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반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팜반동은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1955년부터 1987년까지 베트남의 수상직을 역임했다. 그는 호치민의 제자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베트남의 독립과 통일에 기여했다. 팜반동은 1920년대 혁명 운동에 참여했으며, 프랑스 식민 당국에 체포되어 투옥되기도 했다. 그는 제네바 협정에서 호치민 정부 대표단을 이끌었고, 1987년 은퇴할 때까지 32년간 수상직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외교부장 - 호찌민
호찌민은 베트남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초대 주석이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이끌고 베트남 독립을 선언, 건국 후 베트남 통일을 위한 투쟁을 이어갔다.
팜반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인 정보 | |
이름 | 팜반동 |
로마자 표기 | Phạm Văn Đồng |
한자 표기 | 范文同 |
출생일 | 1906년 3월 1일 |
출생지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안남, 꽝응아이성 모득현 덕탄 마을 |
사망일 | 2000년 4월 29일 |
사망지 | 하노이, 베트남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베트남 공산당 (1940년–1997년) |
정치국 위원 | 1951년 – 1987년 |
외무부 장관 | 1954년 4월 – 1961년 2월 |
재무부 장관 | 1945년 9월 – 1946년 3월 |
정부 직책 | |
베트남 제1대 총리 | 1976년 7월 2일 – 1987년 6월 18일 |
북베트남 총리 | 1955년 9월 20일 – 1976년 7월 2일 |
북베트남 부총리 | 1947년 6월 25일 – 1955년 9월 20일 |
중앙위원회 고문 | 1986년 12월 18일 – 1997년 12월 29일 |
정부 수반 | 호찌민, 톤득탕 |
총리 | 호찌민 |
부총리 | 판케토아이, 보응우옌잡 |
외무부 장관 전임자 | 황민지암 |
외무부 장관 후임자 | 응우반키엠 |
재무부 장관 후임자 | 레반히엔 |
고문 | 쯔엉찐, 레득토, 응우옌반린, 보찌꽁 |
고문 후임자 | 보반키엣 |
총리 전임자 | 직책 신설 |
총리 후임자 | 팜훙 |
훈장 | |
훈장 | 금성 훈장 |
![]() | |
기타 정보 | |
ISBN | 0810867966 |
2. 인물과 경력
팜반동은 꽝응아이성 출신의 베트남 정치인으로, 호찌민의 측근이자 오랜 기간 동안 베트남의 수상을 역임한 인물이다. 1926년 판쭈찐의 죽음을 애도하는 학생 시위에 참여하면서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같은 해 중국 광저우로 건너가 응우옌아이꾸옥(호찌민)의 교육 과정과 황포군관학교에서 교육받았다. 1929년 귀국 후 사이공에서 혁명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10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36년 프랑스 인민 전선 정부의 사면으로 석방되었다.
1954년 제네바 회담에 호찌민 정부 대표단장으로 참석하여 피에르 망데스프랑스 프랑스 총리와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4] 1955년부터 1987년까지 32년간 베트남의 수상을 역임하며 베트남 전쟁 시기 북베트남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지원을 받았고, 미국과의 평화 회담에도 참여했다.[9]
은퇴 후에도 당 중앙위원회 고문(1986년-1997년)을 역임하며 당내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노력했다.[12] 1990년에는 응우옌반린, 도므오이와 함께 중국 청두를 방문, 장쩌민과 회담하여 중월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2. 1. 초기 생애
팜반동은 1906년 꽝응아이성의 관리 가정에서 태어났다. 1926년, 학생 신분으로 베트남 독립운동가 판쭈찐의 죽음을 애도하는 학생 농성 운동에 참여하며 민족의식과 독립에 대한 열망을 키웠다. 같은 해, 중국 광저우로 건너가 응우옌아이꾸옥(호찌민)이 운영하는 교육 과정에 참여하고, 황포군관학교에서도 교육을 받았다. 1929년, 베트남으로 돌아와 사이공에서 혁명동지회를 위해 활동하다 프랑스 경찰에 체포되어 10년형을 선고받았다. 1936년, 프랑스 인민 전선 정부의 사면으로 석방될 때까지 풀로 콩도르 섬 감옥에 갇혀 있었다.2. 2.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5년부터 1954년까지 지속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팜반동은 중부 베트남 중남부의 중앙위원회 특사로 임명되어 프랑스 식민군과 싸웠다.[3]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가 크게 패배하면서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다.1954년 5월, 팜반동은 제네바 회담에서 호찌민 정부 대표단장으로 임명되었다. 치열한 협상 끝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프랑스군은 새로 독립한 베트남 북부과의 직접적인 충돌에서 철수했으며, 남북 베트남의 분단과 캄보디아, 라오스의 독립을 인정했다. 그는 프랑스 총리 피에르 망데스프랑스와 함께 평화 협정에 서명하였다.[4]
2. 3. 베트남 전쟁과 통일 (1954년 ~ 1987년)
1954년, 팜반동은 부수상 겸 외교부 부장에 취임하였으며,[8] 1955년 제1기 제5회 베트남 국회에서 호찌민이 겸하고 있던 수상직을 계승하였다.[9] 이후 그는 항미 전쟁 시기의 베트남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알려졌다. 미국과의 전투에서 베트남을 지원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린든 존슨, 리처드 닉슨 행정부 시기, 전쟁을 종결짓기 위한 평화 회담에 참여하였다.1963년, 팜반동은 국제 통제 위원회의 폴란드 위원인 미에치스와프 마넬리의 이름을 딴 "마넬리 사건"에 관여했다. 1963년 5월, 동은 마넬리에게 두 베트남의 연방을 요구하는 그의 평화 계획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며, 미국 고문들이 남베트남을 떠나는 한 "우리는 어떤 베트남인과도 합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베트남의 가뭄으로 인한 문제를 반영하여 동은 마넬리에게 북베트남의 석탄을 남베트남의 쌀과 교환하는 물물교환 무역이 뒤따를 휴전을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 제안은 남베트남 정부와 미국, 북베트남 동맹국의 반대에 직면하여 무산되었다.
1964~65년, 동은 소위 "시보른 사절단"에 참여하여 국제 통제 위원회의 캐나다 위원으로 활동했던 외교관 J. 블레어 시보른과 만났다. 1964년 6월 8일, 동은 하노이에서 시보른을 만났다. 시보른은 존슨 대통령으로부터 북베트남이 남베트남 정부 전복 시도를 중단하는 대가로 수십억 달러의 미국 경제 원조와 북베트남에 대한 외교적 승인을 약속하는 제안을 받았다. 시보른은 또한 존슨이 그의 제안이 거부될 경우 북베트남에 대한 전략적 폭격 작전을 고려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동은 시보른에게 미국의 조건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는데, 그는 미국의 남베트남 지원 종식, 남베트남의 냉전 중립화, 그리고 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베트콩)이 사이공의 연립 정부에 참여할 것을 요구했다.
호찌민은 1960년대 초 몇 차례 뇌졸중을 겪어 북베트남의 일상적인 관리에서 상당 부분 물러났다. 호찌민의 부재로 인해, 동은 미국과의 전쟁 기간 동안 북베트남의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는데, 외국 외교관 및 기자들과 대화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했기 때문이다. 그는 중국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남베트남과의 분쟁 자금 조달과 북베트남의 경제 개발에 도움이 되었다.
팜반동은 완고한 공산주의 민족주의 지도자 호찌민의 가장 충실한 제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독립과 통일을 위해 싸운 베트남 전쟁의 주요 인물이었다. 특히 1975년 베트남 통일 이후, 당내 다양한 투쟁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1981년, 미국의 언론인이자 역사가 스탠리 카노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하였다.
> "예, 우리는 미국을 이겼습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여러 문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식량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가난한 개발 도상국입니다. 당신도 알다시피, 전쟁을 실행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한 나라를 운영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12]
팜반동은 1987년까지 32년간 수상을 지냈으며, 1987년 제6차 당대회에서 은퇴하였다.
2. 4. 은퇴 이후
1987년 12월, 제6차 당대회에서 팜반동은 32년간 재임했던 수상직에서 은퇴했다.[12] 은퇴 후에도 1986년 12월부터 1997년까지 당 중앙위원회 고문을 역임하며 당에 만연한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12] 중앙위원회 고문 임기가 만료된 이후에도 비슷한 문제에 대해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1990년 9월 3일에는 응우옌반린 서기장, 도므오이 수상과 함께 비밀리에 중국 쓰촨성 청두를 방문, 장쩌민 총서기와 회담하여 중월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말년에는 중병으로 손을 쓸 수 없어 다른 사람이 그의 말을 대필해야 했다. 2000년 4월 29일 하노이에서 94세의 나이로 수개월 간의 투병 끝에 사망했으며, 5월 2일 베트남 공산당과 정부에 의해 공식 발표되었다. 같은 해 5월 6일 하노이에서 추모식과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3. 평가 및 유산
팜반동은 호찌민의 가장 충실한 제자 중 한 명이자, 베트남의 독립과 통일을 위한 투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확고한 공산주의 민족주의 지도자였지만, 동시에 실용주의적인 면모도 보였다. 1975년 베트남 통일 이후에는 당내 다양한 갈등 속에서도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1981년 미국의 언론인 스탠리 카노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전쟁을 수행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한 나라를 운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말하며, 통일 이후 베트남이 직면한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12]
팜반동은 1986년부터 1997년까지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고문을 지내면서 베트남의 만연한 부정부패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중앙위원회 고문 임기가 만료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이 문제에 대해 조언했다.
1990년에는 베트남 최고의 훈장 중 하나인 금성훈장(en:Gold Star Order (Vietnam))을 수훈받았다.[11]
참조
[1]
서적
Phạm Văn Đồng
Scarecrow Press
[2]
서적
Vietnam: State, War, and Revolution (1945–1946)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웹사이트
Bộ trưởng tài chính qua các thời kỳ
https://www.mof.gov.[...]
[4]
웹사이트
trang 109, cuốn Phạm Văn Đồng Tiểu sử
http://www.nxbctqg.o[...]
[5]
서적
China-Malaysia Relations and Foreign Policy
Taylor & Francis
[6]
서적
Vietnam-Malaysia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1945-1990
University of Malaya Press
[7]
웹사이트
1945年9月2日に国民同胞に公表された臨時政府
http://www.chinhphu.[...]
[8]
웹사이트
新政府(1946年11月3日-1955年)
http://www.chinhphu.[...]
[9]
웹사이트
拡大政府(第1期国会第5-10回会議)
http://www.chinhphu.[...]
[10]
웹사이트
第6期国会期政府(1976-1981年)
http://www.chinhphu.[...]
[11]
서적
「脱ソ連・東欧」路線を模索 : 1990年のベトナム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2]
서적
Vietnam: a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