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툰 푸아드 스테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툰 푸아드 스테픈스(1920–1976)는 말레이시아의 정치인으로, 사바의 초대 주수상, 주지사를 역임했다. 그는 1961년 통일 카다잔 기구를 창당하여 사바의 독립과 말레이시아 연방 가입을 주도했다. 1964년 말레이시아 연방 첫 사바 출신 각료가 되었으며, 1971년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1973년 사바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1975년 사바 인민 연합 전선을 창당하고 1976년 주수상으로 재선되었으나, 같은 해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사바에서 온 말레이시아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이름을 딴 여러 시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툰 푸아드 스테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툰 푸아드 스테픈스
툰 푸아드 스테픈스
공식 명칭양 아마 베르바하기아 툰 다툭 스리 팡리마 하지 무하마드 푸아드 스테픈스
원어 명칭محمد فؤاد ستيفنس
출생명도널드 알로이시우스 마머듀크 스테픈스
출생일1920년 9월 14일
출생지영국령 북보르네오 쿠닷 (현재의 사바주, 말레이시아)
사망일1976년 6월 6일
사망지코타키나발루, 사바주, 말레이시아
안장 장소마캄 파흘라완, 마스지드 네게리 사바, 코타키나발루
부모줄스 파비트 스테픈스, Snr. (1896–1944), 에디트 마가렛 로라 메리 코프 (1898–1976)
배우자아이다 (1950년 결혼–1957년 사망), 라히마 스테픈스 (세실리아 준 루터)
자녀조하리 (존 베네딕트; 입양–1952–1976), 아펜디 (리처드 버나드; 1958–2009), 아스가리 (제임스 데니스; 1960년 출생), 파리다 (진 헤더; 1962년 출생), 파우지아 (엘마; 입양–1958년 출생)
정치 경력
소속 정당통일 카다잔 조직(UNKO), 통일 파속모모군 카다잔 조직(UPKO), 사바 인민 연합 전선(BERJAYA)
사바 주수상 (1기)
대수1대
임기 시작1963년 9월 16일
임기 종료1964년 12월 31일
주지사무스타파 하룬
부주지사삼손 순당 군사나드(Samson Sundang Gunsanad)
이전사무실 설립
이후피터 로 수이인
사바 주수상 (2기)
대수5대
임기 시작1976년 4월 18일
임기 종료1976년 6월 6일
주지사모하마드 함단 압둘라
부주지사해리스 살레
이전모하마드 사이드 끄루악
이후해리스 살레
사바 주지사
대수3대
임기 시작1973년 9월 16일
임기 종료1975년 7월 28일
주수상무스타파 하룬
이전펭이란 아흐마드 라파에
이후모하마드 함단 압둘라
기타 경력
직책제6대 주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고등판무관
임기 시작1968년
임기 종료1973년
이전모하메드 바바
이후아왕 하산

2. 어린 시절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1920년 9월 14일 쿠닷에서 도널드 얼로이시우스 마마듀크 스테픈스(Donald Aloysius Marmaduke Stephensms)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25] 아버지 줄스 스테픈스 페이비트는 카다잔두순-영국인 혼혈이었고, 어머니 에디트 코프는 영국인-일본인 혼혈이었다.[25] 스테픈스는 집안에서 장남이었고, 밑으로 2명의 여동생과 3명의 남동생이 있었다.[26] 그의 아버지 쥘 스테판 파빗(후에 쥘 파빗 스테픈스 시니어)은 카다잔족과 영국인의 혼혈로, 북보르네오 파파르 지역에서 태어나 자랐다.[6] 쥘의 아버지 어니스트 앨프리드 파빗은 뉴질랜드 아카로아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에식스주 콜체스터에 조상이 있었다.[6]어머니 에디스 코프는 키나바탕안, 산다칸 구 출신으로 일본인, 영국인, 두순족의 혼혈이었다.[7] 남동생 중 일부였던 존과 마르틴은 유아기에 사망했고, 막내 남동생인 레오 베네딕트는 1985년부터 1988년까지 데완 네가라 의장을 역임했다.[7][26] 그의 여동생은 에스더(1928년생)와 아그네스(1930년생)였다.

3. 정치 활동

1961년 8월, 통일 카다잔 기구(UNKO)를 창당했다. 통일 사바 국민 기구(USNO)의 총재 툰 무스타파,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의 총재이자 말라야 연방의 총리였던 툰쿠 압둘 라흐만, 그리고 싱가포르리콴유와 협력하여 북보르네오/사바의 독립과 말레이시아 연방 가입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63년 8월 31일, 사바는 주권국가로 독립했으며, 같은 해 9월 16일 말라야, 사라왁, 싱가포르와 함께 말레이시아 연방의 일원이 되었다. 이날은 현재 말레이시아의 날(Malaysia Day)로 기념되고 있다. 사바의 초대 주수상으로 선출되었으며, 주지사로는 툰 무스타파가 선출되었다.

1964년, 말레이시아 연방의 첫 사바 출신 각료가 되면서 주수상직을 사임하고, 총리실 산하 사바 담당 장관을 역임했다.[27] 주수상직은 사바 중국 협회(SCA)의 피터 로 수이 잉이 승계했다.

1971년, 가톨릭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모하마드 푸아드(Mohammad Fuad)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73년, 사바 주지사(양 디-퍼투아 네가라, 1976년 이후 양 디-퍼투아 네게리로 격하됨)로 임명되어 1975년까지 재직했다.[28] 1975년, 해리스 살레와 함께 사바 인민 연합 전선(BERJAYA)을 창당했다. 1976년, BERJAYA는 사바 총선에서 통일 사바 국민 기구(USNO)를 누르고 승리하여 집권당이 되었고, 푸아드는 다시 주수상으로 선출되었다.

푸아드는 싱가포르의 총리 리콴유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한때 리콴유는 푸아드에게 자신이 툰쿠 압둘 라만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고, 푸아드는 부총리가 된 후, 다시 푸아드가 자신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을 탈퇴하면서 무산되었다.

푸아드는 싱가포르의 탈퇴 이후 사바가 말레이시아에 잔류하는 것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했다. 싱가포르 때문에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했는데, 싱가포르가 탈퇴했으므로 더 이상 말레이시아에 남을 필요가 없다는 논리였다.

3. 1. 싱가포르와의 관계 및 정치적 입장

푸아드는 싱가포르의 총리 리콴유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한때 리콴유는 푸아드에게 자신이 툰쿠 압둘 라만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고, 푸아드는 부총리가 된 후, 다시 푸아드가 자신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을 탈퇴하면서 무산되었다.

푸아드는 싱가포르의 탈퇴 이후 사바가 말레이시아에 잔류하는 것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했다. 싱가포르 때문에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했는데, 싱가포르가 탈퇴했으므로 더 이상 말레이시아에 남을 필요가 없다는 논리였다.

4. 사망

1976년 6월 6일,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사바 정부 각료들과 함께 라부안에서 코타키나발루로 향하던 중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29] 이 사고는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에서 약 2km 떨어진 슴불란구에서 발생했으며, 더블 식스 트라제디(Double Six Tragedy)로 알려져 있다.[29] 이 사고로 푸아드와 그의 아들 조하리 스테픈스, 사바의 시정장관 피터 모준틴을 포함한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29] 그의 나이 55세였고 제5대 주수상에 취임한 지 44일 만에 일어난 일이었다.[29]

사고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말레이시아 연방정부의 개입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29] 푸아드가 사바 독립파였고 싱가포르처럼 말레이시아에서 탈퇴를 하려 했다는 점,[29] 연방정부에 반대했다는 점, 사바의 석유에 20%의 로열티를 원했다는 점[29] 등이 그 이유로 거론된다. 그러나 이는 추측일 뿐이며, 실제 정부 개입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29] 호주에서 파견된 조사단은 기계 오작동을 언급했으나, 임시 조사에 그쳤고 구체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 사고 원인은 불명이다.[29]

사고 현장인 슴불란구 그레이스 가든 주택지구 부근에는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더블 식스 기념비가 건설되었다. 유해는 마스지드 느그리 사바 인근의 사바 주립묘지에 안장되었다.

5. 개인 생활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1971년 가톨릭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하며 '모하마드 푸아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24] '푸아드'는 아랍어로 마음을 의미한다.[4] 개종 당시 성을 바꾸라는 권유를 받았으나, 스테픈스는 이를 거절했다.[24][4] 그는 이 종교가 사바와 말레이시아 전체에서 번영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통합 요소라고 생각했다.[14]

스테픈스는 1968년부터 1973년까지 호주 주재 말레이시아 고등판무관 직을 역임했다.[4]

6. 유산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사후 '사바에서 온 말레이시아의 아버지'(Bapa Malaysia Dari Sabahms) 및 '우두머리'(카다잔두순어: Hugon Siou)라는 별칭으로 불렸다.[18][19][20]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장소와 시설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70년 말레이시아 왕실 충성 훈장 지휘관(PSM)으로 임명되어 '탄 스리' 작위를 받았다.[18]

말레이시아 왕실 충성 훈장
1975년에는 국가 수호 훈장 최고 지휘관(SMN)으로 임명되어 '툰' 작위를 받았다.[19]
국가 수호 훈장
1963년에는 키나발루 훈장 최고 지휘관(SPDK)으로 임명되어 '다툭 세리 팡글리마' 작위를 받았다.[20]
키나발루 훈장
1965년에는 사라왁 별 훈장 기사 지휘관 (PNBS)으로 임명되어 '다토'(현재는 '다토 스리') 작위를 받았다.
사라왁 별 훈장


그의 이름을 딴 시설들은 다음과 같다.

  • 타만 툰 푸아드 스테픈스: 코타키나발루의 주립공원이다.
  • 타만 툰 푸아드: 코타키나발루의 군구이다.
  • 툰 푸아드 스테픈스 중학교: 키울루 및 땀빠룰리의 중학교이다.
  • 타만 툰 푸아드 중학교: 코타키나발루의 중학교이다.
  • 잘란 툰 푸아드 스테픈스: 코타키나발루와 스팡가르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 잘란 툰 모하마드 푸아드: 쿠알라룸푸르 타만 툰 닥터 이스마일 지역의 거리이다.
  • 툰 푸아드 초등학교: 쿠낙의 초등학교이다.
  • 막탑 른다흐 사인스 마라 툰 무하마드 푸아드 스테픈스: 산다칸의 과학대학교이다.
  • 데완 툰 푸아드 스테픈스: 동공곤의 커뮤니티 홀이다.
  • 위스마 툰 푸아드 스테픈스: 코타키나발루의 주 정부 건물 단지이다.
  • 콜레지 케디아만 툰 푸아드 스테픈스: 말레이시아 사바 대학교의 학생 기숙사 구역이다.

6. 1. 명칭

툰 푸아드 스테픈스의 사후, 그의 이름을 딴 여러 지역 및 시설이 명명되었다.

  • 타만 툰 푸아드 스테픈스: 코타키나발루의 주립공원이다.
  • 타만 툰 푸아드: 코타키나발루의 군구이다.
  • 툰 푸아드 스테픈스 중학교: 키울루 및 땀빠룰리의 중학교이다.
  • 타만 툰 푸아드 중학교: 코타키나발루의 중학교이다.
  • 잘란 툰 푸아드 스테픈스: 코타키나발루와 스팡가르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 잘란 툰 모하마드 푸아드: 쿠알라룸푸르 타만 툰 닥터 이스마일 지역의 거리이다.
  • 툰 푸아드 초등학교: 쿠낙의 초등학교이다.
  • 막탑 른다흐 사인스 마라 툰 무하마드 푸아드 스테픈스: 산다칸의 과학대학교이다.
  • 데완 툰 푸아드 스테픈스: 동공곤의 커뮤니티 홀이다.
  • 위스마 툰 푸아드 스테픈스: 코타키나발루의 주 정부 건물 단지이다.
  • 콜레지 케디아만 툰 푸아드 스테픈스: 말레이시아 사바 대학교의 학생 기숙사 구역이다.

6. 2. 수상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사후 '사바에서 온 말레이시아의 아버지'(Bapa Malaysia Dari Sabahms) 및 '우두머리'(카다잔두순어: Hugon Siou)라는 별명이 붙었다.[18][19][20] 1970년 말레이시아 왕실 충성 훈장 지휘관(PSM)으로 임명되어 '탄 스리' 작위를 받았다.[18] 1975년에는 국가 수호 훈장 최고 지휘관(SMN)으로 임명되어 '툰' 작위를 받았다.[19] 1963년에는 키나발루 훈장 최고 지휘관(SPDK)으로 임명되어 '다툭 세리 팡글리마' 작위를 받았다.[20] 1965년에는 사라왁 별 훈장 기사 지휘관 (PNBS)으로 임명되어 '다토'(현재는 '다토 스리') 작위를 받았다.

참조

[1] 문서 P. J. (1999), p. 70, 77
[2] 문서 P. J. (1999), p. 95
[3] 문서 P. J. (1999), p. 78
[4] 문서 P. J. (1999), p. 218
[5] 웹사이트 Biodata Tun Haji Mohd. Fuad Stephens http://ww2.sabah.gov[...]
[6] 웹사이트 New Zealand Pavitt Photographs http://pavitts.tripo[...]
[7] 문서 P. J. (1999), p. 37
[8] 웹사이트 malaysiana1: What's In A Name? http://malaysiana1.b[...]
[9] 서적 Sabah 25 years later, 1963-1988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Sabah) 1989
[10] 서적 ASEAN Forecast https://books.google[...] Executive Publication Pte 1985
[11] 서적 Malaysia https://www.google.c[...] 1965
[12] 서적 Malaysian Federalism: Conflict Or Consensus https://books.google[...] Penerbit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2006
[13] 서적 The Sabahan: The Life And Death of Tun Fuad Stephens Family of the late Tun Fuad Stephens
[14] 뉴스 Stephens converts at Mustapha's residence https://www.dailyexp[...] Daily Express 2024-10-26
[15] 웹사이트 Sabah's first female minister and widow of its first CM passes away https://www.thestar.[...]
[16] 웹사이트 Hajiji pays last respects to Toh Puan Rahimah Stephens https://www.thestar.[...]
[17] 웹사이트 Toh Puan Rahimah Stephens laid to rest https://www.thestar.[...]
[18] 웹사이트 Semakan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https://web.archive.[...] 2018-08-26
[19] 웹사이트 Senarai Penuh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Tahun 1975. http://www.istiadat.[...]
[20] 뉴스 Sabah's first honours https://eresources.n[...] 1963-11-14
[21] 문서 P. J. (1999), p. 70, 77
[22] 문서 P. J. (1999), p. 95
[23] 문서 P. J. (1999), p. 78
[24] 문서 P. J. (1999), p. 218
[25] 문서 P. J. (1999), p. 35
[26] 문서 P. J. (1999), p. 37
[27] 웹사이트 malaysiana1: What's In A Name? http://malaysiana1.b[...]
[28] 서적 The Sabahan: The Life And Death of Tun Fuad Stephens
[29] 웹인용 1976 plane crash: The unanswered questions http://www.freemalay[...] 2015-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