 한계 깊이인 '''점착고(인장 균열 깊이)'''는 다음과 같다.
:
'''한계고'''는 토압의 합력이 0이 되는 깊이이며 점성토에 있어서 연직으로 굴착 가능한 깊이다.
:
3. 2. 4. 지표면에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지표가 수평이고, 흙의 내부 마찰각이 0이며(i=0), 점착력이 없는(c=0) 상태에서 등분포 하중 q가 작용하는 경우,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주동 토압: Pa영어 = 1/2 * γHKa * H + qKaH = 1/2 * γH2Ka + qKaH
- 수동 토압: Pp영어 = 1/2 * γHKp * H + qKpH = 1/2 * γH2Kp + qKpH
여기서,
- γ는 흙의 단위중량,
- H는 옹벽의 높이,
- Ka는 주동 토압 계수,
- Kp는 수동 토압 계수를 의미한다.
3. 2. 5. 지하수면이 지표면과 일치하는 경우

지표가 수평이고 지하수면이 지표면과 일치하는 경우,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은 토립자에 의한 토압과 물에 의한 수압의 합으로 계산된다. 이때 수압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토압계수를 곱하지 않는다.
::
::
여기서,
- : 주동토압
- : 수동토압
- : 흙의 수중 단위 중량
- : 옹벽 높이
- : 주동토압 계수
- : 수동토압 계수
- : 물의 단위 중량
4. 토압과 수압의 비교
정지 상태에 있는 물에서, 어떤 지점에서의 수압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물의 단위 체적 중량에 해당 지점보다 위에 있는 물의 높이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토압의 경우, 연직 방향에 관해서는 흙의 단위 체적 중량에 깊이를 곱한 값이 토압이 되며, 이는 물과 동일하다. 반면, 수평 방향은 흙의 단위 체적 중량에 깊이를 곱한 값의 0.4~0.7배가 토압이 된다. 흙의 상태에 따라 수평 토압의 값이 바뀌며, 각각 주동 토압, 수동 토압, 정지 토압이라고 불린다.
5. 랑킨 토압과 쿨롱 토압의 비교
| 벽체와의 마찰 | 벽체의 형상 | 지반의 형상 | 토질 재료 | 흙의 내부 마찰 | |
|---|---|---|---|---|---|
| 랑킨 토압 | 고려하지 않음 | 고려하지 않음 | 고려하지 않음 | c, 재료 모두 적용 가능 | 고려함 | |||||
| 쿨롱 토압 | 고려함 | 고려함 | 고려함 | 재료에만 적용 가능 | 고려함 |
랑킨 토압과 쿨롱 토압은 겉보기에는 다른 이론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같다. 다만,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이 약간 다르다.
6. 동적 조건에서의 토압
모노노베-오카베[19][20]와 카필라[21]는 동적 활성 및 수동 상태에 대한 토압 계수를 쿨롱 해법과 동일한 기준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계수는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 와 는 각각 수평 및 수직 가속도의 지진 계수이다.
- 는 수직면에 대한 구조물의 뒷면 경사각이다.
- 는 구조물과 흙 사이의 마찰각이다.
- 는 뒷면 경사각이다.
하지만, 상기 계수는 전 세계의 수많은 지진 설계 규정(예: EN1998-5,[22] AASHTO[23])에 포함되어 있지만, 시드와 휘트먼이 표준 방법으로 제안한[24] 이 두 가지 해법은 일 때 음수의 제곱근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앤더슨 참조[25]).
다양한 설계 규정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해석을 시도하거나, 방정식의 수정을 지시하거나, 대안을 제안한다.
- 유로코드 8[22]은 음수일 때 모노노베-오카베 공식의 전체 제곱근을 임의로 1로 대체하도록 지시한다.
- AASHTO[23]는 제곱근의 문제 외에도, 모노노베-오카베 해법의 보수성을 인식하여 예상 최대 지반 가속도에 대한 감소 계수를 표준 설계 관행으로 채택하여 를 제안한다(여기서 는 최대 지반 가속도임).
- 건축 지진 안전 위원회[26]는 위와 같은 이유로 를 제안한다.
- 홍콩 지반 공학 사무소의 GEO 보고서 45[27]는 제곱근 아래의 숫자가 음수일 때 시험 웨지 방법을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AASHTO[23]와 건축 지진 안전 위원회[26]에서 수행한 에 대한 상기 경험적 수정은 판텔리디스[30]가 제안한 해석 해법으로 유도된 토압 계수와 매우 유사한 값을 반환한다.
참조
[1]
서적
Dissertation sur L’epaisseur des Culées des Ponts, sur la Largeur des Piles, sur la Portée des Voussoirs, sur L’effort Et la Pesanteur des Arches À Differens Surbaissemens, Et sur Les Profils de Maçonnerie Qui Doivent Supporter des Chaussées, des Terrasse
Chez André Cailleau
[2]
간행물
Essai sur une application des regles des maximis et minimis a quelques problemes de statique relatifs a l'architecture
Memoires de l'Academie Royale pres Divers Savants
[3]
간행물
The lateral pressure and resistance of clay and the supporting power of clay foundations
Minutes Proc. Inst. Civ. Eng.
[4]
서적
Tables for the calculation of passive pressure, active pressure and bearing capacity of foundations
Gautier-Villars
[5]
간행물
The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 rest
J. Soc. Hung. Archit. Eng.
[6]
간행물
Pressure in silo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ICSMFE, London, UK
1948-06-21
[7]
간행물
The effect of stress history on the relation between and porosity in sand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Soil Mechanics, Zurich, Switzerland
1953-08-16
[8]
학위논문
The Behavior of Sand in One-Dimensional Compression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 USA
[9]
간행물
Soil parameters affecting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 rest of cohesionless soils
Proceedings of the Istanbul conference on soil/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Istanbul, Turkey
1975-03-31
[10]
간행물
Earth pressures at rest related to stress history
Can. Geotech. J.
[11]
간행물
At-rest lateral earth pressure of a consolidating clay
J. Geotech. Geoenviron. Eng.
[12]
간행물
At Rest Lateral Earth Pressures of a Consolidating Clay
J. Geotech. Geoenviron. Eng.
[13]
간행물
K0-OCR relationships in soil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14]
간행물
The effects of compaction on retaining walls
Gèotechnique
[15]
서적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Prentice Hall
[16]
서적
Traité expérimental, analytique et preatique de la poussée des terres et des murs de revêtement
[17]
서적
Erddruck auf Stutzmauern
Alfred Kroner
[18]
간행물
On the stability of loose earth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19]
간행물
On the determination of earth pressures during earthquakes
Proceedings of the World Engineering Congress, Tokyo, Japan
1929-10-22
[20]
간행물
General theory of earth pressure
Jpn. Soc. Civ. Eng.
[21]
간행물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retaining walls
Proceedings of the 2nd Earthquake Symposium, University of Roorkee
[22]
간행물
Eurocode 8: Design of Structures for Earthquake Resistance—Part 5: Foundations, Retaining Structures and Geotechnical Aspects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23]
간행물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Customary, U.S. Units, 5th ed.
AASHTO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4]
간행물
Design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for dynamic loads
Proceedings of the ASCE Specialty Conference-Lateral Stresses in the Ground and Design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New York, NY, USA
1970-06-22
[25]
간행물
Seismic Analysis and Design of Retaining Walls, Buried Structures, Slopes, and Embank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6]
간행물
NEHRP Recommended Seismic Provisions: Design Examples
FEMA
[27]
간행물
Gravity Retaining Walls Subject to Seismic Loading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28]
간행물
Lateral Earth Pressure Problem of Cohesive Backfill with Inclined Surface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29]
간행물
Active earth pressure in cohesive soils with an inclined ground surface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30]
논문
The Generalized Coefficients of Earth Pressure: A Unified Approach
2019-12-04
[31]
간행물
Engineering and Design of Retaining and Flood Walls
USACE, U.S. Army Corps of Engineers
[32]
논문
The Generalized Coefficients of Earth Pressure: A Unified Approach
2019-12-04
[33]
논문
Comparing Eurocode 8-5 and AASHTO methods for earth pressure analysis against centrifuge tests, finite elements, and the Generalized Coefficients of Earth Pressure
https://www.research[...]
2022-06-29
[34]
논문
Passive Wedge Formation and Limiting Lateral Pressures on Large Foundations during Lateral Spreading
2017-07
[35]
웹사이트
Seismic Earth Pressures on Retaining Structures in Cohesionless Soils (Report No. UCB GT 13‐01, March 2013)
https://ce.berkeley.[...]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acramento CA
2022-06-30
[36]
서적
기초공학
구미서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