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논 카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논 카메라는 1948년에 창업하여 120 및 135 필름을 사용하는 파노라마 카메라를 제작했다. 1952년 120 필름을 사용하는 파논 카메라 시리즈를 시작으로, 1958년에는 와이드럭스 FV를 출시하며 와이드럭스 시리즈를 시작했다. 자체 브랜드 렌즈 룩스를 사용했으며, 2005년경 폐업했다. 파논 카메라는 셔터를 누르면 렌즈가 회전하고 렌즈 후방 슬릿이 필름 바로 앞을 주사하는 방식으로 노출하는 파노라마 카메라가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나카미치
나카미치는 나카미치 에쓰로가 1948년에 창업한 일본 음향기기 제조업체로, 초고급 카세트 데크로 명성을 얻었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인기를 끌었으나, CD 보급 후 어려움을 겪다가 2010년대 이후 다양한 제품 출시로 재기를 모색하고 있다. - 1948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이케가미통신기
이케가미통신기는 1946년 설립되어 텔레비전 카메라 개발을 시작으로 세계 최초 휴대용 텔레비전 카메라 개발, ENG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을 개발하며 방송 기술 발전에 기여한 일본의 방송 및 영상 기술 전문 기업이다. - 2005년 해체된 기업 - 부산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는 부산 도시철도 1~4호선을 운영하며, 1981년 부산직할시 지하철 건설본부로 출범하여 현재의 조직으로 전환되었고, 한국어와 영어 안내방송을 제공하며 자체 축구단을 운영한다. - 2005년 해체된 기업 - 진로그룹
1924년 진천양조상회로 시작한 진로그룹은 진로소주를 기반으로 성장하여 한때 재계 24위까지 올랐으나, 1997년 외환 위기로 부도 후 해체되었고, 주류 사업 부문은 하이트맥주에 인수되어 하이트진로로 재편되었다. - 사진 관련 기업 - 코닥
1882년 조지 이스트먼이 설립한 코닥은 세계 최초로 감광필름을 양산화하며 필름 시대를 주도했으나, 디지털 전환 실패로 파산 보호를 신청 후 재편하여 인쇄 시스템, 첨단 소재 사업과 필름 사업 재개발을 하고 있는 미국 사진 및 이미징 기업이다. - 사진 관련 기업 - 캐논
캐논은 1933년 설립되어 '관음'에서 유래한 사명으로 카메라, 렌즈, 프린터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일본의 광학, 이미징, 산업 장비 제조 회사이며, DSLR 및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스포츠 및 문화 예술 분야 스폰서십을 진행하지만 기후 변화 관련 논란도 있다.
파논 카메라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파논 카메라 |
원어 이름 | パノンカメラ商工 |
영문 이름 | Panon Camera Shoko Co.Ltd. |
회사 정보 |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48년 |
해체 | 2005년 |
장소 | 도쿄도 이타바시구 아즈사와 2-24-3 |
산업 | 정밀기계 |
제품 | 파노라마 사진기 |
2. 역사
1948년 창업하였다. 1952년 120 필름을 사용하는 50×112mm 화면 크기의 파논 카메라 시리즈를 발매하였다. 렌즈를 구하기 어려워 시장에 있는 중고 렌즈를 구입하여 장착했으며, 그 때문에 小西六일본어(코니카(미놀타 합병→소니 인수)에서 만든 헥사(Hexar) 외에 라이카의 즈마르(Summar)를 장착한 바디도 있었다. 헥사를 장착한 바디를 코니시로쿠의 간부가 보고 고급 렌즈인 헥사논(Hexanon)의 안정적인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954년 렌즈를 자체 브랜드인 룩스(Lux)로 변경하였다. 1958년 135 필름을 사용하는 25×60mm 화면 크기의 '''와이드럭스 FV'''를 시작으로 와이드럭스 시리즈가 시작되었다. 1987년에는 120 필름을 사용하는 50×112mm 화면 크기의 와이드럭스 1500을 발매하였다. 2005년경 폐업하였다.
2. 1. 초기 (1948년 ~ 1958년)
1948년 창업하였다. 1952년 120 필름을 사용하는 50×112mm 화면 크기의 파논 카메라 시리즈를 발매하였다. 렌즈를 구하기 어려워 시장에 있는 중고 렌즈를 구입하여 장착했으며, 그 때문에 小西六일본어(코니카(미놀타 합병→소니 인수)에서 만든 헥사(Hexar) 외에 라이카의 즈마르(Summar)를 장착한 바디도 있었다. 헥사를 장착한 바디를 코니시로쿠의 간부가 보고 고급 렌즈인 헥사논(Hexanon)의 안정적인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954년 렌즈를 자체 브랜드인 룩스(Lux)로 변경하였다. 1958년 135 필름을 사용하는 25×60mm 화면 크기의 '''와이드럭스 FV'''를 시작으로 와이드럭스 시리즈가 시작되었다.2. 2. 와이드럭스 시리즈 출시 (1958년 ~ 1987년)
1958년 135 필름을 사용하는 25×60mm 화면 크기의 와이드럭스 FV를 시작으로 와이드럭스 시리즈가 시작되었다. 1987년에는 120 필름을 사용하는 50×112mm 화면 크기의 와이드럭스 1500을 발매하였다.2. 3. 후기 (1987년 ~ 2005년)
1987년 120 필름을 사용하는 50×112mm 화면 크기의 와이드럭스 1500을 발매하였다. 2005년 폐업하였다.3. 제품
3. 1. 120 필름 사용 [[파노라마]] 사진기
1952년 신문사나 일본 해상보안청의 요청에 의해 제작된 '''파논 50A'''를 시작으로,[2] '''파논 AII'''(1952년 10월 발매)는 '''파논 50A'''를 화각 140° 전용으로 하여 시판한 모델이다. 렌즈는 헥사(Hexar) 50mm F3.5를 채택했고, 슬릿 폭은 고정되어 셔터 속도는 1/2초, 1/50초, 1/200초 3가지로 설정되었다. 셔터 장전은 렌즈를 장착한 원통을 돌리는 방식이었다.[2] '''파논 AIII'''(1953년 6월 발매)는 렌즈를 헥사논(Hexanon) 50mm F2.8로 변경하였고,[2] '''파논 AI'''(1954년 발매)는 렌즈를 파논(Panon) 50mm F3.5로 변경하였다.[2]1973년에는 와이드럭스 150이 발매되었고,[2] 1980년에는 와이드럭스 1500,[2] 1987년에는 뉴 와이드럭스 1500이 발매되었다.[2] 뉴 와이드럭스 1500은 120 필름용 최종 모델로, 수평화각 150도에 룩스(Lux) 50mm f2.8 가변초점 렌즈, 1/8, 1/60, 1/125초 3단 셔터 스피드를 제공하며, 노출조절은 매뉴얼 방식, 몸체 위 중앙에 광학식 뷰 파인더가 있다.[2] 셔터를 누르면 렌즈가 회전하고 렌즈 후방 슬릿이 필름 바로 앞을 주사하는 방식으로 노출하는 파노라마 카메라이다. 50×112mm판을 사용한다.[2]
3. 2. 135 필름 사용 [[파노라마]] 사진기
1958년 발매된 와이드럭스 FV를 시작으로, 1988년에 35mm 필름용으로는 최종 모델인 와이드럭스 F8이 발매되었다. 와이드럭스 F8은 룩스(Lux) 26mm F2.8 렌즈를 장착했으며, 초점은 약 5m에 고정되어 있어 F8까지 조리개를 조이면 0.8m에서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다. 셔터를 누르면 렌즈가 움직이고, 렌즈 후방 슬릿이 필름 바로 앞을 주사하는 방식으로 노출하는 파노라마 카메라이다. 24×60mm 판을 사용한다.와이드럭스 FV, FI, FVI는 은백색 몸체를 가졌으며, F6은 은백색과 검은색 몸체, F6B는 은백색과 검은색 몸체, 그리고 F7은 검은색 몸체를 가졌다. F6의 경우, 파인더 위쪽 모델명 표기의 제조국 표시가 이전 및 이후 모델들과 달리 ‘MADE IN NIPPON’으로 되어 있다. F6B 은백색 몸체는 이전 은백색 몸체 모델들과 달리 렌즈 원통 부분이 검은색이다.
4. 기술적 특징
참조
[1]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3号
[2]
블로그
클래식 카메라 이야기
http://blog.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