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창올림픽스타디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은 2018년 동계 올림픽2018년 동계 패럴림픽의 개·폐회식 개최를 위해 대한민국 평창군에 건설된 임시 경기장이다. 대관령면 평창 올림픽 플라자 구역에 위치했으며, 2016년 6월에 착공하여 2017년 9월에 완공되었다. 3만 5천 석 규모로, 5개의 행사를 개최한 후 해체될 예정이며, 부지는 공연장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지붕과 외벽이 없는 구조로 추위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방한 대책을 마련하여 대회를 진행했다. 올림픽 기간에는 셔틀 버스만 이용 가능했으며, 대회 종료 후에는 횡계 시외 버스 터미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창군의 스포츠 - 2018년 동계 패럴림픽
    2018년 3월 9일부터 18일까지 대한민국 평창군와 강릉시 일대에서 개최된 제12회 동계 패럴림픽은 49개국 567여 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6개 종목에서 기량을 겨뤘으며, 대한민국은 장애인 아이스하키 동메달 획득을 포함하여 종합 16위를 기록했다.
  • 평창군의 스포츠 - 평창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및 노르딕 복합 경기장으로 2008년 완공된 평창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는 노멀힐과 라지힐 경기장을 포함한 5개의 점프대로 구성되어 최대 13,5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나, 올림픽 이후 강풍 문제와 운영 적자를 겪으며 활성화 방안을 모색 중이다.
  • 평창군의 스포츠 시설 - 평창 올림픽 선수촌
  • 평창군의 스포츠 시설 - 모나 용평
    모나 용평은 1975년 개장한 대한민국 최초의 스키장으로, 국제스키연맹 인증을 받아 동계 아시안 게임과 동계 올림픽 등 국제 대회를 개최했으며, 드라마 촬영지로도 유명한 종합 리조트이다.
평창올림픽스타디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8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을 위한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
경기장 모습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전)
위치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좌표37°40′02″N 128°42′22″E
착공2015년 - 2017년
개장2017년 10월 30일
폐장2018년 3월 21일
철거2018년 9월 20일
표면눈, 얼음, 잔디
수용 인원35,000명
면적14.53 에이커
건설 비용₩1160억 (1억 900만 미국 달러)
크기 정보
지름72 미터
필드 형태원형
기타 정보
사용 팀/대회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평창 패럴림픽
소유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및 동계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건설대림산업

2. 배경

대관령면 평창 올림픽 플라자 구역에 위치했으며,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북동쪽으로 약 2km 떨어져 있었다. 횡계에 80000m2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이 대회를 위해 건설된 마지막 주요 시설물이었다. 대략적인 해발 고도는 해수면에서 740m였다.

경기장 인근에는 올림픽 전시관, 전통 시장, 기타 편의 시설이 있었으며, 이곳들은 유산 시설로 남을 예정이었고, 메달 수여식을 개최했던 메달 플라자도 있었다.

3. 역사

평창 조직위원회는 2012년 7월, 프로젝트 및 경기장 계획의 일부 변경을 발표했고, 개·폐회식 장소를 횡계로 옮겼다.[6] 이는 개회식 준비와 스키 점프 훈련 간의 간섭 가능성, 관람객을 위한 극심한 기상 조건 등 조직상의 문제 때문이었다.

경기장 건설은 1년 10개월이 소요되어 2017년 9월 30일에 완료되었다.[5] 경기장은 해체되기 전 단 5개의 행사만 개최했으며, 2017년 11월 4일에는 개회식 100일 전을 기념하기 위한 특별 K-pop 콘서트인 드림 콘서트가 처음 열렸다.[7] 이 외에도 2018년 동계 올림픽의 개·폐회식과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의 개·폐회식이 열렸다.[2][8][9]

건설은 2016년 6월[10]부터 시작되어, 28300m2[11]의 부지에 약 1200억[12]의 사업비를 들여 2017년 9월에 완공되었다. 3만 5천 석의 관람석과 7층 규모의 본관동을 갖추고 있다.[13] 위에서 보면 오각형 모양인데, 이는 평창 올림픽이 내건 "문화", "경제",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평화" 등의 목표를 상징한다. 임시 경기장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대회 종료 후에는 관람석 등 시설이 해체되어 부지는 공연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14]

4. 구조 및 시설

35,000석 규모의 경기장은 지상 7층, 지하 1층, 오각형 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3][4] 바닥 면적은 58790sqm였으며, 원형 무대의 지름은 72m였다.[5] 건설 비용 절감을 위해 지붕과 중앙 난방 시스템은 설치되지 않았다.[2]

2016년 6월[10]부터 건설이 진행되어, 28,300 m2[11] 부지에 약 1,200억 [12]의 사업비를 들여 2017년 9월에 완공되었다. 3만 5천 석의 관람석과 7층 규모의 본관동을 갖추고 있으며[13], 위에서 보면 오각형을 하고 있는데, 이는 평창 올림픽이 내건 "문화", "경제",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평화" 등의 목표를 상징한다.[14]

경기장 인근에는 올림픽 전시관, 전통 시장, 기타 편의 시설이 있었으며, 이곳들은 유산 시설로 남을 예정이었고, 메달 수여식을 개최했던 메달 플라자도 있었다.

올림픽 개최 당시, 건물이 지붕과 외벽이 없는 구조여서 강풍에 속수무책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 개회식 입장권은 등급에 따라 22만원에서 150만원까지였으며, 관중들은 비싼 돈을 내고도 3~4시간 이상 추위에 노출된다는 점에서 비판받았다. 기상청 자료에 의하면 올림픽 스타디움이 위치한 대관령면의 최근 10년간 2월 평균기온은 영하 4.5도였으며, 체감기온은 영하 10도 정도였다. 이에 평창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외부에 투명 방풍막을 설치하고 관중에게 무릎담요와 핫팩을 지급하였다. 또 히터 40개와 난방 쉼터 18곳을 마련하며, 의무실 5곳과 응급의료인력 165명을 배치한다는 계획이었다.[22][23]

그러나 강원지방기상청에 따르면 평창올림픽 개막일(9일) 밤 기온은 영하 10 ~ 12도가 될 것으로 관측되었다. 특히 개회식 시작부터 끝나는 시간까지 기온은 곤두박질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 2월 1일 경기장의 온도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 오후 7시 기온은 영하 7.5도, 체감온도는 영하 11.1도였다. 본 행사가 시작되는 오후 8시에는 영하 8.9도까지 내려갔고 오후 9시에는 영하 10.4도까지 떨어졌다. 집으로 귀가할 오후 10시에는 영하 12.1도까지 곤두박질했다. 또한 해당 경기장의 지역인 대관령의 특성상 강한 칼바람이 부는데, 이에 살갗이 노출되면 1분도 버티지 못한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제대로 된 방한복과 방한화 등을 갖춰 입지 않아 칼바람에 노출되면 저체온증동상 등의 한랭질환의 위험성에 노출된다. 경기장 가장자리에 방풍막을 설치하였지만, 관람객이 4~5시간 동안 앉아 있을 관람석 위쪽은 여전히 지붕이 없이 뻥 뚫려 있고 좌우측과 앞쪽에서 들이닥칠 칼바람을 막아낼 어떤 장치도 없었다. 히터 40개와 난방 쉼터 18곳을 갖춘다고 하지만 관람석이 좁게 지어져 자칫 자리 이동이 잦을 경우 관람객의 개막식 관람을 방해하게 되면서 불필요한 신체 접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보였다. 이로 인해 "동계올림픽 역사상 가장 추운 개막식"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24] 평년 수준 기온으로 정상적으로 치러졌다.

2017년 11월 5일, 대회에 앞서 열린 K-POP 콘서트에서 관람객 십여 명이 저체온증으로 병원에 이송되었다.[15]

5. 추위 문제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은 지붕과 외벽이 없는 구조로 건설되어 강풍과 추위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개회식 입장권 가격은 22만원에서 150만원에 달했지만, 관람객들은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3~4시간 이상 추위에 노출되어야 했다.[22][23] 2017년 11월 5일 열린 K-POP 콘서트에서는 관람객 십여 명이 저체온증으로 병원에 이송되기도 했다.[15]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경기장이 위치한 대관령면의 최근 10년간 2월 평균 기온은 영하 4.5도였으며, 체감 온도는 영하 10도 정도였다. 이에 평창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투명 방풍막 설치, 히터 및 난방 쉼터 설치, 관람객 대상 방한용품(무릎담요, 핫팩 등) 지급 등 추위 대책을 마련하였다.[22][23] 개회식 총감독 송승환은 관람객들이 함께 춤을 추고 타악기를 연주하며 추위를 이겨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밝혔다.[16]

그러나 강원지방기상청은 평창올림픽 개막일(9일) 밤 기온이 영하 10~12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대관령 지역의 특성상 강한 칼바람이 불어 저체온증동상 등 한랭 질환의 위험성이 높다는 지적이 있었다. 경기장 가장자리에 방풍막을 설치했지만, 관람석 위쪽은 여전히 지붕이 없어 칼바람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 때문에 "역대 가장 추운 올림픽"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으나,[24] 평년 수준의 기온으로 정상적으로 치러졌다.

6. 교통

올림픽 및 패럴림픽 기간 동안에는 관람객 셔틀 버스만 이용 가능했으며, 셔틀 버스는 가장 가까운 역인 진부역과 진부 주차장에서 운행되었다.[1] 2018년 3월 19일 이후에는 횡계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PyeongChang Olympic Stadium : PyeongChang 2018 Venue http://2018winteroly[...] 2017-12-08
[2] 뉴스 The 2018 Winter Olympics Stadium That Cost $100 Million to Build, Will Only Be Used 4 Times, and Is Roofless https://www.archdail[...] 2018-02-03
[3] 웹사이트 PyeongChang Olympic Stadium https://www.pyeongch[...] 2018-03-06
[4] 뉴스 How the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s was designed https://www.designwe[...] 2018-02-08
[5] 뉴스 PyeongChang stadium ready for Games http://www.korea.net[...] 2017-10-01
[6] 뉴스 Pyeongchang 2018 move venue for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http://www.insidethe[...] Inside the Games 2012-07-06
[7] 웹사이트 평창 드림콘서트, 엑소+워너원 출연 '화려한 라인업 공개' https://entertain.na[...] 2021-07-27
[8] 뉴스 South Korea's $100 million Winter Olympics stadium will be used exactly four times https://qz.com/11888[...] 2018-01-25
[9] 뉴스 Here's What Pyeongchang Looks Like Now https://www.citylab.[...] 2018-06-15
[10] 뉴스 4回使って壊す平昌五輪開閉会式場…1日使用料は158億ウォン(1) https://japanese.joi[...] 중앙日報 2017-07-25
[11] 뉴스 【平昌冬季オリンピック】開・閉会式場が昨日(30日)完工 http://contents.inno[...] 2017-10-01
[12] 뉴스 [写真]平昌五輪の開会・閉会式会場 30日に完成 http://japanese.yonh[...] 2017-09-29
[13] 뉴스 強風、大勢の観客移動で揺れる開会式スタジアム 大統領府も舌打ちする不手際… https://www.sankei.c[...] 2017-11-02
[14] 뉴스 開閉会式場が完成「五輪史上初の行事専用」 関心は低いまま… https://www.sankei.c[...] 2017-09-30
[15] 뉴스 平昌五輪のメーン会場で韓流コンサート、屋根なく低体温症になる人続出―中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2017-11-06
[16] 뉴스 平昌冬季五輪開会式、カネをかけても… http://www.chosunonl[...] 2017-11-26
[17] 백과사전 평창올림픽스타디움 http://www.doopedia.[...] 두산
[18] 뉴스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은 철거중 https://www.news1.kr[...] 뉴스원 2018-03-21
[19] 뉴스 "[평창은 지금] ①올림픽 시설 어떻게 활용되나" https://www.news1.kr[...] 뉴스원 2019-02-04
[20] 웹인용 평창올림픽스타디움 http://www.daelim.co[...] 대림산업
[21] 웹인용 평창올림픽스타디움 https://www.pyeongch[...]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및동계패럴림픽대회조직위원회 2020-01-12
[22] 뉴스 평창올림픽 D-200, 네 번 쓰고 부수는 평창 개·폐회식장 … 하루 사용료 158억꼴 http://www.joongang.[...] 2017-07-25
[23] 뉴스 평창, 칼바람과 전쟁 http://news.chosun.c[...] 2017-12-12
[24] 뉴스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 방한 대책 허술…"역대 최악 개회식될 듯" http://www.newsis.co[...] 2018-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