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경부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잇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다. 1967년 건설이 결정되어 1970년 전 구간이 완공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확장 공사를 거쳤다. 현재 총 연장은 416.1km이며, 부산 금정구에서 시작하여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끝난다. 주요 통과 지역으로는 부산, 양산, 울산, 경주, 대구, 김천, 대전, 청주, 천안, 안성, 수원, 성남 등이 있다.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 속도가 다르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2002년에는 서울 양재IC에서 한남대교 구간이 고속도로에서 해제되어 일반 자동차 전용도로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천군의 도로 - 안내회남로
    안내회남로는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과 보은군 회남면을 연결하는 도로이며, 지방도 제571호선과 이어진다.
  • 옥천군의 도로 - 안내수한로
    안내수한로는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과 보은군 수한면을 잇는 지방도로, 국도 제37호선 및 국도 제25호선을 연결하며 일부 구간은 지방도 제575호선과 중복되고 동정보건진료소를 지난다.
  • 영동군의 도로 - 옥천로
    옥천로는 2009년 7월 10일에 고시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이며, 대전광역시 동구와 충청북도 옥천군을 지나 국도 제4호선의 일부 구간을 포함한다.
  • 영동군의 도로 - 남부로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청주시를 잇는 남부로는 국도와 지방도를 연결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지속적인 확장 및 개선을 통해 영동 나들목과 같은 고속도로 접속 지점을 확보한 도로이다.
  • 오산시의 도로 - 오산화성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는 경기도 오산시 서랑동과 화성시 안녕동을 잇는 총 연장 2.55km의 고속국도 제171호선으로, 서오산 분기점과 안녕 나들목을 연결하는 왕복 6차로의 도로이며, 수도권 서남부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해 건설되었다.
  • 오산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경부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번호고속국도 제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번호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
노선명경부고속도로
로마자 표기Gyeongbu Gosok Doro
한자 표기京釜高速道路
영문 표기Gyeongbu Expressway
총 연장416.2 km
개통일1968년 12월 21일 (수원-반포), 1968년 12월 30일 (오산-수원), 1969년 9월 29일 (안성-천안), 1969년 12월 26일 (반포-한남), 1969년 12월 29일 (구서-동대구), 1970년 7월 7일 (동대구-대전)
방향남북
제한 속도100 km/h
한국 최장 고속도로 여부대한민국 최장 고속도로
기점과 종점
기점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국도 제7호선)
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양재IC) (국도 제47호선)
주요 경유지
경유 도시양산시
울산광역시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대구광역시
칠곡군
구미시
김천시
영동군
옥천군
대전광역시
청주시
천안시
안성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용인시
성남시
서울특별시
주요 교차 도로
교차 고속도로함양울산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당진청주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교차 국도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59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지정 구간부산 시점에서 구서 나들목까지는 AH1 구간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번영로를 거쳐 일본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2. 역사

박정희 대통령은 독일 여행 중 아우토반에서 영감을 받아 1967년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선거 공약으로 제시했다.[1] 1968년 2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책임자는 박명근이었다.[6]

경부고속도로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1968년 12월 21일 서울-수원 구간이, 12월 30일에는 수원-오산 구간이 개통되었다.[6] 1969년에는 9월 29일 안성-천안 구간, 12월 10일 천안-대전 구간, 12월 19일 부산-대구 (경주 경유) 구간이 개통되었다.[6] 1970년 7월 7일, 마지막 구간인 대전-대구 구간이 개통되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장거리 고속도로가 완공되었다.[6]

이후 경부고속도로는 지속적인 확장을 거쳤다. 1987년 12월 일부 구간의 6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고, 1996년까지 일부 구간은 8차선 또는 10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5년 2월부터는 중요한 공휴일에 북쪽 종점과 신탄진 사이에서 버스 전용 차로(사실상 HOV-9)가 운영되기 시작했다.

2001년 8월 25일, 대한민국 전 고속도로가 재편되면서 경부고속도로의 거리 표시는 남북 방향에서 북남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12월에는 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 최북단 9km 구간(양재~한남대교)의 관리권을 서울특별시에 이관하였다.

2008년 7월 1일부터 서울과 오산(주말은 신탄진) 사이의 버스 전용 차로 단속 시간이 조정되었고, 10월 1일부터는 평일과 주말의 운영 시간이 변경되었다.

1972년 5월 19일 : 판교IC 개업[6]

1973년 6월 25일 : 경산IC 개업[6]

1973년 10월 31일 : 추풍령IC 개업[6]

1977년 4월 15일 : 대구IC를 동대구IC로 개칭[6]

1978년 12월 20일 : 낙동(낙동강)IC 개업 (1984년 남구미IC로 개칭)[6]

1983년 6월 10일 : 신탄진IC 개업[6]

1984년 11월 29일 : 청원IC 개업[6]

1986년 7월 24일 : 목천IC 개업[6]

1986년 10월 5일 : 양재IC-판교IC에 있는 서울 요금소를 판교IC 남쪽으로 이전[6]

1987년 12월 3일 : 남이JCT-회덕JCT (21.7km) 차선 확장 (4 → 6차선)[6]

1992년 7월 14일 : 양재IC-수원IC (15.2km) 차선 확장 (4 → 8차선)[6]

1993년 7월 29일 : 수원IC-청원IC (100.1km) 차선 확장 (수원IC - 천안IC (4 → 8차선), 천안IC - 남이JCT (4 → 6차선), 남이JCT - 청원IC (6 → 8차선))[6]

1993년 12월 27일 : 건천IC 개업[6]

1995년 9월 7일 : 반포IC-양재IC (5.2km) 차선 확장 (4 → 6차선)[6]

1999년 8월 25일 : 청원IC-회덕JCT (14.3km) 차선 확장 (6 → 8차선)[6]

1999년 9월 6일 : 회덕JCT-비룡JCT (14.7km) 차선 확장, 이설 (4 → 8차선)[6]

2001년 8월 24일 : 고속도로 노선 번호 체계 변경에 따라 기점을 한남IC에서 부산IC로 변경 (노선 번호는 변경 없음)[6]

2002년 12월 : 양재IC~한남IC 구간이 서울특별시의 관리로 이관되어 종점을 한남IC에서 양재IC로 변경[6]

2002년 12월 5일 : 천안IC-천안JCT (5.8km) 차선 확장 (4 → 8차선)[6]

2003년 12월 30일 : 동대구IC-구미IC (60.8km) 차선 확장 (4 → 6차선)[6]

2005년 12월 14일 : 부산IC-언양JCT (40.5km) 차선 확장 (4 → 6차선)[6]

2005년 12월 15일 : 증약-옥천IC (5.8km) 차선 확장, 이설 (4 → 6차선)[6]

2006년 9월 29일 : 동대구JCT-경산IC 차선 확장 (4→8차선)[6]

2006년 11월 8일 : 경주IC-동대구JCT (54km) 차선 확장 (4 → 6~8차선)[6]

2006년 12월 13일 : 구미IC-영동IC (47.2km) 차선 확장 (4 → 6~8차선)[6]

2015년 : 영동IC-옥천IC 차선 확장, 노선 이설 (4 → 6차선, 일부 임시 4차선 구간 있음)[6]

2000년 7월 14일, 김천 부근에서 버스 3대와 5톤 트럭 등 8대의 차량이 충돌하여 18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2. 1. 건설 배경

박정희 대통령은 독일 여행 중 아우토반에서 영감을 받아 1967년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선거 공약으로 제시했다.[1] 1968년 2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책임자는 박명근이었다.[6]

경부고속도로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1968년 12월 21일 서울-수원 구간이, 12월 30일에는 수원-오산 구간이 개통되었다.[6] 1969년에는 9월 29일 안성-천안 구간, 12월 10일 천안-대전 구간, 12월 19일 부산-대구 (경주 경유) 구간이 개통되었다.[6] 1970년 7월 7일, 마지막 구간인 대전-대구 구간이 개통되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장거리 고속도로가 완공되었다.[6]

이후 경부고속도로는 지속적인 확장을 거쳤다. 1987년 12월 일부 구간의 6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고, 1996년까지 일부 구간은 8차선 또는 10차선으로 확장되었다.[6] 1995년 2월부터는 중요한 공휴일에 북쪽 종점과 신탄진 사이에서 버스 전용 차로(사실상 HOV-9)가 운영되기 시작했다.[6]

2001년 8월 25일, 대한민국 전 고속도로가 재편되면서 경부고속도로의 거리 표시는 남북 방향에서 북남 방향으로 변경되었다.[6] 2002년 12월에는 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 최북단 9km 구간(양재~한남대교)의 관리권을 서울시에 이관하였다.[6]

2008년 7월 1일부터 서울과 오산(주말은 신탄진) 사이의 버스 전용 차로 단속 시간이 조정되었고, 10월 1일부터는 평일과 주말의 운영 시간이 변경되었다.[6]

2. 2. 건설 과정

1967년 박정희 대통령은 독일 방문 중 아우토반에서 영감을 받아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선거 공약으로 제시했다.[1] 1968년 2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건설이 시작되었고, 박명근이 건설 책임자로 임명되었다.[6]

1968년 12월 21일, 서울-수원 구간(22.4km)이 개통되었고,[6] 며칠 뒤인 12월 30일에는 수원-오산 구간(15.6km)이 개통되었다.[6] 1969년에는 9월 29일 안성-천안 구간(38.1km),[6] 12월 10일 천안-대전 구간(66.9km),[6] 12월 19일 부산-대구(경주 경유) 구간(122.7km)이 차례로 개통되었다.[6] 마지막 구간인 대전-대구 구간(151.7km)은 산악 지형으로 인해 난공사였으나, 1970년 7월 7일 개통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장거리 고속도로가 완공되었다.[6]

이후 경부고속도로는 여러 차례 확장 공사를 거쳤다. 1987년 12월 일부 구간의 6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어 1996년까지 일부 구간은 8차선 또는 10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5년 2월부터는 중요한 공휴일에 북쪽 종점과 신탄진 사이에서 버스 전용 차로(사실상 HOV-9)가 운영되기 시작했다.

2001년 8월 25일, 미국의 주간 고속도로 체계를 본떠 대한민국 전 고속도로 노선 번호 체계가 개편되었으나, 경부고속도로의 노선 번호 1번은 변경되지 않았다. 다만, 거리 표시는 남북 방향에서 북남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12월에는 양재IC~한남IC 구간이 서울특별시의 관리로 이관되면서 종점이 한남IC에서 양재IC로 변경되었다.

2008년 7월 1일부터 서울과 오산(주말은 신탄진) 사이의 버스 전용 차로 단속이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시행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0월 1일부터는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말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로 조정되었다.

2. 3. 확장 및 개량

1987년 12월부터 경부고속도로 일부 구간에 대한 6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1996년까지 일부 구간은 8차선 또는 10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2년 7월 14일에는 양재IC-수원IC 구간이 8차선으로 확장되었고, 1993년 7월 29일에는 수원IC-청원IC 구간이 확장되었다. (수원IC - 천안IC (4 → 8차선), 천안IC - 남이JCT (4 → 6차선), 남이JCT - 청원IC (6 → 8차선)) 1995년 9월 7일에는 반포IC-양재IC 구간이 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9년 8월 25일에는 청원IC-회덕JCT 구간이 8차선으로, 9월 6일에는 회덕JCT-비룡JCT 구간이 8차선으로 확장 및 이설되었다. 2002년 12월 5일에는 천안IC-천안JCT 구간이 8차선으로 확장되었고, 2003년 12월 30일에는 동대구IC-구미IC 구간이 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2005년 12월 14일에는 부산IC-언양JCT 구간이 6차선으로 확장되었고, 12월 15일 증약-옥천IC 구간이 6차선으로 확장 및 이설되었다.

2006년 9월 29일에는 동대구JCT-경산IC 구간이 8차선으로, 11월 8일에는 경주IC-동대구JCT 구간이 6~8차선으로, 12월 13일에는 구미IC-영동IC 구간이 6~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2015년에는 영동IC-옥천IC 구간이 6차선으로 확장 및 이설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임시 4차선으로 운영되었다.

1995년 2월부터 중요한 공휴일에는 북쪽 종점과 신탄진 사이에 버스 전용 차로(사실상 HOV-9)가 운영되기 시작했다. 2008년 7월 1일부터는 서울과 오산(주말은 신탄진) 사이의 버스 전용 차로 단속이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10월 1일부터는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말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로 조정되었다.

2001년 8월 25일,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체계가 미국의 미국간선도로 시스템을 모델로 하여 재편되면서, 경부고속도로의 노선 번호 1은 변경되지 않았지만, 거리 표시는 남북 방향에서 북남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12월,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최북단 9km 구간(양재~한남대교)의 관리권을 서울특별시에 이관하였다.

2. 4. 기타

1967년 박정희 대통령은 독일 여행 중 아우토반에서 영감을 받아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선거 공약으로 제시했다.[1] 1968년 2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박명근이 건설 책임자로 임명되었다.[1]

경부고속도로는 여러 단계를 거쳐 완공되었다. 1968년 12월 21일 서울-수원 구간, 12월 30일 수원-오산 구간이 개통되었다.[6] 1969년에는 9월 29일 안성-천안 구간, 12월 10일 천안-대전 구간, 12월 19일 부산-대구 (경주 경유) 구간이 개통되었다.[6] 그리고 1970년 7월 7일, 마지막 구간인 대전-대구 구간이 개통되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장거리 고속도로가 완공되었다.[6]

이후 경부고속도로는 여러 차례 확장 공사를 거쳤다. 1987년 12월 일부 구간 6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고, 1996년까지 일부 구간은 8차선 또는 10차선으로 확장되었다.[6] 1995년 2월부터는 중요한 공휴일에 북쪽 종점과 신탄진 사이에서 버스 전용 차로(사실상 HOV-9)가 운영되기 시작했다.[6]

2001년 8월 25일, 미국의 미국간선도로 시스템을 모델로 한 체계에 따라 대한민국 전 고속도로가 재편되면서 경부고속도로의 거리 표시는 남북 방향에서 북남 방향으로 변경되었다.[6] 2002년 12월에는 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 최북단 9km 구간(양재~한남대교)의 관리권을 서울시에 이관하였다.[6]

2008년 7월 1일, 서울과 오산(주말은 신탄진) 사이의 버스 전용 차로 단속 시간이 조정되었고, 10월 1일부터는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말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로 변경되었다.[6]

3. 구성

wikitext

구간차선
양재 나들목 ~ 판교 나들목왕복 10차로
판교 나들목 ~ 서울 요금소왕복 12차로
서울 요금소 ~ 기흥 나들목왕복 8차로
기흥 나들목 ~ 오산 나들목왕복 10차로
오산 나들목 ~ 목천 나들목왕복 8차로
목천 나들목 ~ 남이 분기점왕복 6차로
남이 분기점 ~ 청주 분기점왕복 10차로
청주 분기점 ~ 회덕 분기점왕복 8차로
회덕 분기점 ~ 동이면 소도교왕복 6차로
동이면 소도교 ~ 영동1터널(영동)왕복 4차로
영동1터널(영동) ~ 김천 분기점왕복 6차로
김천 분기점 ~ 경산 나들목왕복 8차로
경산 나들목 ~ 양산 나들목왕복 6차로
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왕복 8차로
양산 분기점 ~ 부산기점왕복 6차로



일부 혼잡 구간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차로 제어 시스템(LCS, Lane Control System)을 이용하여 갓길을 차선으로 활용한다. 버스 전용 차선(버스 레인)은 중앙의 왕복 2차선(파란색 차선)으로 운영되며, 규제 시간은 09:00~21:00이다. 단, 지정일에 따라 조기 또는 심야 규제가 있을 수 있다. 버스와 6인 이상 탑승한 12인승 이하 승합차만 통행 가능하다. 신탄진IC~오산IC 구간은 휴일 및 공휴일과 지정일에만, 오산IC~양재IC 구간은 매일 버스 전용 차선이 운영된다.

; 총 연장

경부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416.1km이다. 기점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이며, 종점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양재IC)이다.

; 제한속도

구간속도
구서 나들목 ~ 천안 나들목최고 100km/h, 최저 50km/h
천안 나들목 ~ 양재 나들목최고 110km/h, 최저 50km/h


3. 1. 차로수

구간차선
양재 나들목 ~ 판교 나들목왕복 10차로
판교 나들목 ~ 서울 요금소왕복 12차로
서울 요금소 ~ 기흥 나들목왕복 8차로
기흥 나들목 ~ 오산 나들목왕복 10차로
오산 나들목 ~ 목천 나들목왕복 8차로
목천 나들목 ~ 남이 분기점왕복 6차로
남이 분기점 ~ 청주 분기점왕복 10차로
청주 분기점 ~ 회덕 분기점왕복 8차로
회덕 분기점 ~ 동이면 소도교왕복 6차로
동이면 소도교 ~ 영동1터널(영동)왕복 4차로
영동1터널(영동) ~ 김천 분기점왕복 6차로
김천 분기점 ~ 경산 나들목왕복 8차로
경산 나들목 ~ 양산 나들목왕복 6차로
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왕복 8차로
양산 분기점 ~ 부산기점왕복 6차로



일부 혼잡 구간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차로 제어 시스템(LCS, Lane Control System)을 이용하여 갓길을 차선으로 활용한다. 버스 전용 차선(버스 레인)은 중앙의 왕복 2차선(파란색 차선)으로 운영되며, 규제 시간은 09:00~21:00이다. 단, 지정일에 따라 조기 또는 심야 규제가 있을 수 있다. 버스와 6인 이상 탑승한 12인승 이하 승합차만 통행 가능하다. 신탄진IC~오산IC 구간은 휴일 및 공휴일과 지정일에만, 오산IC~양재IC 구간은 매일 버스 전용 차선이 운영된다.

3. 2. 총 연장

경부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416.1km이다. 기점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이며, 종점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양재IC)이다.

제한 최고 속도는 천안 나들목에서 양재 나들목 구간은 110km/h이고, 그 외 구간은 100km/h이다. 제한 최저 속도는 50km/h이다.

차로수는 구간에 따라 다르다. 양재 나들목에서 판교 나들목 구간은 왕복 10차로, 판교 나들목에서 서울 요금소 구간은 왕복 12차로이다. 서울 요금소에서 기흥 나들목, 오산 나들목에서 목천 나들목, 청주 분기점에서 회덕 분기점, 김천 분기점에서 경산 나들목, 양산 나들목에서 양산 분기점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 기흥 나들목에서 오산 나들목, 남이 분기점에서 청주 분기점 구간은 왕복 10차로이다. 목천 나들목에서 남이 분기점, 회덕 분기점에서 동이면 소도교, 영동1터널(영동)에서 김천 분기점, 경산 나들목에서 양산 나들목, 양산 분기점에서 부산기점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동이면 소도교에서 영동1터널(영동)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3. 3. 제한 속도

경부고속도로의 제한 최고 속도는 구간에 따라 다르다. 천안 분기점에서 양재 분기점까지는 110km/h이며, 구서 분기점에서 천안 분기점까지는 100km/h이다. 그 외 구간은 100km/h이다. 전 구간에서 제한 최저 속도는 50km/h이다.

일부 혼잡 구간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차로 제어 시스템(LCS, Lane Control System)을 이용하여 갓길을 차선으로 활용한다. 버스 전용 차선은 중앙의 왕복 2차선(파란색 차선)으로, 규제 시간은 09:00부터 21:00까지이다. 단, 지정일에 따라 조기 또는 심야 규제가 있을 수 있다. 버스와 6인 이상 탑승한 12인승 이하 승합차만 통행 가능하다. 신탄진IC에서 오산IC 구간은 휴일 및 공휴일과 지정일에만, 오산IC에서 양재IC 구간은 매일 버스 전용 차선이 운영된다.

3. 4. 터널

경부고속도로에는 경주터널, 황간터널, 영동1터널, 영동2터널, 영동3터널, 옥천1터널, 옥천2터널, 옥천3터널, 옥천4터널, 삼양터널, 증약터널, 대전터널, 경부동탄터널이 있다.

경주터널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서면에 걸쳐 위치하며, 1969년에 준공된 서울 방면 터널(152m, 138m)과 2018년에 준공된 부산 방면 터널(185m)이 있다.

황간터널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황간면에 걸쳐 위치하며, 2006년에 준공된 서울 방면 터널(624m)과 부산 방면 터널(615m)이 있다.

영동1터널은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심천면에 걸쳐 위치하며, 2003년에 준공된 서울 방면 터널(578m)과 부산 방면 터널(618m)이 있다. 영동2터널과 영동3터널은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에 있으며, 2015년에 준공되었다. 영동2터널은 서울 방면 584m, 부산 방면 654m이고, 영동3터널은 서울 방면 484m, 부산 방면 587m이다.

옥천1터널, 옥천2터널, 옥천3터널, 옥천4터널은 충청북도 옥천군에 있다. 옥천1터널과 옥천2터널은 동이면에 위치하며, 2003년에 준공되었다. 옥천1터널은 서울 방면 690m, 부산 방면 681m이고, 옥천2터널은 서울 방면 212m, 부산 방면 210m이다. 옥천3터널과 옥천4터널은 청성면에 위치하며, 2003년에 준공되었다. 옥천3터널은 서울 방면 1,593m, 부산 방면 1,613m이고, 옥천4터널은 서울 방면 873m, 부산 방면 868m이다.

삼양터널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에 위치하며, 2005년에 준공된 서울 방면 터널(361m)과 부산 방면 터널(336m)이 있다.

증약터널은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대전광역시 동구 대청동에 걸쳐 위치하며, 1999년에 준공되었다(755m).

대전터널은 대전광역시 동구 대청동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에 걸쳐 위치하며, 1999년에 준공된 서울 방면 터널(812m)과 부산 방면 터널(796m)이 있다.

경부동탄터널은 경기도 화성시 동탄동에 있으며, 2023년 서울 방면(1,200m), 2024년 부산 방면이 준공되었다.

3. 5. 버스 전용 차로

경부고속도로의 버스 전용 차로는 중앙의 왕복 2차선(파란색 차선)이다. 규제 시간은 09:00부터 21:00까지이며, 지정일에 따라 조기 또는 심야 규제가 있을 수 있다. 버스와 6인 이상 탑승한 12인승 이하 승합차만 통행 가능하다. 신탄진IC에서 오산IC 구간은 휴일 및 공휴일과 지정일에만, 오산IC에서 양재IC 구간은 매일 버스 전용 차로제가 시행된다.

4. 주요 통과지

경부고속도로 성남시-용인시 경계 일대의 풍경


경부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에서 시작하여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대구광역시 (동구, 북구, 달성군), 경상북도 (칠곡군, 구미시, 김천시),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대전광역시 (동구, 대덕구),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안성시, 평택시, 용인시, 오산시, 화성시, 성남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까지 이어진다.

5. 나들목 · 분기점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 및 분기점은 다음과 같다.


  • 번호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한다.
  • * 연한 파란색(): 중앙고속도로 중첩 구간
  • * 연한 초록색(): 서산영덕고속도로 중첩 구간
  • * 연한 하늘색(): 당진청주고속도로 중첩 구간


6. 교통량

2009년 기준 경부고속도로의 구간별 평균 통행량은 다음과 같다.[16]

구간거리 (km)12시간 평균 통행량 (대/일)24시간 평균 통행량 (대/일)
구서 ~ 언양40.043,93458,852
언양 ~ 동대구82.230,84242,905
동대구 ~ 금호17.380,110118,495
금호 ~ 김천43.955,55286,345
김천 ~ 회덕94.822,94936,376
회덕 ~ 남이22.669,491103,187
남이 ~ 천안32.955,36279,993
천안 ~ 안성31.591,418126,835
안성 ~ 신갈30.098,519138,298
신갈 ~ 양재21.0115,567175,044



수원신갈 나들목에서 신갈 분기점까지의 2.5km 구간은 24시간 기준 189,828대가 통과하여 최고 통행량을 기록했다. 차로당 최고 통행량은 신갈 분기점에서 판교 분기점까지 13.0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로당 23,038대가 통과했다.

경부고속도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통행량이 많은 고속도로 중 하나였지만, 대체 도로 등이 지속적으로 개통되면서 2005년부터는 통행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4시간 교통량'''(대)

구간1977년1980년1985년1990년1995년2000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구서IC - 노포IC6,7259,72216,57730,71857,83358,54455,20558,52266,53471,51269,680
노포IC - 노포JCT67,41670,63166,81766,539
노포JCT - 양산JCT86,90691,389
양산JCT - 양산IC89,71874,27678,39791,50189,018100,392
양산IC - 통도사SA/HIC6,0047,95011,39730,21255,48471,32164,41461,08768,41871,19282,481
통도사SA/HIC - 통도사IC66,91768,35279,594
통도사IC - 서울주JCT5,7417,52311,16629,19851,12367,62360,10557,60565,18165,30575,209
서울주JCT - 서울산IC60,282
서울산IC - 언양JCT67,16060,05248,26762,31858,58553,217
언양JCT - 활천IC5,2377,07110,64027,56548,54354,31548,08743,51945,80749,42345,602
활천IC - 경주IC45,60248,396
경주IC - 건천IC5,5137,44411,70828,63156,30457,95136,70640,52842,80850,63652,756
건천IC - 영천JCT56,86658,57346,81544,75043,27550,74955,011
영천JCT - 영천IC30,65133,689
영천IC - 경산IC5,5997,62511,97828,38360,03267,05451,96050,98449,79947,77841,928
경산IC - 동대구JCT5,7457,81912,45129,96677,75284,11691,12580,42487,10774,84268,625
동대구JCT - 도동JCT3,5975,2288,18126,01472,28280,48687,319113,214121,084109,530111,778
도동JCT - 북대구IC102,366130,994148,235132,091129,966
북대구IC - 금호JCT7,20011,30712,53830,88587,65291,752111,318133,367154,277144,977143,239
금호JCT - 칠곡JCT16,14645,77585,59190,581110,282115,061126,925104,824117,356
칠곡JCT - 칠곡물류IC122,297
칠곡물류IC - 와관IC114,137126,099107,716116,819
와관IC - 남구미IC5,5249,18513,15739,51970,68474,53994,82995,566111,58687,956102,381
남구미IC - 구미IC7,26010,64532,98458,66863,25077,03882,30188,96379,94090,586
구미IC - 북구미HIC4,6036,80610,19825,41751,88656,99369,31872,42185,78471,99476,849
북구미HIC - 김천JCT72,814
김천JCT - 동김천IC53,16835,17142,80540,91846,442
동김천IC - 김천IC39,46736,45140,066
김천IC - 추풍령SA/IC4,7147,05110,96326,75153,26158,01034,21831,61835,42139,09639,206
추풍령SA/IC - 황간IC4,7247,09011,05626,85353,34258,20733,42433,12836,95933,92238,290
황간IC - 영동IC4,7247,06411,05726,86953,23757,79435,86532,12036,77634,75239,809
영동IC - 금강SA/IC4,7727,19311,27727,52554,50860,09538,70835,40739,08838,10742,075
금강SA/IC - 옥천IC4,8727,33611,55528,01955,39960,93638,91634,34338,53139,66343,002
옥천IC - 비룡JCT6,4657,41811,76630,17061,47374,31450,62041,01754,72450,58553,254
비룡JCT - 대전IC76,83071,11575,43576,32574,56778,946
대전IC - 회덕JCT8,41813,16014,73741,13573,07386,95975,22585,42885,72387,91790,162
회덕JCT - 신탄진IC20,69259,334118,999136,001112,521100,82198,348102,900113,626
신탄진IC - 남청주IC20,78760,119123,102140,411118,232109,610118,504110,006120,342
남청주IC - 청주JCT21,79858,811123,522137,979121,851114,53598,836107,512117,484
청주JCT - 남이JCT95,791136,019125,450131,013
남이JCT - 청주IC40,01385,53293,88373,64277,23375,26080,84093,243
청주IC - 옥산SA/HIC8,80013,70422,23043,65596,187105,94681,31384,62084,01998,33890,034
옥산SA/HIC - 옥산JCT88,61491,613
옥산JCT - 목천IC91,849102,348
목천IC - 천안JCT42,12294,850105,20770,72880,77286,71685,361105,612
천안JCT - 천안IC99,553108,395150,108148,557161,308
천안IC - 북천안IC10,45516,62026,77653,917119,580127,770123,651135,105176,608180,070181,263
북천안IC - 안성IC167,263157,440174,264
안성IC - 안성JCT11,19217,92729,83659,699137,694144,967140,024134,771176,276188,440194,458
안성JCT - 남사진위IC134,211134,152163,773166,623182,381
남사진위IC - 오산IC190,808
오산IC - 동탄JCT11,55718,78128,88758,669149,045155,428135,798149,558172,750169,972196,744
동탄JCT - 기흥IC153,613163,491159,599195,088
기흥IC - 수원신갈IC12,05219,65231,60963,334160,735169,426150,241169,760203,392211,996210,408
수원신갈IC - 신갈JCT15,69723,63835,75279,246183,776199,079209,013189,440216,052197,800239,885
신갈JCT - 서울TG41,38984,259171,376193,953205,621185,792214,455201,226206,314
서울TG - 망우IC데이터 없음
망우IC - 망우JCT15,81222,78940,830214,987
망우JCT - 금토JCT153,092163,716185,834151,910158,589
금토JCT - 양재IC181,871206,014


7. 구간 과속 단속

경부고속도로의 구간 과속 단속은 다음과 같이 시행되고 있다.

8.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과거 양재 나들목 ~ 한남대교 구간은 경부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으나, 2002년에 이 구간의 관리권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서울특별시로 이양되면서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어 일반 자동차 전용도로가 되었다. 때문에 현재는 양재 나들목이 고속국도 제1호선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다.[19] 그러나 도로명 주소상 정식 도로명은 여전히 경부고속도로이며, 교통방송 등에서는 아직도 '''경부고속도로'''라고 하거나 혹은 “시구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이어지는 만큼 이 구간도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19] 한편, 이 도로는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기 직전인 2002년 11월 25일자로 전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2006년 1월 26일에 이 구간은 경부고속도로라는 이름과 함께 서울특별시도 제06호선 '''경부간선도로'''로 지정되었다.[19]

아래 표에서, 구간 거리는 2002년 도로현황조서를 바탕으로 하였다.

종류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경부고속도로 직결
IC양재Yangjae-0.00경부고속도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양재대로12길
헌릉로
서울특별시서초구
IC서초Seocho2.562.56남부순환로한남방향 진입로 폐쇄
IC반포Banpo2.284.84사평대로양재방향 진입과 한남방향 진출만 가능
IC잠원Jamwon0.745.58신반포로한남방향 진출입로 없음
JC한남대교 분기점Hannamdaegyo Br.1.286.86한남대교
강남대로
올림픽대로
압구정로·잠원로
강남구본래는 잠원 나들목의 일부
강남대로 직결


8. 1. 통과하는 지역

서울특별시 서초구강남구, 부산광역시 금정구,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대구광역시 동구와 북구, 경상북도 칠곡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경상북도 칠곡군, 구미시, 김천시,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대전광역시 동구와 대덕구,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안성시, 평택시, 용인시, 오산시, 화성시, 성남시를 지난다.

8. 2.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는 80km/h, 최저 속도는 50km/h로 제한된다.

9.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

1990년대에 착공된 경부고속도로 대전 ~ 대구 구간 선형 개량 및 확장 공사로 인해 대전 ~ 영동 구간에는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이 많이 남아있다. 대전광역시옥천군 구간에 있는 도로들은 일반도로로 활용 중이다.

구 경부고속도로 대전육교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은 다음과 같다.

옥천군 당재터널


참조

[1] 서적 강남40년 영동에서 강남으로 http://ebook.seoul.g[...] Seoul Museum of History 2011-02-01
[2] 웹사이트 Asian Highway Database (Republic of Korea) http://www.unescap.o[...] UNESCAP 2018-05-16
[3] 웹사이트 특별시도 노선 인정 현황 http://safe.seoul.go[...] 2019-01-07
[4] 뉴스 日本の請求権資金、韓国が最も効率的に使用 http://japan.donga.c[...] 동아일보 2005-01-19
[5] 웹사이트 고속도로에서의 飛行訓練 http://ehistory.kore[...]
[6] 뉴스 今日の歴史(2月1日)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9-02-01
[7] 웹페이지 부산 시점에서 구서 나들목까지는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AH1 구간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번영로 (부산)|번영로를 거쳐 일본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8] 뉴스 경부고속도로, 불혹 맞이한 국토대동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7-07
[9] 웹페이지 금정도서관로와는 영락공원에서 폐쇄되어 이용이 불가능하다. 단, 공무·작업·비상 차량에 한해 이용할 수 있다.
[10] 뉴스 경부고속도 언양휴게소 25일 폐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8-23
[11] 뉴스 경부고속道 옥산휴게소 폐쇄 (서울방향…낡고 좁아 건립 24년만에)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05-10-27
[12] 웹페이지 옛 이름은 청원휴게소이다.
[13] 웹페이지 옛 이름은 천안휴게소이다.
[14] 웹페이지 옛 이름은 입장휴게소이다.
[15] 웹페이지 단, 서울방향 진출만 가능하다.
[16] 웹사이트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http://www.road.re.k[...] 2010-08-21
[17] 뉴스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구간단속카메라 설치 운영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4-02-09
[18] 뉴스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17일부터 구간단속 http://news.kbs.co.k[...] KBS뉴스 2014-02-09
[19] 웹인용 특별시도 노선 인정 현황 http://safe.seoul.go[...] 2014-11-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