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7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1971년 부산 ~ 온성선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확장 및 개통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부산,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동해시, 강릉시, 양양군, 속초시를 거쳐 고성군 현내면까지 연결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선시의 교통 -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는 소련과 북한을 잇는 철교로 1959년에 개통되었으며, 2017년 통신 연결이 강화되고 2022년에는 제한적인 화물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 함경남도의 교통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호선은 대한민국 남해안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그리고 북한을 잇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여러 차례 개통 및 변경을 거쳐 통영시, 거제시, 창원시, 대구광역시, 안동시, 원주시, 춘천시 등을 경유한다.
국도 제7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7 |
노선 이름 | 국도 제7호선 |
다른 이름 | 부산온성선 |
총 연장 | 1192 km |
대한민국 구간 연장 | 484.3 km |
지정일 | 1971년 8월 31일 |
노선 방향 | 남북 |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번호 | AH 6 |
기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
종점 | 함경북도 온성군 |
주요 연결 도로 | 경부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
노선 정보 | |
주요 경유지 (대한민국 구간)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북도 울진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
주요 경유지 (북한 구간) | 강원도 고성군 강원도 통천군 강원도 안변군 강원도 원산시 강원도 문천시 함경남도 고원군 함경남도 영흥군 함경남도 정평군 함경남도 함주군 함경남도 함흥시 함경남도 함주군 함경남도 홍원군 함경남도 북청군 함경남도 이원군 함경남도 단천시 함경북도 학성군 함경북도 김책시 함경북도 학성군 함경북도 길주군 함경북도 명천군 함경북도 경성군 함경북도 청진시 함경북도 부령군 함경북도 경흥군 함경북도 나선시 함경북도 경흥군 함경북도 경원군 함경북도 온성군 |
기타 정보 | |
관련 링크 | 깨진 링크 |
![]() | |
![]() |
2. 역사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7호선''' 부산 ~ 온성선이 되었다.[10] 1979년 1월 31일 삼척 ~ 포항 구간이 2차선으로 개통되었고,[14] 1979년 11월 31일에 삼척~포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9년에는 포항 ~ 울진 구간 4차선 확장공사가 착공되었고, 1992년 포항 ~ 청하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19] 1996년 7월 1일 기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하였다.[21]
1975년 10월 1일 양양군 손양면 상양혈리 ~ 밀양리 총 226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249m 구간이 폐지되었으며,[11] 1976년 4월 7일에는 명주군 옥계면 초구리 ~ 강동면 모전리 총 5.111 km 구간이 개량되었다.[12] 1976년 9월 21일 삼척군 삼척읍 교리 ~ 명주군 묵호읍 부곡리 14.85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7.82 km 구간이 폐지되었다.[13]
1980년 2월 22일 삼척군 원덕면 호산리 ~ 삼척읍 사직리 41.064 km 구간, 명주군 사천면 방동리 ~ 미노리 397m 구간, 삼척군 삼척읍 교리 ~ 정상리 2.98 km 구간이 개통되고 해당 구간들의 기존 도로들이 폐지되었다.[15] 1981년 1월 20일 삼척군 원덕읍 호산리 ~ 월천리 4.172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5.87 km 구간이 폐지되었다.[16] 1988년 8월 6일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 우회도로 760m 구간이 개통되었고,[17] 1989년 3월 11일 울주군 청량면 율리 일대 구 도로부지가 폐지되었다.[18]
1994년 7월 15일 명주군 옥계면 산성우리 ~ 강동면 안인진리 9.9 km 구간이 개통되었다.[20] 1998년 11월 25일 대복고가차도(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872m 구간이 개통되었고,[22] 1999년 7월 19일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 죽왕면 문암리 7.7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3.1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23] 1999년 10월 1일 속초시 교동 ~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5.39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10.6 km 구간이 폐지되었으며,[24] 1999년 12월 31일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1.65 km 구간이 재가설 개통되었다.[25]
2000년 2월 24일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64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26] 2000년 10월 25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 호산리 1.97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1.89 km 구간이 폐지되었다.[27] 2001년 4월 16일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3.12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28] 기존 울진군 근남면 노음리 ~ 수산리 2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9]
2002년 1월 5일 덕계지하차도(양산시 웅상읍 덕계리 ~ 평산리) 2.694 km 구간이 개통되었고,[30] 2002년 7월 2일 울진 ~ 죽변간 도로(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 울진읍 온양리) 5.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1] 2002년 7월 10일 유강외팔교(경주시 강동면 유금리 ~ 포항시 남구 연일읍 유강리) 2.87 km 구간이 확장 및 이설 개통되었다.[32]
2003년 2월 8일 강원도 삼척시 오분동 ~ 근덕면 매원리 14.69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33] 2003년 12월 31일 울진 ~ 죽변간 도로(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 북면 고목리) 13.1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14.3 km 구간이 폐지되었으며,[34] 강구 ~ 영덕간 영덕우회도로(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 화수리) 5.8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5]
2004년 1월 1일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 청량동 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36] 2004년 12월 30일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 ~ 송현진리 4.2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37] 2005년 1월 5일 강원도 삼척시 오분동 ~ 근덕면 매원리 14.79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15.1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38]
2005년 2월 16일 구 동해고속도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낙풍리 ~ 강동면 상시동리 17 km 구간을 국도 제7호선으로 지정하고, 기존 국도 제7호선 24.14 km 구간을 폐지했다.[39] 2005년 6월 30일 죽변 ~ 북면간 도로(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86 km 구간 및 원남 ~ 울진간 도로(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 근남면 구산리) 9.0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각각 기존 도로 11.65 km와 9.65 km 구간이 폐지되었다.[40]
2005년 8월 1일 영덕 ~ 성내간 도로(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 병곡면 영리) 8.16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8.57 km 구간이 폐지되었고,[41] 2005년 12월 27일 영덕 ~ 성내간 도로(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수리 ~ 축산면 도곡리) 9.2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9.6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42]
2006년 6월 23일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사천리 ~ 명호리 2.55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 기존 2.11 km 구간이 폐지되었으며,[43] 2006년 8월 11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 근덕면 궁촌리 20.04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44][45] 2007년 2월 27일 경주시 광명동 ~ 외동읍 구어리 25.72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46]
2009년 3월 20일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47][48] 2009년 7월 20일 병곡 ~ 평해 ~ 기성 ~ 원남간 도로(영덕군 병곡면 영리 ~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30.1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49] 2009년 9월 2일 북면 ~ 원덕 ~ 근덕간 도로(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 근덕면 매원리) 20.0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으며,[50] 2009년 12월 18일 영덕 병곡 ~ 울진 원남 구간 및 울진 북면 ~ 삼척 근덕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51]
2010년 1월 22일 병곡 ~ 평해 ~ 기성간 도로 확장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덕군 병곡면 영리 ~ 울진군 평해읍 학곡리 6.7 km 구간과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 기성면 정명리 9.17 km 구간이 폐지되었고,[52] 2010년 12월 28일 기성 ~ 원남간 도로(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망양 교차로 ~ 망양1 교차로) 3.2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53][54] 기존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 원남면 덕신리 12.3 km 구간이 폐지되었다.[55] 2010년 12월 29일에는 7번 국도 전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2011년 9월 27일 양산시 동면 여락리 ~ 용당동 10.46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56] 2012년 12월 31일 고성군 현내면 제진리 ~ 사천리(제진 교차로 ~ 사천1 교차로) 1.65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1.276 km 구간이 폐지되었다.[57]
2013년 8월 20일 간성 ~ 거진간 도로(고성군 간성읍 상리 ~ 거진읍 자산리) 6.9 km 구간이 임시 개통되었고,[58][59] 2014년 10월 6일 간성 ~ 현내간 도로(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 거진읍 자산리) 6.9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 거진읍 송포리 5.55 km 구간이 폐지되었다.[60]
2015년 9월 10일 현내 ~ 송현진간 도로 1공구(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 명파리) 5.1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5.61 km 구간이 폐지되었고, 현내 ~ 송현진간 도로 2공구(고성군 현내면 명파리 ~ 제진리) 1.36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1.38 km 구간이 폐지되었다.[61][62]
2016년 8월 9일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7.0 km 구간 및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 청량면 문죽리 6.32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63][64] 2016년 12월 20일 간성 ~ 현내간 도로(고성군 거진읍 자산리 ~ 현내면 대진리) 8.1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기존 고성군 거진읍 봉평리 ~ 현내면 대진리 총 7.77 km 구간이 폐지되었다.[65]
2017년 12월 31일 경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내남 ~ 외동간 도로,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 외동읍 모화리) 15.4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고,[66] 2018년 7월 15일 동해 ~ 강릉간 도로 중 동해시 망상해수욕장 2.14 km 구간이 일부 개통되었다.[67]
2018년 9월 20일 경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효현 ~ 내남간 도로,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 건천읍 화천리) 8.74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고,[68] 기존 경주시내(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 천북면 오야리) 32.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69] 2018년 12월 26일 부산시계 ~ 웅상간 도로(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개곡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2.0 km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70] 기존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개곡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3.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71]
2019년 4월 29일 부산시계 ~ 웅상간 도로(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9.3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고,[72] 기존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10.2 km 구간이 폐지되었다.[73] 2019년 6월 18일 망상 ~ 옥계간 도로(동해시 망상동 ~ 강릉시 옥계면 낙풍리) 8.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74]
2020년 9월 28일 추석 연휴인 10월 5일까지 웅상 ~ 무거간 도로(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7.7 km 구간이 임시 개통되었고,[75] 2020년 10월 30일 웅상 ~ 무거간 도로(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7.7 km 구간 신설 개통과 함께[76] 기존 8.3 km 구간이 폐지되었다.[77]
2021년 3월 30일 웅상 ~ 무거간 도로(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 청량읍 문죽리) 4.9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고,[78] 기존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 청량읍 율리 5.4 km 구간이 폐지되었다.[79] 2022년 4월 1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 ~ 남구 옥동 1.59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80]
2022년 4월 28일 흥해우회도로(포항시 북구 흥해읍 초곡리 ~ 덕장리) 6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고,[81] 기존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옥성리 ~ 덕장리 3.5 km 구간이 폐지되었다.[82] 2022년 9월 30일 옥동 ~ 농소간 도로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 ~ 울주군 청량읍) 구간 1km가 신설 개통되었고, 2023년 10월 19일 청량 ~ 옥동간 도로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 1.59 km 구간이 개통되었다.[83] 2023년 10월 30일 이예로 완전 개통으로 기존 울산광역시 시내 구간을 지정 해제하고 이예로 전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84]
3. 주요 경유지
3. 1. 대한민국 구간
대한민국 구간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서 시작하여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동해시, 강릉시, 양양군, 속초시를 지나 고성군 현내면까지 이어진다.[85] 현재 대한민국에서 접근이 가능한 구간은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 통일전망대까지이며, 그 이후 구간은 DMZ로 인해 접근이 불가능하다.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옛시청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동구 (초량동 · 수정동 · 좌천동 · 범일동), 부산진구 (범천동 · 부전동 · 범전동 · 양정동), 연제구 거제동, 동래구 (사직동 · 온천동), 금정구 (장전동 · 부곡동 · 서동 · 남산동 · 청룡동 · 노포동 · 두구동)을 지난다.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덕계동, 명동, 삼호동, 용당동을 지난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 청량읍), 남구 (무거동 · 옥동), 중구 (태화동 · 유곡동 · 성안동), 북구 (가대동 · 달천동 · 농소동 · 중산동)을 지난다.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 시래동 · 구정동 · 조양동 · 도지동 · 동방동 · 배반동 · 황동 · 인왕동 · 황오동 · 성동동 · 동천동 · 용강동 · 천북면 · 강동면), 포항시 (남구 (연일읍 · 효자동 · 대잠동) - 북구 (죽도동 · 용흥동 · 대흥동 · 신흥동 · 덕산동 · 덕수동 · 우현동 · 흥해읍 · 청하면 · 송라면)), 영덕군 (남정면 · 강구면 · 영덕읍 · 축산면 · 영해면 · 병곡면), 울진군 (후포면 · 평해읍 · 기성면 · 매화면 · 근남면 · 울진읍 · 죽변면 · 북면)을 지난다.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 근덕면 · 오분동 · 정상동 · 교동 · 갈천동 · 마달동 · 우지동 · 추암동), 동해시 (대구동 · 추암동 · 대구동 · 단봉동 · 이도동 · 나안동 · 동회동 · 효가동 · 지흥동 · 천곡동 · 평릉동 · 부곡동 · 발한동 · 초구동 · 망상동), 강릉시 (옥계면 · 강동면 · 운산동 · 신석동 · 유산동 · 노암동 · 내곡동 · 홍제동 · 교동 · 유천동 · 교동 · 지변동 · 죽헌동 · 난곡동 · 대전동 · 안현동 · 사천면 · 연곡면 · 주문진읍), 양양군 (현남면 · 현북면 · 손양면 · 양양읍 · 강현면), 속초시 (대포동 · 조양동 · 교동 · 장사동), 고성군 (토성면 · 죽왕면 · 간성읍 · 거진읍 · 현내면)을 지난다.
양산시 개곡교차로에서 개곡교, 기장군 개곡교에서 신두명2교, 양산시 두명1터널에서 용당터널, 울산시 초천교차로에서 대복교차로, 경주시 외동 교차로에서 효현 교차로(외현로), 울진군 후정 교차로에서 고포터널(동해대로), 삼척시 월천터널에서 오분 교차로(동해대로)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다.[85]
경주시 효현 교차로에서 현곡면 상구리 건포산업로 (외현로) 구간은 미개통 구간으로 2023년 개통 예정이다.[85]
3.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령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서 시작하여 함경북도 온성군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 통천군, 원산시, 함흥시, 흥남시, 북청군, 단천군, 성진시, 길주군, 청진시, 나진시, 경흥군, 경원군을 지난다.
4. 교차하는 도로
동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한다.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8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59호선과 교차한다.
4. 1. 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상링크), 울산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한다.4. 2. 일반 국도
국도 제7호선은 고속도로 및 다른 국도와 교차한다.고속도로의 경우, 동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상링크), 울산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일반 국도의 경우,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0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8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8호선, 국도 제31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 국도 제34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 국도 제35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 국도 제36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 국도 제38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 국도 제42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 국도 제44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 국도 제59호선 (대한민국)(가상링크)과 교차한다.
5.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은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 총연장 (km) | 차로수 | 지정일 | ||
---|---|---|---|---|---|
통신사로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개곡리(개곡 교차로)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용당 교차로) | 10.46 | 4 | 2011년 9월 27일 |
이예로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용당 교차로)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대복 교차로) | 7.0 | 4 | 2016년 8월 9일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대복 교차로)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문죽리(문죽 교차로) | 6.32 | 4 |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문죽 교차로) |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갈티 교차로) | 1.59 | 4 | 2022년 4월 1일 | |
외현로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외동 교차로) | 경상북도 경주시 광명동(효현 교차로) | 25.72 | 4 | 2007년 2월 27일 |
동해대로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후정 교차로)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호산 교차로) | 10.64 | 4 | 2000년 2월 24일 |
1.0 | 4 | 2009년 3월 25일 |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호산 교차로)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궁촌 교차로) | 20.04 | 4 | 2006년 8월 17일 |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매원리(궁촌 교차로)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오분동(오분 교차로) | 15.0 | 4 | 2000년 2월 24일 | |
6. 각주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일반
[3]
일반
[4]
일반
[5]
일반
[6]
일반
[7]
일반
[8]
일반
[9]
뉴스
알렌·언더우드·아펜젤러가 처음 밟은 부산항”… 부산에 세 선교사 '입국 표지석' 세운다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3-03-20
[10]
법령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11]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10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12]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31호
http://theme.archive[...]
1976-04-07
[13]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38호
http://theme.archive[...]
1976-09-21
[14]
뉴스
총연장(총연장)1백92km(km) 浦項(포항)~三陟(삼척) 高速化(고속화)도로 개통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9-01-31
[1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호
http://theme.archive[...]
1980-02-22
[1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호
http://theme.archive[...]
1981-01-20
[17]
간행물
강릉국도유지건설사무소공고 제11호
http://theme.archive[...]
1988-08-06
[1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http://theme.archive[...]
1989-03-11
[19]
뉴스
浦項-淸河간 국도 부실공사 말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3-01-20
[2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30호
http://theme.archive[...]
1994-07-15
[21]
법령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2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424호
http://theme.archive[...]
1998-11-25
[2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77호
http://theme.archive[...]
1999-07-21
[2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02호
http://theme.archive[...]
1999-09-30
[2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82호
http://theme.archive[...]
1999-12-23
[2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9호
http://theme.archive[...]
2000-02-24
[2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13호
http://theme.archive[...]
2000-10-24
[2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65호
http://gwanbo.mois.g[...]
2001-04-16
[29]
간행물
제2001-66호
http://gwanbo.mois.g[...]
2001-04-16
[3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66호
http://gwanbo.mois.g[...]
2002-01-05
[3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78호
http://gwanbo.mois.g[...]
2002-07-02
[3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86호
http://gwanbo.mois.g[...]
2002-07-10
[3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11호
http://www.provin.ga[...]
2003-02-08
[3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408호, 제2003-409호
http://www.gb.go.kr/[...]
2004-01-15
[3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410호
http://www.gb.go.kr/[...]
2004-01-15
[36]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5호
http://www.provin.ga[...]
2004-01-17
[37]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102호
http://www.provin.ga[...]
2005-01-07
[38]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103호
http://www.provin.ga[...]
2005-01-07
[39]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7호
http://www.provin.ga[...]
2005-02-19
[40]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82호, 제2005-83호, 제2005-84호, 제2005-85호
http://www.gb.go.kr/[...]
2005-06-30
[41]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99호, 제2005-100호
http://www.gb.go.kr/[...]
2005-08-01
[42]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32호, 제2005-233호
http://www.gb.go.kr/[...]
2005-12-29
[43]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33호
http://www.provin.ga[...]
2006-06-23
[44]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49호
http://www.provin.ga[...]
2006-08-11
[45]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49호
http://gwanbo.mois.g[...]
2006-08-17
[46]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7호, 경주시공고 제2006-1387호
https://gwanbo.mois.[...]
2007-02-27
[47]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9-18호
http://www.provin.ga[...]
2009-03-20
[48]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18호
http://gwanbo.mois.g[...]
2009-03-25
[49]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29호
http://gwanbo.mois.g[...]
2009-09-23
[50]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9-56호
http://wcmo.molit.go[...]
2009-09-02
[51]
뉴스
7번국도 전구간 4차선 개통, 영덕 병곡~울진 원남 구간 확장…오늘 준공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09-12-18
[52]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7호
http://gwanbo.mois.g[...]
2010-01-25
[53]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67호
http://gwanbo.mois.g[...]
2010-12-13
[54]
웹인용
동해안 7번국도 확장공사 22년만에 완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2-29
[55]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68호
http://gwanbo.mois.g[...]
2010-12-13
[56]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71호
http://gwanbo.mois.g[...]
2011-09-27
[57]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7호
http://www.provin.ga[...]
2013-02-01
[58]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98호
http://gwanbo.mois.g[...]
2013-08-22
[59]
뉴스
국도7호선 고성 간성~거진 20일 개통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3-08-19
[60]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69호
http://wcmo.molit.go[...]
2014-10-01
[61]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70호
http://gwanbo.mois.g[...]
2015-09-01
[62]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71호
http://gwanbo.mois.g[...]
2015-09-07
[63]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48호
http://gwanbo.mois.g[...]
2016-08-09
[64]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49호
http://gwanbo.mois.g[...]
2016-08-09
[65]
공고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79호
http://gwanbo.mois.g[...]
2016-12-15
[66]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242호
http://gwanbo.mois.g[...]
2018-01-03
[67]
방송
국도7호선 동해~강릉 일부 구간 조기 개통
https://www.mbceg.co[...]
MBC 강원영동
2018-07-06
[68]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80호
http://gwanbo.mois.g[...]
2018-09-20
[69]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81호
http://gwanbo.mois.g[...]
2018-09-20
[70]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6호
http://gwanbo.mois.g[...]
2018-12-27
[7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7호
http://gwanbo.mois.g[...]
2018-12-27
[7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89호
http://gwanbo.mois.g[...]
2019-04-29
[7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90호
http://gwanbo.mois.g[...]
2019-04-29
[74]
뉴스
원주국토청, 동해-강릉구간 4차로 확장 개통
http://www.dtoday.co[...]
일간투데이
2019-06-17
[7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77호
https://gwanbo.mois.[...]
2020-09-28
[7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99호
https://gwanbo.mois.[...]
2020-10-28
[7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00호
https://gwanbo.mois.[...]
2020-10-28
[7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45호
https://gwanbo.go.kr[...]
2021-03-29
[7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46호
https://gwanbo.go.kr[...]
2021-03-29
[8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50호
https://gwanbo.go.kr[...]
2022-04-01
[8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67호
https://gwanbo.go.kr[...]
2022-04-25
[8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68호
https://gwanbo.go.kr[...]
2022-04-25
[83]
뉴스
국도 7호선 우회도로 울산 '청량∼옥동' 구간 19일 개통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3-10-18
[8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606호
https://gwanbo.go.kr[...]
2023-10-30
[8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