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오 상륙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오 상륙작전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4년 영국군이 페르시아만의 석유 시추 시설 보호를 위해 파오 요새를 점령한 군사 작전이다. 영국군은 아서 바렛의 지휘 아래 제6 (푸나) 사단을 투입하여 11월 6일 파오에 상륙했으나, 요새의 포격과 오스만 제국 보병의 공격에 직면했다. 이후 중포병의 지원을 받아 요새를 함락하고, 오스만 제국군 300명을 항복시켰다. 이 작전으로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 만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고, 영국의 시추 시설은 안전해졌다. 파오 상륙작전은 오스만 제국에게 전략적인 실수로 이어졌으며, 비디오 게임 배틀필드 1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의 전투 - 샤론 전투
샤론 전투는 1917년 9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이 오스만 제국군을 팔레스타인에서 공격하여 연합군이 승리한 전투로, 육상, 공군 지원, 기병대 기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전투 후 스페인 독감이 확산되었다.
파오 상륙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분쟁 명칭 | 파오 상륙작전 |
관련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중 메소포타미아 전역 |
시기 | 1914년 11월 6일 - 8일 |
장소 | 파오 반도, 메소포타미아 (현재의 이라크) |
결과 | 영국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대영 제국 |
하위 부대 1 | 영국 영령 인도 |
교전국 2 | 오스만 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월터 싱클레어 델라메인 |
지휘관 2 | 자비트 파샤 |
병력 규모 | |
병력 1 | 1개 연대 |
병력 2 | 제38사단 일부 |
피해 규모 | |
사상자 1 | 미상 |
사상자 2 | 포로 300명 |
지도 | |
![]() |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에 오스만 제국이 참전하면서, 영국군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석유 시추 시설의 안전을 걱정하였다.[6] 시추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영국은 페르시아 만 연안의 오스만 제국 통제 지역을 장악하기로 하였다. 파오 요새는 페르시아만 연안에 있는 오스만 제국의 주요 요새 중 하나였다. 영국군은 아서 바렛을 지휘관으로, 페르시 콕스를 정치장교로 한 제6 (푸나) 사단을 인도 원정군 D군(IEF D)로 파견보냈다.
16 (푸나) 여단을 이끄는 발터 델라메인 준장이 제일 먼저 상륙을 시작했다. 1914년 11월 6일 영국군은 파오 해변에 상륙하였고, 상륙한지 얼마 되지 않아 파오 요새에서부터의 강력한 포격 공격을 받았다.[2] 영국군이 요새를 향해 진격하면서 오스만 제국 보병의 공격을 받았으나, 영국군은 이 공격을 격퇴했다. 그러나 이때는 아직 중포병 병력이 상륙하지 않아 요새를 공격할 수 없었다. 영국군은 요새 주변에 참호를 팠으며, 거기서 때때로 요새에 포격을 가했다.
11월 8일, 중포병이 파오에 상륙하여 즉시 요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대포가 요새 벽을 뚫고 부서지면서 영국군은 요새 안으로 진격했다. 요새 내부에서 45분간 격렬한 전투를 벌인 후 요새를 함락시켰고 오스만 제국의 남은 병력 300명은 항복하였다.[1] 다음날 영국군은 파오 항구로 돌입하였고 사단 나머지 병력이 상륙하기 시작했다.
영국군이 파오 요새를 점령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더 이상 페르시아 만을 통제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영국의 시추 시설은 안전해졌다.[5] 하지만, 영국군은 바그다드를 점령하기 전까지는 페르시아 만이 완전히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바그다드로 진격하기 시작하면서 메소포타미아 전역이 시작되었다. 이후 1917년 영국군은 바그다드를 점령하였다.[5]
파오 상륙작전과 그 후 요새를 둘러싼 전투는 비디오 게임 배틀필드 1에 등장한다.
[1]
논문
The Sick Man's Last Fight: The Role of the Ottoman Empire in the First World War
https://digitalcommo[...]
영국은 페르시아만 유전 시설의 안전을 우려하여, 오스만 제국이 통제하는 페르시아만 해안 지역을 점령하기로 결정했다. 파오 요새는 페르시아만 해안에 위치한 주요 오스만 요새였으며, 영국 지휘관들에게는 오스만 제국이 영국 유전 시설을 공격할 때 발판이 될 수 있는 곳으로 보였다.[1]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 영국은 페르시아만 연안의 파오 반도에 있던 영국 자본의 앵글로-페르시아 석유 회사의 석유 시설이 오스만 제국에 의해 위협받을 것을 우려했다. 이에 영국은 석유 시설을 보전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 세력 하의 만 연안 지역을 제압하기로 결정했고, 페르시아만에서 오스만 제국군의 대규모 거점인 파오 요새를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3. 상륙 작전
초기 상륙 부대는 왕립 해병대 병력과 월터 싱클레어 델라메인 지휘 하의 제16(푸나) 여단의 영국령 인도군 부대였다.[2] 영국 슬루프 HMS ''오딘''은 파오 구 요새 근처의 터키군 진지를 포격하여 적 포대를 침묵시키고 상륙 부대의 길을 열었다. 600명의 병력은 얕고 진흙 투성이인 물가로 상륙하여 산포 2문을 끌고 왔으며, 저항은 거의 없었다.[3] 영국-인도 연합군은 준비가 미흡한 오스만 제국 진지를 신속하게 점령했으며, 여러 문, 대부분이 여전히 배치되어 장전된 포를 포함하여 상당량의 손상되지 않은 물자를 노획했다. "파오 요새의 빈바시"로 알려진 요새 사령관이 포탄에 의해 사망하자 약한 오스만 수비대는 병사들에 의해 버려졌다.[4][5]
4. 파오 요새 전투
5. 전투의 영향
파오 상륙 및 점령은 오스만 제국에게 전략적인 실수였으며,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은 다음 해 영국군에게 일련의 패배를 당하며 회복하지 못했다.[5] 또한 오스만 제국은 더 이상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주요 접근 지점을 통제하지 못했으며, 영국의 시설은 대체로 안전해졌다.[5]
6. 대중 문화
참조
[2]
서적
Enemy on the Euphrates: The Battle for Iraq, 1914 – 1921
https://books.google[...]
Saqi
[3]
서적
The Indian Army on the Western Front South Asia E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First Iraq War—1914-1918: Britain's Mesopotamian Campaign
https://books.google[...]
Enigma Books
[5]
서적
Ottoman Arm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 A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서적
The First Iraq War, 1914–1918, Britain's Mesopotamian Campaign
English, New Y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