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양비옥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양 비옥도는 식물 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척도로, 영양소, 토양 유기물, pH, 구조, 배수, 미생물, 표토 깊이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비옥도는 토양 보전과 작물 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질소, 인, 칼륨과 같은 비료의 3요소를 통해 관리된다. 무기 비료는 저렴하지만, 토양의 자연 균형을 해치고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유기물과 무기물 사이의 영양소 순환 과정이 토양 비옥도를 유지한다. 토양 비옥도 평가는 토양 시료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며, 관개, 광합성, 이산화탄소 농도도 비옥도에 영향을 미친다. 토양 고갈은 과도한 경작, 토양 영양분 부족 등으로 발생하며, 흑토는 높은 유기 탄소 함량과 비옥도로 인해 가치가 높다. 윤작은 토양 비옥도 유지 및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특히 벼와 다른 작물을 번갈아 재배하는 일본 사례가 있다. 토양의 건강은 인간과 동물의 건강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 세계 토양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포하며 몰리솔은 높은 비옥도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료 - 자운영
    자운영은 콩과 한해살이풀로 뿌리혹박테리아를 이용해 질소를 고정하는 녹비식물이며, 홍자색 꽃을 피우고 토양 비옥도 향상, 사료, 식용, 약용, 밀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비료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토양개량제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토양개량제 - 질산 암모늄
    질산 암모늄은 질산과 암모니아의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염으로, 질소 비료와 폭약의 재료로 사용되며, 물에 용해될 때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지만 가열되거나 특정 조건에서는 폭발할 수 있어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
  • 토양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토양 - 양토
    양토는 모래, 미사, 점토가 비슷한 비율로 섞여 배수성,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이 우수하여 농작물 재배와 건축에 널리 사용되지만, 토양 유실 및 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토양비옥도
개요
정의토양이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물리적, 화학적 환경을 제공하는 능력
중요성농업 생산성 유지 및 향상에 필수적임
비옥도 결정 요인
물리적 요인토성 (모래, 실트, 점토 비율)
토양 구조 (입단 구조)
공극률
투수성
보수력
토심
경도
온도
화학적 요인pH
염류 농도
유기물 함량
양이온 치환 용량 (CEC)
필수 영양소 함량 (질소, 인산, 칼륨 등)
미량 원소 함량 (철, 망간, 아연, 구리, 붕소, 몰리브덴)
생물학적 요인토양 미생물 (세균, 곰팡이, 방선균) 활동
유기물 분해 능력
질소 고정 능력
근권 환경
유해 미생물 존재 여부
비옥도 평가 방법
물리적 평가토성 분석
토양 구조 평가
투수성 측정
보수력 측정
토심 측정
경도 측정
화학적 평가pH 측정
염류 농도 측정
유기물 함량 분석
양이온 치환 용량 (CEC) 측정
필수 영양소 함량 분석 (질소, 인산, 칼륨 등)
미량 원소 함량 분석 (철, 망간, 아연, 구리, 붕소, 몰리브덴)
생물학적 평가토양 미생물 군집 분석
유기물 분해 활성 측정
질소 고정 활성 측정
작물 생육 검사
비옥도 관리 방법
물리적 관리심경
배수 개선
객토
멀칭
화학적 관리시비 (유기질 비료, 화학 비료)
토양 개량제 사용 (석회, 퇴비)
생물학적 관리윤작
녹비 작물 재배
토양 미생물 접종
유기농법
비옥도 저하 요인
자연적 요인풍화 작용
침식 작용
염류 집적
산성화
인위적 요인과도한 경작
화학 비료 과용
농약 과용
산림 파괴
산업 폐기물 오염
문제점
토양 비옥도 저하작물 생산성 감소 및 식량 안보 위협
환경 오염비료 및 농약 사용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
생태계 파괴토양 생물 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 기능 저하
기타
관련 용어지력
토양 건강
지속 가능한 농업

2. 결정 요인

토양 비옥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비옥한 토양에서 식물 생육이 좋은데, 비옥도의 높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과 관련이 있다.


  • 식물 생육에 필수적인 다량 원소(질소, 인산, 칼륨 등)와 미량 원소(붕소, 염소, 코발트, 구리, 철, 망간, 마그네슘, 몰리브덴, 아연 등)의 충분한 공급.
  • 토양 유기물의 양: 토양 구조와 수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토양 pH: 대부분의 식물은 6.0~6.8 범위를 선호하지만, 일부 식물은 이보다 더 산성이나 염기성인 토양을 선호한다.
  • 토양 구조와 배수: 벼와 같이 물이 많은 환경이나 용설란속처럼 건조한 환경을 선호하는 식물도 있다.
  • 미생물, 특히 식물 생육을 돕는 미생물의 풍부함.
  • 표토의 깊이.


토양에서 가장 부족한 원소는 인(P)이며, 질소(N)와 칼륨(K)도 다량 필요하다.[5] 이러한 이유로 상업용 비료에는 항상 이 세 가지 원소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10-10-15 비료는 질소 10%, 이용 가능한 인(P2O5) 10%, 수용성 칼륨(K2O) 15%를 함유한다. 황(S)도 상업용 비료 분석에 포함될 수 있는데, 21-0-0-24 비료는 질소 21%와 황산염 24%를 함유한다.

무기 비료는 유기 비료보다 저렴하고 영양소 농도가 높으며, 질소, 인, 칼륨은 식물이 흡수하기 위해 무기 형태여야 하므로 수정 없이 식물이 즉시 이용할 수 있다.[5] 그러나 화학 비료는 독성 물질로 인해 만성 질환을 포함한 인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또한, 무기 비료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토양의 자연적인 영양 균형이 깨져 토양 질 저하, 유기물 손실, 토양 침식 가능성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7]

무기 비료의 수용성 질소는 식물의 장기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수질 오염을 유발한다. 완효성 비료는 영양소 용탈을 줄이고 영양소를 더 오랫동안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토양 비옥도는 유기 및 무기 형태 사이에서 영양소가 끊임없이 순환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식물 재료와 동물 폐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 광물화 과정을 통해 무기 영양소가 토양 용액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영양소는 토양 미생물에 의해 추가적인 변환을 거칠 수 있다. 많은 미생물은 질소, 인, 칼륨의 무기 형태를 필요로 하거나 선호하여 식물과 경쟁하며, 미생물 생물량에 영양소를 묶어두는 고정 과정이 일어난다. 고정과 광물화 과정의 균형은 주요 영양소와 유기 탄소의 균형, 토양 미생물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달라진다.[8][9] 번개와 같은 자연 현상은 대기 중 질소를 (NO2)로 고정할 수 있다. 탈질은 탈질 세균이 존재하고 혐기성 조건(홍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칼륨과 많은 미량 영양소를 포함한 영양 양이온은 양이온 교환 과정을 통해 토양의 음전하 부분과 비교적 강하게 결합한다.

인은 토양에서 식물 영양소의 원소이므로 토양 비옥도의 주요 요인이다. 인은 세포 분열과 식물 발달, 특히 묘목과 어린 식물에 필수적이다.[10] 그러나 인은 점점 찾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비료로 과도하게 사용되어 매장량이 고갈되기 시작하고 있다. 비료에서 인의 광범위한 사용은 오염과 부영양화를 초래했다.[11]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인광석의 발생이 제한되어 피크 인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바이오 숯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가 토양 질 개선 능력을 가지고 있어 토양 개량제로 묘사되며, 이는 여러 토양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12] 음식물 쓰레기 퇴비는 거름 기반 퇴비보다 토양 개선 효과가 더 뛰어나다.[13]

3. 비옥도 관리

토양 비옥도는 식물이 잘 자라기 위해 필요한 영양소, 유기물, 수분 등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비옥도가 높은 토양에서는 작물이 건강하게 자라고 수확량도 많아진다.

토양 비옥도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영양소 균형: 식물 생장에 필수적인 질소, 인, 칼륨 등의 다량 원소와 붕소, 구리, 철, 망간, 아연 등의 미량 원소를 균형 있게 공급해야 한다. 특히 인은 토양에서 부족해지기 쉬운 원소이므로, 피크 인 문제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11]
  • 유기물 함량: 토양 유기물은 토양 구조를 개선하고 보수력을 높여 비옥도를 향상시킨다. 퇴비나 바이오 숯과 같은 토양 개량제를 사용하여 유기물 함량을 높일 수 있다.[12]
  • 토양 pH 조절: 대부분의 식물은 pH 6.0~6.8 범위의 약산성 또는 중성 토양에서 잘 자란다. 토양 pH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영양소 흡수가 저해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pH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토양 구조 개선: 토양 구조가 좋으면 배수가 잘 되고 통기성이 좋아져 뿌리 발달에 도움이 된다.
  • 미생물 활성 촉진: 토양 미생물은 유기물 분해, 영양소 순환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표토 관리: 표토는 영양분이 풍부하고 생물 활동이 활발한 층이므로, 표토의 깊이를 충분히 확보하고 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토양 생물에게 이용 가능한 인(토양 생물에 이용 가능)은 토양에서 가장 부족한 원소이다. 질소와 칼륨도 상당한 양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이 세 가지 원소는 항상 상업용 비료 분석에 표시된다.[5]

무기 비료는 일반적으로 유기 비료보다 저렴하고 영양소 농도가 더 높으며, 식물이 즉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질소, 인, 칼륨)로 영양소를 공급한다.[5] 그러나 화학 비료는 독성 물질로 인해 만성 질환 발병을 포함하여 인간에게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또한, 무기 비료의 과도한 사용은 토양의 자연적인 영양 균형을 방해하여 토양 질 저하, 유기물 손실, 토양 침식 가능성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7] 무기 비료의 수용성 질소는 식물의 장기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수질 오염을 유발하므로, 완효성 비료를 사용하여 영양소의 용탈 손실을 줄이고 영양소를 더 오랜 기간 동안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토양 비옥도는 유기 및 무기 형태 사이에서 영양소가 끊임없이 순환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식물 재료와 동물 폐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 광물화라는 과정으로 무기 영양소를 토양 용액으로 방출한다. 이러한 영양소는 토양 미생물에 의해 추가적인 변환을 거칠 수 있다. 식물과 마찬가지로 많은 미생물은 질소, 인 또는 칼륨의 무기 형태를 필요로 하거나 이를 선호하여 이러한 영양소를 놓고 식물과 경쟁하여 미생물 생물량에 영양소를 묶어두는데, 이 과정을 고정이라고 한다. 고정 과정과 광물화 과정의 균형은 주요 영양소와 유기 탄소의 균형과 토양 미생물에 대한 이용 가능성에 따라 달라진다.[8][9]

인은 토양의 식물 영양소의 원소이므로 토양 비옥도의 주요 요인이다. 인은 세포 분열과 식물 발달, 특히 묘목과 어린 식물에 필수적이다.[10] 그러나 인은 점점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비료로 과도하게 사용되어 매장량이 고갈되기 시작하고 있다. 비료에서 인의 광범위한 사용은 오염과 부영양화를 초래했다.[11]

음식물 쓰레기 퇴비는 거름 기반 퇴비보다 더 나은 토양 개선 효과를 보였다.[13]

2008년에 토양 비옥도의 평가와 관리 방법에 관한 심포지엄이 개최되어 비옥도의 결정 요인, 비옥도 불균형의 실태 및 대책 등이 정리되었다. 농경, 기타 산업 활동에 사용되는 토양에서 토양 비옥도는 토양 보전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3. 1. 평가

포장의 비옥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포장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을 통해 각종 특성값을 결정한다. 특성값에 따라 변동 계수는 크게 다르며, 예를 들어 C/N비는 6%, 전 질소는 13%, 가급태 질소는 24%이다. 이처럼 영양 성분의 생체 이용도(가급도)가 높을수록 변동 계수도 크다. 허용되는 오차 범위에 따라 시료 채취 시간 및 거리 간격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포장 단위가 아닌 집락 영농을 대상으로 토양 특성값의 공간 변동 해석을 실시하는 경우, 지형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토양 유기물이나 입경 조성 등의 특성값이 유효하다. 이러한 특성값을 이용함으로써 토양 용수 분야의 배수성을 고려한 윤환 블록을 설정할 수 있다. 윤환 블록에서는 가급태 질소 등의 특성값에 기초하여 시비 등의 국소 관리가 비옥도 유지 및 향상에 유효하다. 토양 유기물의 축적과 분해에 대한 전답 윤환의 효과는 일본 토양 비료 학회 심포지엄에서 정리되었다. 비옥도가 낮은 사질 토양에서도 자재 시용에 의해 가급태 인산량 및 미생물 바이오매스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며, 비옥도는 증가한다.

3. 2. 시비

질소, 인, 칼륨은 비료의 3요소로 불리며, 식물 생장에 가장 중요한 식물 영양소이다.[5] 이 세 가지 원소는 상업용 비료의 성분 분석에 항상 표시된다. 예를 들어 10-10-15 비료는 질소 10%, 생물이 이용 가능한 인(P2O5) 10%, 수용성 칼륨(K2O) 15%를 함유하고 있다. 황은 네 번째 주요 성분으로 표시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21-0-0-24는 질소 21%와 황산염 24%를 함유한다.[5]

한국에서는 비료관리법에 따라 비료의 성분 함량을 표시하고 관리한다. 일반 비료는 주성분의 최소량 또는 최대량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오니(汚泥, 하수 처리 과정에서 생기는 침전물)를 원료로 사용하지 않은 퇴비와 동물의 배설물은 특수 비료로 분류되어 성분 표시가 의무화된다.

무기 비료는 유기 비료보다 저렴하고 영양소 농도가 높으며, 식물이 즉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영양소를 공급한다.[5] 그러나 무기 비료의 과도한 사용은 토양의 자연적인 영양 균형을 방해하여 토양 질 저하, 유기물 손실, 토양 침식 가능성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7] 또한, 무기 비료의 수용성 질소는 식물의 장기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수질 오염을 유발한다. 완효성 비료는 영양소의 용탈(溶脫, 물에 녹아 빠져나감) 손실을 줄이고 영양소를 더 오랜 기간 동안 이용 가능하게 한다.

2008년에는 인계 비료의 원료인 인광석 가격이 8배로 상승했고, 비료로서의 인 비용은 2배 이상 증가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광석 생산이 제한되는 현상을 피크 인이라고 한다.[11]

3. 3. 관개

관개는 파이프, 운하 또는 살수 장치 등 인공적인 수단을 통해 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이다. 이 방식은 해당 지역의 자연 강우 패턴이 작물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고대 문명은 관개에 크게 의존했으며, 오늘날 세계 경작지의 약 18%가 관개되고 있다.[25] 관개 용수의 품질은 토양 비옥도와 토양 구조를 유지하고 식물이 더 깊은 토양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26] 알칼리성 물을 많이 사용하면 원치 않는 나트륨 염이 토양에 축적되어 토양 배수 능력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식물 뿌리는 알칼리 토양에서 최적의 성장을 위해 토양 깊숙이 침투할 수 없다. 낮은 pH/산성수로 관개하면 유용한 염(Ca, Mg, K, P, S 등)이 산성 토양에서 배수되어 제거되고, 원치 않는 알루미늄 및 망간 염이 토양에서 용해되어 식물 성장을 방해한다.[27] 염분이 높은 물을 사용하거나 관개된 토양에서 충분한 물이 배수되지 않으면 토양은 염류 토양으로 변하거나 비옥도를 잃게 된다. 염분 증가는 팽압 또는 삼투압 요구량을 증가시켜 식물 뿌리의 물과 영양분 흡수를 방해한다.

알칼리 토양에서는 빗물 표면 흐름이나 배수로 인한 침식으로 인해 표토 손실이 발생하며, 물과 접촉하면 콜로이드(미세 진흙)를 형성한다. 식물은 성장을 위해 토양에서 수용성 무기염만 흡수한다. 토양 자체는 작물을 재배한다고 해서 비옥도를 잃는 것이 아니라 부적절한 관개 및 산성비(물의 양과 질)로 인해 토양에서 원치 않는 무기염이 축적되고 원하는 무기염이 고갈되어 비옥도를 잃게 된다. 식물 성장에 적합하지 않은 토양이라도 적절한 품질의 충분한 관개수와 양호한 배수를 제공하면 비옥도를 점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3. 4. 광합성과 이산화탄소

광합성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CO2)를 당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모든 식물은 에너지를 생산하고 성장하며 번식하기 위해 빛과 이산화탄소에 접근해야 한다.[14]

일반적으로 질소, 인, 칼륨에 의해 제한되지만, 낮은 수준의 이산화탄소도 식물 성장에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과학 연구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농도를 300ppm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증가하더라도 순 광합성 산출량은 아주 약간 증가할 수 있다.[14]

4. 토양 고갈

토양 고갈은 비옥도에 기여하는 성분이 제거되고 교체되지 않으며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는 조건이 유지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이는 작물 수확량 감소로 이어진다. 농업에서 고갈은 과도한 경작과 부적절한 토양 관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고갈은 과도한 경운(토양 구조 손상), 토양 영양분 고갈을 초래하는 영양분 투입 부족, 토양 토양 염류화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15]

토지 이용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날 때 토양 비옥도는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잉글랜드 식민지에서 식민지 개척자들은 가축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허용하고, 거름으로 토양을 비옥하게 하지 않았으며, 침식을 초래하는 일련의 사건들을 발생시키는 등 토양을 고갈시키는 여러 가지 결정을 내렸다.[15] 윌리엄 크로넌은 "…장기적인 영향은 토양을 위협에 빠뜨리는 것이었다. 숲의 제거, 파괴적인 홍수의 증가, 방목하는 동물과 경작으로 인한 토양 압축 및 밀집 재배—이 모든 것은 침식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라고 기록했다.

식민지 개척자들이 토지를 개간하기 위해 불을 사용했지만, 특정 처방된 소각 관행은 일반적이며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토양 비옥도에 도움이 된다. 화재의 강도, 계절성 및 빈도를 고려하지 않으면 생물 다양성의 보존과 토양의 전반적인 건강이 화재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16]

과도하거나 부족한 화재 사용을 통한 토양 침식 외에도, 식민지 농업은 표토 고갈을 초래했다. 표토 고갈은 자연 상태에서 수백 년에서 수천 년에 걸쳐 형성되는 영양분이 풍부한 유기 표토가 침식되거나 원래의 유기 물질이 고갈될 때 발생한다.[17] 북아메리카의 더스트 볼은 1880년대부터 그곳에서 농업 생산이 시작된 이후 대평원의 원래 표토의 약 절반이 사라진 현상의 좋은 예이다. 식민주의 맥락 외에도 표토 고갈은 역사적으로 많은 과거 문명의 붕괴 원인으로 여겨질 수 있다.[18]

역사가 데이비드 실케나트는 남부 농장주와 노예 소유주들의 목표는 에이커당 생산량을 기준으로 생산성을 측정하는 대신, 노예 노동력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노동력을 추출하는 것이었다고 설명한다. 그들은 풍경을 소모적인 것으로, 아프리카 노예들을 소모품으로 여겼다. 남부 농부들이 노예들에게 토양을 고갈시키고 대규모 산림 벌채를 강요하면, 그들은 토지를 버리고 더 비옥한 곳으로 이동했다. 강제 노예 제도는 토지에 광범위한 파괴를 초래했다. 환경적 영향으로는 늪지 배수, 단일 경작과 증기선 연료를 위한 산림 개간, 침입종 도입 등이 있었고, 이 모든 것은 취약한 생태계로 이어졌다. 그 결과, 이러한 생태계는 언덕 비탈을 침식시키고, 강을 불모의 토양으로 막히게 했으며, 토종 종의 멸종을 초래했다. 실케나트는 노예 제도와 토양 사이의 이러한 현상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일반적으로 별도로 취급되지만, 노예 제도와 환경은 복잡하고 강력한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교차하며, 해방 시대부터 현대의 인종 정의 문제에 대한 해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토지 역시 노예 소유주의 채찍에 희생되었다."[19]

토양 비옥도에 기여하는 성분과 조건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토양의 열화가 발생한다. 토양 열화는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저하시킨다. 농업이나 원예 등, 인위적인 재배에서는 과도한 재배나 부적절한 토양 관리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토지 이용이 급격하게 변화했을 때, 토양의 비옥도가 큰 과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뉴잉글랜드에서는 정착민들이 정착할 때 많은 토지를 열화시켰다. 많은 동물의 무리를 방목한 것, 토양의 퇴비를 보충하지 않은 것,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토양 침식이 일어난 것이 원인이다. 윌리엄 크로넌(William Cronon)은 이 건에 관해 Changes in the 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Ecology of New England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장기간에 걸친 작용이 토양을 위험에 빠뜨렸다. 숲의 벌채, 파괴적인 홍수의 증가, 동물의 방목에 의한 풀의 키 감소와 토양 압축, 그리고 경작. 이 모든 것이 침식을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5. 흑토 (Dark Earths)

흑토는 아마존에서 발견되는 토양의 일종으로, 남아메리카의 다른 지역의 토양보다 더 어두운색을 띠고, 유기 탄소 함량이 높으며, 비옥도가 높아 오늘날에도 매우 탐나는 존재이다. 민족지학적 및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흑토 퇴적물은 고대 원주민의 의도적인 토양 관리를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다.[22]

민족고고학자 모건 슈미트는 이 탄소 함량이 높은 토양이 아마존의 공동체에 의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흑토와 다른 인위적인 토양은 전 세계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아마존 흑토는 특히 "아마존의 전형적인 풍화된 열대 고지대 토양의 특히 열악한 비옥도와 너무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아마존의 고대 농업 사회의 발달이 흑토의 형성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는 많은 증거가 있다. 결과적으로 아마존 사회는 농업 성공과 향상된 식량 생산 측면에서 흑토의 혜택을 받았다. 고고학적 및 민족지학적 연구를 통해 아마존 남동부의 상부 싱구강 유역에 위치한 현대 및 고대 쿠이쿠로 원주민 영토에 대한 토양 분석이 완료되어 토양과의 인간 관계를 파악했다. "결과는 흑토의 의도적인 생성을 보여주며, 원주민의 지식이 지속 가능한 열대 우림 관리를 위한 전략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22]

가나라이베리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을 결합하여 아프리카 흑토라고 불리는 비옥한 토양을 만드는 관행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이 토양에는 칼슘, , 탄소 농도가 높다.[23]

6. 윤작 (논밭 윤환)

윤작은 같은 땅에 서로 다른 작물을 번갈아 재배하는 방식으로, 토양 비옥도를 유지하고 병해충을 막는 데 효과적이다.

최근 콩 등의 수량이 줄고 있으며, 도야마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윤작을 반복하면 토양 유기물 함량이 줄어 토양 비옥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한편, 윤작 밭에서 벼를 재배할 때 고온으로 인해 현미의 외관 품질이 나빠지는데, 이는 벼가 익는 시기에 식물체 내 질소 함량이 낮으면 심해진다. 비료 사용량 감소와 지력 저하가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

윤작 밭에서는 논에 물을 대는 환원 환경과 물을 빼는 산화 환경이 반복된다. 따라서 윤작 밭과 연작 논은 유기물의 양과 구성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며, 윤작 밭의 토양 유기물 변화 분석 등 비옥도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 1. 윤작의 배경 (일본 사례)

일본에서는 1969년부터 쌀 생산 조정을 위해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 윤작이 시작되었다. 1978년부터는 쌀 생산량을 줄이는 동시에 다른 작물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80년 이후에는 논 면적 약 2900000ha 중 500000ha 이상이 쌀 생산 조절 면적으로 지정되었고, 2009년에는 작물이 재배된 논 2330000ha의 약 3분의 1 (710000ha)이 밭으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최근에는 콩 등의 수량이 감소하고 있는데, 특히 도야마현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콩 재배 후 벼 재배 시 밑거름 질소량 감소폭이 축소되거나 건토 효과가 저하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는 윤작을 반복하면서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는 등 토양 비옥도가 낮아진 결과로 우려된다.

한편, 윤작을 하는 밭에서 벼를 재배할 때 고온으로 인해 현미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벼의 고온 등숙 장애는 벼가 익는 시기에 식물체 내 질소 함량이 낮으면 심해지는데, 비료 사용량 감소와 지력 저하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윤작 밭에서는 논에 물을 채우는 환원 환경과 물을 빼는 산화 환경이 반복된다. 따라서 윤작 밭과 연작 논은 유기물의 총량과 구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윤작 밭에서의 토양 유기물 변화 분석 등 비옥도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 2. 윤작과 토양 비옥도 (일본 사례)

윤작은 토양 유기물의 양과 조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본에서는 1969년부터 쌀 생산 조정을 위해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시작되었고, 1978년부터는 논 이용 재편 대책을 통해 밭 전환이 더욱 확대되었다. 2009년에는 전체 논 면적의 약 3분의 1이 밭으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윤작이 반복되면서 콩 등의 수량 감소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도야마현에서는 콩 재배 후 벼 재배 시 밑거름 질소량 삭감률이 축소되거나 건토 효과가 저하되는 사례가 보고되면서, 토양 비옥도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한편, 윤작 밭에서 벼를 재배할 때 고온으로 인해 현미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이는 등숙기(벼가 익는 시기)에 식물체 내 질소 함량이 낮으면 심해지는데, 시비량 감소와 지력 저하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윤작 밭은 담수(논)와 낙수(밭) 환경이 반복되면서 토양 유기물의 총량과 조성이 변화한다.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분석) 결과, 윤작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저온 분해 성분과 고온 분해 성분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토가 많은 논을 밭으로 전환할 때 콩의 초기 생육을 돕기 위해 잠두속의 헤어리베치를 전작물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헤어리베치는 증산 작용과 뿌리 발달을 통해 토양의 균열 구조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사료용 벼 재배 후 콩밭으로 전환할 때 완숙 퇴비를 적절히 사용하면 질소 비옥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7. 토양과 인간

앨버트 하워드는 지속 가능한 농업에서 토양의 중요성을 강조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44년에 "미래의 질병 연구는 항상 토양에서 시작해야 한다. 우선 토양을 건강하게 만들어야 하며, 그 후 토양, 식물, 동물, 인간의 반응을 관찰해야 한다. 그러면 많은 질병이 저절로 사라질 것이다. 토양 비옥도는 미래 공중 보건 시스템의 기초이다."라고 주장했다.[14] 하워드는 작물이 병에 걸리는 현상을 가축과 인간의 건강 문제와 연결 지었고, 인간과 비인간 세계 모두의 이익을 위해 인간이 토양을 존중하고 되살려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산업 농업이 자연의 섬세한 균형을 파괴하고 토양의 비옥함을 회복 불가능하게 빼앗는다고 비판했다.[14]

8. 전 세계 토양 분포

참조

[1] 웹사이트 A Chat with Tim Flannery on Population Control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1995-09-13
[2] 웹사이트 Damaged Dirt http://www.1degree.c[...] 2007-08
[3] 웹사이트 Bodenfruchtbarkeit http://hypersoil.uni[...] 2015-11-09
[4] 웹사이트 Soil Fertility http://www.fao.org/a[...] 2016-06-18
[5] 논문 Nitrogen and sulfur economy of soils Pearson Education, NJ 2002
[6] 웹사이트 The Health Impacts of Chemical Fertilizers https://amosinstitut[...] 2024-05-02
[7] 웹사이트 The Impact of Fertilizers on the Environment: Inorganic vs. Organic – Farmerline https://farmerline.c[...] 2024-05-02
[8] 논문 Proteolytic activity under nitrogen or sulfur limitation 2002
[9] 논문 Nitrogen Starvation Promotes Biodegradation of N-Heterocyclic Compounds in Soil 2006
[10] 웹사이트 Why phosphorus is important https://www.dpi.nsw.[...] 2021
[11] 웹사이트 Phosphate: A Critical Resource Misused and Now Running Low https://e360.yale.ed[...] 2024-05-02
[12] 간행물 How biochar works, and when it doesn't: A review of mechanisms controlling soil and plant responses to biochar 2021
[13] 간행물 Compost Composition and Application Rate Have a Greater Impact on Spinach Yield and Soil Fertility Benefits Than Feedstock Origin 2022-08
[14]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15] 서적 Changes in the 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Ecology of New England Hill & Wang
[16] 간행물 Burning for biodiversity or burning biodiversity? Prescribed burn vs. wildfire impacts on plants, lizards, and mammals http://doi.wiley.com[...] 2011-12
[17] 뉴스 Food vs Feed http://www.prout.org[...] People's News Agency; Frederiksberg C, Denmark 1997
[18] 서적 The Final Empire: The Collapse of Civilization and the Seed of the Future Arrow Point Press
[19] 서적 Scars on the Land: An Environmental History of Slavery in the American South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5-12
[20] 간행물 Land degradation in the developing world: Implications for food,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to 2020 https://pdf.usaid.go[...] 1996
[21] 간행물 Soil Fertility in Africa is at Stake http://library.wur.n[...] 1997
[22] 간행물 Intentional creation of carbon-rich dark earth soils in the Amazon 2023-09-22
[23] 간행물 Indigenous African soil enrichment as a climate-smart sustainable agriculture alternative https://esajournals.[...] 2016-03
[24] 서적 Farming and Gardening for Health or Disease Oxford City Press
[25] 웹사이트 Irrigation https://education.na[...] 2024-05-03
[26] 웹사이트 Managing Soil Tilth; Colorado state university garden notes https://web.archive.[...] 2014-10-04
[27] 웹사이트 Managing irrigation water quality, Oregon State University, US http://extension.ore[...] 2012-10-04
[28] 웹사이트 Managing Soil Tilth; Colorado state university garden notes http://www.ext.colos[...] 2014-10-04
[29] 웹사이트 Managing irrigation water quality, Oregon State University, USA http://extension.ore[...] 2012-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