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데리코 1세 곤차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데리코 1세 곤차가는 1441년에 태어나 1484년에 사망한 만토바의 변경백이다. 그는 루도비코 3세 곤차가의 아들이자 안드레아 만테냐의 친구였으며, 1478년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계승했다. 그는 콘도티에로로 활동하며 밀라노 공국을 방어하는 데 기여했으며,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트와 결혼하여 클라라 곤차가,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 등을 자녀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토바 변경백 - 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
- 만토바 변경백 - 루도비코 3세 곤차가
루도비코 3세 곤차가는 콘도티에로로 활동하며 만토바 후작령을 계승하고 밀라노, 피렌체 등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르네상스 예술을 후원하다 1478년 사망했다. - 1484년 사망 - 카를로 2세 만프레디
- 1484년 사망 - 성 가시미로
성 가시미로는 폴란드 왕족 출신으로 섭정 활동과 헝가리 왕위 계승 시도 후 신앙에 몰두하여 독신으로 경건하게 살다 결핵으로 사망,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수호성인으로 시성되어 숭배받고 있다. - 만토바도 출신 - 베르길리우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 《농경시》, 《목가》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고대 로마의 시인으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후원을 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만토바도 출신 - 루도비코 3세 곤차가
루도비코 3세 곤차가는 콘도티에로로 활동하며 만토바 후작령을 계승하고 밀라노, 피렌체 등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르네상스 예술을 후원하다 1478년 사망했다.
| 페데리코 1세 곤차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 |
| 이름 | 페데리코 1세 곤차가 |
| 원어 이름 | Federico I Gonzaga |
| 작위 | 마르케세 디 만토바 |
| 가문 | 곤차가 가문 |
| 아버지 | 루도비코 3세 곤차가 |
| 어머니 |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 |
| 배우자 | 마르가레테 폰 바이에른 |
| 자녀 | 키아라 곤차가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 시지스몬도 곤차가 엘리자베타 곤차가 마델레나 조반니 곤차가 |
| 출생일 | 1441년 6월 25일 |
| 출생지 | 만토바, 만토바 변경백국 |
| 사망일 | 1484년 7월 14일 |
| 사망지 | 만토바, 만토바 변경백국 |
| 재위기간 | 1478년 - 1484년 |
2. 생애
페데리코는 1441년 만토바에서 루도비코 3세 곤차가와 브란덴부르크의 바르바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궁정 화가 안드레아 만테냐의 절친한 친구였고 만테냐의 어머니와 더불어 비토리노 다 펠트레(1446년 사망), 특히 이아코포 다 산 카시아노(1446년에서 1449년), 오니베네 다 로니고(Ognibene da Lonigo, 1449년부터)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3세와 안나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 공작부인의 딸이자 바이에른 공작 요한 4세의 자매인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트와 1463년에 혼인하였다. 슬하에 클라라 곤차가,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 시지스몬도 곤차가, 엘리사베타 곤차가, 마델레나 곤차가, 조반니 곤차가 등의 자녀를 두었다.
그는 1470년까지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과 싸웠고 1478년 6월 14일 만토바의 변경백 자리를 계승했다. 하지만 그는 만토바의 소유품들을 형제들과 나눠야만 하였다.
페데리코는 콘도티에로로 계속 활동하였고, 그가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자주 비운 동안에는 에우세비오 말라테스타(Eusebio Malatesta)가 관리했으며, 반면에 군대는 처남인 프란체스코 세코 다라고나(Francesco Secco d'Aragona) 지휘하에 있었다. 페데리코는 특히 공격적이였던 베네치아 공화국을 상대로 밀라노 공국 방어전에 여러 차례 참여하였다. 이 전쟁 중에 프란체스코 세코가 아솔라와 다른 베네치아의 영토를 점령하였다. 나중에 평화 조약이 치러진 후, 밀라노의 루도비코 스포르차가 아솔라를 밀라노로 반환을 요청했고 이를 페데리코 1세는 묵인하였다.
그는 43세의 나이에 만토바에서 사망했고, 성안드레아 성당에 묻혔다.
3. 가족
3. 1. 자녀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3세와 안나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 공작부인의 딸이자 바이에른 공작 요한 4세의 자매인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트와 1463년에 혼인하여 다음의 자식을 두었다.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 클라라 곤차가 | 1464년 | 1503년 | 1482년에 세사(Sessa) 공작인 부르봉-몽팡시에의 질베르와 혼인하였으며, 샤를 3세 드 부르봉의 부모이다. |
|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 | 1466년 | 1519년 | 1490년에 나폴리의 페르디난도 1세의 딸인 이사벨라 데스테와 혼인하였으며, 우르비노 공작인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의 시부모이자 구이도발도 다 몬테펠트로의 조카이다. |
| 시지스몬도 곤차가 | 1469년 | 1525년 | |
| 엘리사베타 곤차가 | 1471년 | 1526년 | 1489년에 우르비노 공작인 구이도발도 다 몬테펠트로와 혼인하였다. |
| 마델레나 곤차가 | 1472년 | 1490년 | 1489년에 나중에 루크레치아 보르자와 혼인하게 되는 페사로(Pesaro)와 그라다라(Gradara)의 군주인 조반니 스포르차와 혼인한다. |
| 조반니 곤차가 | 1474년 | 1525년 | 1493년에 라우라 벤티볼리오(Laura Bentivoglio, 1523년 사망)와 혼인하여 자식을 가졌다. 그의 후손인 베스코바토(Vescovato) 백작은 18세기 이후로, 곤차가 가문의 대를 이어왔다. |
4. 평가
페데리코 1세는 루도비코 3세 곤차가 만토바 후작과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머니와 Vittorino da Feltre|비토리노 다 펠트레영어로부터 좋은 교육을 받았다. 궁정화가 안드레아 만테냐와 절친한 친구였다.
1470년까지 밀라노 공국의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싸웠고, 후작위를 계승한 후에는 형제들과 만토바 후국 영토 소유를 위해 애썼다. 용병으로서의 임무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에우제비오 말라테스타(처남 프란체스코 세코 다라고나 지휘하의 민병)에게 만토바 통치를 맡기고 자주 자리를 비웠다. 특히 야심 찬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투에서 밀라노 방어에 큰 공헌을 했다. 베네치아와의 전쟁에서 프란체스코 세코는 아졸라를 포함한 베네치아 영토를 점령했으나, 전쟁 후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아졸라를 밀라노로 반환해 줄 것을 요청했고, 페데리코 1세는 마지못해 반대할 수 없었다.
1484년, 만토바에서 사망하여 산탄드레아 교회에 매장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