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폐활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폐활량은 사람이 최대한 숨을 들이쉬고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양을 의미하며, 폐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에는 노력성 폐활량(FVC)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신장과 나이를 기반으로 한 예측 폐활량 계산을 통해 폐 질환 진단에 활용된다. 폐활량은 신장이 클수록 증가하고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여성과 남성의 예측 폐활량 공식이 다르다. 젊은 여성의 경우 신체 활동량이나 만성 요통과 폐활량 간의 연관성이 연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흡생리학 -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척추동물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주요 단백질로, 헴과 글로빈이 결합된 4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사량체 구조를 가지며, 헴의 철 성분이 산소와 결합하여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를, 조직에서 이산화탄소와 양성자를 운반하고, 산소 결합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유전자 돌연변이는 헤모글로빈병증을 유발하고, 농도와 기능은 질병 진단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서 발견된다.
  • 호흡생리학 - 메트헤모글로빈
    메트헤모글로빈은 헤모글로빈의 일종으로, 헴 철 이온이 산화된 Fe3+ 상태로 존재하여 산소 결합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하며, 후천적으로는 환경적 요인이나 약물에 의해, 선천적으로는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폐활량
폐 기능
폐활량
용어
TLC전폐기량 (Total Lung Capacity): 최대 팽창 시의 폐 용적으로, 폐활량 (VC)과 잔기량 (RV)의 합계
TV (V)1회 환기량 (Tidal Volume): 안정 시 호흡으로 폐에 들어오거나 폐에서 나가는 공기의 양 (TV는 폐의 구획을 나타냄. 가스 교환 계산처럼 1회 환기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경우에는, TV 또는 V라는 기호를 사용함).
RV잔기량 (Residual Volume): 최대 호기 후에 폐에 남아 있는 공기의 체적
ERV(Expiratory Reserve Volume): 안정 호기위에서 내뱉을 수 있는 최대의 호기량
IRV(Inspiratory Reserve Volume): 안정 흡기위에서 들이쉴 수 있는 최대의 흡기량
IC최대 흡기량 (Inspiratory Capacity): 예비 흡기량 (IRV)과 1회 환기량 (TV)의 합계
IVC흡기 폐활량 (Inspiratory Vital Capacity): 최대 호기위에서 들이쉴 수 있는 최대의 공기량
VC폐활량 (Vital Capacity): 가장 깊게 숨을 들이쉰 후에 내뱉어지는 공기의 양
FRC(Functional Residual Capacity): 호기 종말위에서의 폐 용적
RV/TLC%잔기량·전폐기량비
V폐포 기량 (Alveolar gas Volume)
V기도 용적을 포함하는 폐의 실제 용적
FVC노력 폐활량 (Forced vital capacity): 최대 강제 호기 노력에 의한 폐활량 측정
FEV강제 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time)): 최초의 "t초"에 강제적으로 내뱉어지는 공기량의 총칭
FEV1초량 (Forced expiratory volume (1 second)): 강제 호기의 최초 1초가 종료된 시점에서 내뱉어진 양
FEFFVC 곡선의 일부에 관련된 강제 호기 유량, 수정자는 이미 내뱉어진 FVC의 양을 가리킴
FEFFVC 측정 시에 달성되는 최대 순간 유량
FIF강제 흡기 유량 (Forced inspiratory flow): 강제 흡기 곡선의 구체적인 측정값은, 강제 호기 곡선에 유사한 명명법으로 나타내어짐. 예를 들어, 최대 흡기 유량은 FIF로 표기됨. 특히 지정이 없는 한, 체적의 수정자는, 측정 시점의 잔기량으로부터 흡입되는 체적을 나타냄.
PEF최대 호기 유량 (Peak expiratory flow): 피크 플로 미터로 측정한 강제 호기 유량의 최고값.
MVV최대 환기량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일정한 시간에 최대 노력으로 반복해서 호출할 수 있는 공기량

2. 측정

폐활량 측정에는 폐활량 측정기(Spirometer)가 사용된다. 통상적인 폐활량을 측정할 때는 숨을 천천히 내쉬지만, 최대한 빠르게 숨을 내쉬어 측정하기도 한다. 이때 측정값은 '''노력성 폐활량'''(FVC)이라고 하며, 통상적인 폐활량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또한 실측값과 더불어 나이와 신장으로부터 예측 폐활량을 계산한 후 %폐활량을 산출하여 기관지 확장증, 폐 섬유증 등의 구속성 폐 질환 여부를 검사한다. 그 외, 폐활량을 신장으로 나눈 값을 '''폐활량 지수'''(Spiroindex)로 취급하기도 한다.[10]

예측 폐활량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11]

: 남성: 예측 폐활량(mL) = (27.63 - 0.112 × 나이) × 신장

: 여성: 예측 폐활량(mL) = (21.78 - 0.101 × 나이) × 신장

2. 1. 진단적 가치

폐질환의 원인을 감별하는 데에 폐활량 검사를 이용할 수 있다. 제한성 폐질환에서는 폐활량이 감소하지만 폐쇄성 폐질환의 경우 대개 폐활량이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한다.[20]

폐활량 측정에는 폐활량 측정기(Spirometer)가 사용된다. 통상적인 폐활량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숨을 천천히 내쉬어서 측정하지만, 가능한 빠르게 숨을 내쉬어 측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의 측정값은 '''노력성 폐활량'''(FVC)이라고 불리며, 통상적인 폐활량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또한 실측값에 더하여, 나이나 체중으로부터 예측 폐활량을 계산한 후 %폐활량을 산출함으로써, 기관지 확장증, 폐 섬유증 등의 구속성 폐 질환에 이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 외, 폐활량을 신장으로 나눈 값을 '''폐활량 지수'''(Spiroindex)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10]

예측 폐활량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다.[11]

성별예측 폐활량(mL)
남성(27.63-0.112 × 나이) × 신장
여성(21.78-0.101 × 나이) × 신장


3. 추정 폐활량

폐활량은 키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한다.[8] 다음은 신장과 나이에 따른 남성의 폐활량 추정치를 나타낸 표이다.[21][7]

신장별 남성 폐활량
신장 (cm)150–155155–160160–165165–170170–175175–180
폐활량 (cm3)2900cm33150cm33400cm33720cm33950cm34300cm3



나이별 남성 폐활량
나이15–2525–3535–4545–5555–65
폐활량 (cm3)3425cm33500cm33225cm33050cm32850cm3



실측값 외에 나이나 체중으로 예측 폐활량을 계산하고 %폐활량을 구해 기관지 확장증, 폐섬유증 등 구속성 폐 질환 여부를 검사하기도 한다. 폐활량을 신장으로 나눈 값은 '''폐활량 지수'''(Spiroindex)로 사용된다.[10]

3. 1. 공식

폐활량을 추정하기 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22]

  • 남성: 예측 폐활량(mL) = (27.63 - 0.112 × 나이) × 신장
  • 여성: 예측 폐활량(mL) = (21.78 - 0.101 × 나이) × 신장


여기서 폐활량의 단위는 cm3이며 대략적인 값이다. 나이는 만 나이, 신장은 cm 단위이다.[8]

3. 2. 한국인 참고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인 참고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4. 기타

젊은 사람의 경우, 남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지만, 젊은 여성의 경우 일상적인 신체 활동이 적다고 답한 사람의 노력성 폐활량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호트 연구가 존재한다.[12] 같은 젊은 여성에서 만성 요통을 겪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노력성 폐활량이 낮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보고도 존재한다.[13]

5. 추가 자료


  • E. 베르글룬트, G. 비라스, J. 뷰레, G. 그림비, I. 크옐메르, L. 산드크비스트, B. 쇠데르홀름 (1963). “Spirometric Studies in Normal Subjects I: Forced Expirograms in Subjects Between 7 and 70 Years of Age”. 《Acta Medica Scandinavica》 (ISSN 0001-6101) 173 (2): 185–192.
  • G. 비라스, I. 크옐메르, L. 산드크비스트 (1963). “Spirometric Studies in Normal Subjects: II. Ventilatory Capacity Tests in Adults”. 《Acta Medica Scandinavica》 (ISSN 0001-6101) 173 (2): 193–198.
  • G. 그림비, B. 쇠데르홀름 (1963). “Spirometric Studies in Normal Subjects: III. Static Lung Volumes and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in Adults with a Note on Physical Fitness”. 《Acta Medica Scandinavica》 (ISSN 0001-6101) 173 (2): 199–206.
  • 귄터 포르헤, 에른스트 슈타들로버, 카를 하르농쿠르 (1988). “Neue spirometrische Bezugswerte für Kinder, Jugendliche und Erwachsene”. 《Österreichische Ärztezeitung》 (ISSN 0029-8831) 43 (15;16): 40–42.
  • A. 굴스비크, T. 토스테손, P. 바케, S. 후메르펠트, S. T. 바이스, F. E. 스파이저 (2001년 11월 30일). “Expiratory and inspiratory forced vital capacity and one-second forced volume in asymptomatic never-smokers in Norway: Spirometric standards in Norway”. 《Clinical Physiology》 (ISSN 0144-5979) 21 (6): 648–660.
  • H. 헤덴스트룀, P. 말름베리, K. 아가르왈 (1985년 11월). “Reference values for lung function tests in females. Regression equations with smoking variables”. 《Bulletin Européen de Physiopathologie Respiratoire》 (ISSN 0395-3890) 21 (6): 551–557.
  • A. 랑함메르, R. 욘센, A. 굴스비크, T.L. 홀멘, L. 브예르메르 (2001년 11월 1일). “Forced spirometry reference values for Norwegian adults: the Bronchial Obstruction in Nord-Trøndelag stud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ISSN 0903-1936) 18 (5): 770–779.

참조

[1] 저널 Forced Vital Capacity, Slow Vital Capacity, or Inspiratory Vital Capacity: Which Is the Best Measure of Vital Capacity? 1998-01
[2] 웹사이트 Forced Expiratory Volume and Forced Vital Capacity https://www.uofmheal[...]
[3] 저널 On the Capacity of the Lungs, and on the Respiratory Functions, with a View of Establishing a Precise and Easy Method of Detecting Disease by the Spirometer 1846-01
[4] 뉴스 How False Beliefs in Physical Racial Difference Still Live in Medicine Today https://www.nytimes.[...] 2019-08-14
[5] 저널 Race, ethnicity and lung function: A brief history 2015
[6] 웹사이트 Pulmonary Function Tests https://meded.ucsd.e[...] UCSD 2015-02-19
[7] 저널 Long-Continued Observations on the Vital Capacity in Health and Heart Disease https://zenodo.org/r[...] 1922-12
[8] 웹사이트 Vital Capacity http://www.fpnoteboo[...] 2015-02-19
[9] 웹사이트 一回換気量とは https://www.kango-ro[...]
[10] 서적 社会福祉と生活構造 : 篭山京教授還暦記念 光生館 1972
[11] 서적 看護師のための検査値・数式事典 秀和システム 2009
[12] 웹사이트 Physical Activity and Lung Function in Adolescents : The 1993 Pelotas (Brazil) Birth Cohort Study https://www.ncbi.nlm[...]
[13] 저널 【原著】女子学生における非特異的慢性腰痛の有無による呼吸機能の違い 2016
[14] 저널 Forced Vital Capacity, Slow Vital Capacity, or Inspiratory Vital Capacity: Which Is the Best Measure of Vital Capacity? 1998-01
[15] 웹사이트 Forced Expiratory Volume and Forced Vital Capacity https://www.uofmheal[...]
[16] 저널 On the Capacity of the Lungs, and on the Respiratory Functions, with a View of Establishing a Precise and Easy Method of Detecting Disease by the Spirometer 1846-01
[17] 웹사이트 폐활량 https://terms.naver.[...] 2022-11-06
[18] 뉴스 How False Beliefs in Physical Racial Difference Still Live in Medicine Today https://www.nytimes.[...] 2019-08-14
[19] 저널 Race, ethnicity and lung function: A brief history 2015
[20] 웹사이트 Pulmonary Function Tests https://meded.ucsd.e[...] UCSD 2015-02-19
[21] 저널 Long-Continued Observations on the Vital Capacity in Health and Heart Disease https://zenodo.org/r[...] 1922-12
[22] 웹사이트 Vital Capacity http://www.fpnoteboo[...] 2015-02-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