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드 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 드 되는 두 명의 무용수가 함께 추는 춤으로, 발레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18세기 초 오페라와 발레에서 처음 등장하여 발전해왔으며, 19세기 낭만 발레 시대에 토슈즈 기술과 의상의 변화와 함께 남성이 여성 무용수를 지탱하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마리우스 프티파에 의해 그랑 파 드 되가 정형화되었고, 20세기에는 더욱 격렬한 동작을 포함하게 되었다. 그랑 파 드 되는 앙트레, 아다지오, 바리에이션, 코다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며, 주요 작품으로는 백조의 호수, 돈 키호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레 - 코르 드 발레
코르 드 발레는 발레 공연에서 앙상블을 이루어 분위기를 설정하고 무용수들 간의 연결과 동지애를 형성하는 집단으로, 어린 무용수들의 성장 발판이 되기도 하지만 21세기에는 다재다능함과 뛰어난 기교가 요구되며 과중한 업무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한다. - 발레 - 로열 발레단
로열 발레단은 니네트 드 발루아와 릴리안 베일리스의 협력으로 설립되어 왕실의 칙허를 받은 영국의 대표적인 발레단으로, 프레데릭 애쉬턴, 케네스 맥밀란 등 뛰어난 안무가들을 배출하며 로열 오페라 하우스를 본거지로 활동하고 로열 발레 학교와 연계하여 무용수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파 드 되 | |
---|---|
개요 | |
명칭 | 파 드 되 (Pas de deux) |
어원 | 프랑스어 "둘의 스텝" |
정의 | 두 명의 무용수를 위한 발레 춤 |
특징 | 일반적으로 남녀 무용수로 구성되며, 발레의 하이라이트로 여겨짐 |
구성 요소 | |
앙트레 (Entrée) | 두 무용수가 함께 등장하는 부분 |
아다지오 (Adage) | 남성 무용수가 여성 무용수를 지지하며 균형을 잡는 느리고 우아한 부분 |
남성 바리에이션 (Male variation) | 남성 무용수의 독무 |
여성 바리에이션 (Female variation) | 여성 무용수의 독무 |
코다 (Coda) | 두 무용수가 함께 화려한 기술을 선보이며 마무리하는 부분 |
역사 | |
기원 | 18세기 발레 오페라 |
발전 | 19세기 낭만주의 발레 시대에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발전 |
대표 안무가 | 마리우스 프티파 레프 이바노프 |
역할 및 중요성 | |
주역 무용수 | 일반적으로 극의 주역 무용수들이 파 드 되를 선보임 |
드라마 강조 | 극의 클라이맥스나 중요한 감정적 교류를 표현하는 데 사용 |
기교 과시 | 무용수들의 기교와 예술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회 |
주요 작품 | |
백조의 호수 | 2막의 파 드 되 |
돈 키호테 | 결혼식 장면의 파 드 되 |
호두까기 인형 | 2막의 파 드 되 |
해적 | 2인무 (Le Corsaire Pas de Deux) |
관련 용어 | |
발레 | 무용의 한 형태 |
바리에이션 | 독무 |
코르 드 발레 | 군무 |
2. 역사
1717년 영국에서 파 드 되가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 무렵에는 남녀 무용수가 나란히 서서 같은 춤을 추거나 때때로 손을 맞잡는 정도의 단순한 형태였다.
'''그랑 파 드 되'''는 앙트레, 아다지오, 두 개의 바리아숑, 코다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 구조화된 파 드 되이다. 각 부분은 공통된 주제를 공유하며, 주로 사랑 이야기나 낭만적인 파트너 간의 애정과 생각을 표현한다. 이는 발레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대개 주요 수석 무용수들이 공연한다.
19세기 로맨틱 발레 시대가 발달하면서 파 드 되의 내용도 함께 진화했다. 토슈즈 기술이 확립되고, 의상이 두꺼운 것에서 얇은 것으로 바뀌어 무용수의 체형이 드러나게 됨에 따라, 남성 무용수가 발레리나를 지탱하는 아라베스크나 남성이 발레리나를 들어 올리는 리프트(앙르브망) 등이 도입되었다.
파 드 되를 완전히 정형화한 것은 마리우스 프티파(1818~1910)이다. 그는 피루엣(회전), 공중에서 지탱하는 포즈, 높이 들어 올리는 하이 리프트 등을 도입하여, 『호두까기 인형』(1892)과 『백조의 호수』(1895)에 포함시켜 큰 인기를 얻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포킨, 발란신 등의 안무가들에 의해 더욱 격렬한 동작을 하는 파 드 되가 만들어지고 있다.
3. 그랑 파 드 되의 구성
각 부분은 별개의 음악을 사용한다. 앙트레는 음악이 있기도 하고(『잠자는 숲속의 미녀』 제3막) 없기도 하다(『호두까기 인형』 제2막). 음악이 없는 경우에는 앞 곡이 끝난 후 무용수들이 등장한다.
이는 원칙적인 구성이며, 작품에 따라 다른 솔리스트가 등장하는 등 예외도 있다(『파키타』). 그랑 파 드 되는 발레의 화려함과 우아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20세기 이후 발레 작품에서도 이 구성이 종종 사용된다.
3. 1. 앙트레 (Entrée)
'''그랑 파 드 되'''(grand pas de deux)는 앙트레(entrée), 아다주(adage, 아다지오라고도 한다), 2개의 바리야숑(variation, 바리에이션이라고도 한다), 코다(coda)의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랑 파 드 되는 대개 안무에 대한 짧은 서곡의 역할을 하면서 그 시작을 알리는 앙트레로 시작된다. 앙트레에서 무용수들은 화려한 행사가 열리는 무대에 나타나 서로를 알아보고 다음의 아다지를 준비하기 위하여 포즈를 취한다. 안무에 따라 여성 무용수와 남성 무용수는 동시에 입장하거나 각자 다른 시간에 입장한다.
3. 2. 아다지오 (Adagio)
아다지오는 '느리게'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음악 용어 아다지오에서 유래했다. 고전 발레의 아다지오는 여성 무용수가 남성 무용수의 도움을 받아 느린 템포의 음악에 맞춰 균형과 우아한 자세를 선보이는 춤이다. 대개 왈츠로 춘다.
아다지오에서 발레리나는 우아하고, 종종 느리고 지속적인 동작을 수행하며, 남성 무용수는 그녀를 지탱한다. 남성 무용수는 발레리나를 들어 올리고, 턴을 하는 동안 그녀를 잡고 안정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레리나를 지원한다. 이러한 지원 덕분에 아다지오는 때때로 '서포티드 아다지오'라고 불리기도 한다.
프티파가 정형화한 4곡 구성의 파 드 되를 특히 '''그랑 파 드 되'''(Grand Pas de Deux)라고 부르는데, 그랑 파 드 되에서 두 번째 순서가 아다지오이다.
3. 3. 바리아숑 (Variation)
바리야숑은 변화라는 의미이다. 바리야숑이 되면 여성 무용수와 남성 무용수가 나뉘어 제각기 독무(獨舞)를 한다. 일반적으로 바리야숑에서는 아다주와는 달리 무용수 개인의 스펙타클하고 아크로바틱한 점프와 회전을 보여 준다. 대개 남성 무용수의 바리야숑이 처음 공연되고, 뒤이어 여성 무용수의 바리야숑이 공연된다. 남성 바리야숑은 빠르고 높은 도약 등 남성적인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고, 여성 바리야숑은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움직임을 보인다.
3. 4. 코다 (Coda)
코다는 음악 용어로서 '종곡(終曲)'이라는 뜻이며 이것이 그대로 전용되어 파 드 되의 종국(終局)이라는 뜻으로 대치되었다. 코다가 되면 다시금 여성 무용수와 남성 무용수가 함께 어울려 동시에 빠른 템포로 춤춘다. 아다지오와 코다의 차이는 전자가 느릿한 템포로 대개의 경우 여성 무용수가 중심이 되어 춤을 전개하는 반면 후자는 남성 쪽이 약간 중심이 된다. 아다지오와는 정반대로 템포가 빠른 격렬한 음악에 맞춰 2명이 고도의 테크닉을 선보인다.
4. 주요 작품
그랑 파 드 되는 많은 고전 발레 작품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한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명 | 비고 |
---|---|
백조의 호수 | 2막 백조 파 드 되, 3막 흑조 파 드 되 |
잠자는 숲속의 미녀 | 3막 파랑새 파 드 되 |
코펠리아 | 그랑 파 드 되 |
호두까기 인형 | 그랑 파 드 되 |
돈 키호테 | 그랑 파 드 되 |
해적 | 파 드 되 |
파키타 | 그랑 파 드 되 |
디아나와 악테옹 파 드 되 | |
젠차노의 꽃 축제 파 드 되 | |
라 실피드 파 드 되 | |
탈리스만 파 드 되 | |
할리퀸 파 드 되 | |
헛되이 조심된 딸 파 드 되 |
4. 1. 고전 발레


마리우스 프티파가 정형화한 4곡 구성의 파 드 되를 특히 '''그랑 파 드 되'''(Grand Pas de Deux)라고 부른다. 그랑 파 드 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 두 명이 입장하는 '''앙트레'''(Entrée)
# 남녀 두 명이 함께 춤추는 '''아다지오'''(Adage): 느린 곡에 맞춰 발레리나가 남성에게 도움을 받아 아름다운 선과 균형을 보여주는 우아한 춤이다.
# 남성이 혼자 춤추는 '''바리에이션'''(Variation): 빠르고 높은 도약 등 남성적인 움직임이 특징이다.
# 여성이 혼자 춤추는 '''바리에이션'''(Variation):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움직임을 보인다.
# 남녀 두 명이 함께 춤추는 '''코다'''(Coda): 아다지오와는 반대로 템포가 빠른 격렬한 음악에 맞춰 두 명이 고난도의 기술을 선보인다.
1~5번까지 각각에 별개의 음악이 붙는다. 앙트레는 음악이 있는 경우(『잠자는 숲속의 미녀』 제3막)와 없는 경우(『호두까기 인형』 제2막)가 있다. 음악이 없는 경우에는 앞 곡이 끝난 사이에 등장한다.
이는 원칙일 뿐이며, 작품에 따라 다른 솔리스트가 등장하는 등 예외도 있다(『파키타』). 그랑 파 드 되는 발레의 화려함과 우아함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20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발레 작품에서도 이 구성을 부분적으로나마 따르는 경우가 많다.
- ''백조의 호수'' 2막에 나오는 ''백조 파 드 되''
- ''백조의 호수'' 3막에 나오는 ''흑조 파 드 되''
- ''잠자는 숲속의 미녀'' 3막에 나오는 ''파랑새 파 드 되''
- ''호두까기 인형'' 그랑 파 드 되
- ''돈 키호테'' 그랑 파 드 되
- ''해적'' 파 드 되
- ''파키타'' 그랑 파 드 되
4. 2. 현대 발레
- 디아나와 악테옹 파 드 되
- 젠차노의 꽃 축제 파 드 되
- 라 실피드 파 드 되
- 탈리스만 파 드 되
- 할리퀸 파 드 되
- 헛되이 조심된 딸 파 드 되
참조
[1]
문서
パ・ドゥ・ドゥ
[2]
문서
Jules Lemaît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