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퍼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트(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는 프로젝트 일정 관리를 위한 기법으로, 복잡한 프로젝트의 계획 및 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50년대 미국 해군 폴라리스 핵 잠수함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건설, IT, R&D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ERT는 프로젝트의 작업, 이벤트, 시간 추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임계 경로, 여유 시간 등을 파악하고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하지만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복잡해질 수 있으며, 일정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이론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네트워크 이론 - 중심성
    중심성은 그래프 이론에서 네트워크 내 노드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차수 중심성, 근접 중심성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네트워크 흐름, 워크 구조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 프로젝트 관리 - 계획
    계획은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과 절차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개인적 목록 작성부터 국가적 자원 사용, 토지 이용 규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상위-하향식, 하위-상향식, PDCA 사이클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명확한 목표 설정, 효율적인 자원 관리, 위험 관리,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 프로젝트 관리 - 타당성 조사
    타당성 조사는 프로젝트의 진행, 재설계, 포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4P, 위험 요소 등을 분석하는 보고서로, 5가지 분석틀을 활용하여 사업 발굴부터 운영 관리까지의 절차를 거쳐 기술적, 경제적, 법적, 운영적, 시간적 타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퍼트
개요
유형통계적 도구
분야프로젝트 관리
개발자미국 해군
부즈 앨런 해밀턴
록히드 마틴
최초 개발 시기1950년대
프로젝트 유형대규모, 복잡한 프로젝트 (연구 개발)
목적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시간 예측, 일정 관리
특징
주요 특징활동 기간의 확률적 추정
이벤트 및 활동 중심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사용
장점불확실성 고려
중요한 경로 식별
의사 결정 지원
단점주관적인 추정 의존
계산 복잡성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
계산 방법
기간 추정낙관적 시간 (O)
비관적 시간 (P)
가장 가능성 높은 시간 (M)
예상 기간 (TE)TE = (O + 4M + P) / 6
표준 편차 (σ)σ = (P - O) / 6
분산 (σ²)σ² = ((P - O) / 6)²
활용
활용 분야신제품 개발
건설 프로젝트
연구 개발
마케팅 캠페인
관련 개념
관련 개념CPM (Critical Path Method, 임계 경로 기법)
간트 차트
프로젝트 일정 관리

2. 역사

PERT는 1958년 부즈 앨런 해밀턴펜타곤의 특수프로그램인 폴라리스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했으며, 그 후 미국 정부는 여러 경영관리 측면에서 PERT 사용 약정을 맺었다.[2]

PERT는 1950년대에 발전되어, 일정의 단순화와 크고 복잡한 문제에 사용되었다.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세부요인과 지속기간에 대해 프로젝트 일정을 만들 수 있어, 불확정한 일을 통합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는 여러 부문에서 사건지향적 기술을 시작-완성 지향형보다 선호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PERT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간대와 서로 연결하는 차트인 "PERT 네트워크"이다. PERT는 미국 해군 특수 프로젝트 관리국(U.S. Navy Special Projects Office)에서 미 해군 폴라리스 핵 잠수함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2] 이 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되었다. 초기 사례로 1968년 동계 올림픽이 있으며, 그르노블에서 1965년부터 1968년 올림픽 개막까지 PERT를 사용했다.[3] 이 프로젝트 모델은 프레더릭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를 부활시킨 최초의 모델이었으며, 이후 헨리 포드(포드주의)에 의해 개선되었다. 듀폰의 핵심 경로 기법(CPM)은 PERT와 거의 같은 시기에 발명되었다.

''PERT 요약 보고서 2단계'', 1958


''관리 사용을 위한 PERT 가이드'', 1963년 6월


초기에 PERT는 ''프로그램 평가 연구 과제''(Program Evaluation Research Task)의 약자였지만, 1959년까지 명칭이 변경되었다.[2] 1958년 미국 해군성은 ''프로그램 평가 연구 과제, 요약 보고서, 1단계''[4] 및 ''2단계''라는 두 개의 간행물을 통해 이 내용을 공개했으며, 두 보고서 모두 주로 찰스 F. 클라크가 작성했다.[1]

PERT가 도입된 지 10년 후, 미국의 사서 마리베스 브레넌은 PERT 및 CPM에 관한 약 150개의 간행물로 구성된 선별된 참고 문헌을 편찬했으며, 이 모든 자료는 1958년에서 1968년 사이에 출판되었다.[7]

2. 1. 한국에서의 PERT 도입과 발전

한국에서는 1960년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과 함께 대규모 건설 및 산업 프로젝트가 증가하면서, PERT 기법이 도입되어 활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과 함께 조선, 건설, 플랜트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서, PERT는 프로젝트 일정 관리의 핵심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다. 1980년대 이후에는 IT 산업의 발전과 함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도 PERT가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프로젝트 일정 관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용어 및 개념

PERT는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작업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특히 각 작업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식별하고 전체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PERT는 모든 활동의 세부 사항과 기간을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프로젝트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여 불확실성을 통합한다. 시작 및 완료 중심보다는 이벤트 중심적이며, 비용보다는 시간이 주요 제약 조건인 프로젝트에 더 많이 사용된다. 매우 대규모, 일회성,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인프라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R&D 프로젝트에도 적용된다.

PERT는 각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계산하여 모든 프로젝트를 끝내는 최소 시간을 파악한다. 이 모델은 1958년 부즈 앨런 해밀턴펜타곤의 특수프로그램인 폴라리스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프로젝트의 한 부문으로 개발했으며, 이후 미국 정부에서 여러 경영관리 측면에서 PERT 사용을 약정했다.

PERT는 1950년대에 개발되어 일정의 단순화와 크고 복잡한 문제에 사용되었다. PERT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세부 요인과 지속 기간에 대해 프로젝트 일정을 만들 수 있게 하여 불확실한 일을 통합한다. 이는 여러 부문에서 사건 지향적 기술을 시작-완성 지향형보다 선호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PERT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간대와 서로 연결하는 차트인 "PERT 네트워크"이다.

PERT와 핵심 경로 기법(CPM)은 상호 보완적인 도구이다. CPM은 각 활동에 대해 한 번의 시간 추정과 한 번의 비용 추정을 사용하고, PERT는 각 활동에 대해 세 번의 시간 추정(낙관적, 예상, 비관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용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PERT라는 용어는 모든 임계 경로 일정에 점점 더 많이 적용되고 있다.[7]

3. 1. 이벤트와 액티비티

PERT는 관리 도구를 제공하며,[7] "화살표와 노드 다이어그램(''액티비티''와 ''이벤트'')에 의존합니다. 화살표는 총 프로젝트의 각 완료된 단계를 나타내는 ''이벤트'' 또는 노드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액티비티'' 또는 작업을 나타냅니다."[7]

  • '''PERT 이벤트''': 하나 이상의 액티비티(작업)의 시작 또는 완료를 표시하는 지점이다.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액티비티 완료를 표시할 때는 해당 이벤트로 이어지는 ''모든'' 액티비티가 완료될 때까지 "도달"하지 않는다(발생하지 않음).
  • '''선행 이벤트''': 다른 이벤트가 개입하지 않고 다른 이벤트를 바로 앞서는 이벤트이다. 이벤트는 여러 개의 선행 이벤트를 가질 수 있으며 여러 이벤트의 선행 이벤트가 될 수 있다.
  • '''후속 이벤트''': 다른 이벤트가 개입하지 않고 다른 이벤트를 바로 따르는 이벤트이다. 이벤트는 여러 개의 후속 이벤트를 가질 수 있으며 여러 이벤트의 후속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벤트 외에도 PERT는 액티비티와 하위 액티비티도 추적한다.

  • '''PERT 액티비티 (작업)''': 시간과 자원(노동력, 자재, 공간, 기계 등)을 소모하는 작업의 실제 수행이다. 한 이벤트에서 다른 이벤트로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 노력 및 자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PERT 액티비티는 선행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는 수행할 수 없다.
  • '''PERT 하위 액티비티''': PERT 액티비티는 일련의 하위 액티비티로 더 세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비티 A1은 A1.1, A1.2 및 A1.3으로 분해될 수 있다. 하위 액티비티는 액티비티의 모든 속성을 갖는다. 특히, 하위 액티비티는 액티비티와 마찬가지로 선행 또는 후속 이벤트를 갖는다. 하위 액티비티는 더 세분화된 하위 액티비티로 다시 분해될 수 있다.

3. 2. 시간 추정

PERT는 각 활동 완료에 필요한 시간을 낙관 시간(o), 최빈 시간(m), 비관 시간(p)의 세 가지 추정치를 사용하여 계산한다.[7] 각 추정치는 해당 활동을 가장 잘 아는 사람에 의해 추정된다.[7]

  • '''낙관 시간''': 모든 것이 예상보다 더 잘 진행된다고 가정할 때 활동 또는 경로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최소 시간[7]
  • '''비관 시간''': 모든 것이 잘못되더라도(주요 재앙 제외) 활동 또는 경로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최대 시간[7]
  • '''최빈 시간''':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할 때 활동 또는 경로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최상의 추정 시간[7]
  • '''예상 시간''': 모든 것이 항상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고려하여 활동 또는 경로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최상의 추정 시간 (예상 시간은 작업을 장기간에 걸쳐 여러 번 반복할 경우 작업에 필요한 평균 시간이라는 의미).[7]


::: te = \frac{o + 4m + p} 6

:::TE = \sum_{i=1}^n te_i

  • '''시간의 표준 편차''': 활동(σte) 또는 경로(σTE)를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변동성


::: \begin{align}

& \sigma_{te} = \frac{p-o} 6 \\[8pt]

& \sigma_{TE} = \sqrt{\sum_{i=1}^n {\sigma_{te_i}}^2}

\end{align}


3. 3. 관리 도구

PERT는 다음과 같은 관리 도구를 제공한다.[7]

  • '''여유시간''' (Slack): 작업을 완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초과 시간과 자원이다. 프로젝트 작업이 후속 작업(''자유 여유시간'') 또는 전체 프로젝트(''전체 여유시간'')에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지연될 수 있는 시간이다.
  • '''임계 경로''': 초기 이벤트에서 최종 이벤트까지 이어지는 가장 긴 연속 경로이다. 프로젝트에 필요한 총 시간을 결정한다.
  • '''임계 활동''': 총 여유시간이 0인 활동이다. 자유 여유시간이 0인 활동은 해당 경로가 가장 길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임계 경로에 있는 것은 아니다.
  • '''선행 시간''': 특정 PERT 이벤트가 완료되기 전에 경과해야 하는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할당하기 위해 ''선행 이벤트''를 완료해야 하는 시간이다.
  • '''지연 시간''': ''후속 이벤트''가 특정 PERT 이벤트를 따를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다.
  • '''패스트 트래킹''': 더 많은 임계 활동을 병렬로 수행한다.
  • '''임계 경로 단축''': 임계 활동 기간을 단축한다.
  • '''PERT 이벤트''': 하나 이상의 작업의 시작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점이다. 이벤트 자체는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자원을 소비하지 않는다.
  • '''선행 이벤트''': 어떤 이벤트에 앞서 완료되어야 하는 이벤트이다.
  • '''후속 이벤트''': 어떤 이벤트 뒤에 이어지는 이벤트이다.
  • '''PERT 작업''': 실제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다. 작업에는 시간이 걸리고, 자원(노동력, 재료, 장소, 기계 등)을 소비한다.
  • '''낙관적 시간 (O)''': 작업 완료에 필요한 최소 시간이다.
  • '''비관적 시간 (P)''': 작업 완료에 필요한 최대 시간이다.
  • '''최확 시간 (M)''': 작업 완료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장 그럴듯한 추정 시간이다.
  • '''기대 시간 (TE)''': 작업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의 최적 추정치이다.

::: '''TE''' = ('''O''' + '''4M''' + '''P''') ÷ '''6'''

  • '''플로트''': 작업이 지연되어도 후속 작업(프리 플로트) 또는 프로젝트 전체(토탈 플로트)에 지연을 미치지 않는 여유 시간. 슬랙도 이것과 동의어로 취급될 수 있다.

4. PERT 차트 작성 절차

PERT 차트는 프로젝트 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작성한다.

1. 필요한 작업과 순서 결정: 프로젝트에 필요한 작업을 파악하고, 각 작업이 완료되어야 하는 순서를 결정한다.


  • 어떤 작업들은 순서 결정이 쉬운 반면(예: 집을 지을 때 기초 공사 전에 부지 정리), 어떤 작업들은 어려울 수 있다(예: 정리할 구역은 두 곳인데 불도저는 한 대뿐인 경우).

2. 시간 추정치 계산: 각 작업에 대해 세 가지 시간 추정치를 사용한다.

  • 낙관적인 시간 추정치 (o): 가장 빠른 완료 시간
  •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간 추정치 (m): 일반적인 완료 시간
  • 비관적인 시간 추정치 (p): 가장 늦은 완료 시간
  • 예상 시간 (te) 계산: (o + 4m + p) ÷ 6

3.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작성: 1, 2단계가 완료되면, 간트 차트나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다.

  • 활동-노드(AON) 다이어그램:
  • '시작' 노드 생성 (기간은 0)
  • 선행 작업이 없는 각 활동을 그리고, 시작점에서 해당 노드로 화살표 연결
  • 후속 작업은 선행 작업 노드에서 화살표를 연결하여 표현
  • '종료' 노드 생성 (선택 사항)
  • 각 노드에 다음 정보를 표시 (선택 사항):
  • 활동 이름
  • 예상 기간 시간
  • 조기 시작 시간 (ES)
  • 조기 종료 시간 (EF)
  • 지연 시작 시간 (LS)
  • 지연 종료 시간 (LF)
  • 여유 시간

4. 조기 시작/종료 시간 (ES/EF) 계산:

  • ES: 선행 작업이 없으면 0, 있으면 선행 작업들의 최대 EF 값
  • EF: ES + 작업 기간

5. 지연 시작/종료 시간 (LS/LF) 계산:

  • LF: 후속 작업이 없으면 EF, 있으면 후속 작업들의 최소 LS 값
  • LS: LF - 작업 기간

6. 주공정 및 여유 시간 확인:

  • 주공정: 완료하는 데 가장 오래 걸리는 경로
  • 여유 시간: 프로젝트 전체 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작업을 지연시킬 수 있는 시간 (LF - EF 또는 LS - ES)
  • 주공정에 있는 활동은 여유 시간이 0

예시:7개의 작업 (A-G)을 가진 프로젝트 예시:

활동선행 작업시간 추정치예상 시간
낙관 (o)일반 (m)비관 (p)
A2464.00
B3595.33
CA4575.17
DA46106.33
EB, C4575.17
FD3484.50
GE3585.17


  • 주공정: A-C-E-G (총 19.51일)
  • 여유 시간: B (3.84일), D (4.68일), F (4.68일)


Microsoft Visio를 사용하여 생성된 완성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주공정이 빨간색으로 표시됨.

5. PERT 활용 및 장단점

PERT는 프로젝트 완수에 필요한 작업을 분석하고, 각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파악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필요한 최소 시간을 결정하는 기법이다.[7] 1958년 미국 국방부의 특수 프로젝트인 폴라리스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개발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7] 이는 스푸트니크 쇼크에 대한 대응 중 하나였으며, 미국 정부는 여러 경영 관리 측면에서 PERT 사용을 약정했다. 1950년대에 개발되어, 복잡하고 규모가 큰 프로젝트의 일정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며,[7]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PERT의 주요 특징은 "PERT 네트워크"라는 차트로, 시간대와 작업 간의 연결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포디즘과 과학적 관리법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듀폰에서 개발한 핵심 경로 기법과 거의 같은 시기에 고안되었다. 또한 사건 중심적인 기술을 선호하는 경향을 만들었다.

PERT는 기존의 간트 도표가 가진 변경에 대한 낮은 감도, 전체적인 진행 상황 또는 지연 상황 파악의 어려움, 정확한 소요 시간 파악의 어려움과 같은 단점을 보완한다. PERT는 계획 완수에 필요한 각 책임, 사상, 활동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표시하고, 논리적인 규칙에 따라 네트워크로 연결하며, 낙관 시간, 정상 시간, 비관 시간의 세 가지 추정 시간을 통해 소요 시간을 계산한다. 또한 주공정(critical path) 계산을 통해 가장 긴 예상 시간을 요하는 활동과 사상을 파악한다.

5. 1. 활용 분야

PERT는 대규모 건설, 플랜트, 조선, IT, R&D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프로젝트 일정 관리에 활용된다.[7] 초기 사례 중 하나로 1968년 동계 올림픽이 있으며, 그르노블에서 1965년부터 올림픽 개막까지 PERT를 사용했다.[3]

5. 2. 장점

프로젝트 관리 도구인 PERT는 프로젝트의 복잡한 작업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이해도를 높인다.[7] 임계 경로를 파악하여 프로젝트 지연을 방지하고, 일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7] 또한, 시간 추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일정 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PERT는 자원 배분 및 일정 최적화를 위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며,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문제 발생 시 조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PERT 차트는 의존 관계(선행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표시하여 작업 분할 구조(WBS) 요소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PERT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관리 도구를 제공한다.

  • '''여유시간''' (또는 '''슬랙'''): 작업을 완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초과 시간과 자원의 척도이다. 긍정적인 슬랙은 예정보다 빠름을, 부정적인 슬랙은 예정보다 늦음을, 제로 슬랙은 예정대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 '''임계 경로''': 초기 이벤트에서 최종 이벤트까지 이어지는 가장 긴 연속 경로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총 시간을 결정한다.
  • '''임계 활동''': 총 여유시간이 0인 활동이다.
  • '''선행 시간''': 특정 PERT 이벤트 완료 전에 경과해야 하는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할당하기 위해 선행 이벤트를 완료해야 하는 시간이다.
  • '''지연 시간''': 후속 이벤트가 특정 PERT 이벤트를 따를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다.
  • '''패스트 트래킹''': 더 많은 임계 활동을 병렬로 수행한다.
  • '''임계 경로 단축''': 임계 활동 기간을 단축한다.

5. 3. 단점

PERT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수백, 수천 개의 활동과 의존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소규모 프로젝트에 맞게 축소하기가 쉽지 않다. 네트워크 차트는 크고 다루기 어려워 여러 페이지에 걸쳐 인쇄해야 하며, 특수 크기의 용지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PERT/CPM 차트는 시간 프레임이 없어 진행 상황을 표시하기 어렵지만, 색상을 사용하여 완료된 노드를 표시하는 등 보완할 수 있다.

6. 추가 정보

PERT는 모든 프로젝트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PERT와 다른 기법(CPM, 간트 차트)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7] 최근에는 PERT/CPM 기법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7] 다양한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가 PERT 차트 작성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Origins of CPM: a personal history https://www.pmi.org/[...]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89-02
[2] 간행물 "Application of a Techniqu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Evaluation" 1959-09
[3] 보고서 1968 Wint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1968
[4] 보고서 Program Evaluation Research Task, Summary Report, Phase 1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the Navy 1958
[5] 보고서 Program Evaluation Research Task, Summary Report, Phase 2 https://catalog.hath[...] U.S. Department of the Navy 1958
[6] 논문 "Federal Statistical Activities" 1959-04
[7] 서적 PERT and CPM: a selected bibliography Council of Planning Librarians, Monticello (IL) 1968
[8] 서적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1966
[9] 서적 Handbook of Business Administration 1967
[10] 웹사이트 PERT(ぱーと) https://www.itmedia.[...] 2022-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