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어허 데 다넌의 4대 비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어허 데 다넌의 4대 비보는 중세 게일어 문헌에 등장하는 보물로, 에린 땅에 투어허 데 다넌이 가져온 네 가지 보물을 의미한다. 이 이야기는 『에린 침략의 서』, 『티러이 벌판 전투』 서문, 『라칸의 황색서』에 수록된 「4대 비보」, 그리고 세흐룬 케틴이 『에린 지식 기초』에 LGE를 인용한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4대 보물은 팔리어스, 고리어스, 핀디어스, 무리어스에서 가져온 것으로, 각 도시에서 가져온 보물은 리어 팔, 루의 창, 누아다의 검, 다그다의 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어허 데 다넌 - 이스시
    아오스 시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초자연적 존재로, 요정 언덕과 같은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인간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투어허 데 다넌 - 다그다 모르
    다그다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투아하 데 다난의 왕이자 '좋은 신' 또는 '위대한 신'을 의미하며 풍요, 재생, 지혜, 마법을 관장하는 신으로 곤봉, 솥, 하프 등의 강력한 소유물을 지니고 모리안의 남편이자 여러 신들의 아버지이다.
  • 명수 4 - 시코쿠
    시코쿠는 일본의 주요 섬 중 하나로 세토 내해와 태평양에 둘러싸여 있으며 4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산지가 솟아 있으며, 다양한 기후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고, 관광 산업 육성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
  • 명수 4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하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수출 주도형 경제 정책,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교육 투자 등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저성장, 고령화, 사회 불평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투어허 데 다넌의 4대 비보
개요
종류전설 속의 마법 아이템
기원투어허 데 다넌
문화아일랜드 신화
투어허 데 다넌의 4대 비보
목록파이널의 돌 (리아 팔)
루의 창
누아다의 검
다그다의 솥
상세 정보
파이널의 돌 (리아 팔)아일랜드의 왕이 즉위할 때 외치는 돌. 타라에 위치.
루의 창루가 소유한 창.
누아다의 검누아다가 소유한 검.
다그다의 솥다그다가 소유한 솥.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며, 음식을 무한정 제공.

2. 출전

이 4대 비보에 대한 이야기는 세 중세 게일어 문헌들에 나온다.[6][7]

3. 전승

3. 1. 『에린 침략의 서』(LGE)

이 4대 비보에 대한 이야기는 세 중세 게일어 문헌들에 나온다.[6][7]

3. 2. 『에린 침략의 서』(LGE) 가필본 및 「티러이 벌판 전투」(CMT)

이 4대 비보에 대한 이야기는 세 중세 게일어 문헌들에 나온다.[6][7]에린 침략의 서』(LGE)에 가필한 교정본, LGE 내용을 가필한 「티러이 벌판 전투」(CMT) 서문, 그리고 『라칸의 황색서』에 수록된 짧은 글인 「4대 비보」가 그것이다. 17세기에 세흐룬 케틴이 『에린 지식 기초』에 LGE를 인용해 쓴 부분도 참고할 수 있다.

4. 4대 보물

투어허 데 다넌은 "세계의 북쪽의 섬들"에서 마법을 익히고 에린 땅에 도래했다고 한다. 초기 판본에는 리어 팔만이 보물로 언급되었으나,[3] 후기 판본에서는 네 개의 도시 팔리어스, 고리어스, 핀디어스, 무리어스에서 드루이드술(druidecht), 지식(fis), 예언(fáitsine), 마술(amainsecht)을 배운 투어허 데 다넌이 에린으로 돌아올 때 각 도시에서 보물을 하나씩 가져왔다고 한다.[4] 이 네 도시는 로흘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

투아하 데의 보물
도시필리보물성질
팔리어스(Falias)모르페서(Morfessa) 또는 페수스(Fessus)리어 팔에린 땅의 주권을 정당히 가진 왕이 돌 위에 올라서면 돌이 소리를 지른다. 미스주타라 언덕 근처에 있었다고 한다.
게리어스(Goirias) 또는 고리어스(Gorias)에스라스(Esras)루의 창이 창 또는 이 창을 든 사내에게 어떤 싸움도 버틸 수 없다.
핀디어스(Findias) 또는 피니어스(Finias)이스키어스(Uiscias) 또는 우스키어스(Uscias)누아다의 검이 검이 칼집에서 뽑힌 이상 누구도 이 검으로부터 도망갈 수 없으며, 누구도 그 뜻을 거스를 수 없다. 이 검은 타인 전설에서 "누아두의 카이넬"—빛나는 밝은 횃불로도 묘사된다.[5]
미리어스(Muirias) 또는 무리어스(Murias)세미어스(Semias)다그다의 솥이 솥에 대접받은 자 만족하지 않을 수 없다. (Coire ansic라고도 함).



A. C. L. 브라운과 R. S. 루미스는 루의 창을 켈트하르의 창 ''루인''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두 창이 같은 물건이라고 볼 만한 문헌상의 증거는 없다. 루에게는 아살(Assal)이라는 창이 한 자루 더 있었는데, 이것은 티란의 아들들이 루의 생부 키언을 죽인 죄값으로 구해온 것이다.

4. 1. 다른 전승과의 연관성

투어허 데 다넌은 "세계의 북쪽의 섬들"에서 마법을 익히고 에린 땅에 도래했다고 한다. 초기 판본에는 리어 팔만이 보물로 언급되었으나, 후기 판본에서는 네 개의 도시 팔리어스, 고리어스, 핀디어스, 무리어스에서 드루이드술, 지식, 예언, 마술을 배운 투어허 데 다넌이 에린으로 돌아올 때 각 도시에서 보물을 하나씩 가져왔다고 한다.[9] 이 네 도시는 로흘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9]

도시필리보물성질
팔리어스(Falias)모르페서(Morfessa) 또는 페수스(Fessus)리어 팔에린 땅의 주권을 정당히 가진 왕이 돌 위에 올라서면 돌이 소리를 지른다. 미스주타라 언덕 근처에 두었다고 한다.
게리어스(Goirias) 또는 고리어스(Gorias)에스라스(Esras)루의 창이 창 또는 이 창을 든 사내에게 어떤 싸움도 버틸 수 없다.
핀디어스(Findias) 또는 피니어스(Finias)이스키어스(Uiscias) 또는 우스키어스(Uscias)누아다의 검이 검이 칼집에서 뽑힌 이상 누구도 이 검으로부터 도망갈 수 없으며, 누구도 그 뜻을 거스를 수 없다.
미리어스(Muirias) 또는 무리어스(Murias)세미어스(Semias)다그다의 솥이 솥에 대접받은 자 만족하지 않을 수 없다.



A. C. L. 브라운과 R. S. 루미스는 루의 창을 켈트하르 막 우허하르의 창 룬 켈트하르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두 창이 같은 물건이라고 볼 만한 문헌상의 증거는 없다. 루에게는 아살(Assal)이라는 창이 한 자루 더 있었는데, 이것은 티란의 아들들이 루의 생부 키언을 죽인 죄값으로 구해온 것이다.

참조

[1] 논문 Notes on Cath Maige Tuired 1954
[2] 서적 Foras feasa ar Éirinn
[3] 서적 Lebor Gabála Érenn: The Book of the Taking of Ireland
[4] 서적 Lebar Gabála Érenn
[5] 서적 The Táin: From the Irish epic Táin Bó Cuailng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2-09-26
[6] 논문 Notes on Cath Maige Tuired 1954
[7] 서적 Foras feasa ar Éirinn
[8] 서적 Lebor Gabála Érenn: The Book of the Taking of Ireland
[9] 서적 Lebar Gabála Éren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