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제는 알제리 북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수도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페니키아 시대부터 로마, 아랍,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문명의 지배를 받았으며, 1830년 프랑스에 점령되어 프랑스령 알제리의 수도가 되었다. 1962년 알제리 독립 이후 알제리는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아프리카의 노트르담 대성당, 순교자 기념비, 중앙우체국 등이 있으며, 알제 지하철, 트램, 버스 등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항구 도시 - 오랑
오랑은 알제리 북서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베르베르인에 의해 건설되어 지중해 연안의 주요 무역 거점으로 성장했으며, 스페인, 오스만 제국, 프랑스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알제리의 주요 항구이자 상업 중심지, 라이 음악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 알제리의 항구 도시 - 안나바
알제리 북동쪽에 위치한 안나바는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고대에는 아프로디시움으로 번성했고, 여러 문명의 지배를 거쳐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는 본이라 불렸으며, 현재는 철강 산업과 관광으로 알려진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의 도시이다. - 알제리의 세계유산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세계유산 - 팀가드
팀가드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에 의해 건설된 군사 식민 도시로,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기독교와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가 8세기 초 이슬람 정복 이후 멸망하여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아랍 세계 - 튀니스
튀니지는 튀니지의 수도이자 북아프리카 주요 도시로서, 고대 카르타고 위성 도시에서 로마 시대 농업 중심지를 거쳐 아랍 왕조들의 지배와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지나 튀니지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 도시 시설이 공존한다. - 아랍 세계 - 트리폴리 (리비아)
트리폴리는 리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주요 항구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여 "지중해의 인어"라고도 불리며, 기원전 7세기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오에아에서 유래하여 오랜 역사 동안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1951년 리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어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2011년 리비아 내전과 이후 혼란을 겪기도 했다.
알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다른 이름 | al-Jazāʾir |
별칭 | 알제 백색 도시 알제 현혹적인 도시 |
유형 | 수도 |
관할 구역 | 알제 주 |
하위 구역 | 시디음하메드 구 |
설립 구분 | 통합 |
설립일 | 944년 |
면적 | 363 제곱킬로미터 |
도시권 면적 | 1190 제곱킬로미터 |
인구 (2011년) | 4,510,000명 |
인구 밀도 | 12,424 명/제곱킬로미터 |
도시권 인구 밀도 | 7012 명/제곱킬로미터 |
시간대 | 중앙 유럽 표준시 |
UTC 오프셋 | +01:00 |
여름 시간제 | (미관찰) |
최소 고도 | 2 미터 |
최대 고도 | 424 미터 |
우편 번호 유형 | 우편 번호 |
우편 번호 | 16000–16132 |
지역 번호 | (+213) 021 |
차량 등록 번호 | 16 |
기후 | Csa |
HDI | 0.825 |
행정 | |
시장 | 왈리 (지사) |
시장 이름 | Ahmed Maâbed (2021년 이후) |
문화유산 | |
명칭 | 알제 카스바 |
지정일 | 1992년 (제16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
유형 | 문화 |
기준 | ii, v |
지정 번호 | 565 |
지역 | 북아프리카 |
추가 정보 | |
주요 건축물 | |
![]() | |
![]() | |
![]() | |
![]() | |
![]() | |
![]() | |
![]() | |
![]() |
2. 지명
알제라는 지명은 프랑스어와 카탈루냐어 Algerca[6]를 거쳐 아랍어 이름 (الجزائرar), 즉 "섬들"에서 유래했다. 이 이름은 1525년 본토의 일부가 되기 전에 도시 해안가에 있던 네 개의 섬을 가리킨다. 는 도시의 옛 이름 (جزائر بني مزغانةar), 즉 "바누 Mazghanna의 섬들"의 축약형으로,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와 야쿠트 알 하마위 같은 초기 중세 지리학자들이 사용했다. 이 이름은 950년에 불루긴 빈 지리가 페니키아 도시 이코시움(Icosium) 폐허 위에 도시를 건설하면서 붙여졌다.[7]
고대 그리스 시대에 그리스인들은 이 도시를 ()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로마 공화정 지배 하에 라틴어화되어 이코시움(Icosium)이 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스무 개"를 의미하는 단어 (εἴκοσιgrc, )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했는데, 이는 헤라클레스가 과업 중 아틀라스 산맥을 방문했을 때 그의 동료 20명이 세웠기 때문이라고 한다.[9]
알제는 흰색으로 칠해진 건물들 때문에 (البهجةar, "즐거운") 또는 "흰 알제"()로도 알려져 있다.
아랍어 명칭 ''الجزائر Al-Jazāʾir''(알-자자이르)는 “섬들(섬의 복수형)”을 뜻하지만, 이는 960년경 이 지역을 지배했던 지리드 왕조가 연안의 섬들을 جزاير بني مزغنة (자자이르 바니 마즈간나/마즈간나족의 섬들)이라고 명명한 데서 시작된다.[63] 이 섬들은 요새로 확장되어 본토와 육지로 연결되었고,[64] 그 주변에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도시 이름도 이 명칭을 이어받았다.
이후 지명의 첫 번째 단어인 جزاير ''Jazāʾir''(자자이르)에 정관사를 붙인 الجزائر ''Al-Jazāʾir''로 축약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정관사를 포함한 알제는 도시의 공식 명칭이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이 도시 일대의 광역 지명도 알제라고 불렸기 때문에, 알제리와 알제 모두 아랍어 명칭은 같다.
프랑스어와 카탈루냐어에서는 예로부터 알제가 변형된 ''Alger''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영어를 비롯한 외래명칭의 대부분은 여기서 유래한다.
3. 역사
1510년, 스페인이 만의 작은 섬 중 하나인 페니옹 섬을 점령하여 알제 요새(Peñón de Argel)로 삼았다. 1516년 바르바리 해적의 바르바로사 형제가 알제 점령에 성공했고, 1518년에는 오스만 제국에 귀속될 것을 선언했다. 1529년 바르바로사 하이레딘은 알제 점령에 성공하여 스페인인을 몰아냈다.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알제리에 이르는 지중해의 제해권을 장악했고, 1541년 스페인의 알제 원정은 실패했다. 오스만 제국 지배 시대의 알제는 오스만 함대의 근거지가 되어 유럽 여러 국가로부터 "해적 해안"으로 두려움을 받으며 230년 동안 행정, 무역, 지중해에서의 해적 활동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1775년 스페인의 알제 침공과 1783년 알제 포격은 실패했지만, 1784년 스페인, 포르투갈, 양시칠리아 왕국, 몰타 기사단 연합군의 알제 포격은 성공했다. 1815년 미국 함대의 원정으로 미국 선박에 대한 공격 중지를 약속하는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으나, 해적 활동이 계속되자 1816년 네덜란드와 영국 연합 함대가 알제 포격으로 알제리아 함대를 거의 괴멸시키고 지중해 제해권을 장악했다(제2차 바르바리 전쟁). 1830년 프랑스의 알제리 침공으로 오스만 함대로서의 알제는 막을 내렸다.
프랑스 지배는 1962년 독립까지 이어졌다. 프랑스는 알제를 식민 행정 근거지로 삼아 도시 개발을 진행, 해안에 프랑스식 근대 도시를 건설하여 현재 알제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비시 프랑스에 속했다가 1942년 토치 작전으로 연합군에 해방된 후, 연합군의 북아프리카 사령부와 샤를 드 골의 자유 프랑스 정부가 설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적인 탈식민지화의 흐름 속에서 알제리의 독립 운동이 고조되고, 알제리 전쟁(1954년 - 1962년)이 시작되자, 알제는 알제 전투(1966년에 영화화된 「알제리 전투」로 알려진 전투)에서 프랑스군과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FLN) 사이의 전장이 되었다. 1962년 독립 후, 알제에서 철수한 피에 누아르를 대체하듯 인구가 집중되어 주택 부족과 물 부족 등 여러 가지 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3. 1. 초기 역사
이 도시의 역사는 기원전 12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무역 거점을 설치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어 이코시움이라고 불렸지만, 5세기 중엽 반달족의 침략을 받았다. 이후 동로마 제국이 지배했으나, 650년 아랍인에게 함락되었다.
950년경, 토착 베르베르인의 지리드 왕조가 현재의 시가지를 건설하면서 "알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알제"는 아랍어로 "섬들"을 의미하는 "알 자자이르"에서 유래한다. 그 후 500년 동안 유럽, 아랍, 베르베르 군인들이 번갈아 이 도시를 지배했다.
3. 2. 중세 역사
534년, 반달 왕국은 동로마 제국의 장군 벨리사리우스에게 정복당했고, 이코시움(Icosium)은 제국 영토가 되었다. 7세기 초, 이븐 칼둔이 언급한 바와 같이 산하자에 속한 베르베르 부족인 "베니 메즈게나(Beni Mezghenna)"가 이코시움 평원과 그 주변 지역에 정착했다.[10] 그 직후, 7세기 후반에는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으로 우마이야 칼리파가 이 지역에 진출했지만, 680년대 카히나와 쿠사일라가 이끄는 베르베르 세력의 저항에 직면했다. 그러나 하산 이븐 알 누만과 무사 이븐 누사이르는 나중에 두 베르베르 지도자를 모두 패퇴시켰고, 맘마 전투(688년)에서 쿠사일라를, 타바르카 전투(702년)에서 디히야(Dihya, 카히나)를 죽였다. 이로 인해 베르베르 부족들이 정복당했고, 북아프리카에 이슬람 지배가 확립되었다. 약 750년에는 압바스 칼리파가 우마이야 칼리파를 계승했다. 마그레브 전역의 독립 운동으로 이드리스 왕조와 아글라브 왕조라는 두 국가가 분리되었지만, 바그다드의 압바스 왕조의 대리인 역할을 했다. 이코시움은 아글라브 왕조의 손에 넘어가 버려졌다. 그들은 909년 파티마 왕조에 의해 타도되었고, 파티마 왕조는 969년까지 이프리키야 전체를 지배하게 되었다.
현재의 도시는 972년, 파티마 칼리프 알무이즈에 의해 알 카이라완 총독이자 그들의 국가인 지리드 왕조가 적대 세력인 제나타 부족으로부터 탈환할 수 있는 모든 영토의 총독으로 임명된 불루긴 이븐 지리에 의해 재건되었다. 그의 국가는 그에 따라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약 1014년, 바디스 이븐 알 만수르 통치하에 왕조는 동쪽의 알 카이라완에 있는 지리드 왕조와 칼알트 바니 하마드에 있는 하마드 왕조로 나뉘었다. 이코시움의 새로운 이름인 "자자이르 바니 마즈가나(Jazaʾir Banī Mazghanna)", 즉 일반적으로 "알제"(Algiers)로 알려진 곳은 하마드 왕조에 편입되었다.[11] 하마드 왕조는 1067년 베자이아로 수도를 옮겨 북아프리카 대부분이 무정부 상태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무역을 계속했다.
1079년, 알모라비드 제국의 산하자 지도자인 이븐 타슈핀은 마라케시에서 2만 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현재 틀렘센으로 향하게 하여 그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제나타 부족인 "바누 야알라(Banu Ya'la)"를 공격했다. 마즈달리 이븐 틸라칸이 이끄는 군대는 물루야 강 계곡 근처에서 바누 야알라를 격파하고 틀렘센 통치자의 아들인 그들의 지휘관을 처형했다. 그러나 마즈달리 이븐 틸라칸은 우이다가 함락하기에는 너무 강력했기 때문에 곧바로 틀렘센으로 진격하지 않았다. 대신, 이븐 타슈핀 자신이 1081년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우이다를 점령한 다음 틀렘센을 정복하고 그곳에 있던 마그라와 병력과 그들의 지도자를 학살했다. 그는 계속 진격하여 1082년에는 "자자이르 바니 마즈가나(Jazaʾir Banī Mazghanna)"를 점령했다.
1151년, 압드 알 무민은 동쪽으로 원정을 떠나 1152년 8월 하마드 왕조의 수도인 베자이아를 정복했다. 그들의 진격 과정에서 베니 메즈게나(Beni Mezghanna)는 항복하지 않았고, 이제 알모하드 칼리파의 지배하에 있게 되었다. 칼리파는 특히 1235년 틀렘센 왕국처럼 그들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국가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 도시는 다시 지야니드 왕조의 술탄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약 1200년경 미티자 평원에 정착한 타알리바 아미르들 아래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
3. 3. 오스만 제국 통치
1516년, 알제의 아미르 셀림 빈 테우미는 코르세어 형제 오루치 레이스와 하이레딘 바르바로사에게 스페인을 축출하도록 초청했다. 오루치 레이스는 알제에 와서 셀림의 암살을 명령하고 도시를 장악하여 스페인을 축출했다(1516년 알제 점령). 1518년 스페인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오루치를 계승한 하이레딘은 이후 알제리의 베일릭(beylik)이 된 파샬룩(pashaluk)의 창시자였다(1518년 틀렘센 함락). 바르바로사는 1524년 알제를 잃었지만 1529년 알제 페뇬 점령으로 되찾았고, 이후 술레이만 1세에게 영토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고 알제를 오스만 제국에 병합하도록 공식적으로 초청했다.[12]
이때부터 알제는 바르바리 해적의 주요 근거지가 되었다. 1541년 10월 알제 원정에서 스페인 국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도시를 점령하려 했지만 폭풍으로 많은 배가 파괴되었고, 주로 스페인인으로 구성된 3만 명의 군대가 하산 파샤 지휘 아래 알제리인들에게 패배했다.[12]
형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에 속했지만 본질적으로 오스만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던 알제는 16세기부터 해적 행위와 몸값 요구에 나섰다. 오스만과 유럽 경제권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유럽 해운과 해군의 통제를 점점 더 받는 지중해에 존재를 의존했기 때문에 해적 행위가 주요 경제 활동이 되었다. 서지중해의 해운을 방해하고 아이슬란드 북부까지 노예 습격을 감행한 해적들을 진압하려는 여러 국가의 반복적인 시도가 있었다.[13] 17세기에는 도시 10만 명의 주민 중 최대 40%가 유럽인 노예였다.[14] 미국은 알제의 해운 공격으로 인해 두 차례의 전쟁(제1차 및 제2차 바르바리 전쟁)을 치렀다.
몸값을 위해 억류되었던 주목할 만한 인물 중에는 미래의 스페인 소설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있는데, 그는 알제에서 거의 5년 동안 감금되어 알제를 배경으로 한 두 편의 희곡을 썼다. 현지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이 시대 알제에 대한 지식의 주요 출처는 디에고 데 아에도가 출판했지만 저작권이 논란이 되는 『알제의 지리와 일반 역사』(1612년 출판, 그러나 더 이전에 쓰여짐)이다.[15][16]
당시 알제에는 상당수의 배교자, 즉 기독교에서 이슬람으로 자발적으로 개종한 사람들, 특히 법망을 피하거나 다른 문제로 고향을 떠난 사람들이 살았다. 일단 이슬람으로 개종하면 알제에서 안전했다. 많은 사람들이 알제의 재무관이 된 영국인 샘슨 로울리와 같이 권력 있는 직책을 차지했다.[17]
오스만 통치하의 도시는 해안선을 따라 포함하여 사방이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성벽에는 다섯 개의 문이 있어 도시로 진입할 수 있었고, 각 문에서 다섯 개의 도로가 도시를 나누어 케차와 모스크 앞에서 만났다. 1556년에는 성벽의 가장 높은 지점에 시타델인 데이의 궁전이 건설되었다. 남북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가 도시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상류 도시는 약 50개의 작은 지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안달루시아인, 유대인, 무어인, 카빌족 공동체가 거주했다. 하류 도시는 도시의 행정, 군사, 상업 중심지였으며 주로 오스만 터키 고관과 기타 상류층 가족들이 거주했다.[18]
1816년 8월 27일, 에드워드 펠로우, 엑스마우스 자작 지휘하에 있는 영국 함대가 네덜란드 왕국의 군함과 함께 알제의 코르세어 함대를 파괴하는 알제 폭격을 감행했다.[19][12]
프랑스와 알제 레젠시는 19세기에 양국을 괴롭히던 바크리-부스나흐 사건이라는 상업적-정치적 갈등을 겪었다.
1827년 4월 29일, 외국 영사와 외교관들이 데이의 궁전에 모여 알제 레젠시 통치자 후세인 데이와 회의를 가졌다. 프랑스가 미지급 채무를 지불하지 못했기 때문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나중에 "파리채 사건"으로 불리는 격렬한 순간에 데이는 프랑스 영사의 얼굴을 파리채 손잡이로 때렸다.[20][21]
3. 4. 프랑스 식민 통치
프랑스의 지배 아래 알제는 1834년 6월 22일 공식적인 병합 선언에 따라 "프랑스 공화국"의 일부가 된 프랑스령 알제리의 수도가 되었다.[23] 이후 프랑스는 알제리 정복을 완료하는 데 집중했는데, 이는 알제리 평정 노력과 목표를 공유했다. 즉, 토착민의 삶의 방식이나 땅에 대한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고 아프리카에 유럽의 문화, 경제, 정치적 영향력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프랑스 기준과 건축 양식에 맞추어 도시의 모습을 변화시키려는 계획은 도시를 확보한 직후 시작되었다. 원래 카스바는 바다까지 이어져 있었지만, 구시가지의 성벽과 하부를 철거하고 현재의 "순교자 광장"을 건설한 후 언덕 위로 밀려났다.[24] 도시를 둘러싸거나 지중해를 향하는 산책로와 대로를 건설하고, 새로운 거리를 만들고 "오스만" 양식으로 특징지어지는 아파트를 건설했다.[25]
유럽계 정착민들이 도시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다.[26] 그중 일부는 크레미외 법령에 따라 프랑스 시민권과 권리를 부여받은 소수의 "프랑스계 알제리인"을 구성했다. 반면, 토착민법은 "아랍인"과 "무슬림"의 열등성을 강요했고, 이들은 강제로 집에서 쫓겨나고 알제의 여러 지역에 출입 금지되어 인종, 종교, 언어에 따라 차별을 받았다.[27][28] 게다가, 모스크는 교회, 마구간으로 용도 변경되거나 영구적으로 철거 또는 폐쇄되었는데, 켓추아 모스크와 알리 비친 모스크가 그 예이다.[29]
1930년대에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는 식민 도시의 완전한 재설계 계획을 세웠다. 르 코르뷔지에는 알제의 도시 양식을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유럽 지역을 "무너지는 벽과 황폐한 자연, 전체적으로 더럽혀진 얼룩"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또한 도시에 거주하는 유럽인과 아프리카인 주민 간에 인식하는 생활 수준의 차이를 비판하며, "'문명인'은 구멍 속 쥐처럼 살고 있는 반면, '야만인'은 고독 속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다"는 상황을 묘사했다.[32]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결국 프랑스 행정부에 의해 무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알제는 횃불 작전의 일부인 터미널 작전에서 연합군이 처음으로 점령한 도시였다.
3. 5. 알제리 독립 전쟁과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후, 세계적인 탈식민지화의 흐름 속에서 알제리의 독립 운동이 고조되고, 알제리 전쟁(1954년 - 1962년)이 시작되자, 알제는 알제 전투(1966년에 영화화된 「알제리 전투」로 알려진 전투)에서 프랑스군과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FLN) 사이의 전장이 되었다.[1] 1962년 독립 후, 알제에서 철수한 피에 누아르를 대체하듯 인구가 집중되어 주택 부족과 물 부족 등 여러 가지 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
4. 지리
알제는 알제리 북중부에 위치하며, 알제 만을 따라 미티자 평원으로 뻗어 있다. "알제 사헬"과 부자레아 산맥 위와 주변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해발 약 2m에서 최고점 407m에 이른다.[36] 엘 하라시 와디는 도시 인근 지역인 엘 하라시를 지나 바다와 만나며, 마자프란 강은 알제 주와 티파자 주를 나누는 서쪽 외곽 근처에서 끝난다. 이 두 강은 "위단(Widan)"이라고 불리며, 텔 아틀라스 산맥에 인접한 "미티자"의 농업 수요를 충족하는 데 기여한다. 알제 시에서는 텔 아틀라스 산맥을 볼 수 있다.
도시는 해안 부근 저지대에 발달한 현대적인 지역과 해발 100m 이상 고지대에 위치한 구시가지로 나뉜다. 해안 부근은 “북아프리카의 파리”라는 말에 걸맞게, 프랑스령 알제리 시대의 영향으로 노트르담 대성당을 비롯한 프랑스풍 건축물이 즐비하다. 또한 지중해 연안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흰 벽의 건물이 많다. 내륙의 구시가지는 이슬람풍 건축물이 많고, 모스크가 많이 산재해 있다. 영화 ‘망향’의 무대로 알려진 카스바(성벽)는 1992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카뮈의 소설 ‘이방인’의 무대이기도 하다.
4. 1. 기후
알제는 쾨펜의 기후 구분상 지중해성 기후(Csa)에 속한다. 지중해와 인접해 있어 내륙 지역보다는 온화한 기온을 보인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600mm로, 대부분 10월에서 4월 사이에 내린다. 이는 지중해 연안 스페인의 대부분 지역보다 많고, 북아프리카 내륙의 반건조 또는 건조 기후와는 달리 지중해 연안 프랑스의 대부분 지역과 비슷한 수준이다.눈은 매우 드물게 내리는데, 2012년에는 100mm의 강설량을 기록하여 8년 만에 처음으로 폭설이 내렸다.[38]
2019년 PLOS One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가 2100년까지 약 2.5°C에 이르는 "중간" 시나리오(RCP 4.5) 하에서 2050년 알제의 기후는 호주 퍼스의 현재 기후와 가장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평균 기온은 2.6°C 상승하고, 가장 더운 달은 1.9°C, 가장 추운 달은 3.8°C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42][43] 기후행동추적기에 따르면 현재 온난화 경로는 2.7°C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RCP 4.5와 거의 일치한다.[44]
2022년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알제는 미래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아프리카 12개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이 보고서는 RCP 4.5 시나리오에서 2050년까지 이 도시들이 총 650억달러, 고탄소 배출 시나리오(RCP 8.5)에서는 865억달러의 누적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한다. 해수면 상승은 모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약 1만 년 동안 계속될 것이므로, 적응 대책 없이는 미래 해수면 상승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45] 알제의 카스바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가장 위협받는 10개의 아프리카 세계유산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6]
다음은 알제(다르 엘 베이다 국제공항, 1976–2005년 평균, 1838년~현재 극한값)의 기후 자료이다.[69][70][7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16.7 | 17.4 | 19.3 | 20.9 | 23.9 | 28.2 | 31.2 | 32.2 | 29.6 | 25.9 | 20.8 | 17.9 | 23.7 |
평균 최저 기온 (°C) | 5.5 | 5.9 | 7.1 | 8.8 | 12.3 | 16.1 | 18.9 | 19.8 | 17.6 | 14.2 | 9.8 | 7.2 | 11.9 |
평균 강수량 (mm) | 81.4 | 72.7 | 55.0 | 58.4 | 41.9 | 8.5 | 4.5 | 8.2 | 28.3 | 58.8 | 89.6 | 91.0 | 598.3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1.4 | 10.6 | 9.7 | 9.1 | 7.3 | 2.5 | 1.5 | 2.5 | 5.3 | 8.6 | 11.1 | 12.1 | 91.7 |
평균 상대 습도 (%) | 71 | 66 | 65 | 62 | 66 | 66 | 67 | 65 | 68 | 66 | 68 | 68 | 67 |
4. 2. 행정 구역
알제 시(및 주)는 13개의 행정구로 구성되며, 각 행정구는 여러 코뮌으로 나뉜다. 1998년과 2008년 인구 조사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47][3]이름 | 아랍어 이름 | 인구 (1998) | 인구 (2008) |
---|---|---|---|
밥 엘 우에드 | باب الوادي | 87,557 | 64,732 |
볼로진 | بولوغين | 43,283 | 43,835 |
카스바 | القصبة | 50,453 | 36,762 |
우에드 코리셰 | وادي قريش | 53,378 | 46,182 |
라이스 하미두 | الرايس حميدو | 21,518 | 28,451 |
'밥 엘 우에드 구' | 256,189 | 219,962 | |
바라키 | براقي | 95,247 | 116,375 |
레 옥깔리투스 | الكليتوس | 96,310 | 116,107 |
시디 무사 | سيدي موسى | 27,888 | 40,750 |
'바라키 구' | 219,445 | 273,232 | |
비르 무라드 라이 | بئر مراد رايس | 43,254 | 45,345 |
비르카뎀 | بئر خادم | 55,084 | 77,749 |
자스르 카센티나 | جسر قسنطينة | 82,729 | 133,247 |
히드라 | حيدرة | 35,727 | 31,133 |
사울라 | سحاولة | 31,388 | 41,690 |
'비르 무라드 라이 구' | 248,182 | 329,164 | |
비르투타 | بئر توتة | 21,808 | 30,575 |
울레드 셰벨 | أولاد الشبل | 16,335 | 20,006 |
테살라 엘 메르자 | تسالة المرجى | 10,792 | 15,847 |
'비르투타 구' | 48,935 | 66,428 | |
벤 악누 | بن عكنون | 19,404 | 18,838 |
베니 메수 | بني مسوس | 17,490 | 36,191 |
부자레아 | بوزريعة | 69,153 | 83,797 |
엘 비아르 | الأبيار | 52,582 | 47,332 |
'부자레아 구' | 158,629 | 186,158 | |
앵 베니앙 | عين البنيان | 52,343 | 68,354 |
셰라가 | الشراقة | 60,374 | 80,824 |
델리 이브라힘 | دالي إبرهيم | 30,576 | 35,230 |
엘 하마메트 | الحمامات الرومانية | 19,651 | 23,990 |
울레드 파예 | أولاد فايت | 15,209 | 27,593 |
'셰라가 구' | 178,153 | 235,991 | |
앵 타야 | عين طاية | 29,515 | 34,501 |
밥 에즈우아르 | باب الزوار | 92,157 | 96,597 |
보르주 엘 바흐리 | برج البحري | 27,905 | 52,816 |
보르주 엘 키판 | برج الكيفان | 103,690 | 151,950 |
다르 엘 베이다 | الدار البيضاء | 44,753 | 80,033 |
엘 마르사 | المرسى | 8,784 | 12,100 |
모하메디아 | المحمدية | 42,079 | 62,543 |
'다르 엘 베이다 구' | 348,883 | 490,540 | |
바바 하센 | بابا حسن | 13,827 | 23,756 |
두에라 | دويرة | 41,804 | 56,998 |
드라리아 | درارية | 23,050 | 44,141 |
엘 아슈르 | العاشور | 19,524 | 41,070 |
크라이시아 | خراسية | 17,690 | 27,910 |
'드라리아 구' | 115,895 | 193,875 | |
바슈제라 | باش جراح | 90,073 | 93,289 |
부루바 | بوروبة | 77,498 | 71,661 |
엘 하라슈 | الحراش | 48,167 | 48,869 |
우에드 스마르 | وادي سمار | 21,397 | 32,062 |
'엘 하라슈 구' | 237,135 | 245,881 | |
엘 마가리아 | المغارية | 30,457 | 31,453 |
위세인 데이 | حسين داي | 49,921 | 40,698 |
쿠바 | القبة | 105,253 | 104,708 |
모하메드 벨루이즈다드 (하마 안나서르) | الحامة العناصر | 59,248 | 44,050 |
'위세인 데이 구' | 244,879 | 220,909 | |
라우아 | الهراوة | 18,167 | 27,565 |
레가야 | رغاية | 66,215 | 85,452 |
루이바 | الرويبة | 49,881 | 61,984 |
'루이바 구' | 134,263 | 175,001 | |
알제 센터 | الجزائرالوسطى | 96,329 | 75,541 |
엘 마다니아 | المدنية | 51,404 | 40,301 |
엘 무라디아 | المرادية | 29,503 | 22,813 |
시디 엠 하메드 | سيدي امحمد | 90,455 | 67,873 |
'시디 엠 하메드 구' | 267,691 | 206,528 | |
마헬마 | محالمة | 14,810 | 20,758 |
라흐마니아 | الرحمانية | 5,759 | 7,396 |
수이다니아 | سويدانية | 11,620 | 17,105 |
스타우엘리 | سطاوالي | 38,915 | 47,664 |
제랄다 | زرالدة | 33,047 | 51,552 |
'제랄다 구' | 104,151 | 144,475 | |
'합계' | الجزائر | 2,562,428 | 2,988,145 |
5. 경제
알제는 중요한 경제,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이며, 시가총액 6000만유로의 증권거래소가 있다. 2024년 기준 알제리 GDP(510억달러)의 20%를 차지한다. 2007년 3월 기준으로 알제는 북아프리카 도시 중 생활비가 가장 비싸며, 세계적으로는 50위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한 계단 상승했다.[51]
에마르(EMAAR) 그룹의 이사회 의장인 모하메드 벤 알리 엘 아바르(Mohamed Ben Ali El Abbar)는 알제의 인민궁전(People's Palace)에서 열린 행사에서 알제리 대통령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Abdelaziz Bouteflika)에게 5개의 "대형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들은 소매 지역과 음식점 및 레저 시설을 갖춤으로써 알제시와 그 주변 지역을 변화시킬 것이다.
- 첫 번째 프로젝트는 도심에 위치한 "아가(Aga)" 기차역의 재정비 및 인프라 개발에 중점을 둔다. 하루 8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초현대식 역사는 교통망 중심지가 될 것이며, 주변에는 상업용 사무실, 건물 및 환승 여행객을 위한 호텔이 들어설 것이다. 쇼핑센터와 상업지역 꼭대기에 우뚝 솟은 3개의 고층 사무실 건물도 함께 건설될 것이다.
- 두 번째 프로젝트는 알제 만(bay of Algiers)과 관련이 없으며, 해안가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약 44km에 달하는 해안가 개발에는 마리나, 수로, 고급 호텔, 사무실, 고급 아파트, 고급 상점 및 레저 시설이 포함된다. 공해상에는 초승달 모양의 반도가 조성될 것이다. 알제 만 프로젝트에는 6개의 작은 섬(그중 4개는 원형)도 포함되며, 이 섬들은 다리와 마리나로 연결되고 관광 및 주거 단지가 들어설 것이다.
- 세 번째 프로젝트는 알제 지역 재구조화로, 프로젝트 주창자들은 "웰니스 도시"라고 부른다. 엘 아바르는 기자들에게 이 단지는 "관광과 웰빙 또는 관광과 휴식을 결합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지는 대학교, 연구센터, 의료센터를 포함한다. 또한 병원 단지, 요양 센터, 호텔 지구, 도시 중심지, 빌라와 아파트가 있는 온천도 포함될 예정이다. 대학교에는 의과대학과 500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남성 간호사 양성학교가 포함될 것이다. 캠퍼스에는 광범위한 연구실과 기숙사 건물을 건설할 수 있다.
- 또 다른 프로젝트는 알제 남동쪽 25km에 위치한 시디 아브델라(Sidi Abdellah)에 캠퍼스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 90ha 부지에는 쇼핑센터, 고급 아파트가 있는 주거 지역, 빌라와 호텔로 둘러싸인 골프장이 들어설 것이다. 주변 언덕에는 1,800개의 아파트와 40개의 고급 빌라를 포함한 주거 지역 2곳이 건설될 것이다.
- 다섯 번째 프로젝트는 알제 서쪽 25km에 위치할 콜로넬 아베스(Colonel Abbès) 관광 단지이다. 이 단지에는 여러 소매 지역, 회의 장소, 아파트와 바다 전망을 갖춘 빌라로 구성된 주거 지역이 포함될 것이다.[52]
알제 메디나(Algiers Medina)라는 또 다른 프로젝트가 건설 중이다. 이 프로젝트의 1단계는 거의 완료되었다.
아프리카 프랑스어권 국가를 위한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 사무실이 알제에 있다.[53]
알제 항구에서는 철광석, 인광석, 포도주, 코르크, 올리브, 오렌지류를 수출한다.
6. 문화
알제는 프랑스령 알제리 시대의 영향으로 지어진 유럽풍 건축물과 전통적인 이슬람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는 등 다양한 문화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가진 도시이다.
해안가 저지대에 위치한 현대적인 지역은 "북아프리카의 파리"라고 불릴 정도로 프랑스풍 건물들이 많으며, 노트르담 드 아프리크 대성당과 같이 눈에 띄는 건축물들이 있다. 반면, 언덕 위 고지대에 자리 잡은 구시가지는 이슬람 양식의 건축물과 수많은 모스크가 특징이다. 특히, 영화 '망향'의 배경이자 1992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카스바는 알제의 대표적인 역사 유적지이다. 또한, 알제는 알베르 카뮈의 소설 '이방인'의 배경이기도 하다.
6. 1. 건축
알제에는 카스바 지역 전체, 순교자 광장(ساحة الشهداءar), 정부청사(구 영국 영사관), 그랜드 모스크(Djamaa el Kebir, جامع الكبيرar), 뉴 모스크(Djamaa el Djedid, الجامع الجديدar), 켓샤와 모스크, 아프리카의 노트르담 로마 가톨릭 대성당, 바르도 국립 선사 및 민족학 박물관, 옛 알제 국립 도서관(1799~1800년에 지어진 무어 양식의 궁전), 영국 도서관을 연상시키는 스타일로 지어진 새로운 알제 국립 도서관 등 많은 공공 건물들이 있다.카스바의 주요 건물은 1516년 기존 건물 자리에 착공되어 프랑스 정복 때까지 데이(dey)의 궁전으로 사용되었다. 건물 중앙에는 도로가 나 있으며, 모스크는 병영으로 바뀌었고, 접견실은 폐허가 되었다. 미나레트와 일부 대리석 아치와 기둥, 데이의 보물이 보관되었던 지하실의 흔적이 남아 있다.[48]
그랜드 모스크(Djamaa el Kebir, Jamaa-el-Kebir, الجامع الكبيرar)는 알제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다. 유수프 이븐 타시핀에 의해 처음 건설되었지만 여러 번 재건되었다. 설교단(minbar, منبرar)에는 1097년에 건물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비문이 있다. 미나레트는 1324년 틀렘센의 술탄에 의해 건설되었다.[48] 모스크 내부는 정사각형이며 무어식 아치로 연결된 기둥으로 통로로 나뉘어져 있다.[48]
뉴 모스크(Djamaa el Djedid, Jamaa-el-Jedid, الجامع الجديدar)는 17세기 건물로 그리스 십자가 형태이며, 큰 흰색 돔과 네 귀퉁이에 작은 돔 네 개가 있다. 미나레트는 높이 27m이다. 내부는 그랜드 모스크와 비슷하다.[48]
성 삼위일체 교회(1870년 건축)는 이슬리 거리 남쪽 끝, 철거된 바브 아주운 요새(Fort Bab Azoun, باب عزونar) 자리 근처에 있다. 내부는 다양한 색깔의 대리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으며, 이들 대리석 중 많은 것에는 1580년(일부 자료에서는 1585년) 첫 영국 영사였던 존 팁턴 시대부터 알제의 영국 거주자들에 관한 기념 비문이 새겨져 있다. 한 비문에는 1631년 알제리 해적 두 팀이 아일랜드에 상륙하여 발티모어를 약탈하고 주민들을 노예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48]


카스바 기슭에 있는 켓샤와 모스크(Ketchaoua Mosque, Djamaa Ketchaoua, جامع كتشاوةar)는 1962년 독립 전에는 생필립 대성당이었으며, 1845년 1612년에 지어진 모스크를 개조하여 만들어졌다. 23개의 계단을 올라가는 주 출입구는 검은 줄무늬 대리석 기둥 네 개로 지탱되는 현관으로 장식되어 있다. 본당의 지붕은 무어식 회반죽 공예로 되어 있고, 흰색 대리석 기둥으로 지탱되는 일련의 아케이드 위에 놓여 있다. 이 기둥들 중 몇 개는 원래 모스크에 속한 것이었다. 예배당 중 하나에는 제로니모의 유골이 들어 있는 무덤이 있었다.[48] 건물은 무어와 비잔틴 제국 양식이 독특하게 혼합된 것처럼 보인다.
알제에는 법학, 의학, 과학, 문학 학교가 있는 대학이 있으며, 대학 건물은 크고 아름답다. 바르도 국립 박물관 (알제)에는 알제리아에서 발견된 고대 조각과 모자이크, 그리고 메달과 알제리아 화폐가 소장되어 있다.[48]
알제 항구는 모든 바람으로부터 안전하며, 북쪽의 구항(면적 95ha)과 남쪽의 아가 항구, 두 개의 인공 항구가 있다. 남쪽 방파제의 개구부는 아가 만에 건설된 아가 항구로 들어가는 입구를 제공한다. 아가 항구는 남쪽에도 독립적인 입구가 있다. 내항은 1518년 카이르 아드딘 바르바로사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그는 해적선을 수용하기 위해 포르트 페농이 있던 섬을 방파제로 본토와 연결했다. 포르트 페농 자리에 있는 등대는 1544년에 건설되었다.[48]
알제는 데이 시대부터 19세기 말까지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였다. 프랑스는 도시 점령(1830년) 후에 남쪽의 바브 아주운(Bab Azoun, باب عزونar)과 북쪽의 바브 엘 우에드(Bab-el-Oued, باب الوادar)라는 두 개의 종단 요새와 성벽, 흉벽, 해자를 건설했다. 20세기 초에 부자레아 고지대(해발 396m)에 요새가 건설되면서 요새와 성벽 일부가 철거되었다.[48]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 양식이 혼합된 아프리카의 노트르담 교회(1858~1872년 건축)는 부자레아 언덕 어깨에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눈에 띄는 위치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도시 북쪽으로 3km 떨어져 있다. 제단 위에는 흑인 여성으로 묘사된 성모 마리아상이 있다. 교회에는 나폴리 어부들의 친목회에 속한 은으로 만든 미카엘 (대천사)상도 있다.[48]
압델 티프 빌라는 과거 데이의 거주지였으며, 프랑스 시대에는 주로 화가인 프랑스 예술가들과 모리스 보이텔을 포함한 압델 티프 상 수상자들을 위해 2년 동안 사용되었다. 현재는 알제리아 예술가들이 다시 빌라의 스튜디오로 돌아왔다.
도시는 해안 부근 저지대에 발달한 현대적인 지역과 해발 100m 이상 고지대에 위치한 구시가지로 나뉜다. 해안 부근은 “북아프리카의 파리”라는 말에 걸맞게, 프랑스령 알제리 시대의 영향으로 노트르담 대성당을 비롯한 프랑스풍 건축물이 즐비하다. 또한 지중해 연안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흰 벽의 건물이 많다. 내륙의 구시가지는 이슬람풍 건축물이 많고, 모스크가 많이 산재해 있다. 영화 ‘망향’의 무대로 알려진 카스바(성벽)는 1992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카뮈의 소설 ‘이방인’의 무대이기도 하다.
6. 2. 관광 명소
- 아프리카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Notre Dame d'Afrique): 케이블카로 갈 수 있으며, 알제에서 가장 뛰어난 기념물 중 하나이다. 자르가라(Z' will ghara) 지역에 있으며 1858년경에 건설되었다.

- 순교자 기념비 (Monument des Martyrs)(Monument des Martyrs) (''마카엠 샤히드''(Marquand E' chahid)): 알제리 독립 전쟁을 기념하는 상징적인 콘크리트 기념물이다. 1982년 알제리 독립 20주년에 개장했다. 세 개의 서 있는 야자수 잎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아래에는 "영원한 불꽃"이 있다. 각 야자수 잎 가장자리에는 알제리 투쟁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병사의 동상이 서 있다.
- 순교자 광장(Place des Martyrs) 항구 근처에 있는 엘 제디드 모스크(El Jedid mosque).

- 아미르 압델카데르 광장(Place of the Emir Abdelkader) (이전 명칭: 뷔조(Bugeaud)): 알제리 프랑스 정복(French conquest of Algeria) 당시 저항했던 아미르 압드 엘 카데르(Abd El-Kader)를 기념하는 광장.
- 중앙우체국(Grand Post Office) (1910년, 보아누아 (Voinot)과 톤드와르 (Tondoire) 건설): 알제 중심부에 있는 신무어리쉬 양식 건물.

- 시험 정원(Jardin d'essai) (''시험 정원''; ''엘함마''(El-Hamma)): 알제 동쪽에 있으며, 약 80헥타르(약 198acre)에 달하는 면적에 이국적인 식물과 정원이 있다. 1832년 A. 하디가 조성했다.
- 압델 헤어 빌라(Villa Abd-el-Hair): 시험 정원 정상에 있으며, 데이(dey)의 오래된 저택 중 하나였다. 1962년까지 압델 헤어 상 (Price Abd-el-Hair) 수상자, 특히 모리스 보이텔 (Maurice Boitel)과 앙드레 함부르크 (Andre Hamburg)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 시타델(Citadel).
- 리아드 엘 페트(Riadh El-Feth) (쇼핑센터 및 미술관).
- 켓샤와 모스크 (Ketchaoua Mosque)(Ketchaoua Mosque): 식민지 시대에 생필립 대성당이었다가 다시 모스크가 되었다.
- 알제리 국립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Algeria)(National Library of Algeria): 엘함마(El HAMMA) 지역에 있으며, 1990년대에 건설되었다.
- 자마아 엘 케비르 (Djamaa el Kebir)(Djamaa el Kebir): 라 마린 거리 (Rue de la Marine)에 있다. 알제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며, 알모라비드 (Almoravid) 술탄 유수프 이븐 타시핀 (Yusuf ibn Tashfin) 통치 시대에 건설되었다.
- 라이스 궁전 (Palais des Rais)(Palais des Rais)|바스티옹 23 – 라이스 궁전 (Le Bastion 23 – Palais des Rais): 1576년 데이 람단 파샤(Dey Ramdhan Pacha)가 건설했으며, 바브 엘 우에드(Bab El Oued) 지역의 하부 카스바(Casbah)에 있다.


알제 서쪽 약 20km 지점에는 시디 프레주(Sidi Fredj, 구 시디 페루시 Sidi Ferruch), 팜 비치(Palm Beach)(Algeria), 두아우다(Douaouda), 제랄다(Zéralda), 소나무 클럽(국가 거주지)과 같은 해변 휴양지가 있다. 관광 단지, 알제리 및 기타 레스토랑, 기념품 상점, 관리 감독이 되는 해변 및 기타 편의 시설이 있다. 힐튼 호텔, 엘 아우라시(El-Aurassi) 호텔 또는 엘 자자이르(El Djazair) 호텔과 같은 중요한 호텔 단지도 있다. 알제에는 국가 최초의 워터파크가 있다. 알제의 관광은 성장하고 있지만 모로코나 튀니지의 대도시만큼 발전되지는 않았다.
도시는 해안 부근 저지대에 발달한 현대적인 지역과 해발 100m 이상 고지대에 있는 구시가지로 나뉜다. 해안 부근은 “북아프리카의 파리”라는 말에 걸맞게, 프랑스령 알제리 시대의 영향으로 노트르담 대성당을 비롯한 프랑스풍 건축물이 즐비하다. 지중해 연안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흰 벽의 건물이 많다. 내륙의 구시가지는 이슬람풍 건축물이 많고, 모스크가 많이 있다. 영화 ‘망향’의 무대로 알려진 카스바(성벽)는 1992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카뮈의 소설 ‘이방인’의 무대이기도 하다.
7. 교통
- ETUSA(알제 도시 및 교외 버스 운송)는 알제와 주변 교외 지역에 버스 서비스를 운영한다. 54개 노선이 운영되며, 오전 5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12시 45분까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SNTF(국영 철도 회사)는 수도를 주변 교외 지역과 연결하는 통근 열차 노선을 운영한다.
- 알제 지하철은 2011년 11월 1일에 개통되었다.
- 알제 트램은 2011년 5월 8일에 개통되었다.
- 후아리 부메디엔 공항은 도시에서 20km 떨어져 있다. 이 공항은 국내선, 많은 유럽 도시, 서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및 북미 지역을 운항한다. 2006년 7월 5일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이 개장했으며, 파리 공항공사에서 관리한다.
4개의 도시 순환 도로:
- 엘 마다니아 – 벨루이즈다드
- 노트르담 드 아프리크 – 붸로그힌
- 순교자 기념관/리아드 엘 페트 – 자르댕 데세
- 팔레 드 라 컬처 – 우에드 크니스
알제는 해안 저지대 바로 옆에 고지대가 인접한 지형이기 때문에, 이러한 고저차를 단축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여러 개의 로프웨이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신규 노선 건설도 계획 중이다. 가장 오래된 노선은 1950년대 프랑스령이었던 시대에 개통되었다. 1980년대에도 3개의 노선이 개통되었다. 이러한 오래된 노선들은 2000년대 이후 프랑스의 삭도 대기업인 Poma사와의 협력을 통해 현대화되고 있다. 2014년에는 Poma사와 ETUSA 및 알제 지하철의 투자로 운영 회사가 설립되었다. 가장 새로운 노선은 2019년 1월에 개통되었다.
8. 스포츠
알제는 알제리의 스포츠 중심지이다. 이 도시에는 다양한 종목의 프로 클럽들이 있으며, 이들은 국내외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도시 내 스포츠 시설 중에는 거대한 스포츠 단지인 오코(OCO) 단지 – 무하마드 부디아프가 있다. 여기에는 5·7 스타디움(64,000명 수용), 육상 경기장, 올림픽 수영장, 다목적 실내 경기장(돔), 18홀 골프 코스, 그리고 여러 개의 테니스 코트가 포함되어 있다.
알제에서 개최된 주요 스포츠 행사는 다음과 같다 (전체 목록 아님):
- 지중해 게임 1975년.
- 전아프리카 게임 1978년, 2007년.
-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아프리카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89년, 2001년.
- 판 아랍 게임 2004년.
- FIBA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2005년.
- 남자 U-19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2005년.
알제에 기반을 둔 주요 축구 클럽은 다음과 같다.
9. 자매 도시
알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56][57][58][59][60]
국가 | 도시 |
---|---|
중화인민공화국 | 北京|베이징중국어 |
독일 | Berlin|베를린de |
이집트 | القاهرة|카이로ar |
프랑스 | Paris|파리프랑스어 |
캐나다 | Montréal|몬트리올프랑스어 |
모로코 | الدار البيضاء|카사블랑카ar |
영국 | London|런던영어 |
튀니지 | تونس|튀니스ar |
러시아 | Москва|모스크바ru |
스페인 | Barcelona|바르셀로나es |
스위스 | Genève|제네바프랑스어 |
리비아 | طرابلس|트리폴리ar |
이탈리아 | Roma|로마it |
세네갈 | Dakar|다카르프랑스어 |
네덜란드 | Amsterdam|암스테르담nl |
포르투갈 | Lisboa|리스본pt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 평양|평양한국어 |
또한, 알제의 많은 구역과 도시들이 다른 외국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city proper according to the 2008 censu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10-06-27
[2]
웹사이트
UN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web.archive.[...]
Esa.un.org
2010-06-27
[3]
간행물
Census 14 April 2008
Office National des Statistiques de l'Algérie
[4]
뉴스
Alger: 46 millions de voyageurs ont emprunté le métro d'Alger en 2023
https://www.aps.dz/r[...]
Algérie Presse Service
2024-08-31
[5]
웹사이트
Decision Text
https://whc.unesco.o[...]
2017-07-21
[6]
간행물
Origins of Algiers
http://alger-roi.fr/[...]
El Djezair Sheets
1941-07-01
[7]
웹사이트
les origines d'alger,conference faite le 16 juin 1941,comite du vieil alger;venis
http://alger-roi.fr/[...]
2023-04-27
[8]
웹사이트
الجزائر... تُلقب تاريخياً بأرض الإسلام ومنها انطلقت الفتوحات الإسلامية نحو الأندلس وأفريقيا
https://www.alraimed[...]
2012-05-17
[9]
서적
Itineraria Phoenici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8-12-04
[10]
서적
entre MIHOUB et TABLAT Histoire et des Berbères et des dynasties musulmanes de l'Afrique … De ʻAbd al-Raḥman b. Muḥammad Ibn Khaldûn
https://books.google[...]
[11]
서적
Modern Algeria, Second Editio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a Na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5-11-06
[12]
서적
Urban Forms and Colonial Confrontations: Algiers Under French Ru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2-09
[13]
웹사이트
Tyrkjaránið – Heimaslóð
http://www.heimaslod[...]
Heimaslod.is
2010-06-27
[14]
논문
From Amrum to Algiers and Back: The Reintegration of a Renegade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6-23
[15]
논문
Cervantes, autor de la ''Topografía e historia general de Argel'' publicada por Diego de Haedo
http://www.h-net.org[...]
[16]
서적
''Ingeniosa invención'': Essays on Golden Age Spanish Literature for Geoffrey L. Stagg in Honor of his Eighty-Fifth Birthday
https://archive.org/[...]
Juan de la Cuesta
[17]
뉴스
The First Muslims in England
https://www.bbc.com/[...]
BBC News
2016-03-20
[18]
서적
Urban Forms and Colonial Confrontations: Algiers Under French Ru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9]
서적
Africa (a-z).
Lulu Com
2009
[20]
웹사이트
The Fly Whisk Incident
https://gloriousalge[...]
2024-09-01
[21]
웹사이트
Fly Whisk Incident (1827)
https://www.encyclop[...]
Kenneth J. Perkins
[22]
백과사전
Algeria, Colonial Rule
http://www.britannic[...]
2007-12-19
[23]
웹사이트
The end of the Ottoman Regency and the limited occupation of Algeria
https://www.musee-ar[...]
2024-09-01
[24]
서적
2002
[25]
서적
2002
[26]
서적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27]
서적
Les Juifs d'Algérie: images & textes
https://books.google[...]
Editions du Scribe
[28]
간행물
The Code d'Indigénat
[29]
서적
2002
[30]
서적
The Making of Contemporary Algeria, 1830–198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Histoire statistique de la colonisation en Algérie
Bailliers
1853
[32]
서적
Urban Forms and Colonial Confrontations: Algiers Under French Ru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33]
웹사이트
Les autorités accusent al-Qaïda
http://www.rfi.fr/ac[...]
RFI
2007-12-11
[34]
뉴스
Toll in Algiers bombings rises to 31
https://news.yahoo.c[...]
2007-12-12
[35]
뉴스
Al Qaeda blamed for Algeria bombs
http://edition.cnn.c[...]
CNN
2007-12-11
[36]
뉴스
Programme d'Aménagement Côtier (PAC) "Zone côtière algéroise"
https://iczmplatform[...]
2024-09-02
[37]
웹사이트
Notre Dame d'Afrique and Carmelite Convent, Algiers, Algeria
http://www.wdl.org/e[...]
2013-09-25
[38]
뉴스
European Chill Moves West, 122 Die in Ukraine
https://www.reuters.[...]
2017-06-30
[39]
웹사이트
Alger Dar-el-Beid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26
[40]
웹사이트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10-16
[41]
웹사이트
Station Alger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0-16
[42]
논문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from a global analysis of city analogues
2019-07-10
[43]
웹사이트
Cities of the future: visualizing climate change to inspire action
https://web.archive.[...]
2023-01-08
[44]
웹사이트
The CAT Thermometer
https://climateactio[...]
2023-01-08
[45]
서적
Technical Summary.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s://www.ipcc.ch/[...]
IPCC
2021-11-12
[46]
간행물
Chapter 9: Africa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47]
간행물
Census of 25 June 1998
Office National des Statistiques de l'Algérie
[48]
웹사이트
Fountain in Mosque of El Kebir, Algiers, Algeria
http://www.wdl.org/e[...]
2013-09-24
[49]
웹사이트
Algeria: Provinces & Major Citi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citypopulatio[...]
2019-03-28
[50]
웹사이트
Algiers in the World Gazetteer
https://web.archive.[...]
World-gazetteer.com
2010-06-27
[51]
웹사이트
MERCER Human Resources Consulting – Moscow tops Mercer's cost of living list; London is close behind
http://www.mercerhr.[...]
Mercerhr.com
2010-06-27
[52]
서적
The report 2008 : Algeria.
https://books.google[...]
Oxford Business Group
2020-10-01
[53]
웹사이트
HP Office locations
http://welcome.hp.co[...]
Welcome.hp.com
2010-06-27
[54]
웹사이트
L'Algerie et moi
http://www.japan-alg[...]
Japan-Algeria Center
2015-01-16
[55]
웹사이트
過去に指定・認定していた在外教育施設
http://www.mext.go.j[...]
2015-01-15
[56]
웹사이트
Sherlock, banque d'information de la Ville de Montréal
https://web.archive.[...]
1.ville.montreal.qc.ca
2010-06-27
[57]
웹사이트
Градина "Алжир" – София
https://opoznai.bg/v[...]
2015-06-19
[58]
웹사이트
Lisboa – Geminações de Cidades e Vilas
http://www.anmp.pt/a[...]
2013-08-23
[59]
웹사이트
Acordos de Geminação, de Cooperação e/ou Amizade da Cidade de Lisboa
https://web.archive.[...]
2013-08-23
[60]
웹사이트
Friendship and cooperation agreements
https://web.archive.[...]
Marie de Paris
2016-09-10
[61]
백과사전
https://www.jewishen[...]
[62]
웹사이트
db-worldua
http://www.demograph[...]
[63]
기타
[64]
기타
[65]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Algiers
http://www.worldweat[...]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3-04-14
[66]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for Alger (dar el beida)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02-11
[67]
웹사이트
Algeriet - Alger/Dar-El-Beida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3-04-14
[68]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Algiers, Algeri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3-04-14
[69]
웹인용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Algiers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10-16
[70]
웹인용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10-16
[71]
웹인용
Station Alger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