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산역은 2008년 1월 1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양산역 구간 연장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한 고가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개의 출입구가 있다. 역 주변에는 양산시외버스터미널, 양산시청, 양산종합운동장 등이 위치해 있다. 2026년 6월 양산역~양산종합운동장역 구간이 연장 개통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산시의 전철역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양산시의 전철역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서면역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은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1985년 1호선 개통 후 1999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현재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 중 하나이고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등과 연결되어 부산의 주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양산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양산역 (시청) |
로마자 표기 | Yangsan-yeok |
한자 표기 | 梁山驛 |
주소 |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 |
개업일 | 2008년 1월 10일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역 번호 | 243 |
이전 역 | 남양산역 |
역 구조 | |
형태 | 고가역 |
승강장 | 2면 2선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부산교통공사 |
접근성 | 이용 가능 |
영업 거리 | 45.2km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 2001년 12월 21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양산역 구간 착공.
- 2008년 1월 1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양산역 구간 (증산역~부산대양산캠퍼스역 구간 제외) 연장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 개시.
- 2010년 10월 18일: 열차 운행 횟수가 161회에서 306회로 증가함.[1]
- 2026년 6월 (예정):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양산종합운동장역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될 예정. 양산선 개통 시 부역명(시청) 삭제 예정.
3. 역 구조
이 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건넘선이 존재한다. 출입구는 총 4개가 있으며, 이 중 4번 출입구는 역 2층과 건너편 도로를 연결하는 다리 형태로 되어 있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5]
4. 역 주변
양산시청이 있으나, 역과는 1.7km 떨어져 있다.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역시 4.9km 거리에 있어 두 곳 모두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한다.[3][4] 역 인근에는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이 위치하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열차 내 안내방송에서도 이용 안내를 하고 있다.
5. 승차량 변동
wikitext
역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2호선 | 4689 | 4839 | 5308 | 6071 | 6389 | 6773 | 7044 | 7039 | [6] |
6. 사진
7. 인접한 역
(장산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