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엔비엔푸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엔비엔푸 전투는 1954년 프랑스와 베트민 간에 벌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결정적인 전투이다. 프랑스는 1953년 디엔비엔푸에 요새를 구축하여 베트민의 보급로를 차단하려 했지만, 베트민군은 프랑스군보다 훨씬 많은 병력과 포병을 동원하여 프랑스군을 포위했다. 1954년 5월 7일 프랑스군이 항복하면서 전투는 베트민의 승리로 끝났고, 이 패배는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를 종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전투의 결과로 체결된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은 분단되었고,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개입을 본격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베트남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1954년 4월 - 1954년 칸 영화제
    1954년 칸 영화제는 장 콕토가 심사위원장을 맡아 3월 25일부터 4월 8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었으며 《지옥문》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정치적이라는 비판과 영화 다양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디엔비엔푸 전투
위치 및 지도 정보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 사령부를 점령한 베트민군
베트민군이 디엔비엔푸의 프랑스군 사령부에 깃발을 꽂고 있다.
기본 정보
전투명디엔비엔푸 전투
일부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날짜1954년 3월 13일 – 1954년 5월 7일 (1개월 3주 4일)
장소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디엔비엔푸 인근 (현재의 베트남)
결과베트민 주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연합
교전국 1 하위 국가프랑스 제4공화국
베트남국
교전국 1 지원국미국
교전국 2베트남 민주 공화국
교전국 2 하위 세력베트민
지휘관
지휘관 1앙리 외젠 나바르
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 (항복)
앙드레 트랑카르 (항복)
쥘 고셰 (전사)
피에르 랑글레 (항복)
앙드레 랄랑드 (항복)
샤를 피로 (전사)
지휘관 2호치민
보응우옌잡
호앙반타이
레리엠
당킴장
레쫑떤
브엉트어부
호앙민타오
레꽝바
병력 규모
병력 규모 1 (1954년 3월 13일)~10,800명
~9,000명 전투 병력
~1,800명 병참 및 지원 병력
10대 전차
병력 규모 1 (1954년 5월 7일)~14,000명
~12,000명 전투 병력
~2,000명 병참 및 지원 병력
미국 수송기 37대
~600대 항공기
병력 규모 2 (1954년 3월 13일)~49,500명 전투 병력
~15,000명 병참 및 지원 병력
병력 규모 2 (1954년 5월 7일)~80,000명 (병참 및 지원 병력 포함)
사상자 규모
사상자 규모 11,571–2,293명 사망
1,729명 실종
11,721명 포로 (부상자 4,436명 포함)
62대 항공기 및 10대 전차 손실
167대 항공기 손상
미국인 2명 사망
사상자 규모 2 (서방 추정)8,000명 사망, 15,000명 부상
사상자 규모 2 (베트남 공식 기록)13,930명 사상자
사상자 규모 2 (아시아 역사학자 추정)23,000–25,000명

2. 배경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 지배를 재개하려 했으나, 베트남의 격렬한 독립 운동에 직면했다. 1953년 11월에 이르러 프랑스군은 홍강 삼각주 등 제한된 지역만을 확보할 수 있었고, 전황은 불리했다. 그러나 베트민 군도 병참 부담이 커지고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군은 베트민 정규군 주력을 원거리로 유인하여 섬멸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에 적합한 장소로 북서부 산악 지대와 라오스 평원 지대가 선택되었고, 그 중에서도 디엔비엔푸가 주목받았다. 디엔비엔푸에는 구 일본군이 설치했던 비행장 터가 있어 공수부대 파병과 공수에 의한 보급이 가능했고, 하노이에서의 작전 항공기 왕복로의 한계점이기도 했다. 프랑스군은 디엔비엔푸를 확보하여 보급·항공 기지로 삼은 뒤, 라오스 북부 루앙프라방에 진출하여 방어 기지를 설치하는 계획을 세웠다.

디엔비엔푸 일대는 인도차이나 반도 북부에서 손꼽히는 곡창지대였기 때문에, 이곳을 확보함으로써 남부의 곡창지대인 홍하 삼각주에 대한 베트민군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톤킨 군관구 사령관 레네 코니 소장은 이 계획을 모험적이라고 반대했지만, 그의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프랑스군 계획의 성공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근거내용
지형과 화력의 우위디엔비엔푸는 분지 지형이어서, 능선 내부는 화력으로 제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분지의 크기를 고려할 때, 박격포나 무반동포 정도로는 능선 외부에서 분지 중앙부를 공격하는 것은 어려웠다. 베트민군은 수송 수단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더 무거운 중화기를 투입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병참의 우위베트민군은 보급 능력이 부족하여, 근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디엔비엔푸 주변에 대규모 병력을 전개·유지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비해 프랑스군은 항공 수송을 통해 보급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디엔비엔푸 점령을 목표로 한 에어본 작전인 카스토르 작전이 기획되었다. 1953년 11월 20일, 3개 공수대대가 2차례에 걸쳐 강하했고, 21일에는 추가로 3개 대대가 강하했다. 25일에는 활주로의 재정비가 완료되었고, 요새 건설도 진행되었다. 앙리 나바르 장군이 지휘하는 정예 프랑스 외인부대 등 보병 17개 대대, 포병 3개 대대, 1만 6천 명에 달하는 병력이 투입되었으며, 사령관에는 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 대령이 임명되었다. 이들 부대에는 분해·공수된 10대의 M24 경전차도 포함되어 있었다.[1]

2. 1. 전쟁의 전개

1951년 2월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전국대회에서 베트남 혁명의 목표는 제국주의 타도, 독립과 통일의 완수, 빈농에 대한 토지 분배, 사회주의 토대 구축 등으로 선포되었다. 1945년 비공식 조직으로 전환되었던 인도차이나 공산당은 베트남 노동당으로 바뀌었다. 한편, 프랑스군은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 장군의 지휘 하에 홍 강 삼각주를 수비하기 위한 대규모 방어선을 설치했다. 그러나 이미 전세는 호찌민 정부군에 크게 유리해져 있었다. 라트르 장군은 병을 얻어 같은 해 12월 프랑스로 돌아가고 말았다.[1]

후임인 라울 살랑 장군은 1952년 10월 방어선에 의지한 채 열세에 처해 있는 전황을 타개하기 위해 방어선 너머 산악지대를 겨냥한 로렌 작전을 시도했다. 이 작전은 3만 명에 달하는 병력을 투입하고서도 병력 부족과 보급의 난조로 보응우옌잡군에 큰 타격을 주지 못했다. 전선은 다시 델타의 방어선으로 축소되었다.[1]

1953년 7월에는 앙리 나바르 장군이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이때 이미 프랑스군은 보의 게릴라 전술에 맞서기에는 병력이 크게 모자란 상황이었으며 정보면에서도 호찌민 정부군이 프랑스군의 이동상황을 확실히 파악하고 있을 정도로 크게 열세에 있었다. 나바르는 북부의 산악지대에 간간이 공세를 취하기도 했지만, 그의 기본 계획은 호찌민 정부군의 주력부대를 저지하기 위한 요새를 구축하는 데 있었다.[1]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항복을 계기로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 지배를 재개했지만, 격렬한 독립 운동에 직면했다. 1953년 11월에 이르러 프랑스군은 홍하 삼각주 등 제한된 지역만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이었고, 열세는 불가피해 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베트민 군도 광범위하게 전개해야 했기 때문에 병참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후방 지원 능력은 프랑스군이 우세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베트민 정규군 주력을 원거리로 유인하여 차례로 섬멸하는 계획이 세워졌다. 이 계획에 적합한 장소로 북서부 산악 지대와 라오스 평원 지대가 선택되었다.[1]

이 계획 수립 과정에서 주목받은 곳이 북서부에 위치한 디엔비엔푸였다. 이곳에는 구 일본군이 설치했던 비행장 터가 있어 공수부대 파병과 공수에 의한 보급이 가능했고, 홍하 삼각주 중심 도시 하노이에서의 작전 항공기 왕복로의 한계점이기도 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선 디엔비엔푸를 확보하여 보급·항공 기지로 삼은 뒤 라오스 북부 루앙프라방에 진출하여 방어 기지를 설치하는 계획이 세워졌다. 디엔비엔푸 일대는 인도차이나 반도 북부에서 손꼽히는 곡창지대였기 때문에, 이곳을 확보함으로써 남부의 곡창지대인 홍하 삼각주에 대한 베트민군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디엔비엔푸가 보급·항공 기지와 방어 기지를 겸하게 되었다. 톤킨 군관구 사령관 레네 코니(René Cogny) 소장은 이 계획을 모험적이라고 반대했지만 거부당했다.[1]

이 계획의 성공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근거내용
지형과 화력의 우위디엔비엔푸는 분지 지형이어서, 능선 내부는 화력으로 제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분지의 크기를 고려할 때, 박격포나 무반동포 정도로는 능선 외부에서 분지 중앙부를 공격하는 것은 어려웠다. 베트민군은 수송 수단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더 무거운 중화기를 투입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병참의 우위베트민군은 보급 능력이 부족하여, 근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디엔비엔푸 주변에 대규모 병력을 전개·유지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비해 프랑스군은 항공 수송을 통해 보급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1]

상기 근거를 바탕으로 디엔비엔푸 점령을 목표로 한 에어본 작전으로서, 카스토르 작전이 기획되었다. 베트민군 제316사단이 북서부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작전을 발동하기로 결정했고, 1953년 11월 20일, 3개 공수대대가 2차례에 걸쳐 강하했다. 21일에는 추가로 3개 대대가 강하했다. 25일에는 활주로의 재정비가 완료되었고, 요새의 건설도 진행되어, 앙리 나바르 장군이 지휘하는 정예 프랑스 외인부대 등 보병 17개 대대, 포병 3개 대대, 16000명에 달하는 병력이 투입되었다. 사령관에는 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Christian de Castries) 대령이 임명되었다. 이들 부대에는 분해·공수된 10대의 M24 경전차도 포함되어 있었다.[1]

2. 2. 군사적 상황 (1953년)

1953년이 되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필립 르클레르 드 오텍르크부터 앙리 나바르까지 여러 사령관들이 베트민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실패했다. 1952년부터 1953년까지 베트민은 라오스의 넓은 지역을 휩쓸었고, 프랑스는 불안정한 보급선을 넘어선 후에야 이들의 진격을 막을 수 있었다.[11] 프랑스는 베트남 북서부의 베트민 집결지를 상대로 공세를 준비하기 위해 하노이 삼각주 지역의 방어를 강화하기 시작했다.[11] 그들은 북쪽 중국 국경 근처의 라이쩌우, 하노이 서쪽의 나산, 라오스 북부의 항아리 평원을 포함하여 요새화된 도시와 전초기지를 설치했다.[11]

1953년 5월, 프랑스 총리 르네 마이에르는 라울 살랑의 후임으로 앙리 나바르를 인도차이나 주둔 프랑스 연합군 사령관에 임명했다. 나바르는 "명예로운 정치적 해결"로 이어질 군사적 조건을 만들라는 명령을 받았다.[11] 군사학자 필립 데이비드슨에 따르면, 나바르는 도착해서 발견한 상황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장기적인 계획은 없었고, 모든 것이 매일매일 반응적으로 진행되었다. 전투 작전은 적의 움직임이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만 수행되었다.[11]

나바르는 라오스에 대한 베트민의 위협에 대처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나바르의 주요 전략가였던 루이 베르테이 대령은 "고슴도치" 개념을 고안했다.[12] 프랑스군은 라오스로 향하는 주요 베트민 보급로 인근에 병사들을 공수하여 요새화된 항공기지를 구축하여 베트민 병사들을 차단하고 철수하도록 강제할 계획이었다.[12]

"고슴도치" 작전은 나산 전투에서 얻은 프랑스의 경험에 기반했다. 1952년 11월 말과 12월 초, 프랑스군은 나산에서 베트민의 공격을 반복적으로 물리치고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13] 프랑스는 이 전략을 훨씬 더 큰 규모로 반복함으로써 베트민을 유인하여 대규모 공격에 투입하게 하고, 우월한 프랑스의 포병, 장갑차, 공중 지원을 통해 베트민 부대를 섬멸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13] 나산에서의 성공은 나바르에게 요새화된 항공기지 개념의 실현 가능성을 확신시켰다.[13]

그러나 프랑스 참모들은 디엔비엔푸와 나산 사이의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고려하지 않았다.

  • 나산에서 프랑스군은 대부분의 고지를 장악했지만, 디엔비엔푸에서는 베트민이 계곡 주변의 대부분의 고지를 장악했고, 프랑스군보다 4배나 많은 병력을 보유했다.[14]
  • 나산에서 베트민은 준비가 되기 전에 무모한 공격을 했지만, 디엔비엔푸에서 보응우옌잡은 몇 달 동안 탄약을 비축하고 공격을 개시하기 전에 중화기와 대공포를 배치했다.
  • 나산의 공중 보급로는 단절된 적이 없었지만, 디엔비엔푸에서 베트민은 포병으로 프랑스 활주로와 항공기에 집중하여 보급을 마비시켰다.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항복을 계기로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 지배를 재개했지만, 격렬한 독립 운동에 직면했다. 1953년 11월에 이르러 프랑스군은 홍하 삼각주 등 제한된 지역만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이었고, 열세는 불가피해 보였다. 그러나 베트민 군도 병참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후방 지원 능력은 프랑스군이 우세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베트민 정규군 주력을 원거리로 유인하여 섬멸하는 계획이 세워졌다. 이 계획에 적합한 장소로 북서부 산악 지대와 라오스 평원 지대가 선택되었다.

이러한 계획 과정에서 주목받은 곳이 북서부에 위치한 디엔비엔푸였다. 이곳에는 구 일본군이 설치했던 비행장 터가 있어 공수부대 파병과 공수에 의한 보급이 가능했고, 하노이에서의 작전 항공기 왕복로의 한계점이기도 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선 디엔비엔푸를 확보하여 보급·항공 기지로 삼은 뒤 라오스 북부 루앙프라방에 진출하여 방어 기지를 설치하는 계획이 세워졌다.

이 계획의 성공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 지형과 화력의 우위: 디엔비엔푸는 분지 지형이어서, 능선 내부는 화력으로 제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베트민군은 수송 수단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더 무거운 중화기를 투입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 병참의 우위: 베트민군은 보급 능력이 부족하여, 근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디엔비엔푸 주변에 대규모 병력을 전개·유지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위의 근거를 바탕으로 디엔비엔푸 점령을 목표로 한 에어본 작전으로서, 카스토르 작전이 기획되었다. 1953년 11월 20일, 3개 공수대대가 강하했다. 21일에는 추가로 3개 대대가 강하했다. 25일에는 활주로의 재정비가 완료되었고, 요새의 건설도 진행되었다. 앙리 나바르 장군이 지휘하는 정예 프랑스 외인부대 등 보병 17개 대대, 포병 3개 대대, 1만 6천 명에 달하는 병력이 투입되었다. 사령관에는 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 대령이 임명되었다. 이들 부대에는 분해·공수된 10대의 M24 경전차도 포함되어 있었다.

2. 3. 디엔비엔푸 요새

보응우옌잡은 라오스를 침공하여 중부 베트남을 우회, 코친차이나의 비엣민 게릴라 부대와 연합하여 사이공의 바오 다이 정부를 전복시키려 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프랑스군 사령관 앙리 나바르 장군은 베트남 서북 변경을 봉쇄하고, 그 요충지로 디엔비엔푸를 선택했다.[12] 1953년 11월, 1만 1천 명의 프랑스군이 디엔비엔푸에 주둔하며 프랑스군의 작전이 시작되었다. 이 요새는 외진 곳이라 비행기로만 병력과 물자 수송이 가능했다. 나바르 장군은 호찌민 정부군 1개 사단 정도의 공격을 예상했고, 프랑스군의 우세한 화력과 공군력으로 충분히 승리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13]

보응우옌잡(왼쪽)과 호찌민(오른쪽)


나바르는 라오스에 대한 베트민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고슴도치(hérisson)"[14] 개념을 고안했다. 이는 나산 전투의 경험에 기반한 것으로, 라오스로 향하는 주요 베트민 보급로 인근에 요새화된 항공기지를 구축하여 베트민 병력을 차단하고 철수시키는 전략이었다.[12]

그러나 프랑스군은 디엔비엔푸와 나산의 중요한 차이점을 간과했다. 디엔비엔푸에서 베트민은 계곡 주변 고지를 장악했고, 예상보다 많은 포병 전력을 보유했다. 보응우옌잡은 디엔비엔푸를 "밥그릇"에 비유하며, 프랑스군이 바닥에 갇힌 형국이라고 묘사했다. 또한 보응우옌잡은 나산에서의 실수를 교훈 삼아, 디엔비엔푸에서는 장기간 탄약을 비축하고 공격 전에 중화기와 대공포를 배치했다. 베트민 스파이는 프랑스군 포병 위치 정보를 수집했고, 포병은 위장된 케이스메이트 안에 배치되었다. 전투 시작 시 베트민은 프랑스군 포병 위치를 정확히 알았지만, 프랑스군은 즈엉의 포병 규모조차 몰랐다. 나산과 달리 디엔비엔푸의 공중 보급로는 베트민의 대공포 사격으로 마비되어 보급과 병력 투입이 불가능해졌다.[13]

프랑스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 지배를 재개하려 했으나, 독립 운동에 직면했다. 1953년 11월, 프랑스군은 열세에 놓였지만, 베트민 군의 병참 부담을 이용해 베트민 정규군 주력을 원거리로 유인하여 섬멸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에 적합한 장소로 북서부 산악 지대와 라오스 평원 지대가 선택되었다.

이 과정에서 디엔비엔푸가 주목받았다. 이곳은 구 일본군 비행장 터가 있어 공수부대 파병과 보급이 가능했고, 하노이에서의 작전 항공기 왕복로의 한계점이기도 했다. 디엔비엔푸를 확보하여 보급·항공 기지로 삼고, 라오스 북부 루앙프라방에 방어 기지를 설치하는 계획이 세워졌다. 디엔비엔푸는 인도차이나 반도 북부 곡창지대였기에, 이곳 확보로 남부 곡창지대인 홍하 삼각주에 대한 베트민군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톤킨 군관구 사령관 레네 코니 소장은 이 계획을 반대했지만 거부당했다.

프랑스군 계획의 성공 가능성은 다음 근거에 기반했다.

근거내용
지형과 화력의 우위디엔비엔푸는 분지 지형으로, 능선 내부를 화력으로 제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분지 크기를 고려할 때, 박격포나 무반동포로는 능선 외부에서 분지 중앙부 공격이 어려웠다. 베트민군은 수송 수단이 제한되어 중화기 투입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병참의 우위베트민군은 보급 능력이 부족하여 대규모 병력 전개·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프랑스군은 항공 수송으로 보급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러한 근거로 디엔비엔푸 점령을 위한 카스토르 작전이 기획되었다. 베트민군 제316사단이 북서부로 이동하자, 선제 작전이 결정되어 1953년 11월 20일, 3개 공수대대가 강하했다.

21일에는 추가로 3개 대대가 강하했다. 25일에는 활주로 재정비가 완료되었고, 요새 건설도 진행되었다. 앙리 나바르 장군이 지휘하는 정예 프랑스 외인부대 등 보병 17개 대대, 포병 3개 대대, 1만 6천 명의 병력이 투입되었다. 사령관에는 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 대령이 임명되었다. 이들 부대에는 분해·공수된 10대의 M24 경전차도 포함되어 있었다.

3. 전투의 과정

1954년 3월 현재 프랑스군의 배치도. 프랑스군은 녹색으로 표시된 언덕에 요새를 구축했고, 비엣민 군은 다섯 갈래(304, 308, 312, 316, 351)로 나뉘어 동쪽과 북쪽을 포위했다.


1953년 디엔비엔푸 계곡의 항공 사진


디엔비엔푸 전투는 1954년 3월 13일, 베트민이 분당 50발의 포를 발사하며 시작되었다. 압도적인 포병 화력으로 프랑스군의 북동쪽 전초진지가 순식간에 함락되었다. 프랑스군도 반격을 가했지만, 보응우옌잡 장군이 이끄는 베트민군에게 포위되었다.

1953년 6월, 프랑스군 톤킨 삼각주 사령관 르네 콩니 소장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건설한 활주로가 있는 디엔비엔푸를 "계류 지점"으로 제안했다. 콩니는 가볍게 방어되는 지점에서 공격을 개시하는 것을 구상했지만, 앙리 나바르는 포위 공격에도 견딜 수 있는 요새화된 기지를 건설하려는 의도로 오해했다.

그러나 프랑스 공군 수송대 사령관 장-루이 니코 대령, 콩니, 그리고 최초의 공수 작전인 "캐스터 작전"의 지상 및 공중 사령관 장 질과 장 드쇼 장군 등 주요 부하 장교들이 반대했다.[15] 콩니는 "더욱 열악한 조건 하에서 새로운 나산 전투의 위험을 무릅쓰고 있다"고 경고했다.[15] 나바르는 비판을 거부하고 1953년 11월 20일에 작전을 시작했다.

나바르는 작전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보 장교들로부터 적군 개입 위험이 적다는 확신을 받고 계획을 진행했다.[16] 기동전, 정적 방어선, 라오스 주요 도시에 병력을 배치하고 공중 보급하는 방식 등을 고려했지만, 모두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고슴도치 작전"을 선택했다.[16] 프랑스 국방위원회는 라오스 방어가 나바르의 책임이 아니라는 결정을 작전 시작 2주 후에야 전달했다.[17]

베트민의 병력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지휘관예하부대장비비고
제304보병사단(일부)
Vinh Quang
(남딘성)
정치위원 레 쩌엉(Lê Chưởng)
사단참모 남 롱(Nam Long)
제9보병연대
제57보병연대
3차 증원부터
제9보병연대쩐 탄 투(Trần Thanh Tú)제353대대
제375대대
제400대대
3차 증원부터
제57보병연대응웬컨(Nguyễn Cận)제265대대
제346대대
제418대대
제308보병사단
Quân Tiên Phong
(베트박)
대좌 왕즈어우(Vương Thừa Vũ)
정치위원 송하오(Song Hào)
제36보병연대
제88보병연대
제102보병연대
제36보병연대
Bắc Bắc
(사파)
Pham Hồng Sơn제80대대
제84대대
제89대대
제88보병연대
투우(Tu Vũ)
(탐다오)
남하(Nam Hà)제23대대
제29대대
제322대대
제102보병연대
(수도연대)
Thủ đô
(바비)
응웬홍싱(Nguyễn Hùng Sinh)제18대대
제54대대
제79대대
제312보병사단
Chiến Thắng
(벤째성)
대좌 레쫑탄(Lê Chông Tan)
정치위원 쩐도(Trần Độ)
제141보병연대
제165보병연대
제209보병연대
제141보병연대꽝뚜옌(Quang Tuyến)제11대대
제16대대
제428대대
제165보병연대
Lao Hà Yên, Thành đồng biên giới
(동찌에우)
레투이(Lê Thuỳ)제115대대
제542대대
제564대대
제209보병연대
송로
호앙껌(Hoàng Cầm)제130대대
제154대대
제166대대
제316보병사단
(비엔호아)
대좌 레꽝바(Lê Quảng Ba)
정치위원 주후이만(Chu Huy Man)
제98보병연대
제174보병연대
제176보병연대
제98보병연대부랑(Vũ Lăng)제215대대
제439대대
제938대대
제174보병연대
Cao Bắc Lạng
(속짱성)
응웬후안(Nguyễn Hữu An)제249대대
제251대대
제255대대
제176보병연대제888대대
제910대대
제999대대
제888대대는 2차 투입
나머지는 3차 투입
제351공포사단
(롱쩌우)
사령관 겸임 다오반즈엉(Đào Văn Trường)
정치위원 팜응옥머우(Phạm Ngọc Mậu)
제45포병연대
제675포병연대
제237포병연대
제83박격포대대
제367고사연대
제151공병연대
제45포병연대
Tất Thắng
응웬후미(Nguyễn Hữu Mỹ)제632대대
제954대대
105mm 곡사포 x 24
제675포병연대
Anh Dũng
도안뚜에(Doãn Tuế)제175대대
제275대대
75mm 산포 x 20
제237포병연대제413박격포대대
H6 로켓포대대
DKZ 75mm 대대
82mm 박격포 x 54
H6 75mm 무반동포 x 12
DKZ 75mm x ?
제413대대는 1차 투입
나머지는 3차 투입
제83박격포대대120mm 박격포 x 20
제367고사연대(일부)레반찌(Lê Văn Tri)37mm 고사대대 2개37mm 고사포 x 24+ 1개 대대
제151공병연대팜호앙(Phạm Hoàng)공병대대 4개


3. 1. 베트민의 포위와 프랑스군의 방심

베트남 독립군은 장비가 열악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응우옌잡 장군의 지휘 아래 5개 사단, 총 5만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디엔비엔푸를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 베트민군은 우거진 밀림과 산악 지형을 이용하여 프랑스군에게 발각되지 않고 포위망을 완성했다. 호찌민 정부군은 프랑스군의 진지를 훤히 볼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고, 효과적인 포격을 가할 수 있었다.[21]

프랑스군은 베트남 독립군의 능력을 과소평가하고 방심했다. 그들은 베트민군이 패주하는 것을 보고 디엔비엔푸로 진입했지만, 이는 오판이었다. 프랑스군 지휘부는 작전의 어려움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고, 정보 장교들은 적군의 개입 위험이 적다고 잘못 판단했다.[16] 프랑스 국방위원회는 라오스 방어가 나바르의 책임이 아니라는 결정을 뒤늦게 전달하여 작전에 혼선을 초래했다.[17]

1953년 11월, 프랑스군은 "캐스터 작전"을 통해 디엔비엔푸에 병력을 공수했지만, 보응우옌잡은 이를 예상하고 반격을 준비했다.[18] 12월, 프랑스군은 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 대령의 지휘 아래 요새를 구축했지만, 베트민 군은 이미 주변 언덕에 병력을 배치하고 있었다.[19]

베트민 군은 소비에트 연방(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지원받은 중포와 대공포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무기를 산 정상에 배치하여 프랑스군을 압도했다.[21] 그들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물자를 수송했고,[83] 중화기는 분해하여 인력으로 운반했다.

1954년 1월 31일, 베트민 군의 산발적인 포격이 시작되었고, 프랑스군은 완전히 포위되었다. 베트민은 "신속 타격, 신속 승리" 모델에서 "꾸준한 전투, 꾸준한 진격" 모델로 전술을 변경하여 프랑스군을 압박했다.[22]

3. 2. 주요 전투

1954년 3월 13일, 베트민은 분당 50발의 포를 발사하며 공격을 시작했고, 압도적인 포병 화력으로 프랑스군의 북동쪽 전초기지(베아트리스)를 순식간에 함락시켰다.[19] 이어서 최북단의 가브리엘 진지도 야간 공격으로 함락되었다.[19] 프랑스군은 반격을 시도했지만, 진지를 탈환하지 못했다.[19]

프랑스군 강하


베트민군은 참호를 프랑스군 진지 주변에 둘러 최남단의 이자벨 진지와 디엔비엔푸 본체 사이의 교통을 차단했다.[19] 이 무렵, 북서쪽의 안느마리 진지에서는 프랑스군 소속 베트남인 병사들의 탈영이 잇따랐고, 프랑스군은 어쩔 수 없이 거점을 포기하고 후퇴했다.[19]

이후 디엔비엔푸 본체를 내려다보는 동쪽 구릉에서도 베트남 측이 유리하게 전투를 진행했다. 프랑스군은 활주로가 파괴되어 물자 보급을 공중 투하에 의존했지만, 베트민군의 대공 포화와 악천후로 인해 보급이 원활하지 않았다.[19]

당초 베트민의 공격 계획은 중국의 "신속 타격, 신속 승리" 모델을 기반으로, 가용 전력을 모두 사용하여 기지의 지휘부를 돌파하여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2] 그러나 프랑스군이 이 계획을 파악하고 있다는 정보와 다른 문제점들로 인해, 1954년 1월 26일 공격이 취소되고 지압은 새로운 계획을 수립했다.[23][24][25][26] 새로운 계획은 "꾸준한 전투, 꾸준한 진격" 모델, 즉 참호전이었다.[22]

부대지휘관예하부대장비비고
제304보병사단(일부)
Vinh Quang
(남딘성)
정치위원 레 쩌엉(Lê Chưởng)
사단참모 남 롱(Nam Long)
제9보병연대
제57보병연대
3차 증원부터
제9보병연대쩐 탄 투(Trần Thanh Tú)제353대대
제375대대
제400대대
3차 증원부터
제57보병연대응웬컨(Nguyễn Cận)제265대대
제346대대
제418대대
제308보병사단
Quân Tiên Phong
(베트박)
대좌 왕즈어우(Vương Thừa Vũ)
정치위원 송하오(Song Hào)
제36보병연대
제88보병연대
제102보병연대
제36보병연대
Bắc Bắc
(사파)
Pham Hồng Sơn제80대대
제84대대
제89대대
제88보병연대
투우(Tu Vũ)
(탐다오)
남하(Nam Hà)제23대대
제29대대
제322대대
제102보병연대
(수도연대)
Thủ đô
(바비)
응웬홍싱(Nguyễn Hùng Sinh)제18대대
제54대대
제79대대
제312보병사단
Chiến Thắng
(벤째성)
대좌 레쫑탄(Lê Chông Tan)
정치위원 쩐도(Trần Độ)
제141보병연대
제165보병연대
제209보병연대
제141보병연대꽝뚜옌(Quang Tuyến)제11대대
제16대대
제428대대
제165보병연대
Lao Hà Yên, Thành đồng biên giới
(동찌에우)
레투이(Lê Thuỳ)제115대대
제542대대
제564대대
제209보병연대
송로
호앙껌(Hoàng Cầm)제130대대
제154대대
제166대대
제316보병사단
(비엔호아)
대좌 레꽝바(Lê Quảng Ba)
정치위원 주후이만(Chu Huy Man)
제98보병연대
제174보병연대
제176보병연대
제98보병연대부랑(Vũ Lăng)제215대대
제439대대
제938대대
제174보병연대
Cao Bắc Lạng
(속짱성)
응웬후안(Nguyễn Hữu An)제249대대
제251대대
제255대대
제176보병연대제888대대
제910대대
제999대대
제888대대는 2차 투입
나머지는 3차 투입
제351공포사단
(롱쩌우)
사령관 겸임 다오반즈엉(Đào Văn Trường)
정치위원 팜응옥머우(Phạm Ngọc Mậu)
제45포병연대
제675포병연대
제237포병연대
제83박격포대대
제367고사연대
제151공병연대
제45포병연대
Tất Thắng
응웬후미(Nguyễn Hữu Mỹ)제632대대
제954대대
105mm 곡사포 x 24
제675포병연대
Anh Dũng
도안뚜에(Doãn Tuế)제175대대
제275대대
75mm 산포 x 20
제237포병연대제413박격포대대
H6 로켓포대대
DKZ 75mm 대대
82mm 박격포 x 54
H6 75mm 무반동포 x 12
DKZ 75mm x ?
제413대대는 1차 투입
나머지는 3차 투입
제83박격포대대120mm 박격포 x 20
제367고사연대(일부)레반찌(Lê Văn Tri)37mm 고사대대 2개37mm 고사포 x 24+ 1개 대대
제151공병연대팜호앙(Phạm Hoàng)공병대대 4개



참고: 1차는 3월 13일 - 4월 17일, 2차는 3월 30일 - 4월 26일, 3차는 5월 1일 - 5월 7일 기간.[85]

3. 3. 프랑스군의 지휘권 위기

베트민의 공격은 1954년 3월 13일, 제13외인부대 반여단 제3대대가 방어하던 북동쪽 전초기지 베아트리스(Béatrice) 공격으로 시작되었다. 베트민 포병은 105mm 곡사포, 120mm 박격포, 75mm 산포 등으로 집중 포격을 가했다. 오후 6시 30분, 포탄이 프랑스군 지휘소를 직격하여 대대장 폴 페고(Paul Pégot) 중령과 참모 대부분이 사망하면서 프랑스군 지휘 체계가 무너졌다. 몇 분 후 중앙 부문 전체 사령관 쥘 고셰(Jules Gaucher) 중령도 포격으로 사망했다.[27]

프랑스군은 베트민이 포병대가 직접 사격 조정을 하는 직접 사격을 사용했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는 베트민이 숙련되고 훈련된 병력과 양호한 통신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나바르는 "중국 고문의 영향을 받아 베트민 사령관들은 고전적인 방법과는 매우 다른 절차를 사용했다. 포병은 단일 조각으로 파묻혔다...그들은 방탄 벙커에 설치되었고, 포트홀에서 근접 사격을 했다... 이러한 포병과 대공포 사용 방식은 베트민이 사용할 수 있는 광대한 개미굴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우리 포병의 모든 추정치를 무너뜨렸다."라고 기록했다.[29]

이틀 후, 위장이 잘된 베트민 포대를 제압하지 못한 데 분노한 포병 지휘관 샤를 피로(Charles Piroth) 대령은 자신의 벙커에 들어가 수류탄으로 자살했다.[30] 프랑스군의 사기를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그의 매장은 비밀리에 이루어졌다.[30]

3. 4. 참호전과 공방전

3월 17일부터 30일까지 전투는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베트남 독립군은 프랑스군 중앙 지역(위게트, 도미니크, 클로드, 엘리안 강력 지점으로 형성됨)을 더욱 포위하여 이자벨과 그 남쪽의 1,809명의 병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했다.[34] 이 소강 상태 동안 프랑스군은 심각한 지휘권 위기에 직면했다. 주둔군의 고위 장교들과 하노이에 있는 코니 장군은 드 카스트리가 디엔비엔푸 방어에 무능하다고 느끼기 시작했다. 그는 북쪽 외곽 전초기지들을 상실한 후, 자신의 벙커에 틀어박혀 사실상 상황 지휘를 회피했다.[34]

전투 중 공격을 개시하는 베트민 병사들


드 카스트리가 벙커에 은둔한 것과 그의 상관들이 그를 대체할 수 없었던 것은 프랑스군 지휘부에 지도력 공백을 초래했다. 3월 24일, 베르나르 팔은 랑글레 대령과 그의 동료 낙하산 부대 지휘관들이 완전 무장한 채 드 카스트리의 벙커에 맞섰다고 기록한다. 그들은 그에게 명목상의 지휘권은 유지하되, 실제 지휘는 랑글레가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34] 필립 데이비드슨은 "진실은 랑글레가 디엔비엔푸의 실질적인 지휘권을 장악했고, 카스트리는 하노이에 보고하고 디엔비엔푸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명예 사령관'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쥘 로이는 이 사건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며, 마틴 윈드로우는 "낙하산 부대 쿠데타"는 일어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프랑스군의 공중 보급은 활주로 근처 베트민 기관총의 집중적인 사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3월 27일, 하노이 공수부대 사령관 니코는 모든 보급품을 2000m 이상의 고도에서 투하하도록 명령했는데, 피해는 여전히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34] 다음 날, 드 카스트리는 디엔비엔푸 서쪽 3km 지점에 있는 베트민 대공 기관총에 대한 공격을 명령했다. 이 공격으로 베트민 350명의 사상자와 17문의 12.7mm 대공 기관총이 파괴되었고(프랑스군 추산), 프랑스군은 20명이 사망하고 97명이 부상을 입었다.[34]

3. 5. 이자벨

3월 17일부터 30일까지 전투는 소강상태에 들어갔다. 비엣민은 프랑스군 중앙 지역(유게트, 도미니크, 클로드, 엘리안 강력 지점으로 형성됨)을 더욱 포위하여 남쪽 전초기지인 이자벨과 그곳의 1,809명 병력을 효과적으로 고립시켰다.[34] 이 기간 동안 프랑스군은 지휘권 문제에 직면했다.[34]

3. 6. 최후의 공격과 함락

3월 17일부터 30일까지 전투는 소강상태에 들어갔다. 베트민은 프랑스군 중앙 지역을 더욱 포위하여 이자벨과 그 남쪽의 1,809명의 병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했다.[34] 이 기간 동안 프랑스군은 심각한 지휘권 위기에 직면했다. 주둔군 고위 장교들과 하노이의 코니 장군은 드 카스트리가 디엔비엔푸 방어에 무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북쪽 외곽 전초기지들을 상실한 후, 벙커에 틀어박혀 사실상 지휘를 회피했다.[34]

드 카스트리가 벙커에 은둔하고 그의 상관들이 그를 대체할 수 없었던 것은 프랑스군 지휘부에 지도력 공백을 초래했다. 3월 24일, 랑글레 대령과 그의 동료 낙하산 부대 지휘관들이 드 카스트리에게 명목상의 지휘권은 유지하되, 실제 지휘는 랑글레가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 "낙하산 부대 쿠데타"는 일어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도 있다.

프랑스군의 공중 보급은 큰 피해를 입었다. 3월 27일, 니코는 모든 보급품을 2000m 이상의 고도에서 투하하도록 명령했다.[39] 다음 날, 드 카스트리는 디엔비엔푸 서쪽 3km 지점에 있는 베트민 대공 기관총에 대한 공격을 명령하여 베트민 350명의 사상자와 17문의 12.7mm 대공 기관총을 파괴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39]

5월 1일 밤, 베트민은 대규모 공격을 개시하여 "엘리안 1", "도미니크 3", "위게트 5"를 함락시켰지만, 프랑스군은 "엘리안 2"에 대한 공격을 격퇴했다. 5월 6일, 베트민은 카튜샤 로켓을 사용하여 "엘리안 2"에 대한 또 다른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고,[27] 지뢰를 폭파시켜 방어군을 함락시켰다.

5월 7일, 지압은 25,000명이 넘는 베트민을 동원하여 총공격을 명령했다. 17시, 드 카스트리는 하노이에 무전을 보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40] 프랑스군 사령부의 마지막 무전은 "적이 우리를 함락시켰습니다. 모든 것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만세!"였다.[40] 그날 밤 주둔군은 돌파를 시도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이자벨"에서는 1,700명 중 약 70명이 라오스로 탈출했다. 18시 20분경, 릴리 요새가 항복하면서 전투는 막을 내렸다.[41]

4. 전투의 결과

1954년 3월 말 디엔비엔푸의 주요 프랑스군 진지. 엘리안(Eliane) 진지에서는 전투 내내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프랑스군은 전투 중 소수의 M24 샤피 경전차(미국제)를 배치했는데, 이를 "바이슨"이라고 불렀다. 베트민은 이에 대해 중포와 로켓추진 수류탄 발사기(RPG)로 대응했다.


1954년 3월 30일, 베트민은 디엔비엔푸 중앙부의 엘리안(Eliane)과 도미니크(Dominique) 진지에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다. 이 두 지역은 프랑스군, 레지옹 외인부대, 베트남군, 북아프리카군, 타이족으로 구성된 5개 부대가 방어하고 있었다.[35] 베트민은 이전 전투와 동일한 전술을 사용하려 했다.

베트민 312사단은 도미니크 1, 2를 점령했지만, 프랑스 제4식민지포병연대가 105mm 곡사포로 직접 사격하여 베트민 공격대를 저지했다.[35] 반면, 316사단은 엘리안 1을 점령하고 엘리안 2의 절반을 점령하며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36]

3월 31일, 프랑스군은 반격으로 도미니크 2와 엘리안 1을 일시 탈환했지만, 베트민의 재공격으로 다시 후퇴했다. 이자벨(Isabelle)에서 증원군이 파견되었지만, 이동 중 공격을 받고 후퇴했다.

참호 속에 몸을 숨기는 프랑스군 병사들


4월 5일, 프랑스군의 공격으로 베트민 연대 하나가 큰 피해를 입자, 지아프는 참호전으로 전술을 변경했다. 4월 10일, 프랑스군은 엘리안 1 탈환에 성공했지만, 베트민은 4월 12일에 다시 탈환을 시도했다.

이 무렵, 베트민 병사들의 사기는 크게 저하되었다. 프랑스군은 공격 명령을 거부하는 부대의 무전을 가로챘고, 포로들은 명령 불복종 시 사살 위협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한편, 베트민 참호는 위게트(Huguette) 1과 6을 거의 완전히 포위했다. 프랑스군은 위게트 6에 보급을 시도했지만 큰 피해를 입고 포기했다. 4월 18일, 위게트 6 수비대는 돌파를 시도했으나 소수만이 생존했다. 4월 22일, 베트민은 위게트 1을 점령하여 프랑스군의 공수 작전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베트민군은 제148독립보병연대를 디엔비엔푸에 주둔시켰고, 보 응우옌 자프는 프랑스군의 공격을 예상하여 대응했다. 11월 24일, 제148독립보병연대와 제316사단은 라이쩌우성을, 제308, 312, 351사단은 디엔비엔푸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2월, 프랑스군은 라이쩌우성에서 디엔비엔푸로 철수했지만, 베트민군의 공격으로 궤멸되었다. 디엔비엔푸에서는 베트민군의 포위망이 형성되며 12월 말부터 교전이 증가했다. 베트민군은 소비에트 연방(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요새를 포위했다.

1954년 1월 31일, 베트민군의 산발적인 포격이 시작되었고, 3월 13일부터 56일간 본격적인 포위전이 전개되었다. 베아트리스(Beatrice) 진지와 가브리엘라(Gabrielle) 진지가 함락되었고, 프랑스군은 반격했지만 탈환하지 못했다.

베트남 측은 참호로 프랑스군 진지를 포위하고 교통을 차단했다. 안느마리(Anne-Marie) 진지에서는 베트남인 병사들의 탈영이 잇따랐다. 프랑스군은 활주로 파괴로 공중 투하에 의존했지만, 베트민의 대공 포화와 악천후로 보급이 어려웠다.

프랑스군은 저지대 진지를 구축했으나 우기에 열악한 환경에 처했다. 각 진지는 인민군 공격과 물자 부족에 시달렸고, 식민지 출신 병사들의 전의 상실로 5월 7일 요새는 함락되었다.

프랑스군은 2만 명 중 최소 2,200명이 전사하고 1만 명 이상이 포로가 되었다. 인민군은 10만 명 중 8,000명이 전사하고 1만 5,000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4. 1. 프랑스의 패배와 영향

디엔비엔푸 전투는 프랑스에게 군사적, 정치적, 심리적으로 심각한 패배를 안겨주었으며, 이는 인도차이나 전쟁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42][43][44] 프랑스 연합군 병력의 약 10분의 1에 해당하는 주둔군이 궤멸되면서,[45]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는 물론, 국제적 위신에도 큰 타격을 입었다.

군사적으로, 프랑스는 더 이상 베트민의 전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베트민은 디엔비엔푸에서 사용한 전략과 전술을 다른 지역에서도 반복할 수 있었고, 프랑스군은 이를 막을 방법이 없었다.[42]

디엔비엔푸 함락 소식은 프랑스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항복 몇 시간 후인 오후 4시 45분경, 조제프 라니엘 총리는 이 비극적인 소식을 발표했다. 파리 대주교는 미사를 명령했고, 라디오 방송은 정규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베를리오즈의 ''레퀴엠''과 같은 엄숙한 음악을 내보냈다. 극장과 식당은 문을 닫았고, 많은 사교 행사가 취소되었다. 프랑스 여론은 게릴라 군대가 유럽의 주요 강대국을 패배시켰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다.

이러한 패배의 여파로 프랑스 고위 지휘부는 또 다른 재앙을 피하기 위해 고립된 방어 지점들을 포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중부 고원 지대의 안케에 고립된 방어 지점이 대표적인 예였다. 정예 베테랑 UN 코레 대대를 포함한 ''Groupement Mobile No. 100''(G.M. 100)은 플레이쿠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망양 관문 전투에서 베트민의 매복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46]

이후 프랑스군은 ''14번 식민지 도로''를 통해 반메투엇에 주둔한 부대를 철수시키려 했으나, ''미소티스'' 작전 중 추드레 관문 전투에서 또다시 매복 공격을 받아 코레 대대가 거의 전멸하는 등 추가적인 손실을 입었다.

결국 디엔비엔푸 전투의 패배는 프랑스가 인도차이나에서 철수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4. 2. 포로 문제

5월 8일, 베트민은 11,721명의 포로를 확보했는데, 그중 4,436명은 부상자였다.[47] 이는 베트민이 전쟁 전체 기간 동안 포로로 잡은 총수의 3분의 1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였다. 포로들은 여러 그룹으로 나뉘었다. 건강한 병사들은 북쪽과 동쪽으로 600km에 달하는 거리를 강제 행군으로 이동하여 포로 수용소로 보내졌다.[48] 이들은 프랑스군의 폭격을 막기 위해 베트민 병사들과 섞여 수용되었다. 수백 명이 이동 중 질병으로 사망했다. 부상자들은 적십자가 도착하여 858명의 포로를 후송하고 나머지 부상자들에게 더 나은 의료 지원을 제공할 때까지 기본적인 응급처치를 받았다. 적십자에 의해 후송되지 않은 부상자들은 구금되었다.[49]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프랑스 병사들이 베트남군의 호위를 받으며 포로 수용소로 이동하고 있다.


약 200명의 프랑스 병사만이 "파비 트레일"을 통해 라오스 루앙프라방으로 향하는 베트민 전선을 뚫고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10,863명의 포로(프랑스군을 위해 싸운 베트남인 포함) 중 3,290명만이 4개월 후 본국으로 송환되었다.[50] 그러나 이 손실 수치에는 운명이 알려지지 않은 3,013명의 베트남계 포로가 포함될 수 있다.[51]

디엔비엔푸 전투에서는 프랑스 본국 출신, 식민지, 외인 부대 등의 병사들이 포로가 되었지만, 베트민 측은 당초 이러한 포로들의 존재를 은폐하여 제네바 협정 협상 과정에서 거래 수단으로 삼고, 프랑스 정부로부터의 몸값 지불과 맞바꾸어 송환이 실현되었다.

4. 3. 사상자

베트남 정부는 이 전투에서 베트남군 전사자 4,020명, 부상자 9,118명, 실종자 792명으로 집계했다.[7] 프랑스 측은 베트남군의 사상자를 전사자 8,000명, 부상자 15,000명으로 추산했다.[52] 맥스 헤이스팅스(Max Hastings)는 "2018년 현재 하노이는 여전히 디엔비엔푸 전투에서의 손실을 신뢰할 만하게 집계하지 못했는데, 이는 그 규모가 엄청났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일 것이다"라고 언급했다.[53] 마크 모이어(Mark Moyar)는 자신의 저서 『트라이엄프 포세이큰(Triumph Forsaken)』에서 베트남 측 사상자를 초기 병력 50,000명 중 22,900명으로 기록했다.[54]

프랑스군은 2만 명이 넘는 병력 중 최소 2,200명이 전사하고 1만 명 이상이 포로가 되었다.

4. 4. 제네바 협정과 베트남 분단

디엔비엔푸 전투는 1954년 제네바 회담에 큰 영향을 미쳐, 7월 21일 제네바 협정 체결과 인도차이나반도에서 프랑스의 완전 철수로 이어졌다.[42][43][44]

미국은 베트남 개입을 본격화했고, 제네바 협정에 따라 북위 17도선 이남은 미국의 지원을 받는 베트남국(이후 베트남 공화국)이 통치하게 되었다. 이러한 남북 분단은 베트남 전쟁으로 발전하여 사이공 함락(1975년)을 거쳐 베트남이 통일되기까지 20년 이상이 걸렸다.

4. 5. 카트루 위원회 보고서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카트루 위원회 보고서"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전투의 유산과 평가



1954년 5월 8일, 베트민은 11,721명의 포로를 확보했는데, 그중 4,436명은 부상자였다.[47] 이는 베트민이 전쟁 전체 기간 동안 포로로 잡은 총수의 3분의 1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였다. 포로들은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건강한 병사들은 북쪽과 동쪽으로 600km에 달하는 거리를 강제 행군하여 포로 수용소로 보내졌으며,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이 질병으로 사망했다.[48] 부상자들은 적십자가 도착하여 858명의 포로를 후송하고 나머지 부상자들에게 더 나은 의료 지원을 제공할 때까지 기본적인 응급처치를 받았다. 적십자에 의해 후송되지 않은 부상자들은 구금되었다.[49]

약 200명의 프랑스 병사만이 베트민 전선을 뚫고 라오스 루앙프라방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10,863명의 포로(프랑스군을 위해 싸운 베트남인 포함) 중 3,290명만이 4개월 후 본국으로 송환되었다.[50] 그러나 이 손실 수치에는 운명이 알려지지 않은 3,013명의 베트남계 포로가 포함될 수 있다.[51]

5. 1. 현대 베트남에서의 의미

디엔비엔푸는 오늘날 베트남의 인기 있는 역사 관광지이다. 현대적인 박물관이 있으며, 여러 개의 강화된 프랑스군 진지, 지하 벙커식 프랑스군 사령부, 베트민 사령부 단지와 여러 기념비를 포함하여 전장의 많은 부분이 보존되어 있다.[79]

베트민을 계승한 현 베트남 공산당 정부는 매년 5월 7일을 전승기념일로 하고 있다. 2024년 5월 7일에는 70주년 기념식이 열렸으며, 지원 및 공동투쟁 관계였던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가 대표를 파견했고, 프랑스에서는 세바스티앙 르코르뉘(Sébastien Lecornu) 국방장관이 참석했다.[85]

5. 2. 케산 전투와의 비교

1968년 1월, 베트남 전쟁 중에 보 응우옌 잡이 지휘하는 북베트남군은 케산에 있는 미 해병대 기지를 포위하고 포격을 가했다. 그러나 케산과 디엔비엔푸 전투 사이에는 여러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었다. 케산은 미군 보급 기지에서 불과 약 45km 떨어져 있었던 반면, 디엔비엔푸는 가장 가까운 프랑스 기지까지 약 200km 떨어져 있었다.[77] 케산에서 미 해병대는 고지를 점령하고 있었고, 그들의 포병은 북베트남군이 훨씬 더 먼 거리에서 포병을 사용하도록 강제했다. 반면 디엔비엔푸에서는 프랑스군의 포병(105mm 포대 6개와 155mm 곡사포 및 박격포 4문으로 구성된 포대 1개[77])이 산발적으로만 효과를 발휘했다. 또한 1968년 베트남에 주둔한 미군의 규모는 1954년 프랑스군의 규모를 훨씬 능가했으며, 효과적인 헬리콥터와 같은 수많은 기술적 발전도 포함되었다.

77일간의 케산 전투 동안 케산은 18,000톤의 공중 보급을 받았지만, 167일간의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4,000톤만 받았다.[77] 또한 미 공군은 케산에서 북베트남군에 114810ton의 폭탄을 투하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5년 일본에 투하된 양과 거의 같다.

잡이 처음부터 케산을 점령할 의도가 없었고, 케산이 다가오는 뗏 공세를 위한 양동작전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78]

6. 미국의 역할

미국은 1954년까지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 지출의 80%를 부담하며 프랑스를 지원했다.[20][63] 상호방위원조법에 따라, 항공기, 무기, 정비사, 24명의 CIA/CAT 조종사, 미 공군 정비반 등 물자를 지원했다.[64]

그러나 미국은 의도적으로 공개 개입은 피했다. 1954년 2월, 프랑스의 디엔비엔푸 점령 이후, 민주당 상원의원 마이클 맨스필드는 미국 국방장관 찰스 어윈 윌슨에게 추가 파병 가능성을 질문했지만, 윌슨은 "현재로서는 지원을 현재 수준 이상으로 높일 명분이 없다"고 답했다. 3월 31일, ''베아트리스'', ''가브리엘'', ''안 마리'' 함락 이후, 합참의장 아서 W. 래드퍼드 제독에게 미국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 질문했지만, 래드퍼드는 너무 늦었다고 결론지었다. 직접 개입 제안은 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부결되었다.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영국과 다른 동맹국에 합동 군사 작전을 압박했지만, 윈스턴 처칠 총리와 앤서니 이든 외무장관은 거부했다.[65] 래드퍼드 제독이 프랑스군 지원을 위해 전술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논의했다는 제안도 있었다. 덜레스는 4월에 디엔비엔푸에서 사용할 원자폭탄을 프랑스에 빌려줄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공습만으로는 전투를 결정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미군 조종사를 사용하여 개입을 확대하고 싶어하지 않았다.[67][68]

제임스 B. 맥거번 주니어와 월리스 버포드의 페어차일드 C-119의 마지막 비행을 기념하는 그림.


미국은 은밀하게 전투에 참여했다. 래드퍼드는 프랑스를 지원하기 위해 B-26 인베이더 폭격기 2개 비행대와 승무원을 제공했고, CIA가 작전을 관리했다. CAT에 고용된 39명의 미국 수송기 조종사가 전투 기간 동안 682회의 출격을 수행했다.[70][71] 제임스 맥거번 주니어와 월리스 버포드는 전투 중 전사했다.[69] 2005년 2월 25일, 생존한 7명의 미국 조종사에게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이 수여되었다.[72]

6. 1. 미국의 지원과 개입

미국은 1954년까지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 지출의 80%를 부담할 정도로 프랑스를 지원했다.[20][63] 상호방위원조법에 따라, 미국은 항공기, 무기, 정비사, 24명의 CIA/CAT 조종사, 미 공군 정비반 등 물자를 지원했다.[64]

하지만 미국은 의도적으로 공개 개입은 피했다. 1954년 2월, 프랑스의 디엔비엔푸 점령 이후, 민주당 상원의원 마이클 맨스필드는 미국 국방장관 찰스 어윈 윌슨에게 미국의 추가 파병 가능성을 질문했지만, 윌슨은 "현재로서는 미국의 지원을 현재 수준 이상으로 높일 명분이 없다"고 답했다. 3월 31일, ''베아트리스'', ''가브리엘'', ''안 마리'' 함락 이후, 미국 상원의원과 하원의원 패널은 합참의장 아서 W. 래드퍼드 제독에게 미국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 질문했지만, 래드퍼드는 너무 늦었다고 결론지었다. 직접 개입 제안은 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부결되었다.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영국과 다른 동맹국에 합동 군사 작전을 압박했지만, 윈스턴 처칠 총리와 앤서니 이든 외무장관은 거부했다.[65] 당시 래드퍼드 제독이 프랑스군 지원을 위해 전술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논의했다는 제안도 있었다. 덜레스는 4월에 디엔비엔푸에서 사용할 원자폭탄을 프랑스에 빌려줄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그러나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공습만으로는 전투를 결정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미군 조종사를 사용하여 미국의 개입을 확대하고 싶어하지 않았다.[67][68]

미국은 은밀하게 전투에 참여했다. 래드퍼드는 프랑스를 지원하기 위해 B-26 인베이더 폭격기 2개 비행대와 승무원을 제공했고, CIA가 작전을 관리했다. CAT에 고용된 39명의 미국 수송기 조종사가 전투 기간 동안 682회의 출격을 수행했다.[70][71] 미국 조종사 중 제임스 맥거번 주니어와 월리스 버포드는 전투 중 전사했다.[69] 2005년 2월 25일, 생존한 7명의 미국 조종사에게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이 수여되었다.[72]

6. 2. 미국의 역할에 대한 평가

디엔비엔푸 전투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1954년까지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 지출의 80%를 부담했던 미국에도 큰 재앙이었다.[20][63] 미국은 상호방위원조법에 따라 프랑스에 항공기, 무기, 정비사, 24명의 CIA/CAT 조종사, 미 공군 정비반 등 물자를 지원했다.[64]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의도적으로 공개적인 직접 개입을 피했다. 1954년 2월, 프랑스의 디엔비엔푸 점령 이후 민주당 상원의원 마이클 맨스필드는 미국 국방장관 찰스 어윈 윌슨에게 프랑스가 더 큰 압력을 받는다면 미국이 해군 또는 공군 부대를 파병할 것인지 질문했지만, 윌슨은 "현재로서는 미국의 지원을 현재 수준 이상으로 높일 명분이 없다"고 답했다.[64] 1954년 3월 31일, ''베아트리스'', ''가브리엘'', ''안 마리'' 함락 이후 미국 상원의원과 하원의원 패널이 합참의장 아서 W. 래드퍼드 제독에게 미국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 질문했다. 래드퍼드는 베트민의 중화기 공격에 대해 필리핀에 기지를 둔 B-29를 사용할 잠재력이 있는 미 공군에 대해서는 너무 늦었다고 결론지었다. 직접 개입 제안은 3일 후 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부결되었는데, "개입은 긍정적인 ''카수스 벨리''(전쟁 행위)라는 결론을 내렸다."[64]

아이젠하워와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영국과 다른 동맹국에 합동 군사 작전을 압박했다.[65] 윈스턴 처칠 총리와 앤서니 이든 외무장관은 거부했지만, 제네바 회의에서 합의할 수 있는 지역에 대한 집단 안보 협정에는 동의했다. 그러나 덜레스에게는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았다. 이미 수년 동안 말레이 비상 사태에 관여했던 영국은 이 지역에서 미국의 불안감에 우려했지만,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미국의 재정 지원과 은밀한 개입 규모를 알지 못했다.[66]

당시 프랑스 작가 쥘 로이를 비롯하여 래드퍼드 제독이 프랑스군에 전술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논의했다는 제안이 있었다.[64] 또한 덜레스는 4월에 디엔비엔푸에서 사용할 원자폭탄을 프랑스에 빌려줄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64] 덜레스는 영국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하려고 시도했고, 이든에게 디엔비엔푸를 구하기 위한 미국의 공중 작전에 대한 영국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든은 거절했고, 이는 덜레스를 격분시켰지만, 아이젠하워는 양보했다. 아이젠하워는 공습만으로는 전투를 결정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미군 조종사를 사용하여 미국의 개입을 확대하고 싶어하지 않았다.[67][68] 그는 "나보다 개입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다."라고 말했다.[64]

미국은 은밀하게 전투에 참여했다. 나바르의 도움 요청에 따라 래드퍼드는 프랑스를 지원하기 위해 B-26 인베이더 폭격기 2개 비행대와 승무원을 제공했다. 그러나 국방부가 아니라 덜레스 장관의 형제인 앨런 덜레스의 지휘 아래 CIA가 작전을 관리했다. 이후, 공식적으로 CIA 소유 회사인 CAT에 고용된 39명의 미국 수송기 조종사가 전투 기간 동안 682회의 출격을 수행했다.[70][71]

미국 조종사 중 제임스 맥거번 주니어와 월리스 버포드는 디엔비엔푸 포위 공격 중 전사했다.[69] 2005년 2월 25일, 생존해 있는 7명의 미국 조종사에게 장-다비드 레비트 미국 주재 프랑스 대사가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다.[72]

덜레스는 주둔군 함락 소식을 듣고 격분하여 이든에게 그의 "무대책"에 대한 책임을 크게 돌렸다. 그러나 이든은 개입이 디엔비엔푸를 구할 수 있었을지 의심했고, "그것은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고 생각했다.[66]

윌리엄 F. 롱 대령은 패배 12년 후 다음과 같이 말했다.[76]

> 디엔비엔푸(DBP)는 서구의 동구에 대한 패배, 원시적인 새로운 교리와 인민전의 기술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유산의 정교한 원칙과 격언에 대한 승리를 의미하는 약어 또는 약칭이 되었다. 디엔비엔푸는 심각한 정치적 결과를 초래했다.

7. 미디어 링크


  • 디엔비엔푸 전투 (샤를TV) 디엔비엔푸 전투|디엔비엔푸 전투한국어
  • [http://www.dailymotion.com/video/x1ziw4_dien-bien-phu-051954|스크린의 뉴스 매거진 (1954년 5월)]
  • [http://www.dailymotion.com/video/x2082a_john-foster-dulles-on-the-fall-of-d|디엔비엔푸 함락에 대한 미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의 발언 (1954년 5월 7일)]
  • [http://www.dailymotion.com/video/x1zjot_dien-bien-phu-schoendoerffer_news|영어 자막(자막)이 포함된 쇼앵되르퍼(1992)의 "디엔비엔푸" 다큐드라마 장면]
  • [https://www.youtube.com/watch?v=9n0Tc_9NN3A|1954년 4월 구출 작전을 위해 디엔비엔푸로 향하는 사시 대령과 그의 2,000명의 몽족 게릴라에 대한 영상 자료 (2000)]
  • [http://www.dailymotion.com/video/xcovoq_dien-bien-phu-commentaire-audio-sch_news|꼬뉴 장군과 드 카스트리 대령 간의 라디오 교신 기록(1954) + 쇼앵되르퍼의 다큐드라마(1992) 장면 2개 해설] 꼬뉴 장군과 드 카스트리 대령 간의 라디오 교신 기록(1954) + 쇼앵되르퍼의 다큐드라마(1992) 장면 2개 해설|꼬뉴 장군과 드 카스트리 대령 간의 라디오 교신 기록(1954) + 쇼앵되르퍼의 다큐드라마(1992) 장면 2개 해설프랑스어
  • [http://www.dailymotion.com/video/x203x5_50e-anniversaire-de-dien-bien-phu|전투 50주년 기념 기압 장군 증언 (2004년 5월 7일)] 전투 50주년 기념 기압 장군 증언 (2004년 5월 7일)|전투 50주년 기념 기압 장군 증언 (2004년 5월 7일)프랑스어
  • [http://www.dailymotion.com/video/x2059h_bigeard-et-dien-bien-phu|전투 50주년 기념 비자르 장군 증언 (2004년 5월 3일)] 전투 50주년 기념 비자르 장군 증언 (2004년 5월 3일)|전투 50주년 기념 비자르 장군 증언 (2004년 5월 3일)프랑스어
  • [http://www.dailymotion.com/video/xcpdkx_portrait-de-jean-peraud-par-schoend_news|전투 50주년 기념 쇼앵되르퍼 상병 증언 (2004년 5월 5일)] 전투 50주년 기념 쇼앵되르퍼 상병 증언 (2004년 5월 5일)|전투 50주년 기념 쇼앵되르퍼 상병 증언 (2004년 5월 5일)프랑스어

참조

[1] 서적 Hell in An Loc: The 1972 Easter Invas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Texas Press 2009
[2] 웹사이트 What The French Lost At Dien Bien Phu https://www.historyn[...] 2010-01-01
[3] 서적 Tragic Mountains: The Hmong, the Americans, and the Secret Wars for Lao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4] 웹사이트 French Air Force in Vietnam text http://www.paquelier[...]
[5] 웹사이트 Battle of Dien Bien Phu http://www.historyne[...] 2006-06-12
[6] 문서 Stone
[7] 서적 History of the General Staff in the Resistance War against the French 1945–1954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8] 웹사이트 ディエンビエンフーの戦い http://kwww3.koshiga[...] 文教大学 2023-08-11
[9] 학술지 國立政治大學歷史學報
[10] 서적 The American People, Concise Edition Creating a Nation and a Society Longman 2007
[11] 문서
[12] 웹사이트 1954 battle changed Vietnam's history http://www.cnn.com/S[...]
[13] 서적 La bataille de Dien Bien Phu http://archive.org/d[...] Paris, R. Julliard 1963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Windrow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Dien Bien Phu: The Epic Battle America Forgot
[21] 문서
[22] 서적 Ho Chi Minh's Blueprint for Revolution, In the Words of Vietnamese Strategists and Operatives McFarland & Co Inc
[23] 서적 Ho Chi Minh's Blueprint for Revolution, In the Words of Vietnamese Strategists and Operatives McFarland & Co Inc
[24] 서적 Ho Chi Minh's Blueprint for Revolution, In the Words of Vietnamese Strategists and Operatives McFarland & Co Inc
[25] 웹사이트 General Vo Nguyen Giap's most difficult decision in his life https://goldennguyen[...] 2014-05-07
[26] 서적 General Võ Nguyên Giáp's Hardest Decision Thế Giới Publishers 2014
[27] 문서
[28] 문서 Một số trận đánh trong kháng chiến chống Pháp và chống Mỹ 1945-1975 Viện lịch sử quân sự Việt Nam
[29] 문서 Navarre
[30] 문서
[31] 서적 Dien Bien Phu: the epic battle America forgot https://archive.org/[...] Brassey's (US) 1994-05-01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harvard
[37] harvard
[38] harvard
[39] 문서
[40] 잡지 INDO-CHINA: The Fall of Dienbienphu 1954-05-17
[41] 뉴스 A battle for 'the fate of the world' https://www.japantim[...] 2004-05-02
[42] 서적 Army, Volume 15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1965
[43] 서적 Dien Bien Phu : the first Indochina War, 1946-1954 http://archive.org/d[...] Barnsley, South Yorkshire : Pen & Sword Military 2017
[44] 웹사이트 Battle of Dien Bien Phu History, Outcome, & Legac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18
[45] 문서
[46] 웹사이트 Có một Điện Biên Phủ ở Liên Khu 5 http://www.baobinhdi[...] 2014-11-06
[47] 웹사이트 Breakdown of losses suffered at Dien Bien Phu https://web.archive.[...] dienbienphu.org 2006-08-24
[48] 웹사이트 The Long March https://web.archive.[...] dienbienphu.org 2006-08-24
[49] 웹사이트 The Long March http://www.dienbienp[...] 2009-01-12
[50] 웹사이트 Battle of Dien Bien Phu Chemins de Mémoire – Ministère de la Défense – Ministère de la Défense https://web.archive.[...] 2017-02-19
[51] 서적 Les Pertes Humaines, 1954–2004: La Bataille de Dien Bien Phu, entre Histoire et Mémoire Société française d'histoire d'outre-mer
[52] 문서
[53] 서적 Vietnam: An Epic Tragedy, 1945–1975 Harper
[54] 서적 Triumph Forsaken: The Vietnam War 1954–196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5] 문서
[56] 서적 Vietnamese Communists' Relations with China and the Second Indochina War (1956–62) McFarland
[57] 웹사이트 The Final Declarations of the Geneva Conference July 21, 1954 https://web.archive.[...] Vassar College 2011-07-20
[58] 서적 Embers of War: The Fall of an Empire and the Making of America's Vietnam Random House
[59] 서적 The Indochinese experience of the French and the Americans: nationalism and communism in Cambodia, Laos, and Vietnam Indiana University Press
[60] 온라인자료 The Road to Dien Bien Phu: A History of the First War for Vietnam https://www.jstor.or[...] JST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7-08
[61] harvard
[62] 뉴스 Au revoir, Dien Bien Phu http://www.iht.com/a[...] 2008-02-23
[63] 뉴스 MEANWHILE : Au revoir, Dien Bien Phu https://www.nytimes.[...] 2004-04-01
[64] harvard
[65]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66] 서적 Britain and the Crisis over Dien Bien Phu, April 1954: The Failure of United Action https://web.archive.[...] SR Books 2019-06-27
[67] 서적 Like Rolling Thunder: The Air War in Vietnam, 1964–1975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5-01-01
[68] 서적 Groupthink or deadlock: when do leaders learn from their advisor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69] 웹사이트 Earthquake's Final Flight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7-28
[70] 서적 Perilous Missions: Civil Air Transport and CIA Covert Operations in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71] 서적 CIA Air Operations in Laos, 1955-1974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7-28
[72] 뉴스 U.S. Pilots Honored For Indochina Service http://ambafrance-us[...] French Embassy to the US 2005-03-02
[73] 서적 The Invisible Air Force MacMillan (London) & G P Putnam's (USA) 1979
[74] 뉴스 France honors U.S. pilots for Dien Bien Phu role Agence France-Presse 2005-02-25
[75] 뉴스 Covert U.S. aviators will get French award for heroism in epic Asian battle Associated Press Worldstream 2005-02-16
[76] 학술지 The Specter of Dien Bien Phu http://cgsc.contentd[...] 2019-06-29
[77] 서적
[78] 서적
[79] 웹사이트 Battle of Dien Bien Phu https://www.history.[...] 2024-04-07
[80] 웹사이트 ディエンビエンフーの戦い https://www.y-histor[...] 世界史の窓 2023-05-16
[81] 백과사전 2023-07-13
[82] 웹사이트 ディエンビエンフーの戦い http://kwww3.koshiga[...] 文教大学 2023-05-16
[83] 웹사이트 Chiếc xe đạp thồ trong chiến dịch Điện Biên Phủ(ディエンビエンフーの戦いにおける自転車輸送隊) https://laodong.vn/l[...] Vietnam General Confederation of Labour 2024-01-17
[84] 웹사이트 Pack-bikes contribute to the Dien Bien Phu Victory https://mod.gov.vn/e[...] ベトナム国防省 2024-01-17
[85] 뉴스 ディエンビエンフー戦勝70周年記念式典開催、仏国防相も初参列 https://www.viet-jo.[...] VIETJOベトナムニュース 2024-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