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대기는 아기를 안거나 운반하기 위한 도구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링 슬링은 천과 링을 사용하여 아기의 무게를 지지하며, 파우치 슬링은 튜브 형태의 천으로 만들어진다. 랩은 천으로 아기와 착용자를 감싸는 방식이며, 한국의 포대기는 긴 끈이 달린 사각형 천으로 구성된다. 안전과 관련하여, 포대기 사용 중 아기의 질식 위험이 있으며, 특히 신생아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발육성 고관절 형성 부전 위험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아용품 - 유모차
    유모차는 아이를 태워 이동하는 도구로, 13세기 유럽의 손수레에서 시작되어 18세기 짐마차 형태를 거쳐 19세기 대중화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와 안전 및 편의 기능이 강화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 육아용품 - 보행기
    보행기는 아기의 이동을 돕는 기구이지만, 운동 발달 지연 및 안전 문제로 인해 사용 자제 권고 및 판매 금지 국가가 있으며, 부모 보조 보행기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15세기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다.
  • 아기 - 조제분유
    조제분유는 모유 수유가 어려운 영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대체 식품으로, 낮은 모유 수유율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만 질병 위험 증가 및 안전성 문제, 마케팅 윤리 논란 등으로 국제적인 규제를 받고 있다.
  • 아기 - 캥거루 케어
    캥거루 케어는 신생아, 특히 미숙아를 부모의 피부와 직접 접촉시켜 돌보는 방법으로, 체온 유지, 심박수 안정, 모유 수유 촉진, 부모와의 유대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미숙아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장신구 - 선글라스
    선글라스는 눈부심 감소와 자외선 차단을 주 목적으로 하는 안경으로, 과거 눈부심 방지 및 표정 은폐 용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패션 아이템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발전해 왔지만, 저가 제품의 성능 미흡이나 과도한 자외선 차단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장신구 - 견장
    견장은 군복의 어깨 장식으로,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장식적 기능과 실용적 기능을 겸비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계급 및 병과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된다.
포대기
기본 정보
종류직물 제품
용도아이를 몸에 안고 다니기
특징
장점양손 자유로움
아기에게 안정감 제공
엄마와 아기 사이의 유대감 강화
재료
리넨
실크
다양한 종류의 직물
형태랩(Wrap)
슬링(Sling)
메이 타이(Mei Tai)
소프트 구조 캐리어(Soft Structured Carrier, SSC)
기타 다양한 형태 존재
안전
주의사항아기의 질식 위험
고관절 이형성증 유발 가능성
안전 기준T.I.C.K.S. 규칙 준수 권장
(Tight, In view at all times, Close enough to kiss, Keep chin off the chest, Supported back)
역사 및 문화
기원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
한국의 포대기
현대적 재해석서양에서 유행 시작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 추가
추가 정보
참고아기띠와 유사하지만, 더 넓은 의미를 가짐
아기띠

2. 종류

아기띠는 크게 슬링(sling)과 캐리어(carrier)로 나눌 수 있다.


  • 슬링 (Sling): 천과 고리 등을 이용해 아기를 감싸 안는 형태이다.
  • 링 슬링 (Ring slings): 천과 금속 또는 나일론 링을 사용한다. 천을 링에 통과시켜 고정하며, 착용자 어깨에서 엉덩이까지 천을 두른 후 다시 어깨로 올려 링을 통과시킨다. 멕시코의 레보조와 유사하며, 링이 매듭 역할을 한다.[5]
  • 파우치 슬링 (Pouch slings): 넓은 천을 원통형으로 꿰매어 만든다. 지퍼, 스냅, 버클 등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형태도 있다. 아기가 질식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5]
  • 랩 (Wraps): 긴 천(보통 2m에서 6m, 너비 38cm~76cm)을 이용해 아기와 착용자를 감싸서 묶는다.[6]
  • 스트레치 랩: 니트 소재로 만들어져 신축성이 좋다.
  • 우븐 랩: 다양한 두께의 직물로 만들어지며, 주로 면과 같은 천연 섬유를 사용한다.
  • 천 (Simple pieces of cloth): 레보조(멕시코), 만타(페루), 캉가(아프리카) , 셀렌당(인도네시아)처럼 직사각형 천을 묶거나 감싸서 사용한다.
  • 캐리어 (Carrier): 좀 더 구조적인 형태로 아기를 안는 형태이다.
  • 포대기 및 기타 아시아 스타일 아기띠
  • 포대기(포대기|podaegi한국어): 긴 끈에 매달린 중간 크기에서 큰 사각형 천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아기 띠이다.[1]
  • 메이 타이 (Mei Tai):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사각형 천 조각 각 모서리에 끈이 달려 있다.[2]
  • 온부히모: 일본에서 사용되며, 1940년대에 인기를 얻었다. 몽족 및 메이 타이 아기 띠와 유사하지만, 하단에 루프나 링이 있어 상단 끈을 통과시켜 조인다.[3]
  • 기타 아기띠:
  • 구조화된 힙 캐리어
  • 소프트 구조화 캐리어 (SSC): 전통적인 메이 타이를 기반으로 하며, 버클로 끈을 짧게 만들어 편리하다.[1]
  • 구조화된 앞면 팩
  • 하드 프레임 백팩

2. 1. 링 슬링 (Ring slings)

링 슬링은 과 금속(알루미늄 등) 또는 나일론 링을 사용하여 역학적 장력을 활용하는 아기 운반 도구이다. 천의 한쪽 끝은 두 개의 링에 꿰매어져 있으며, 천은 착용자의 어깨에서 반대쪽 엉덩이로 감싸져 어깨로 다시 올라가 링을 통과하여 버클 효과를 만든다. 아기는 이렇게 만들어진 포켓에 앉거나 눕는다. 슬링을 한번 끼우면 다시 꿰매지 않고도 탈착이 가능하다. 꿰어진 슬링은 천의 고리를 형성하며, 착용자는 한 팔과 머리를 천 고리에 넣어 슬링을 다시 착용할 수 있다.[5]

아기가 운반대에 있을 때 아기의 무게는 천에 장력을 가하며, 천의 장력, 천 표면 간의 마찰, 그리고 링이 결합되어 슬링을 "고정"한다. 이러한 유형의 슬링은 다양한 착용자 크기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착용 자세를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착용자는 한 손으로 아기의 무게를 지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링을 통해 더 많은 천을 당겨 슬링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링 슬링은 어깨 부분에 패딩이 있거나 없을 수 있고, 가장자리 또는 "레일"에 패딩이 있거나 없을 수 있으며, 슬링의 "꼬리"는 열려 있거나 닫혀 있을 수 있다. 일부 "하이브리드" 링 슬링은 파우치의 솔기와 유사하게 몸체에 곡선형 시트가 꿰매어져 있다. 링 슬링은 멕시코의 레보조와 사용 면에서 가장 유사하며, 링은 매듭을 대신한다.

"어깨 스타일"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 링이 천에 부착되는 방식에도 변형이 있다. 기본적인 어깨 스타일에는 모아진 스타일, 주름진 스타일, "핫도그" 또는 "중앙 접기" 스타일, 파우치 스타일(반으로 접힌 스타일) 및 많은 변형이 있다.

링 슬링은 매우 유연하며 대부분의 간병인은 "원 사이즈 핏 모스트(one size fits most)" 사이즈를 착용할 수 있다. 꼬리가 약 8인치 길이인 한 링 슬링은 여전히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꼬리 길이는 개인 취향에 따라 결정되며, 대부분 꼬리가 엉덩이 또는 허벅지 중간 정도에 닿는 것을 선호한다.

링 슬링으로 아기를 안을 때 권장되는 최대 체중 제한은 약 15.88kg까지이다. 폭이 넓은 천을 링 벨트 방식으로 고리로 만들어 폭이 넓은 부분으로 아이를 안는 방식이며, 링 벨트와 마찬가지로 사이즈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2. 2. 파우치 슬링 (Pouch slings)

파우치 슬링에 아기를 안고 있는 여성


"튜브", "포켓", "링리스" 슬링이라고도 불리는 파우치 슬링은 일반적으로 넓은 천을 원통 형태로 꿰매어 만든다.[5] 단순형 또는 맞춤형 파우치는 링이나 기타 하드웨어가 없다. 조절 가능한 파우치는 지퍼, 스냅, 버클, 클립, 링, 조임끈, 벨크로 및 기타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대부분의 파우치는 천을 부모의 몸에 맞게 성형하고 단순한 일자 튜브보다 아기를 더 안전하게 잡아주기 위해 곡선으로 재봉된다. 착용자는 머리와 어깨 한쪽으로 파우치를 걸쳐 멜빵 스타일로 만들어 아기를 안을 포켓이나 자리를 만든다.

많은 소아과 의사와 아기 안기 전문가들은 파우치 슬링을 권장하지 않는데, 아기를 잘못 안을 경우 질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식 위험은 신생아와 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가장 크며, 일반적으로 아기의 턱이 가슴에 닿아 기도가 막히기 때문에 발생한다. 파우치 슬링은 또한 부모가 아이를 볼 수 있는 시야를 제한하여 질식 가능성을 높인다. 파우치 슬링을 사용할 때는 아기의 얼굴을 높게 유지하고 잘 보이도록 해야 한다.

2. 3. 랩 (Wraps)

랩(때로는 "랩어라운드" 또는 "랩어라운드 슬링"이라고도 함)은 직물의 길이(보통 2m에서 6m, 너비 38cm~76cm)로, 아기와 착용자 모두를 감싸서 묶는 방식이다.[6] 랩을 사용하면 직물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안는 자세가 가능하다. 아기 또는 유아를 착용자의 앞, 뒤 또는 엉덩이에 안을 수 있다. 짧은 랩의 경우 파우치나 링 슬링과 유사하게 한쪽 어깨에 안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안는 방식은 착용자의 양쪽 어깨 위로 직물을 통과시키고 허리 주위를 감싸 최대의 지지력을 제공한다.[6]

랩에는 크게 스트레치 랩과 우븐 랩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스트레치 랩은 일반적으로 저지나 인터록과 같은 니트 소재로 만들어진다. 스트레치 랩에서는 아기를 쉽게 넣고 뺄 수 있다. 이 슬링은 종종 묶인 상태로 유지되고 필요에 따라 아기를 들어 올리고 다시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더 편리할 수 있다. 스판덱스 또는 라이크라 성분이 포함된 캐리어는 매우 신축성이 있는 경향이 있고, 100% 면 또는 기타 천연 섬유로 만들어진 캐리어는 길이 방향으로 덜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우븐 랩은 다양한 두께의 직물 조각이다. 일반적으로 면과 같은 천연 섬유가 선택되지만, 삼, 린넨, 실크, 양모도 사용된다. 다양한 직조 방식이 사용된다. 가장 흔한 것은 단순한 올-언더(over-under) 직조, 트윌(twill), 자카드(jacquard)를 사용한 수제 또는 손으로 짠 직물이다. 대부분의 직조 방식은 대각선 방향으로 어느 정도 늘어나거나 신축성을 제공한다.

2m~6mde 길이, 폭 50cm~70cm의 천으로, 보호자와 아기를 감싸듯이 감싸는 형태이다. 1972년 독일에서 제품화되었으며, 처음에는 슬링처럼 허리 안기로 사용되었지만, 천이 점차 길어지면서 마주보기 안기나 업기를 위한 다양한 묶는 방법이 개발되었다.[14]

2. 4. 천 (Simple pieces of cloth)

아기를 수제 스트레치 랩 슬링에 안은 남자


천 조각은 아기를 안고 있는 사람과 아기 주변에 천을 감싸고 매듭을 묶거나 비틀고 집어넣는 방식으로 끝을 고정하여 슬링으로 만들 수 있다. 레보조(멕시코), 만타(페루), 캉가(아프리카) 및 셀렌당(인도네시아)은 모두 직사각형 천 조각이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묶거나 감싸서 사용한다. 랩 역시 간단한 천 조각이다.

2. 5. 포대기 및 기타 아시아 스타일 아기띠



포대기(포대기|podaegi한국어)는 매우 긴 끈에 매달린 중간 크기에서 큰 사각형 천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아기 띠이다.[1] 전통적으로 사각형은 보온을 위해 퀼팅 처리되어 있으며, 엄마의 몸통을 감싸고, 끈은 아기의 엉덩이 아래로 꽉 감겨져 아기를 지지하고 엄마의 등에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앞으로 묶는다. 포대기 스타일에 대한 서양의 관심은 어깨 위로 넘어가는 새로운 묶는 방법과 더 좁은 "담요"로 이어졌다. 이 형태의 변형에는 이우-미엔/몽족 아기 띠와 중국의 베이 베이가 있다. 이우-미엔/몽족 아기 띠와 베이 베이는 모두 일반적으로 어깨 위로 감싸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머리 지지대를 제공하거나 바람을 막는 데 도움이 되는 뻣뻣한 부분이 있는 경우가 많다.

메이 타이 아기 띠


중국의 메이 타이(Mei Tai)는 어깨에 매는 의미의 '메이'(mei)와 끈 또는 밴드를 의미하는 '타이'(tai)로, 각 모서리의 측면에서 평행하게 패딩 처리되지 않은 끈이 나오는 사각형 또는 거의 사각형 천 조각이다.[2] 전통적으로 모든 끈을 꼬아서 끝을 끼워 넣어 고정했다. 전통적인 메이 타이의 변형은 1960년대 호주에서 대중화되었다. 현재 다양한 기능을 갖춘 수백 개의 서로 다른 브랜드의 메이 타이가 있으며, 더 긴 끈, 더 키가 큰 몸통 및 랩 스타일 묶는 방식이 거의 모든 제품에서 발견된다. 메이 타이는 출생부터 부모가 지탱할 수 있는 무게까지 아이들을 앞이나 뒤에 안기에 적합하다.

일본에서의 전통적인 아기 띠 착용은 오비를 사용하여 랩 캐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3] 1940년대에는 온부히모라고 알려진 아기 띠가 인기를 얻었다. 몽족 및 메이 타이 아기 띠와 유사하게, 온부히모는 긴 상단 끈과 사각형 몸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각형의 하단에는 루프 또는 링이 있어 상단 끈을 통과시켜 조일 수 있으며, 끈은 허리에 묶는다. 몸통은 대부분의 메이 타이 및 기타 아시아 스타일 아기 띠보다 훨씬 작으며, 온부히모는 전통적으로 등에 사용된다. 변형에는 몸통에 뻣뻣한 머리 받침대 또는 패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본 형태의 변형은 전 세계 다른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4] 메이 타이와 유사한 아기 띠는 스웨덴아프리카와 같이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었다.

2. 6. 기타 아기띠

최근에는 앞이나 뒤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힙 캐리어, 소프트 구조화 캐리어(SSC)와 구조화된 앞면 팩하드 프레임 백팩도 사용된다. 힙 캐리어는 링 슬링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메이 타이와 더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잠금 장치가 서로 다른 모델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소프트 구조화 캐리어는 전통적인 메이 타이를 기반으로 하며, 주요 평면 패널과 편리성을 위해 버클로 짧게 만들어진 네 개의 끈을 가지고 있다.[1]

여성이 뒷면에 얼고베이비(ERGO Baby) 캐리어를 착용하고 있는데, 이는 인기 있는 브랜드의 소프트 구조화 캐리어이다.


하드 프레임 백팩 아기 캐리어

3. 역사

전통적으로 아기 끈과 아기 운반 도구는 문화권에서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방식을 단순하게 변형한 것이었다. 바구니, 조롱박, 동물 가죽, 나무로 된 운반 구조물 등이 모두 유아와 어린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의 어머니들은 아이를 안기 위해 포대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누이트 어머니들은 아이를 운반하기 위해 포장 파카 또는 아마우티를 계속 사용한다. 서양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캠핑용 배낭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운반 도구를 만들어냈다.

4. 안는 자세

아기띠를 사용할 때 아기는 슬링 안에서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여기에는 수직 자세, 캥거루 안기, 앞 안기, 엉덩이 안기, 뒤 안기가 포함된다. 이전에 안기 자세로 여겨졌던 요람 안기는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입증되어 사용해서는 안 된다.[8]

5. 안전성

포대기 사용 시 질식, 발육성 고관절 형성 부전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백 슬링" 스타일에서 질식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컨슈머 리포트는 2009년에 이 유형의 모든 슬링에 대한 리콜을 촉구했다.[9][10][11] 컨슈머 리포트는 이러한 스타일보다 메이 타이나 소프트 구조화된 운반기, 백팩 아기 운반기를 권장한다.[12] 아기의 얼굴, 코, 입이 항상 보이도록 유지한다면 다른 유형의 슬링도 안전하다는 주장도 있다.

5. 1. 질식 위험

포대기를 착용한 아기들이 질식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특히 "백 슬링" 스타일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다. 컨슈머 리포트는 2009년에 이 유형의 모든 슬링의 리콜을 촉구했다.[9][10][11] 컨슈머 리포트는 이러한 스타일보다 소프트 유아 운반기(메이 타이 또는 소프트 구조화된 운반기)와 백팩 아기 운반기를 권장한다.[12] 옹호자들은 아기의 얼굴, 코, 입이 항상 보이도록 유지한다면 다른 유형의 슬링도 안전하다고 주장한다.

2010년 3월, 미국 소비자 제품 안전 위원회는 목을 가누지 못하는 유아에게 포대기를 사용할 때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15] 뼈 형성이 덜 된 아이가 포대기 안에서 목을 과도하게 앞으로 숙임으로써 기도가 완전히 꺾여 질식하는 사망 사고가 미국 내에서만 과거 14건, 2009년에만 3건 발생했으며, 포대기 사용 중에는 경부가 과도하게 앞으로 숙여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안색을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가 포대기 안으로 파묻히지 않도록 보호자가 유의해야 한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Visible & Kissable】(얼굴이 보이고, 머리나 이마에 키스할 수 있는 안기)를 제창하며 보급에 힘쓰고 있다.

5. 2. 발육성 고관절 형성 부전 위험

일본에서는 2003년 10월에 베이비 슬링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보급하기 위해 일본 베이비 슬링 협회가 발족했다. 협회에서는 일본 소아 고관절 연구회와 협의한 결과, 발육성 고관절 형성 부전이 많다고 여겨지는 일본 신생아에게는 베이비 슬링 사용 시에도 세로로 안는 자세를 사용하고, 대퇴부를 벌리고 고정하지 않도록 안는 "신생아의 기본 안기"를 제창하고 있다.[16] 일본 소아 정형외과학회는 고관절 탈구 예방을 위해 세로 안기(코알라 안기)를 권장하고 있다.[17]

5. 3. 기타 안전 고려 사항

개인이 직접 포대기를 제작하는 경우, 천의 강도와 봉제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링 슬링의 경우, 링의 강도가 충분한지 확인해야 하며, 아크릴제 링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천을 가로지르는 봉제선은 파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5]

6. 상표

일본에서는 "베이비 슬링(babysling)"이 상표 등록되어 있으며, 권리자는 미국의 Nojo사이다. 일본 국내에서 "베이비 슬링"이라는 명칭을 상품에 사용하면 상표 위반이 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Baby slings - RoSPA https://www.rospa.co[...] 2022-06-23
[2]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slings and carriers https://www.nct.org.[...] 2022-06-23
[3] 웹사이트 All about the marvellous meh dai, bei dai (mei tai) and variants https://www.carrying[...] 2022-06-23
[4] 웹사이트 What Babywearing Means: Our Story http://www.askdrsear[...] Askdrsears.com 2009-05-09
[5] 웹사이트 Pouches and Slings http://www.thebabywe[...] Thebabywearer.com 2009-05-09
[6] 웹사이트 The Art of Babywearing: Wraparound Carriers http://www.theopinio[...] Theopinionatedparent.com 2009-05-09
[7] 서적 Babies Celebrated Fontanel, B. 1998
[8] 웹사이트 Babywearing: Advantages, Positions, and Choice of Carrier http://parentsneed.c[...] 2016-05-27
[9] 웹사이트 Baby sling carriers raise safety concerns http://blogs.consume[...] Blogs.consumerreports.org 2008-04-09
[10] 웹사이트 Baby deaths raise concerns about Infantino slings http://blogs.consume[...] Blogs.consumerreports.org 2009-10-26
[11] 뉴스 Infantino baby slings recalled in US and Canada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3-24
[12] 웹사이트 Baby slings: Tips and warnings https://www.consumer[...] 2018-12-19
[13] 문서 (特集)スリングって、どこからきたの? http://www.babyweari[...] 北極しろくま堂メールマガジン
[14] 웹사이트 ディディモスのはじまり https://didymos.jp/p[...] 株式会社オンフィリア 2022-05-24
[15] 문서 Infant Deaths Prompt CPSC Warning About Sling Carriers for Babies http://www.cpsc.gov/[...] 미국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
[16] 문서 診断と治療社 チャイルドヘルス(第16巻・第6号) http://www.japanbaby[...] 스링 안전한 스링을 선택 포인트와 올바른 사용법
[17] 웹사이트 赤ちゃんが股関節脱臼にならないよう注意しましょう http://www.jpoa.org/[...] 日本小児整形外科学会 2022-05-24
[18] 웹인용 '포대기' 열풍에 세계인 올레! 인기 끄는 이유 봤더니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2-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