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이다. 2005년 터미널 건물 매각 후 임시 운영을 거쳐, 양산시와 통도사의 협의를 통해 2009년 12월 20일에 건물을 준공하고, 2010년 1월 11일부터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 면허를 받아 운영을 시작했다. 부지면적 2,999m2, 건물 연면적 317m2 규모로, 대합실, 매표소, 매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부산, 언양 방면 시외버스와 양산, 울산 시내버스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산시의 건축물 - 원동역
원동역은 1905년 개업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역사 신축 및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는 일부 ITX-새마을,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춘, 낙동강과 원동천 인근의 자연 친화적인 역이다. - 양산시의 건축물 - 물금역
물금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한다. - 양산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양산시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창녕시외버스터미널
창녕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하며 수도권과 영남권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터미널이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하여 시외버스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영남권 주요 도시와 밀양시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밀양시 전역과 주변 지역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망을 제공한다.
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대한민국 |
주소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30 (순지리) |
개장 | 알 수 없음 |
이전 | 2010년 1월 11일 |
폐지 | 알 수 없음 |
운영 기관 | 양산시 |
표기 | 통도사 (신평) |
운행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기타 | |
터미널 코드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 |
2. 역사
본래 시내버스 회사에서 지금의 위치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 터미널을 운영하였으나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하여 2005년에 터미널 건물을 매각하였다.[1] 이로 인해 컨테이너 가건물을 통해 임시 터미널을 운영하였다.[1] 이후 양산시와 현 위치 부지의 소유주인 통도사가 협의하여 지금의 터미널 건물이 건립되었고, 이 건물은 2009년 12월 20일에 준공,[1] 2010년 1월 5일에 양산시의회에서 「양산시 공영버스터미널 관리 및 운영 조례」가 제정되고,[2] 2010년 1월 11일 경상남도로부터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면허를 받아 영업 개시했다.[3]
2. 1. 터미널 이전 및 임시 운영
본래 시내버스 회사에서 지금의 위치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 터미널을 운영하였으나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하여 2005년에 터미널 건물을 매각하였다.[1] 이로 인해 컨테이너 가건물을 통해 임시 터미널을 운영하였다.[1] 이후 양산시와 현 위치 부지의 소유주인 통도사가 협의하여 지금의 터미널 건물이 건립되었고, 이 건물은 2009년 12월 20일에 준공, 2010년 1월 5일에 양산시의회에서 「양산시 공영버스터미널 관리 및 운영 조례」가 제정되고, 2010년 1월 11일 경상남도로부터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면허를 받아 영업 개시했다.[1][2][3]2. 2. 신축 터미널 건립
양산시와 현 위치 부지의 소유주인 통도사가 협의하여 지금의 터미널 건물이 건립되었고, 이 건물은 2009년 12월 20일에 준공,[1] 2010년 1월 5일에 양산시의회에서 「양산시 공영버스터미널 관리 및 운영 조례」가 제정되고,[2] 2010년 1월 11일 경상남도로부터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면허를 받아 영업 개시했다.[3]3. 시설
부지면적 2,999m2, 건물 연면적 317m2의 규모로 지상 1층 구조이다. 터미널 내부에는 대합실과 매표소, 매점, 휴게실, 식당, 화장실 등이 있다.
4. 운행 노선
4. 1. 시외버스
시외버스는 언양 ↔ 부산 노선이 중간에 이 버스터미널을 경유하는 형식으로 운행한다. 2018년 3월부터 경상남도 지역 시외버스 교통카드제의 전면 확대로 매표소를 통한 매표 업무가 중단되었다. 따라서 일반 시내버스처럼 요금을 지불하면 된다.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시간표 |
---|---|---|---|---|---|
통도사 ↔ 부산 | 푸른교통 | 통도사(신평) ↔ 부산(노포동) | 무정차 | 20~25 | 첫차: 06:35 |
통도사 ↔ 언양 | 푸른교통 | 통도사(신평) ↔ 언양 | 무정차 | 20~30 | 첫차: 06:45 |
그 외에도 통도사터미널 인근 35번 국도변[4]에 언양-해운대행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언양에서 10:30, 15:00, 19:50분에 출발하며 중간에 양산터미널을 경유한다. 일반시내버스처럼 요금을 지불하고 승차하면 된다.
4. 2. 시내버스
11푸른교통
막차:20:37
12
막차:00:40
13
막차:21:20
313
언양~삼동 1일 6회
817
막차:20:50
1723
첫차:05:11, 막차:22:17
주말
첫차:05:18, 막차: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