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는 1444년 포르투갈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후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대서양 노예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1770년 수도가 프라이아로 이전되었다. 20세기 초 민델루 항구의 중요성이 감소하고, 잦은 기근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기간 중 기니비사우와 독립 운동이 연계되었으며,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협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여 1975년 7월 5일 독립을 맞이했다.
1444년 포르투갈의 엔히크 항해왕자와 아폰수 5세를 섬기던 안토니우 뇨리가 카보베르데 제도를 발견했다.[26][1][17] 1460년 안토니우 데 뇨리와 디오구 고메스가 산티아구섬을 포함한 남동부 섬들을, 1461년 또는 1462년 디오구 아폰수가 상니콜라우섬, 상비센트섬, 산투안탕섬 등 북서부 섬들을 발견했다. 포르투갈인들이 도착하기 전 카보베르데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26][1][17]
2. 역사
1462년 포르투갈인들은 산티아구섬 남쪽 해안에 시자데 벨랴(리베이라 그란데)를 건설하여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식민지화의 주요 거점으로 삼았다. 이후 카보베르데는 프랜시스 드레이크 (1585년)와 자크 카사르 (1712년) 등 해적들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1] 1587년 부터 1593년까지 상 필리페 요새가 건설되었지만, 리베이라 그란데는 여전히 취약했고 쇠퇴하여, 1770년 수도는 프라이아로 이전되었다.[7]
1680년 포구 산 폭발로 많은 주민들이 브라바섬으로 피난했고,[8] 18세기 말부터 북아메리카 포경선들이 브라바섬을 보급 기지로 활용하며 주민들을 선원으로 고용했다. 이들 중 일부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뉴베드퍼드에 정착하기도 했다.[1] 1800년경 살섬에서 소금 채취량이 증가했고,[9] 1838년 민델루 항구에 석탄 공급 기지가 설치되면서 급격히 성장했다.[10] 19세기 동안 프라이아는 격자형 계획에 따라 도로가 재정비되고 웅장한 식민지 시대 건물들이 들어섰다.[7] 1876년 카보베르데에서는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다.[11]
20세기 초, 민델루 항구는 선박 연료가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되고 경쟁 항구가 부상하면서 중요성을 잃었다.[27] 카보베르데는 건조한 기후 때문에 1580년대부터 1950년대 사이에 여러 차례 기근을 겪었으며, 특히 1941~43년과 1947~48년의 기근으로 약 4만 5천 명이 사망했다.[28] 많은 섬 주민들은 포르투갈령 상투메 프린시페 등지로 이주하여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29]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기간 동안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의 독립 운동은 서로 연계되었다. 1956년 아밀카르 카브랄과 루이스 카브랄 형제가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PAIGC)을 설립했다. 카보베르데에서는 무력 충돌이 없었고,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과의 협상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30] 1975년 7월 5일, 카보베르데는 독립했다.[32]
2. 1. 포르투갈의 발견과 초기 정착 (15세기)
1444년 포르투갈의 엔히크 항해왕자와 그의 친척 아폰수 5세를 섬기던 안토니우 뇨리가 카보베르데 제도를 발견했다.[26][1][17] 1460년 안토니우 데 뇨리와 디오구 고메스가 가장 큰 섬인 산티아구섬을 포함한 남동부 섬들을 발견했다. 1461년 또는 1462년 디오구 아폰수가 상니콜라우섬, 상비센트섬, 산투안탕섬 등 북서부 섬들을 발견했다. 포르투갈인들이 도착하기 전에는 카보베르데에 사람이 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26][1][17]
1462년 포르투갈인들은 산티아구섬 남쪽 해안에 시자데 벨랴(리베이라 그란데)를 건설했다. 이 정착지는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식민지화를 위한 주요 거점이 되었다.
2. 2. 대서양 무역과 노예 무역의 중심지 (16-19세기)
카보베르데는 프랜시스 드레이크 (1585년)와 자크 카사르 (1712년) 등 해적들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1] 1587년부터 1593년까지 상 필리페 요새가 건설되었지만, 리베이라 그란데는 여전히 취약했고 쇠퇴하였다. 결국 1770년, 수도는 프라이아로 이전되었다.[7]
1680년, 포구 산이 폭발하여 포구 섬 대부분이 화산재로 뒤덮였다. 이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브라바섬으로 피난하였다.[8] 18세기 말부터는 북아메리카의 포경선들이 아조레스 제도와 카보베르데 제도 주변에서 고래를 잡기 시작했다. 이들은 브라바섬의 항구를 보급 기지로 활용하며 물품과 식수를 조달했다. 또한, 브라바섬 주민들을 선원으로 고용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뉴베드퍼드 항구 주변에 정착하기도 했다.[1]
1800년경부터 살섬에서 소금 채취량이 증가했다.[9] 1838년에는 민델루 항구에 대서양 항해 선박에 석탄을 공급하기 위한 기지가 설치되면서 민델루는 급격하게 성장했다.[10] 19세기 동안 프라이아의 ''플라토'' 지구는 격자형 계획에 따라 도로가 재정비되었고, 웅장한 식민지 시대 건물과 저택들이 들어섰다.[7] 카보베르데에서는 1876년에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다.[11]
2. 3.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 (20세기)
20세기 초, 민델루 항구는 대서양 횡단 항해에서 그 중요성을 잃었다. 이는 선박 연료가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되고, 다카르와 카나리아 제도 같은 경쟁 항구가 부상했으며, 항만 시설에 대한 투자가 부족했기 때문이다.[27] 카보베르데는 대체로 건조한 기후 때문에 1580년대부터 1950년대 사이에 여러 차례 기근을 겪었다. 특히 1941~43년과 1947~48년에 발생한 두 차례의 기근은 최악으로, 약 4만 5천 명이 사망했다.[28] 많은 섬 주민들은 포르투갈령 상투메 프린시페 등지로 이주하여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29]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기간 동안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의 독립 운동은 서로 연계되었다. 1956년 아밀카르 카브랄과 루이스 카브랄 형제는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PAIGC)을 설립했다. 카보베르데에서는 무력 충돌이 없었고,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과의 협상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30] 1974년 8월 알제에서 포르투갈 정부와 PAIGC는 기니비사우 독립과 카보베르데 독립권을 인정하는 협정을 체결했다.[31] 1975년 7월 5일 프라이아에서 포르투갈 총리 바스코 곤살베스가 국회의장 아빌리오 두아르테에게 권력을 이양하면서 카보베르데는 독립을 맞이했다.[32]
카보베르데 섬 주민들은 교육 수준이 높아 포르투갈 행정부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 때문에 포르투갈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는 평판을 얻기도 했다.[32]
참조
[1]
문서
Valor simbólico do centro histórico da Praia
http://hdl.handle.ne[...]
Universidade Portucalense
2008
[2]
웹사이트
Cidade Velha, Historic Centre of Ribeira Grande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8-11-14
[3]
UNESCO
Centre historique de São Filipe
https://whc.unesco.o[...]
[4]
간행물
Inventário dos recursos turísticos do município de Ribeira Brava de São Nicolau
http://www.portaldoc[...]
Direcção Geral do Turismo
[5]
웹사이트
Judeus ibéricos deportados a São Tomé entre 1492-1497
http://www.morasha.c[...]
2013
[6]
웹사이트
Jews in Cape Verde and on the Guinea Coast
https://web.archive.[...]
[7]
UNESCO
Centre historique de Praia
https://whc.unesco.o[...]
[8]
학술지
Damage from lava flows: insights from the 2014–2015 eruption of Fogo, Cape Verde
2017-03-20
[9]
웹사이트
A History of Ilha do Sal
https://web.archive.[...]
[10]
문서
Génese e desenvolvimento da cidade do Mindelo: a preservação de uma identidade
https://dspace.uevor[...]
2016
[11]
학술지
Ending Slavery in Cabo Verde: Between Manumission and Emancipation, 1856-1876
https://vc.bridgew.e[...]
[12]
학술지
Cabo Verde: Gulag of the South Atlantic: Racism, Fishing Prohibitions, and Famines
[13]
학술지
Managing the Prospect of Famine. Cape Verdean Officials, Subsistence Emergencies, and the Change of Elite Attitudes During Portugal's Late Colonial Phase, 1939-1961
https://edoc.hu-berl[...]
[14]
서적
"The transition to democracy and Portugal's decolonization"
Intellect Books
[15]
문서
Acordo entre o governo Português e o Partido Africano da Independência da Guiné e Cabo Verde
http://www1.ci.uc.pt[...]
Centro de Documentação 25 de Abril
[16]
학술지
"The role of Cape Verdeans in war mobilization and war prevention in Portugal's African empire, 1955-1965."
https://www.jstor.or[...]
[17]
학위논문
Valor simbólico do centro histórico da Praia: Cabo Verde
https://hdl.handle.n[...]
[18]
웹사이트
Cidade Velha, Historic Centre of Ribeira Grande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8-11-14
[19]
간행물
Inventário dos recursos turísticos do município de Ribeira Brava de São Nicolau
https://hdl.handle.n[...]
Direcção Geral do Turismo
[20]
웹사이트
Jews in Cape Verde and on the Guinea Coast
https://web.archive.[...]
2022-09-25
[21]
UNESCO
Centre historique de Praia
https://whc.unesco.o[...]
[22]
학술지
Damage from lava flows: insights from the 2014–2015 eruption of Fogo, Cape Verde
2017-03-20
[23]
웹사이트
A History of Ilha do Sal
https://web.archive.[...]
2022-09-25
[24]
학위논문
Génese e desenvolvimento da cidade do Mindelo: a preservação de uma identidade
https://hdl.handle.n[...]
[25]
학술지
Ending Slavery in Cabo Verde: Between Manumission and Emancipation, 1856-1876
https://vc.bridgew.e[...]
[26]
문서
Valor simbólico do centro histórico da Praia
http://hdl.handle.ne[...]
Universidade Portucalense
2008
[27]
문서
Génese e desenvolvimento da cidade do Mindelo: a preservação de uma identidade
https://dspace.uevor[...]
2016
[28]
학술지
Cabo Verde: Gulag of the South Atlantic: Racism, Fishing Prohibitions, and Famines
[29]
학술지
Managing the Prospect of Famine. Cape Verdean Officials, Subsistence Emergencies, and the Change of Elite Attitudes During Portugal's Late Colonial Phase, 1939-1961
https://edoc.hu-berl[...]
[30]
서적
"The transition to democracy and Portugal's decolonization"
Intellect Books
[31]
문서
Acordo entre o governo Português e o Partido Africano da Independência da Guiné e Cabo Verde
http://www1.ci.uc.pt[...]
Centro de Documentação 25 de Abril
[32]
학술지
"The role of Cape Verdeans in war mobilization and war prevention in Portugal's African empire, 1955-1965."
https://www.jsto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