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베르쿨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베르쿨린은 결핵균 감염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1890년 로베르트 코흐에 의해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결핵 치료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효과가 없어, 이후 클레멘스 폰 피르케에 의해 알레르기 반응을 이용한 결핵 감염 진단에 활용되었다. 현재는 만투 검사 등이 사용되며, 주사 부위의 반응을 통해 결핵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 투베르쿨린 검사는 감염률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지며, 다른 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핵 - 소결핵균
    소결핵균은 세포벽의 특성으로 여러 환경에 저항하며, 주로 감염된 소의 생 우유를 통해 인간에게 전파되고, 인수공통 결핵을 일으키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피신으로 치료하고 BCG 백신의 조상이기도 하다.
  • 결핵 - 다제내성 결핵
    다제내성 결핵은 아이소니아지드와 리팜피신에 동시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며, 부적절한 치료, 약물 복용 중단, 항생제 오남용 등으로 인해 치료가 어렵고 심각한 경우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환자 관리, 국제적 협력이 중요하다.
  • 면역학 - 체취
    체취는 인간의 피부상재균이 분비물을 대사하여 발생하는 냄새로, 유전자,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데오드란트 등으로 관리하거나 심한 경우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 면역학 - 면역계
    면역계는 물리적 장벽, 선천 면역, 후천 면역으로 구성되어 감염으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하는 다층적인 방어 시스템이며, 기능 이상 시 자가면역 질환, 과민 반응, 면역 결핍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 아세트산
    아세트산(CH₃COOH)은 식초의 주성분인 카르복실산으로, 다양한 화학적 합성법과 발효법으로 대량 생산되며, 산업 및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고농도에서는 부식성이 강해 주의해야 한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 암로디핀
    암로디핀은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 채널 차단제로, 고혈압과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지만, 말초 부종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특정 질환에서는 사용이 금지된다.
투베르쿨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의학 분야감염병학, 호흡기학
투여 방법피내 주사
법적 지위전문의약품
ATC 코드V04CF01
DrugBankDB11601
상세 정보
사용 목적결핵 감염 여부 확인
투여 경로피내
약물 상호 작용알려진 바 없음
임신 등급C (미국)
CAS 등록번호92129-86-7

2. 역사

1890년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 치료를 목적으로 투베르쿨린을 발표했으나, 효과는 없었다.[15][16] 코흐는 투베르쿨린이 결핵균을 직접 죽이는 것이 아니라 결핵 조직의 괴사를 유발하여 간접적으로 균을 굶겨 죽인다고 믿었다.[10]

1907년, 클레멘스 폰 피르케는 코흐와는 별개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결핵 진단용으로 발전시켰다. 이후 마이스터 루시우스 & 브뤼닝 AG(후에 회흐스트 AG)가 투베르쿨린 검사 재고를 대량 구매하여 생산을 시작했다.[12]

투베르쿨린 검사 초기에는 널리 사용될 것이라는 인식이 없었으나, 결핵 환자와 비결핵 환자의 다양한 반응에 대한 임상 시험과 관찰을 통해 피르케 피부 반응 검사, 모로 경피 병변 검사, 만투 피내 검사, 칼메트 결막 검사 등 새로운 진단 방법들이 개발되었다.[6]

폰 피르케는 말 혈청 또는 천연두 백신 접종자의 과민 반응을 알레르기라고 명명하고, 결핵균 감염자에게서도 유사한 반응을 발견하여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 검사를 결핵균 감염 진단에 활용했다.

1912년 후쿠시마현오카야마현 교원 결핵 검진에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가 사용되었다.[22]

과거 일본에서는 결핵 예방법에 따라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에게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실시하고 음성인 경우 BCG 접종을 했다. 1960년대에는 관침법(도장 주사)이 도입되었으나, 2005년 법 개정으로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 대상 투베르쿨린 검사는 폐지되었다.[17] 현재는 예방 접종법에 따라 생후 1세 미만 유아에게만 투베르쿨린 검사 없이 BCG 접종을 한다.[18]

현재 미국에서는 만투 테스트(PPD 사용), 영국에서는 2005년까지 히프 테스트가 실시되었으나 현재는 만투 테스트로 변경되었다.

2. 1. 개발

1890년 독일의 과학자이자 의사인 로베르트 코흐가 투베르쿨린을 개발했다. 최초의 투베르쿨린은 결핵균의 글리세린 추출물이었으며, 결핵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원래 결핵 치료법으로 여겨졌으며, 배양된 여과액을 통해 수집된 갈색 투명 액체의 피하 주사 형태로 환자에게 투여되었다.[6] 그러나 이 치료법은 예상했던 사망률 감소를 가져오지 못했다.

1891년 투베르쿨린 치료가 처음 환자들에게 투여되었을 때, 대부분 환자에게 4~5시간 지속되는 발열 반응이 기록되었다. 이러한 반응의 증상으로는 구토, 오한 또는 기타 전신 증상을 동반한 열이 있었다.[6] 코흐는 치료법의 용량을 점차 늘리면 결핵의 경미한 경우와 진행 속도는 느리지만 여전히 진행되는 심각한 경우에서 더 빠르고 효과적인 치유를 가져온다는 것을 관찰했다.[6]

오스트리아 의사인 클레멘스 폰 피르케는 이전에 말 혈청 또는 천연두 백신 주사를 맞은 환자가 두 번째 주사에 더 빠르고 심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과민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알레르기"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결핵에 감염된 사람들에게서도 동일한 유형의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의 관찰은 투베르쿨린 피부 검사의 개발로 이어졌다.

코흐 시대에 독일인 7명 중 거의 1명이 결핵으로 사망했다. 그로 인해 대중들은 치료에 대한 희망을 불러일으킨 병원체의 발견에 열광적으로 반응했다. 1890년 베를린에서 열린 제10회 국제 의학 회의에서 코흐는 예상치 못하게 결핵 치료법을 소개했는데, 이를 투베르쿨린이라고 불렀다. 그는 그 조성물을 공개하지 않았는데, 이는 당시에는 의약품 특허가 통례가 아니었기 때문에 흔한 일이었습니다. 대중은 유명한 의사를 신뢰했고 열광적으로 반응했다. 코흐는 적색 훈장 훈장의 대십자 훈장을 받았다.

코흐는 자신의 발견으로 이익을 얻으려 했고, 이는 그가 공공 기금을 사용하여 공공 기관에서 연구를 수행했기 때문에 그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그는 문화부에 투베르쿨린 생산만을 위한 연구소를 설립할 자금 지원을 요구했고, 연간 의 이익을 추산했다. 코흐는 또한 미국으로부터 제안을 받았다는 것을 암시했다.[9]

의학 역사가 크리스토프 그라드만(Christoph Gradmann)은 결핵균의 기능에 대한 코흐의 믿음을 재구성했다. 그 약은 박테리아를 죽이는 것이 아니라 결핵 조직의 괴사를 시작하여 결핵 병원균을 "굶어 죽게" 하는 것이었다.[10]

클레멘스 폰 피르케는 결핵 진단을 위한 검사 시약으로 결핵 반응 검사를 더욱 발전시켰지만, 이것은 로베르트 코흐의 어떤 아이디어와도 무관한 그의 독자적인 업적이었다.

코흐가 처음 결핵 검사 과정을 발견하고 발표했을 때, 이러한 유형의 진단 검사가 얼마나 널리 사용될지에 대한 인식은 없었다. 결핵 환자와 결핵이 없는 환자에서 결핵 반응 검사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통해 이루어진 여러 임상 시험과 관찰을 통해, 이러한 치료법의 근간에 해당하는 새로운 방법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주사 부위의 국소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신 증상을 더욱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의 지속적인 사용은 다른 의학적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 여기에는 피르케 피부 반응 검사, 모로 경피 병변 검사, 만투(Mantoux) 피내 검사 및 칼메트(Calmette) 결막 검사가 포함되었다.[6]

코흐는 1890년에 항원을 발표하였는데, 이것은 결핵균에서 글리세린으로 추출한 단백질(PPD)이었다. 검사가 아닌 결핵 치료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효과는 없었다.[15][16]

클레멘스 폰 피르케는 말 혈청 또는 천연두 백신을 접종받은 환자가 두 번째 접종에 대해 더 빠르게 심각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발견하고, 이 과민 반응을 알레르기라고 명명했다. 폰 피르케는 이어서 결핵균 감염자에 대해 이 항원으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고, 현재의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 검사를 결핵균 감염 진단에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과거 일본에서는 결핵 예방법에 따라 유아,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대상으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실시하고, 음성인 사람에게 BCG 접종을 실시했다. 그러나 그 후 2005년 법 개정으로 이들에 대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는 폐지되었다.[17] 현재는 예방 접종법에 따라 생후 1세가 되기 전까지의 정기 접종 시기에 있는 유아에게만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없이 직접 BCG 접종을 실시하고 있다.[18]

2. 2. 치료제로서의 실패와 논란

로베르트 코흐가 1890년에 발명한 최초의 투베르쿨린은 결핵균의 글리세린 추출물이었으며, 결핵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환자에게는 배양된 여과액을 통해 수집된 갈색 투명 액체를 피하 주사하는 방식으로 투여되었다.[6] 그러나 이 치료법은 사망률 감소로 이어지지 못했다.

1891년, 투베르쿨린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4~5시간 지속되는 발열 반응이 나타났다. 구토, 오한 등의 전신 증상을 동반한 열이었다.[6] 코흐는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자 치료 용량을 늘리면 결핵의 경미한 경우와 진행 속도가 느린 심각한 경우 모두에서 더 빠르고 효과적인 치유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6]

영국에서는 빈곤층 시민들을 위한 검사, 진단, 치료를 위한 "진료소" 설립 노력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왔다. 에든버러 시스템 프로토콜은 결핵 환자의 가정과 모든 접촉자에 대한 치료를 포함했다.[7] 힐다 클라크 박사의 서머셋 스트리트 진료소는 덜 심각한 결핵 환자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유명했다.[7]

오스트리아 의사 클레멘스 폰 피르케는 이전에 말 혈청이나 천연두 백신 주사를 맞은 환자가 두 번째 주사에 더 빠르고 심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과민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알레르기"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그는 곧 결핵 감염자에게서도 같은 유형의 반응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투베르쿨린 피부 검사 개발로 이어졌다. 활동성 결핵 환자는 대개 투베르쿨린 양성이었지만, 전신성 및 급성 진행성 질환자 중 많은 수는 음성이었다. 이 때문에 투베르쿨린 반응성이 결핵에 대한 면역력의 지표라는 잘못된 믿음이 널리 퍼졌다.

코흐 시대에는 독일인 7명 중 1명이 결핵으로 사망했다. 대중들은 치료에 대한 희망을 불러일으킨 코흐의 발견에 열광했다. 당시 감염병에 대한 유일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키니네였으며, 이는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었다.

1890년 베를린에서 열린 제10회 국제 의학 회의에서 코흐는 투베르쿨린을 결핵 치료법으로 소개했다. 당시 의약품 특허가 일반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코흐는 그 조성물을 공개하지 않았다. 페나존이 유일한 예외였다. 코흐는 적색 훈장 훈장 대십자 훈장을 받았다.

사회 위생 운동가 알프레드 그로트얀은 그라이프스발트에서 투베르쿨린의 등장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마침내 내과 병원이 투베르쿨린으로 첫 번째 예방 접종을 실시할 그라이프스발트에도 중요한 날이 왔습니다. 마치 기공식이나 기념비 제막식처럼 축하했습니다. 의사, 간호사, 환자는 눈처럼 하얀 옷을 입고 원장은 검은 프록 코트를 입고 월계수 나무를 배경으로 서 있었습니다. 내과 의사의 의식적인 연설, 선정된 환자에게 예방 접종 실시, 로베르트 코흐를 위한 우레와 같은 함성!"[8]

코흐는 공공 기금을 사용해 연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발견으로 이익을 얻으려 했다. 그는 문화부에 투베르쿨린 생산만을 위한 연구소 설립 자금 지원을 요구하며, 연간 의 이익을 추산했다. 코흐는 미국으로부터 제안을 받았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했다.[9] 당시에는 의약품 검사에 대한 규정이 없었다. 코흐는 동물에게 투베르쿨린을 시험했지만, 치료되었다고 주장하는 기니피그를 제시하지 못했다.[10] 그는 인간이 실험 동물에 비해 열, 관절통, 메스꺼움 등 투베르쿨린에 대해 더 극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증거를 무시하는 듯했다.[10] 그는 당시 16세였던 헤드비히 프라이베르크(그의 연인이자 훗날 아내)에게도 투베르쿨린을 시험했다. 그녀는 회고록에서 코흐가 "아마 꽤 아플 수도" 있지만 "죽을 것 같지는 않다"라고 말했다고 밝혔다.[4]

1891년 2월, 투베르쿨린을 투여받은 1,7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 결과, 투베르쿨린이 진정한 치료제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투베르쿨린은 어떠한 보호 작용도 제공하지 못했으며, 시험 대상자의 1%만이 완치되었고, 34%는 약간의 호전을 보였으며, 55%의 환자는 건강 상태에 거의 변화가 없었고, 4%는 치료 효과가 없어 사망했다.[6]

투베르쿨린이 시장에 출시된 후, 성공적인 치료 사례를 보고하는 기사가 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 사례에 대한 보고도 이어졌다. 처음에는 부정적인 보고가 크게 우려되지 않았는데, 의사들이 심각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0]

루돌프 피르호는 시신 부검을 통해 투베르쿨린이 박테리아를 죽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잠재된 박테리아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증명했다.[10] 코흐가 "비밀 치료법"의 성분을 공개해야 했을 때, 그는 그 성분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투베르쿨린을 공개하기 전, 코흐는 인간 신체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시험했는데, 이는 더 이상 약물의 안전성을 확립하는 신뢰할 수 있거나 허용 가능한 방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6] 투베르쿨린은 글리세린 속의 결핵 병원균 추출물이었으며, 죽은 병원균 자체의 존재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코흐는 프로이센 문화부 장관에게 휴가를 요청하고 이집트로 갔는데, 이는 독일 대중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시도로 해석되었다. 1891년 5월 프로이센 의회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코흐는 자신의 치료법의 가치를 확신했다. 1897년, 그는 개량된 형태의 투베르쿨린을 제시했지만, 역시 치료제로서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정황들은 그가 "투베르쿨린 사기"를 저지를 의도가 있었다기보다는 스스로를 속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2. 3. 한국에서의 투베르쿨린 검사

클레멘스 폰 피르케는 결핵균 감염자에게 투베르쿨린 항원을 투여했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 검사가 결핵균 감염 진단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냈다.

과거 일본에서는 결핵 예방법에 따라 유아,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대상으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 음성인 사람에게 BCG 접종을 실시했다. 1960년대에는 BCG 접종에 관침법(속칭 도장 주사)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2005년 법 개정으로 인해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에 대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는 폐지되었다.[17] 현재는 예방 접종법에 따라 생후 1세 미만의 유아에게만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없이 직접 BCG 접종을 실시하고 있다.[18]

3. 검사 방법

투베르쿨린 검사 방법은 여러 임상 시험과 관찰을 통해 발전해 왔다. 주사 부위의 국소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신 증상을 줄이는 새로운 방법들이 개발되면서 의학적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여기에는 피르케 피부 반응 검사, 모로 경피 병변 검사, 만투 피내 검사 및 칼메트 결막 검사 등이 포함된다.[6]

일본에서는 투베르쿨린 반응(투반) 검사가 100년 이상 사용되어 왔다. 이 검사는 투베르쿨린 용액을 피내에 투여하고 48시간 후 접종 부위의 발적 직경을 측정하여 결핵 감염을 진단한다. 그러나 검출 정밀도는 접종 집단의 감염 만연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기 감염률이 1%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33%로 낮아질 수 있다.[20] 또한, QFT-2G 검사 음성자 중 70%가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에서 양성을 나타냈다는 보고도 있다.[21] 따라서 이 검사만으로는 결핵 감염 여부를 확정할 수 없으며, 다른 진단과 함께 판정해야 한다.[20]

3. 1. 만투 검사 (Mantoux test)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는 검사는 만투 검사라고 불린다. 영국에서는 2005년까지 히프 검사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만투 검사를 사용한다. 이 두 검사 모두 투베르쿨린 유도체 PPD(정제 단백질 유도체)를 사용한다.[19]

정제 투베르쿨린(PPD)은 결핵균을 합성 액체 배지에서 배양, 살균, 여과, 농축 후 황산암모늄으로 침전시키고, 탈염, 여과, 동결 건조하여 제조한 것으로, 수백 종류의 서로 다른 단백질의 혼합물이다.

3. 2. 히프 검사 (Heaf test)

히프 검사는 2005년까지 영국에서 사용되었지만, 현재 영국은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만투 검사를 사용한다. 이 두 검사 모두 투베르쿨린 유도체 PPD(정제 단백질 유도체)를 사용한다.

4. 검사 결과

투베르쿨린 검사에서 주사 후 부풀어 오른 가로 길이가 10mm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한다.[24] 양성 반응은 다음 세 가지 경우로 나타날 수 있다.[26]


  • 이전에 결핵균에 감염된 적이 있는 경우 (일부는 현재 활동성 결핵 감염 상태일 수 있음)
  • 결핵균은 아니지만 결핵균과 유사한 다른 세균(비결핵항산균)에 노출된 경우
  • 결핵 예방주사(BCG)를 맞은 경우


일본에서는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줄여서 '투반')를 통해 결핵 감염 여부를 진단한다. 이 검사는 투베르쿨린 용액을 피내에 주사하고 48시간 후 접종 부위의 발적 직경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의 검출 정밀도는 접종 집단의 결핵 감염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민감도 97.8%, 특이도 98%인 판정 기준으로 검사를 했을 때, 이미 결핵에 감염된 비율이 20%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92%이지만, 감염률이 1%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33%로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20]

또한, 검출 정밀도가 높은 QFT-2G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1,666명을 대상으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실시한 결과, 70%가 발적 30mm 이상(양성)을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21] 그러나 감염자를 놓칠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어,[21]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만으로는 결핵 감염을 확정하거나 배제할 수 없으며, 다른 진단과 함께 판정해야 한다.[20]

4. 1. 판독

투베르쿨린 검사에서 투베르쿨린 용액을 주사한 후 부풀어 오른 가로 길이가 10mm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한다.[24] 투베르쿨린 검사 양성 반응은 다음 세 가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26]

# 이전에 결핵균에 감염된 적이 있는 경우. 이들 중 일부는 현재 활동성 결핵 감염 상태일 수 있다.

# 결핵균은 아니지만 결핵균과 유사한 다른 세균(비결핵항산균)에 노출된 경우.

# 결핵 예방주사(BCG)를 맞은 경우.

일본에서는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줄여서 '투반')를 통해 결핵 감염 여부를 진단한다. 투베르쿨린 용액을 피내에 주사하고 48시간 후 접종 부위의 발적 직경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의 검출 정밀도는 접종 집단의 결핵 감염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민감도 97.8%, 특이도 98%인 판정 기준으로 검사를 했을 때, 이미 결핵에 감염된 비율이 20%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92%이지만, 감염률이 1%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33%로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20]

또한, 검출 정밀도가 높은 QFT-2G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1,666명을 대상으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실시한 결과, 70%가 발적 30mm 이상(양성)을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21] 그러나 감염자를 놓칠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어,[21]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만으로는 결핵 감염을 확정하거나 배제할 수 없으며, 다른 진단과 함께 판정해야 한다.[20]

4. 2. 양성 판정의 의미

투베르쿨린 검사에서 주사 후 부풀어 오른 가로 길이가 10mm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한다.[24] 양성 반응은 다음 세 가지 경우로 나타날 수 있다.[26]

# 이전에 결핵균에 감염된 적이 있는 경우. 일부는 현재 활동성 결핵 감염 상태일 수 있다.

# 결핵균은 아니지만 결핵균과 유사한 다른 세균(비결핵항산균)에 노출된 경우.

# 결핵 예방주사(BCG)를 맞은 경우.

일본에서는 투베르쿨린 용액을 피내 주사한 후 48시간 뒤 접종 부위의 발적 지름을 측정하여 결핵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투반)가 100년 이상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검사의 정확도는 검사 대상 집단의 결핵 감염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민감도 97.8%, 특이도 98%인 판정 기준으로 검사했을 때, 이미 감염된 비율이 20%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92%이지만, 감염률이 1%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33%로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20]

또한, QFT-2G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온 1,666명을 대상으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실시한 결과, 70%가 발적 30mm 이상(양성)을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21] 그러나 감염자를 놓칠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으므로,[21]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만으로는 결핵 감염을 확정하거나 배제할 수 없으며, 다른 진단과 함께 판정해야 한다.[20]

4. 3. 한계점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는 투베르쿨린 용액을 피부에 주사하여 48시간 후 주사 부위가 붉게 부어오른(발적) 지름을 측정, 결핵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100년 이상 사용되었다.[20] 그러나 이 검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검사 정확도는 검사 대상 집단 중 결핵균에 이미 감염된 사람(기감염자) 비율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기감염률이 20%인 집단에서는 양성 예측률이 92%이지만, 1%인 집단에서는 33%로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20]

또한, QFT-2G 검사라는 더 정확한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 중 70%가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에서 30mm 이상 발적(양성)을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21] 반면,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가 감염자를 놓칠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다.[21]

따라서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만으로는 결핵 감염 여부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 다른 검사 결과와 종합하여 판단해야 한다.[20]

참조

[1] 웹사이트 Tuberculin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7-01-08
[2] 웹사이트 Tuberculin Skin Testing https://www.cdc.gov/[...] 2017-01-08
[3] 서적 Bacterial Infections of Humans: Epidemiology and Control Springer 2013
[4] 논문 The timeless legacy of Robert Koch 2006-09-01
[5]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6] 논문 The tuberculin skin test 1993-12
[7] 서적 Report of the proceedings of the public health section [of the National Conference...], held at the Caxton Hall, Westminster, on May 30th and 31st, and June 1st and 2nd, 1911 [electronic resource] https://archive.org/[...] London : P.S. King & Son 1911
[8] 서적 Erlebtes und Erstrebtes: Erinnerungen eines sozialistischen Arztes. Herbig 1932
[9] 서적 Robert Koch: der Entdecker von Krankheitserregern ; [eine Biographie] Spektrum der Wissenschaft Verlagsges 2002
[10] 서적 Laboratory Disease: Robert Koch's Medical Bacteri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 논문 Locating therapeutic vaccines in nineteenth-century history 2008-06
[12] 서적 Farben, Formeln, Forscher. Hoechst und die Geschichte der industriellen Chemie in Deutschland Piper 1989
[13] 논문 The tuberculin skin test 1982-03
[14] 간행물 【原著】小児における QuantiFERON®TB-2G の特異度に関する検討 https://doi.org/10.4[...] 2008
[15] 간행물 【医学検査の歩み -16】結核の感染診断 〜ツベルクリン反応検査からIGRAテストへ〜 https://www.eiken.co[...] 2010-12
[16] 서적 丸山ワクチン
[17] 간행물 新たなツベルクリン反応陽性判定基準の提唱 http://www.jspid.jp/[...]
[18] 웹사이트 結核とBCGワクチンに関するQ&A https://www.mhlw.go.[...] 2020-04-25
[19] 웹사이트 添付文書_精製ツベルクリン http://www.bcg.gr.jp[...] 日本ビーシージー製造株式会社
[20] 간행물 今後のツベルクリン反応検査の暫定的技術的基準 http://www.kekkaku.g[...] 日本結核病学会
[21] 웹사이트 ツベルクリン反応について http://www.riid.or.j[...] 免疫診断研究所
[22]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刊 2003-11-30
[23] 웹인용 Tuberculin Monograph for Professionals https://www.drugs.co[...] 2020-04-25
[24] 웹인용 투베르쿨린 ; 검사/시술/수술정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 2020-04-25
[25] 웹인용 CDC ; TB ; Fact Sheets - Tuberculin Skin Testing for TB https://www.cdc.gov/[...] 2020-04-25
[26] 웹인용 결핵 http://health.cdc.go[...] 2020-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