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리소그래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토리소그래피는 빛을 사용하여 기판에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로, 반도체 제조의 핵심 공정 중 하나이다.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 기술은 석판 인쇄술에서 기원하며, 사진 기술을 이용하여 회로 패턴을 웨이퍼에 새기는 데 사용된다. 1820년대에 개발된 이래로, 다양한 광원과 기술의 발전을 통해 해상도를 높여왔으며, 현재는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가 초미세 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포토리소그래피는 준비, 포토레지스트 도포, 노광, 현상 및 린스, 식각, 포토레지스트 제거 등의 단계를 거쳐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며, 노광 시스템, 포토마스크, 광원 등의 기술적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소그래피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리소그래피 - 석판 인쇄
석판 인쇄는 유성 물질과 친수성 물질의 상반된 성질을 이용하여 평평한 인쇄판으로 복잡하고 세밀한 인쇄를 하는 기술로, 초기 석회석 사용에서 현대에는 알루미늄 등으로 재료가 다양화되었고, 옵셋 인쇄 방식과 디지털 인쇄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예술 매체로도 사용된다.
포토리소그래피 | |
---|---|
개요 | |
정의 | 광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
기술 분야 | 반도체 제조 MEMS 광학 소자 제작 |
기본 원리 | |
핵심 재료 | 감광제 (포토레지스트) |
노광 과정 | 감광제 도포 마스크를 이용한 패턴 노광 현상액을 이용한 패턴 형성 |
주요 장비 | 스퍼터링 장비 스핀 코터 노광기 현상기 |
상세 과정 | |
1. 기판 준비 | 웨이퍼 표면 세정 및 처리 |
2. 감광제 도포 | 스핀 코팅 등 방법으로 균일하게 도포 |
3. 소프트 베이크 | 감광제 용매 제거 및 밀착력 향상 |
4. 마스크 정렬 | 패턴 마스크를 웨이퍼에 정밀하게 정렬 |
5. 노광 | 자외선, 심자외선 등을 이용한 선택적 노광 |
6. 노광 후 베이크 (선택적) | 화학 반응 촉진 |
7. 현상 | 노광된 감광제 제거 |
8. 하드 베이크 | 감광제 패턴 안정화 |
9. 에칭 | 감광제 패턴을 이용하여 기판 에칭 |
10. 감광제 제거 | 잔여 감광제 제거 |
응용 분야 | |
반도체 제조 | 집적 회로 (IC) 제작 트랜지스터 형성 미세 배선 형성 |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 (MEMS) | 센서 제작 액추에이터 제작 미세 유체 장치 제작 |
광학 소자 제작 | 회절 격자 제작 광섬유 제작 광학 필터 제작 |
기타 분야 | 인쇄 회로 기판 (PCB) 제작 디스플레이 제작 생체 칩 제작 |
기술 동향 | |
노광 기술 발전 | 심자외선 (DUV) 리소그래피 극자외선 (EUV) 리소그래피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NIL) |
새로운 패턴 형성 기술 | 자기 조립 (DSA) 분자 자기 조립 |
고해상도 패턴 기술 | 다중 패터닝 액침 리소그래피 |
장점과 단점 | |
장점 | 대량 생산에 적합 정밀한 패턴 형성 가능 다양한 재료에 적용 가능 |
단점 | 고가의 장비 필요 복잡한 공정 해상도 한계 존재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Photochemical Immobilization of Polymers on a Surface: Controlling Film Thickness and Wettability DSA Re-Enters Litho Picture |
2. 어원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photo"(빛), "litho"(돌), "graphy"(기술)를 합쳐 만든 것이다.[1] 이는 빛을 사용하여 돌(초기에는 석회석)에 패턴을 새기는 기술을 의미하며, 석판 인쇄술(Lithography)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1]
1820년대에 프랑스의 니세포르 니엡스(Nicéphore Niépce)는 최초의 감광제로 천연 아스팔트인 유대 아스팔트(Bitumen of Judea)를 사용하는 사진 공정을 발명했다. 금속, 유리 또는 돌판에 얇게 코팅된 유대 아스팔트는 빛에 노출된 부분에서 용해도가 낮아졌다.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적절한 용매로 씻어낼 수 있었고, 아래의 재료가 드러났으며, 이후 산욕조에서 화학적으로 에칭하여 인쇄판을 제작했다.[3] 유대 아스팔트의 감광도는 매우 낮아 매우 긴 노출 시간이 필요했지만, 나중에 더 민감한 대안이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비용과 강산에 대한 뛰어난 내성으로 인해 20세기 초까지 상업적으로 사용되었다.
집적회로 제조에서 포토리소그래피는 반도체 웨이퍼 위에 '''포토레지스트'''라고 불리는 감광성 유기물질을 도포하고, '''스테퍼'''라고 불리는 노광 장치를 사용하여 '''레티클'''(포토마스크)에 그려진 소자·회로 패턴을 노광하여 진행하는 공정이다.
석판화는 화가가 돌판에 직접 그림을 그려 잉크를 마스크로 사용하고, 그림이 없는 부분은 산 처리하여 물과 친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반면, 포토리소그래피는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여 남은 부분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기판 표면을 산 처리하는 점이 다르다.[2]
일본에서는 석판화를 의미하는 "lithograph"는 "리토그래프"라고 읽고, 반도체 분야에서의 "lithography"는 "리소그래피"라고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3]
3. 역사
1940년, 오스카르 쥐스(Oskar Süß)는 디아조나프토퀴논을 사용하여 반대 방식으로 작동하는 '양성' 감광제를 만들었다. 이 코팅은 처음에는 불용성이었지만, 빛에 노출되면 용해성이 되었다.[3] 1954년, 루이 플람벡 주니어(Louis Plambeck Jr.)는 제판 공정을 가속화한 다이크릴(Dycryl) 폴리머 활자 인쇄판을 개발했다.[4]
1952년, 미국 군부는 전자 회로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찾는 임무를 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Bureau of Standards)의 제이 더블유 라스롭(Jay W. Lathrop)과 제임스 R. 낼(James R. Nall)에게 맡겼다. 이는 근접 신관(proximity fuze)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 필요한 회로를 더 잘 맞추기 위한 것이었다.[8] 감광제의 적용에서 영감을 받은 낼은 비슷한 공정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의 게르마늄을 보호하고 빛으로 표면에 패턴을 만들 수 있다고 판단했다. 개발 과정에서 라스롭과 낼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가 있는 2차원 소형 하이브리드 집적 회로를 성공적으로 만들었다.[8] 1958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전자소자 전문가 그룹(IRE Professional Group on Electron Devices, PGED) 회의에서 그들은 사진 기술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최초의 논문을 발표하고, 이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라는 용어를 채택했다.[9][10]
라스롭과 낼은 "포토에칭"보다 "포토리소그래피"라는 용어를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전자가 "첨단 기술"처럼 들렸기 때문이다.[8] 1959년 6월 9일, 라스롭과 낼의 포토리소그래피 특허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11]
4. 반도체 제조 공정
4. 1. 준비
포토리소그래피의 단일 반복은 여러 단계를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현대적인 클린룸에서는 자동화된 로봇 웨이퍼 트랙 시스템을 사용하여 공정을 조정한다.[12] 여기서 설명하는 절차는 희석제와 같은 일부 고급 처리 방법은 생략한다.[13]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웨이퍼 트랙과 스테퍼/스캐너에 의해 수행되며, 웨이퍼 트랙 시스템과 스테퍼/스캐너는 나란히 설치된다. 웨이퍼 트랙 시스템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웨이퍼 코터/개발 시스템으로도 알려져 있다.[14][15]
웨이퍼 표면에 유기물이나 무기물 오염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RCA 세정 절차와 같이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포함한 용액을 기반으로 하는 습식 화학 처리를 통해 제거한다.[17]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세톤 또는 메탄올을 사용한 다른 용액도 세정에 사용될 수 있다.
웨이퍼는 웨이퍼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온도(예: 150 °C에서 10분간)로 가열된다. 보관 중이었던 웨이퍼는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세척해야 한다. 액체 또는 기체의 "접착 촉진제"(예: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민("헥사메틸디실라잔", HMDS))를 도포하여 포토레지스트의 웨이퍼 접착력을 높인다. 웨이퍼의 이산화규소 표면층은 HMDS와 반응하여 자동차 페인트의 왁스 층과 유사한, 매우 발수성이 강한 트리메틸화 이산화규소 층을 형성한다. 이 발수 층은 수성 현상액이 포토레지스트 층과 웨이퍼 표면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현상 과정에서) 작은 포토레지스트 구조물의 이른바 리프팅을 방지한다. 이미지 현상을 보장하기 위해, 웨이퍼를 덮고 핫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120 °C에서 온도를 안정화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18]
4. 2. 포토레지스트 도포
스핀 코팅은 반도체 웨이퍼 위에 포토레지스트라 불리는 감광성 유기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이다. 웨이퍼를 회전시키면서 포토레지스트 액체를 도포하여 균일한 막을 형성한다.[12] 점성이 있는 필름은 웨이퍼 가장자리에 레지스트 두께가 증가하는 영역인 큰 가장자리 비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평탄화에 물리적 한계가 있다.[19] [20] 이러한 이유로 가장자리 비드 제거(EBR)를 노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데, 이는 추가적인 레지스트를 제거하여 입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21][22][23]
레지스트는 빛에 반응하는 화학 물질을 용매에 녹인 것으로, 빛을 쬐면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감광된 부분이 용해되는 "포지(ポジ)형"과 감광된 부분이 남는 "네가(ネガ)형"이 있다. 패턴의 미세화에는 포지형이 유리하여 현재는 포지형이 주류이다. KrF 등의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노광의 경우, 노광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화학 증폭형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된다.
포토레지스트로 코팅된 웨이퍼는 과도한 포토레지스트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예비 베이킹을 거치는데, 일반적으로 핫플레이트에서 90~100 °C로 30~60초 동안 진행된다.[24]
4. 3. 노광
포토레지스트에 빛을 조사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노광이라고 한다. 노광에는 스테퍼 또는 스캐너라고 불리는 노광 장비가 사용된다. 이 장비는 레티클(포토마스크)에 그려진 회로 패턴을 웨이퍼에 전사한다.[34]
광원으로는 고압 수은등(g-선, i-선), 엑시머 레이저(KrF, ArF), EUV 광 등이 사용된다. 패턴이 미세화될수록 짧은 파장의 광원이 필요하다. 현재는 고압 수은등의 g-선(파장 436nm), i-선(파장 365nm), KrF 엑시머 레이저(파장 248nm), ArF 엑시머 레이저(파장 193nm) 등이 주로 사용되며, 차세대 광원으로 EUV 광(파장 13.5nm, EUV 리소그래피)이 개발 단계에 있다.[34]
KrF, ArF 등의 엑시머 레이저 노광 시에는 노광 감도를 높이기 위해 화학 증폭형 포토레지스트(CAR)가 사용된다. 이 포토레지스트는 빛에 노출되면 산을 생성하고, 이 산이 화학 반응을 촉매하여 포토레지스트의 용해도를 변화시킨다.[30][31]
4. 4. 현상 및 린스
현상 단계에서는 현상액(photographic developer)이라 불리는 특수 용액을 사용하여 노광된 부분의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는 마치 사진 현상 과정과 유사하다. 가장 일반적인 양성 포토레지스트는 노광된 부분이 현상액에 용해되는 반면, 음성 포토레지스트는 노광되지 않은 부분이 용해된다.
현상액은 포토레지스트와 마찬가지로 스피너를 통해 공급된다. 과거에는 현상액에 수산화나트륨(NaOH)이 포함되기도 했지만, 나트륨은 MOSFET의 게이트 산화막 절연 특성을 저하시키는 불순물로 작용하여 트랜지스터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에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H)와 같이 금속 이온이 없는 현상액을 사용한다. 현재 반도체용 포토리소그래피에서는 유기 알칼리인 TMAH의 2.38 wt% 수용액이 주로 사용된다.[5]
현상 후에는 린스액(주로 초순수)으로 여러 번 헹구어 현상액과 용해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한다.[32][15]
4. 5. 후처리
현상 전 노광 후 베이킹(Post-Exposure Bake, PEB)을 수행하는데, 이는 입사광의 파괴적 및 보강적 간섭 패턴으로 인한 정재파 현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심자외선 리소그래피에서는 화학 증폭형 레지스트(Chemically Amplified Resist, CAR) 화학이 사용된다. 이 레지스트는 광자에 맞으면 산을 생성하고, 그 후 "노광" 반응을 거치기 때문에 PEB 시간, 온도 및 지연에 훨씬 더 민감하다.[30][31]
화학 증폭형 레지스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웨이퍼를 120~180 °C[33]에서 20~30분 동안 "경화 베이킹"한다. 경화 베이킹은 남아 있는 포토레지스트를 고화시켜 향후 이온 주입, 습식 화학 에칭 또는 플라즈마 에칭에서 더욱 내구성 있는 보호층을 만든다.
4. 6. 식각 (Etching)
식각은 액체("습식") 또는 플라스마("건식")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로 보호되지 않은 기판의 최상층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반도체 제작에서는 일반적으로 건식 식각 기법이 사용되는데, 이는 이방성으로 만들 수 있어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과도한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정의할 특징의 너비가 식각되는 재료의 두께와 같거나 작을 때 (즉, 종횡비가 1에 가까워질 때) 필수적이다. 습식 식각 공정은 일반적으로 등방성이며, 이는 현수 구조가 기저층에서 "분리"되어야 하는 마이크로전기기계시스템에 종종 필수적이다.
결함이 적은 이방성 건식 식각 공정의 개발을 통해, 포토리소그래피로 레지스트에 정의된 점점 더 작은 특징을 기판 재료로 전사할 수 있게 되었다.
웨이퍼에 단순히 요철을 만들거나 이미 웨이퍼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각을 통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건식 식각과 습식 식각이 있으며, 레지스트가 남아 있는 부분은 식각에 의해 제거되지 않으므로 원하는 패턴이 웨이퍼 위에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용제 등을 이용하여 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한다.[12]
4. 7. 포토레지스트 제거
포토레지스트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기판에서 제거해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액체 "레지스트 스트리퍼"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화학적으로 레지스트를 변경하여 기판에 더 이상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는 포토레지스트를 산화시킨다. 이 과정을 플라즈마 애싱이라고 하며 건식 식각과 유사하다.[36] 1-메틸-2-피롤리돈 (NMP) 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또 다른 방법이다. 레지스트가 용해되면 80°C로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잔류물이 남지 않는다.[36]
5. 노광 시스템
노광 시스템은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웨이퍼에 이미지를 생성한다. 포토마스크는 특정 영역의 빛을 차단하고 다른 영역은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스크 없는 리소그래피는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정밀한 빔을 웨이퍼에 직접 투사하는 방식이지만, 상업적 공정에는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포토리소그래피는 프린트 전자 회로보다 더 매끄러운 인쇄층, 덜 물결치는 패턴, 그리고 더 정확한 소스-드레인 전극 정렬을 통해 더 나은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생성한다.[37]
5. 1. 접촉 및 근접 노광
접촉 노광은 가장 간단한 노광 시스템으로, 포토마스크를 웨이퍼에 직접 접촉시킨 후[38] 균일한 빛을 노출시킨다. 근접 노광은 포토마스크와 웨이퍼 사이에 약 5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간격을 둔다.[38] 두 경우 모두 마스크는 웨이퍼 전체를 덮고 동시에 모든 다이에 패턴을 형성한다.
접촉 인쇄/노광은 마스크와 웨이퍼 모두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38] 이것이 대량 생산에서 접촉 인쇄 방식이 폐기된 주된 이유였다. 접촉 및 근접 노광 모두 웨이퍼 전체에 걸쳐 빛의 강도가 균일해야 하고, 마스크가 웨이퍼에 이미 있는 패턴과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최신 공정에서는 점점 더 큰 웨이퍼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연구 및 프로토타이핑 공정에서는 저렴한 하드웨어를 사용하고 높은 광학 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접촉 또는 근접 노광을 사용한다. 근접 노광의 해상도는 대략 파장과 간격 거리의 곱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따라서 투영 노광을 제외하고는 접촉 인쇄가 간격 거리가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포토레지스트 자체의 두께는 무시) 최상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또한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는 특히 소유 비용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친숙한 기술에 대한 관심을 되살릴 수 있지만, 위에서 논의한 접촉 인쇄의 단점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5. 2. 투영 노광
초고밀도 집적회로(VLSI) 리소그래피는 투영 시스템을 사용한다. 투영 마스크(레티클)는 한 번에 웨이퍼의 일부분에 하나의 다이 또는 다이 배열(필드)만 보여준다. 투영 노광 시스템(스테퍼 또는 스캐너)은 마스크를 웨이퍼에 여러 번 투영하고, 매 투영마다 웨이퍼의 위치를 변경하여 전체 패턴을 생성하고 웨이퍼 전체에 패터닝을 완료한다.[39] 스테퍼와 스캐너의 차이점은 노광 중에 스캐너는 포토마스크와 웨이퍼를 동시에 이동하지만 스테퍼는 웨이퍼만 이동한다는 것이다. 액침 리소그래피 스캐너는 렌즈와 웨이퍼 사이에 초순수 층을 사용하여 해상도를 높인다.6. 포토마스크
마스크 이미지는 컴퓨터 데이터 파일에서 생성된다. 이 데이터 파일은 일련의 다각형으로 변환되어, 융용 실리카 기판 위에 크롬 층을 코팅한 정사각형 기판에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사용하여 기록된다. 레이저 빔(레이저 라이터) 또는 전자빔(e-빔 라이터)을 사용하여 데이터 파일에서 정의된 패턴을 노출시키고, 벡터 또는 래스터 스캔 방식으로 기판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마스크의 포토레지스트가 노출된 부분에서는 크롬을 식각하여, 스테퍼/스캐너 시스템의 조명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경로를 남긴다.[1]
7. 해상도
웨이퍼에 작은 특징의 선명한 이미지를 투영하는 능력은 사용되는 빛의 파장과 조명된 마스크에서 충분한 회절 차수를 포착하는 축소 렌즈 시스템의 능력에 의해 제한된다.[41] 투영 시스템이 인쇄할 수 있는 최소 특징 크기는 다음과 같이 근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 는 '''최소 특징 크기''' (또는 '''임계 치수''', '''목표 설계 규칙''', 또는 "'''반 피치'''")
- 는 사용되는 빛의 파장
- 는 웨이퍼에서 본 렌즈의 수치적 조리개
- (일반적으로 'k1 계수'라고 함)은 공정 관련 요소를 포함하는 계수이며, 일반적으로 생산에서는 0.4와 같다. (은 실제로 레티클에 대한 입사광의 각도 및 입사광 강도 분포와 같은 공정 요소의 함수이며, 공정마다 고정된다.)[41]


이 방정식에 따르면, 파장을 줄이고 수치적 조리개를 높임으로써(더욱 단단하게 초점이 맞춰진 빔과 더 작은 점 크기를 얻기 위해) 최소 특징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설계 방법은 경쟁적인 제약 조건에 부딪히며, 현대 시스템에서는 초점 심도도 문제가 된다.[41]
:
여기서 는 또 다른 공정 관련 계수이다. 초점 심도는 포토레지스트의 두께와 웨이퍼의 지형의 깊이를 제한한다. 고해상도 리소그래피 단계 전에 지형을 평평하게 하기 위해 화학적 기계적 연마가 자주 사용된다.[41]
고전 광학에서, 레이리 기준에 의해 k1=0.61이다.[42] 1.22 파장/NA보다 적게 분리된 두 점의 이미지는 그 분리를 유지하지 않고 두 점의 에어리 원판 간의 간섭으로 인해 더 커진다. 그러나 두 특징 사이의 거리는 초점이 맞지 않을 때도 변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43]



2차원 맥락에서 해상도는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 예를 들어, 더 좁은 선 피치는 선 끝(수직 방향) 사이에 더 넓은 간격을 초래한다.[44][45] 더 근본적으로, x 및 y 피치 모두 해상도 한계에 가까운 짧은 직사각형 특징의 경우 직선 가장자리가 둥글게 된다.[46][47][48][49]
고급 노드의 경우 파장이 아니라 흐림 현상이 해상도를 제한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 최소 피치는 흐림 시그마/0.14로 주어집니다.[50] 흐림 현상은 선량[51][52][53]과 양자 수율[54]의 영향을 받으며, EUV의 경우 확률적 결함과의 절충이 발생한다.[55][56][57]
축소 노광계에서 해상도는 사용하는 광원의 파장에 의존한다. 축소 렌즈의 성능에 따라 마스크의 회절 한계까지 노광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노광계의 최소 선폭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여기서
- 는 최소 선폭 (일반적으로 '''목표 설계 규칙'''이라고 함).
- (일반적으로 '''k1 팩터'''라고 함)는 공정과 관련된 요소를 나타내는 계수 (일반적으로 0.5로 근사됨)
- 는 광원의 파장
- 는 웨이퍼에 대한 개구수
8. 광원
역사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는 가스 방전 램프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사용해 왔는데, 때로는 수은과 비활성 기체(예: 크세논)를 함께 사용했다. 이러한 램프는 자외선 영역에서 여러 강력한 피크를 가진 넓은 스펙트럼에 걸쳐 빛을 생성하며, 이 스펙트럼은 단일 스펙트럼 선을 선택하기 위해 필터링된다. 1960년대 초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수은 램프는 436 nm("g-선"), 405 nm("h-선"), 365 nm("i-선")의 스펙트럼 선을 위해 리소그래피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반도체 산업에서 더 높은 해상도(더 조밀하고 빠른 칩 생산)와 더 높은 처리량(낮은 비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램프 기반 리소그래피 장비는 더 이상 업계의 최첨단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과제는 1982년 Kanti Jain이 IBM에서 엑시머 레이저 리소그래피를 제안하고 시연하면서 극복되었다.[63][64][65][66] 엑시머 레이저 리소그래피 장비(스테퍼 및 스캐너)는 마이크로 전자 제품 생산의 주요 도구가 되었으며, 1990년 800나노미터에서 2018년 7나노미터까지 칩 제조의 최소 기능 크기를 축소할 수 있게 했다.[67][68] 더 넓은 과학적, 기술적 관점에서 볼 때, 1960년 최초 시연 이후 50년간의 레이저 역사에서 엑시머 레이저 리소그래피의 발명과 개발은 주요 이정표로 인정받고 있다.[69][70][71]
리소그래피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심자외선 엑시머 레이저는 248 nm 파장의 크립톤 플루오라이드(KrF) 레이저와 193 nm 파장의 아르곤 플루오라이드 레이저(ArF) 레이저이다. 1980년대 엑시머 레이저 광원의 주요 제조업체는 Lambda Physik(현재 Coherent, Inc.의 일부)과 Lumonics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로 Cymer Inc.는 기가포톤(Gigaphoton Inc.)을 가장 가까운 경쟁사로 두고 리소그래피 장비 제조업체에 엑시머 레이저 광원을 공급하는 주요 업체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엑시머 레이저는 특정 가스 혼합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파장을 변경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새로운 파장을 생성하는 방법이 완전히 다르고 재료의 흡수 특성이 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공기는 193 nm 파장에서 상당히 흡수되기 시작한다. 193 nm 미만의 파장으로 이동하려면 리소그래피 장비에 진공 펌프 및 퍼지 장비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상당한 과제이다. 때로는 진공 대신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사용하여 배관 작업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규소와 같은 절연 재료는 띠 간격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광자에 노출되면 자유 전자와 정공을 방출하여 역방향 충전을 일으킨다.
광학 리소그래피는 193 nm ArF 엑시머 레이저와 액체 침지 기술을 사용하여 50 nm 미만의 피처 크기로 확장되었다. 침지 리소그래피라고도 하는 이 기술을 통해 1.0을 초과하는 수치적 조리개를 가진 광학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액체는 일반적으로 초순수, 탈이온수이며, 렌즈와 웨이퍼 표면 사이의 일반적인 공기 갭보다 높은 굴절률을 제공한다. 열로 인한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물이 지속적으로 순환된다. 물은 최대 ~1.4의 NA만 허용하지만,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진 유체는 유효 NA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현재 노광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F2 엑시머 레이저의 157 nm 파장을 사용하는 실험 도구가 제작되었다. 이들은 한때 65 nm 피처 크기 노드에서 193 nm 리소그래피를 계승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침지 리소그래피의 도입으로 거의 사라졌다. 이는 157 nm 기술의 지속적인 기술적 문제와 193 nm 엑시머 레이저 리소그래피 기술의 지속적인 사용에 대한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경제적 고려 사항 때문이다. 고굴절률 침지 리소그래피는 193 nm 리소그래피의 최신 확장 기술로 간주된다. 2006년 IBM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30 nm 미만의 피처를 시연했다.[72] 이 시스템은 CaF₂(플루오르화칼슘) 렌즈를 사용했다.[73][74] 157 nm에서의 침지 리소그래피가 연구되었다.[75]
UV 엑시머 레이저는 약 126 nm(Ar₂*의 경우)까지 시연되었다. 수은 아크 램프는 50~150볼트의 안정적인 직류 전류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엑시머 레이저는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진다. 엑시머 레이저는 일반적으로 전기장에 의해 충전되는 불활성 및 할라이드 가스(Kr, Ar, Xe, F 및 Cl)로 채워진 가스 기반 광 시스템이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이미지의 해상도가 높아진다. KrF 레이저는 4 kHz의 주파수로 작동할 수 있다. 더 높은 주파수로 작동하는 것 외에도 엑시머 레이저는 수은 아크 램프보다 더 고급 기계와 호환된다. 또한 더 먼 거리(최대 25미터)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미러와 반사 방지 코팅 렌즈를 사용하여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러 개의 레이저와 미러를 설치함으로써 에너지 손실량을 최소화하고, 렌즈에 반사 방지 재료가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를 떠난 시점부터 웨이퍼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광 강도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76]
극자외선 리소그래피를 위해 13.5 nm에서 비결맞는 극자외선(EUV) 광을 간접적으로 생성하는 데 레이저가 사용되었다. EUV 광은 레이저에 의해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엑시머 또는 이산화탄소 레이저에 의해 여기된 주석 또는 크세논 플라즈마에 의해 방출된다.[77] 이 기술에는 싱크로트론이 필요하지 않으며, EUV 광원은 결맞는 빛을 생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진공 시스템과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현재 생성되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EUV 에너지 포함)은 X선 스펙트럼의 가장자리(10 nm에서 시작)에서 UV로 작업하는 데 필요하다. 2020년 현재 EUV는 TSMC 및 삼성과 같은 선도적인 파운드리에서 대량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이론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의 대체 광원은 자유전자 레이저(또는 X선 장치의 경우 xaser라고 할 수 있음)이다. 자유전자 레이저는 임의의 파장에서 고품질 빔을 생성할 수 있다.
가시광선 및 적외선 펨토초 레이저도 리소그래피에 적용되었다. 이 경우 다광자 흡수에 의해 광화학 반응이 시작된다. 이러한 광원의 사용은 진정한 3D 물체를 제조하고 탁월한 광학 탄성을 가진 비광감작(순수) 유리와 같은 재료를 가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78]
9. 실험적 방법
포토리소그래피는 수년 동안 그 종말을 예측하는 것을 계속해서 벗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초반에는 반도체 산업의 많은 사람들이 1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특징은 광학적으로 인쇄할 수 없다고 믿었다. 엑시머 레이저 리소그래피를 사용하는 최신 기술은 이미 사용된 빛의 파장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특징을 인쇄하는데, 이는 놀라운 광학적 성과이다. 액침 노광 기술, 이중 색조 레지스트 및 다중 패터닝과 같은 새로운 기술은 193nm 리소그래피의 해상도를 계속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현재 연구는 전자빔 노광 기술, X선 노광 기술, 극자외선 노광 기술 및 이온 투영 노광 기술과 같은 기존 UV의 대안을 탐구하고 있다. 2018년 삼성이 극자외선 노광 기술을 양산에 도입했으며[79] 다른 제조업체들도 이에 따랐다.
대규모 병렬 전자빔 노광 기술은 포토리소그래피의 대안으로 연구되었으며 TSMC에서 테스트되었지만 성공하지 못했고, 이 기술의 주요 개발업체인 MAPPER의 기술은 ASML에 인수되었다. 하지만 전자빔 노광 기술은 한때 IBM이 칩 생산에 사용한 적이 있다.[80][81] 전자빔 노광 기술은 포토마스크 생산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만 사용된다.[82][83][84][85][86]
10. 경제
2001년 NIST 발행 자료에 따르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웨이퍼 처리 비용의 약 35%를 차지했다.[87] 2021년, 포토리소그래피 산업의 가치는 80억달러를 넘었다.[88]
11. 인쇄판의 제조
감광성 물질을 도포한 기판을 패턴 노광하여 현상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플렉소판, 평판, 무수평판 등의 인쇄판 원판을 제작할 수 있다. 판면을 편집하는 컴퓨터와 노광 장치를 연결하여 직접 인쇄판 원판을 제작하는 것을 컴퓨터 투 플레이트(computer to plate, CTP)라고 한다. 또한, 평판 인쇄판 제작에 사용되는, 미리 감광성 물질을 도포한 알루미늄 판을 '''PS판'''(pre-sensitised plate)이라고 한다. 사진이나 그림 등 원고 또는 전자 매체로부터의 제판 공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PS판은 널리 보급되어 있다.
12. 이름의 유래
어근 “photo”, “litho”, “graphy”는 모두 그리스어 기원으로, 각각 ‘빛’, ‘돌’, ‘기술’을 의미한다. 이들 어근의 합성어인 “photolithography”는 빛을 이용해 패턴을 새기는 기술을 뜻한다. 이는 원래 석회석 인쇄판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유래했다.[8]
포토리소그래피는 사진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에 패턴을 새기는 기법이다. 일본에서는 "사진 식각(蝕刻)" 기술로 번역되기도 하며, "광(光) 리소그래피"로도 불린다. 인쇄 분야에서는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해 이 기술을 사용하므로 "사진 제판"이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정확하게는 "사진 기술을 이용하여 제판하는(인쇄판을 만드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는 1851년 프랑스 과학자 알퐁스 루이 푸아트뱅(Alphonse Louis Poitevin)이 개발한 사진식자 기술에 유래한다.
참조
[1]
논문
Photochemical Immobilization of Polymers on a Surface: Controlling Film Thickness and Wettability
https://onlinelibrar[...]
2017
[2]
웹사이트
DSA Re-Enters Litho Picture
https://semiengineer[...]
2018-03-15
[3]
논문
Photoresist materials: a historical perspective
[4]
웹사이트
Lithography
http://www.lib.udel.[...]
[5]
서적
Principles of Lithography
https://books.google[...]
SPIE Press
2005
[6]
특허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https://patents.goog[...]
[7]
논문
Fiction in the Integrated Circuit
https://www.academia[...]
2018-01-01
[8]
논문
The Diamond Ordnance Fuze Laboratory's Photolithographic Approach to Microcircuits - IEEE Journals & Magazine
[9]
서적
Eureka: How Invention Happen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Jay W. Lathrop {{!}} Computer History Museum
http://www.computerh[...]
2018-06-18
[11]
서적
Makers of the Microchip: A Documentary History of Fairchild Semiconductor
The MIT Press
[12]
서적
Handbook of Integrated Circuit Indu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3-11-27
[13]
서적
Introduction to Microelectronic Fabrication
Prentice Hall
[14]
간행물
Advances in Patterning Materials and Processes XXXII
2015
[15]
서적
Handbook of VLSI Microlithography,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4-01
[16]
서적
Proceedings of the Seventh Symposium on Automated Integrated Circuits Manufacturing
https://books.google[...]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992-01-01
[17]
학술지
Reactions of thin metal films with crystalline and amorphous Al2O3
https://authors.libr[...]
[18]
웹사이트
Semiconductor Lithography (Photolithography) - The Basic Process
http://www.lithoguru[...]
[19]
간행물
Photomask and Next-Generation Lithography Mask Technology XIII
SPIE
2006-05-20
[20]
학술지
S. Arscott, 'The limits of edge bead planarization and surface levelling in spin-coated liquid films', ''J. Micromech. Microeng.'' '''30''', 025003, (2020).
https://iopscience.i[...]
[21]
서적
Handbook of Integrated Circuit Indu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3-11-27
[22]
논문
An Investigation of Edge Bead Removal Width Variability, Effects and Process Control in Photolithographic Manufacturing
https://ieeexplore.i[...]
2022
[23]
서적
Advanced Processes for 193-nm Immersion Lithography
2009-02-19
[24]
서적
Handbook of Integrated Circuit Indu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3-11-27
[25]
서적
Microlithography: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8-10-03
[26]
서적
Advances in Resist Materials and Processing Technology XXIV
2007
[27]
서적
Lithography Asia 2008
2008
[28]
서적
Advanced Processes for 193-nm Immersion Lithography
https://books.google[...]
SPIE Press
2009-01-01
[29]
웹사이트
Resist Development for High-NA EUV - Read more on SemiWiki
https://semiwiki.com[...]
2024-02-25
[30]
웹사이트
An Overview of Resist Processing for DUV Photolithography
https://www.jstage.j[...]
[31]
웹사이트
EUV's New Problem Areas
https://semiengineer[...]
2018-03-19
[32]
논문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chatronics, Robotics and Automation
2015
[33]
웹사이트
Techniques - lithography {{!}} Core Facilities
https://cores.resear[...]
2020-02-04
[34]
논문
Optical Microlithography XIX
2006
[35]
서적
Advanced Processes for 193-nm Immersion Lithography
https://books.google[...]
SPIE Press
2009
[36]
웹사이트
AN-Methyl-2-Pyrrolidone
http://www.lyondellb[...]
[37]
논문
Key Issues With Printed Flexible Thin Film Transistors and Their Application in Disposable RF Sensors
2015-04
[38]
웹사이트
Canon PLA 501F/FA Proximity Aligner
https://www.chiphist[...]
[39]
웹사이트
GCA Mann 4800 Direct Step on Wafer
http://www.chiphisto[...]
2023-12-30
[40]
웹사이트
Perkin-Elmer Series 100 Projection Scanning Aligners
https://www.chiphist[...]
[41]
간행물
Lasers and Moore's Law
http://spie.org/x421[...]
2010-10
[42]
웹사이트
Lithography Resolution Limits: Paired Features
https://www.linkedin[...]
[43]
웹사이트
Impact of Defocus and Illumination on Imaging of Pitch
https://www.linkedin[...]
[44]
웹사이트
How Line Cuts Became Necessary
https://www.linkedin[...]
[45]
논문
2001
[46]
웹사이트
1D vs 2D Patterning Limits in Advanced Lithography
https://www.youtube.[...]
2021-08-29
[47]
웹사이트
Vanishing of Half the Fourier Coefficients in Staggered Arrays
https://www.youtube.[...]
2021-10-10
[48]
웹사이트
Pitch Walking From Corner Rounding in Lithography
https://www.youtube.[...]
2022-03-31
[49]
논문
2005
[50]
웹사이트
Blur not Wavelength Determines Resolution at Advanced Nodes
https://www.linkedin[...]
[51]
논문
Proc. SPIE 9422, 942208
[52]
논문
Proc. SPIE 9425, 942507
[53]
논문
Determination of effective attenuation length of slow electrons in polymer films
https://escholarship[...]
[54]
웹사이트
Resolution, LER, and Sensitivity Limitations of Photoresist
http://euvlsymposium[...]
[55]
논문
Proc. SPIE 10583, 105831K
[56]
웹사이트
Revisiting EUV Lithography: Post-Blur Stochastic Distributions
https://www.linkedin[...]
[57]
논문
Proc. SPIE 10957, 109570F
[58]
웹사이트
The Stochastic Behavior of Optical Images and Its Impact on Resolution
https://www.linkedin[...]
[59]
웹사이트
Stochastic Origins of EUV Feature Edge Roughness
https://www.linkedin[...]
[60]
웹사이트
The Need for Low Pupil Fill in EUV Lithography
https://semiwiki.com[...]
2023-08-07
[61]
웹사이트
The Stochastic Variation of EUV Source Illumination
https://www.linkedin[...]
[62]
웹사이트
Stochastic Characteristics of DUV vs. EUV Lithography
https://www.youtube.[...]
2023-09-17
[63]
서적
Excimer Laser Lithography
SPIE Press
1990
[64]
논문
Ultrafast deep-UV lithography with excimer lasers
https://ieeexplore.i[...]
1982
[65]
서적
Optical Lithography
SPIE Press
2009
[66]
서적
Excimer Laser Technology
Springer
2005
[67]
웹사이트
Samsung Starts Industry's First Mass Production of System-on-Chip with 10-Nanometer FinFET Technology
https://news.samsung[...]
2016-10-17
[68]
웹사이트
TSMC Kicks Off Volume Production of 7nm Chips
https://www.anandtec[...]
AnandTech
2018-10-20
[69]
웹사이트
American Physical Society / Lasers / History / Timeline
http://www.laserfest[...]
[70]
웹사이트
SPIE / Advancing the Laser / 50 Years and into the Future
http://spie.org/Docu[...]
[7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U.K. Engineering & Phys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2011-08-22
[72]
웹사이트
High-Index Lenses Push Immersion Beyond 32 nm
https://web.archive.[...]
2015-09-29
[73]
웹사이트
MICROELECTRONICS PROCESSING - Lithography at 157 nm gains momentum
https://www.laserfoc[...]
1999-08-00
[74]
논문
157-nm lithography with high numerical aperture lens for sub-70 nm node
https://www.scienced[...]
2003-00-00
[75]
논문
Immersion lithography at 157 nm
https://pubs.aip.org[...]
2001-00-00
[76]
웹사이트
Light Sources Used in Photolithography
https://web.archive.[...]
2014-10-28
[77]
웹사이트
StackPath
https://www.laserfoc[...]
2019-08-29
[78]
논문
Optically Clear and Resilient Free-Form μ-Optics 3D-Printed via Ultrafast Laser Lithography
https://www.mdpi.com[...]
2017-01-02
[79]
웹사이트
Samsung Elec becomes world's 1st to use EUV at 7nm process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m.pulsenews.[...]
[80]
웹사이트
Maskless Lithography: A recurring dream
https://www.chiphist[...]
[81]
논문
Direct write electron beam lithography: A historical overview
https://ui.adsabs.ha[...]
2010
[82]
웹사이트
MAPPER: High Throughput Maskless Lithography
https://ieeexplore.i[...]
2009-01-00
[83]
웹사이트
https://www.cea.fr/c[...]
2024-08-00
[84]
웹사이트
Manufacturing Bits: Feb. 5
https://semiengineer[...]
2019-02-05
[85]
웹사이트
Leti receives Mapper 300-mm e-beam lithography platform
https://www.eetimes.[...]
2009-07-21
[86]
웹사이트
MAPPER and TSMC Take Next Step in Exploring Multiple E-beam Lithography for IC Manufacturing at 22 nanometer node and Beyond
https://www.design-r[...]
[87]
웹사이트
Office of microelectronics programs: programs, activities, and accomplishments
https://nvlpubs.nist[...]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Laboratory
2022-06-20
[88]
웹사이트
Photolithography Market: Global Industry Analysis and Forecast (2021-2029)
https://www.maximize[...]
2023-03-14
[89]
논문
Photochemical Immobilization of Polymers on a Surface: Controlling Film Thickness and Wettability
https://onlinelibrar[...]
2017
[90]
웹사이트
DSA Re-Enters Litho Picture
https://semiengineer[...]
2018-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