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요는 1928년 벨기에에서 태어난 만화가로, 본명은 피에르 컬리포드(Pierre Culliford)이다. 1952년 아동 만화 잡지 《스피루》에 작품을 게재하며 경력을 시작했고, 《요한과 피르루이》, 《스티븐 스트롱》 등의 작품을 연재했다. 1958년 처음 등장한 《스머프》는 독립된 시리즈로 연재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페요는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여러 작가들과 협업했다. 스머프는 상품화 및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페요는 1992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행성 페요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계 벨기에인 - 케빈 더 브라위너
    케빈 더 브라위너는 벨기에 국적의 축구 선수로,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미드필더로 뛰며 벨기에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고 있고, 넓은 시야와 정확한 패스, 득점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선수이자 역대 최고의 공격형 미드필더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잉글랜드계 벨기에인 - 카를 5세
    카를 5세는 1500년에 태어나 1558년에 사망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인물로, 스페인과 신성 로마 제국을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통치했으며, 프랑스와의 전쟁, 종교 개혁, 오스만 제국과의 갈등 등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다.
  • 벨기에의 만화가 - 에르제
    벨기에 만화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에르제는 《땡땡의 모험》 시리즈 창작으로 유명하며, 보수적 성향에서 변화를 겪고 친독 논란에도 불구하고 벨기에 만화계의 거장으로 자리매김하여 오늘날까지 사랑받고 있다.
  • 벨기에의 만화가 - 그랜드 조조
    벨기에 출신 가수이자 만화가인 그랜드 조조(본명 바노베르헌)는 술잔치 노래와 벨기에 정체성을 담은 음악, 스포츠 이벤트 참여 등으로 벨기에를 대표하는 인물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 사망하여 레오폴드 훈장, 명예 시민 추대, 자서전 출판, 박물관 개관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스머프 - 스머프: 비밀의 숲
    스머프: 비밀의 숲은 스머페트가 잃어버린 스머프 마을을 찾아 모험을 떠나는 내용을 담은 2017년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스머프 - 개구쟁이 스머프 (영화)
    개구쟁이 스머프는 라자 고스넬 감독의 실사/3D 애니메이션 영화로, 스머프를 원작으로 하며 닐 패트릭 해리스, 제이마 메이스 등이 출연하고 스머프들이 가가멜을 피해 뉴욕 시로 도망치는 이야기를 다룬다.
페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0년의 페요
1990년의 페요
본명피에르 컬리포드
출생일1928년 6월 25일
출생지브뤼셀, 벨기에
사망일1992년 12월 24일 (64세)
사망지브뤼셀, 벨기에
배우자나인 컬리포드 (1952년 결혼)
자녀2명
페요 서명
페요 서명
경력
직업만화가, 각본가
활동 분야글, 그림
주요 작품스머프
요한과 꼬마 페르
스틸 키드
푸시
언어별 이름

2. 생애

1928년 브뤼셀에서 잉글랜드인 아버지와 벨기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1] 그의 필명 "Peyo"는 그가 작품을 영국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그의 사촌이 발음을 잘못한 것에서 유래했다.

작은 애니메이션 학교인 Compagnie Belge d'Animation에서 공부하며 훗날 앙드레 프랑캥 등 동료들을 만났다. 동창들은 벨기에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듀푸이스 사에 취직했지만, 페요는 처음에는 거절당했다. 이후 신문에 만평을 기고하며 생활하다가 독자적인 그림 양식을 인정받았다.

1952년 동료였던 프랑캥의 소개로 아동 만화 잡지인 르 조날 드 스피로(Le Journal de Spirou)에 합류했다. 스피로 지는 1938년 벨기에에서 최초로 발행된 프랑스계 벨기에 아동 잡지 중 하나다. 페요는 이 잡지에서 여러 캐릭터를 만들어 영어권에 소개했다.

캐릭터나 모험 이야기를 주로 쓰다가 스머프를 처음 공개하면서 그의 작품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1960년대 초 스튜디오를 열어 작가들과 함께 작업하기 시작했으며, 페요는 총감독 역할을 맡았다.

1959년 스머프 시리즈 출간 후 페요는 사업가이자 전문 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아들 티에리 컬리포드에게 스튜디오 운영을, 딸 베로니케에게는 홍보를 맡겼다.

스머프 상품화는 유럽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미국에서는 한나 바바라 스튜디오가 TV 애니메이션 방영권을 획득했다. 페요는 건강이 악화되어 심장발작으로 브뤼셀에서 64세에 사망했지만, 그의 스튜디오는 여전히 그의 이름을 달고 여러 시리즈물을 출간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1928년 벨기에 브뤼셀(혹은 스하르베이크)에서 영국인 아버지와 벨기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1][3][9] 그의 필명 '페요'는 어린 시절 사촌이 그의 이름 '피에로'(Pierre의 애칭)를 잘못 발음한 것에서 유래했다.

2. 2. 경력

페요는 브뤼셀 왕립 미술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작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인 콩파니 벨그 다퀴알리테프랑스어(CBA)에서 일하며 앙드레 프랑캥, 모리스 등 훗날 동료가 될 사람들을 만났다.[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튜디오가 문을 닫자, 르 수아르 등 신문에 만화를 기고하며 경력을 시작했다.[9] 1949년부터 1952년까지 르 수아르에 고양이 만화 《푸시》를 연재했다.[9] 1952년 프랑캥의 소개로 뒤퓌에서 출판하는 어린이 만화 잡지 스피루에 합류했다.[9] 스피루에서 《요한과 피를루이》, 《스티븐 스트롱》 등의 작품을 연재했다.

2. 3. 스머프

1958년 10월 23일, 《요한과 피위트》의 '여섯 개의 스머프 플루트'(La Flûte à Six Schtroumpfs) 에피소드에서 스머프가 처음 등장했다.[11] 스머프의 인기가 높아지자 1959년부터 독립된 시리즈로 연재되었다.[6] 1960년대 초, 페요는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프랑수아 발테리, 고스 등 여러 작가들과 협업했다. 페요는 주로 감독 및 사업가 역할을 맡았고, 실제 작화는 스튜디오 작가들이 담당했다.[3] 1980년대에는 미국 한나-바바라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스머프》가 큰 성공을 거두며, 스머프는 세계적인 캐릭터가 되었다.

2. 4. 스튜디오 경영 및 말년

1959년 스머프 시리즈가 출간된 이후 페요는 사업가이자 전문 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아들인 티에리 컬리포드에게 스튜디오 운영을 맡기고, 딸인 베로니케에게는 상품화 (I.M.P.S.는 1985년에 그녀가 설립)를 담당하게 했다.[3]

스머프 상품화는 1959년에 시작되었고, PVC 피규어가 1970년대 후반까지 가장 중요한 품목이었다.[6] 이후, 피에르 카르트너의 스머프 음반이 성공하면서, 스머프는 장난감과 가제트의 새로운 붐과 함께 더욱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 중 일부는 미국에 도달했고, 한나-바바라는 1981년에 페요가 스토리 감독을 맡은 토요일 아침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제작했다.[6]

1980년대에는 건강 문제 악화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로 "스머프"를 미국에 맞게 각색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시리즈가 종료된 후, 그는 출판사 뒤퓌를 떠나 자체 출판사인 카툰 크리에이션을 설립하고 만화 잡지 《슈트룸프!》를 창간했지만, 경영 문제로 곧 문을 닫았다. 그는 1992년 르 롬바르에 합류했지만 몇 달 후에 심근 경색으로 브뤼셀에서 사망했다. 향년 64세.[3]

3. 사망

페요는 1992년 크리스마스 이브브뤼셀에서 심장 마비로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그의 스튜디오는 여전히 운영 중이며, 그의 이름을 딴 새로운 시리즈 작품들이 출간되고 있다.[7]

4. 유산 및 영향

페요의 작품, 특히 《스머프》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영감을 주었다.[3][6] 1958년 10월 23일 ''요한과 피위트''의 ''여섯 개의 스머프 플루트''에 처음 등장한 스머프는 1959년 자체 시리즈를 갖게 되었고, 스머프 상품화는 1959년에 시작되어 1970년대 후반까지 PVC 피규어가 가장 중요한 품목이었다. 이후 피에르 카르트너의 스머프 음반의 성공과 함께 장난감과 가제트의 새로운 붐으로 이어져 더욱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한나-바바라는 1981년에 페요가 스토리 감독을 맡은 TV 시리즈를 제작하기도 했다.[6]

2011년 영화 《스머프》에서 페요는 스머프 연구자로 등장하며, 스머프는 실존하는 전설적인 생물로 묘사되었다. 1984년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에서 청소년상(9~12세)을 수상했다. 소행성(2944) 페요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8년 스머프 탄생 50주년과 페요 탄생 80주년을 기념하여 벨기에에서 5EUR 기념 주화가 발행되었다.

5. 작품 목록


  • Jacky et Célestin프랑스어 (1960-1978): 르 수아르에 게재된 10편의 이야기, 뒤퓌에서 출판된 4권의 앨범. 프랑수아 발테리, 프란시스, 조-엘 아자라, 미테이가 그림을 그렸고, 페요, 고스, 빅이 스토리를 썼다.
  • 요한과 피위트 (1952-1970): 뒤퓌에서 출판된 13권의 앨범.
  • 나타샤 (1992): 뒤퓌에서 출판된 1권의 앨범. 발테리가 그림을 그렸고, 페요가 스토리를 썼다.
  • Pierrot et la lampe|피에로와 램프프랑스어 (1991): 카툰 크리에이션에서 출판된 1권의 앨범.
  • 푸시 (1977-): 뒤퓌에서 출판된 3권의 앨범.
  • 스머프 (1959-): 뒤퓌에서 출판된 17권의 앨범. 알랭 모리, 뤽 파르토엔스가 그림을 추가로 그렸고, 이반 델포르트, 고스, 티에리 컬리포드가 스토리를 추가로 썼다.
  • 스피루와 판타지오 (1969): 뒤퓌에서 출판된 1권의 앨범. 앙드레 프랑캥과 지데헴이 그림을 그렸고, 페요와 고스가 스토리를 썼다.
  • 스티븐 스트롱 (1960-1978): 뒤퓌에서 출판된 7권의 앨범. 윌, 발테리, 마크 바스테를레인, 알베르 블레스토가 그림을 추가로 그렸고, 이반 델포르트, 고스, 블레스토가 스토리를 추가로 썼다.

참조

[1] 뉴스 Pierre Culliford, Smurf Creator, Dies at 64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12-25
[2] 뉴스 Pierre Culliford; Created the Widely Popular Smurfs https://www.latimes.[...] 2010-08-24
[3] 서적 Peyo Lannoo 2005
[4] 웹사이트 PIERRE CULLIFORD, SMURFS CREATOR, DIES DWARFS STARTED IN A CARTOON https://buffalonews.[...] 1992-12-25
[5] 웹사이트 Obituary: Peyo https://www.independ[...] 1992-12-29
[6] 뉴스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7] 뉴스 Do Smurfs provide a model for a good society? https://www.bbc.com/[...] BBC News 2011-06-24
[8] 뉴스 Pierre Culliford; Created the Widely Popular Smurfs http://articles.lati[...] LA Times 1992-12-25
[9] 서적 Peyo Lannoo 2005
[10] 웹사이트 (2944) Peyo = 1935 QF = 1969 MA = 1982 NA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3
[11] 서적 Peyo Lannoo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